KR960006588Y1 - Reading device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Reading device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588Y1
KR960006588Y1 KR2019940009354U KR19940009354U KR960006588Y1 KR 960006588 Y1 KR960006588 Y1 KR 960006588Y1 KR 2019940009354 U KR2019940009354 U KR 2019940009354U KR 19940009354 U KR19940009354 U KR 19940009354U KR 960006588 Y1 KR960006588 Y1 KR 960006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upport
support plate
do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3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30119U (en
Inventor
강경윤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9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588Y1/en
Publication of KR950030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11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588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용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자동차용 독서대Car Reading Stand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설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정면예시도1 is a front view of the instrument panel is installed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의 구성을 보인 정면예시도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예시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4도는 제3도의 B부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of part B of FIG.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의 사용상태예시도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상태도6 is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글로브 박스 도어 12 : 받침판10 glove box door 12 base plate

14 : 지지구 16 : 받침구14: support 16: support

18 : 가이드 20 : 글로브박스18: guide 20: glovebox

141 : 지지돌기 142 : 간격조절 돌기부141: support protrusion 142: gap adjustment protrus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도어 표면에 설치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측에 실치되는 글로브 박스의 도어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책의 하단부 폭 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투명의 가이드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전방을 향해 직각으로 회전되어 책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한쌍의 받침구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책을 편리하게 협지고정함과 동시에 읽기 좋은 각도로 조정하여 읽을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stand installed on the glove box door surface of an automobile. In particular, a transparent guid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surface of the glove box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strument panel to fix the entir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book. The lower part is equipped with a pair of supporters that rotate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ook so that the passengers can narrow the book conveniently and at the same time read and adjust it at a good angle. It relates to a car reading stand that can be provid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별도의 독서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책을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각도로 되어 있지 않아 탑승자가 책이나 서류등을 볼때에는 본인이 직접 손에 들고 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렇게 본인이 직접들고 책을 볼시에 자동차의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탑승자가 책과 같이 움직이게 되어 눈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even if the interior of the car is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reading stand or is not equipped with a comfortable angle to read the book, when the passenger sees books or documents, there is a problem that you hold in your ha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ccupant moves like a book due to vibrations and shocks generated while driving the car when the book is lifted and viewed by the person, thus increasing eyestrai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글로브 박스의 도어에 책 또는 서류등을 협지하여 고정시켜 읽기 좋은 각도로 조정한 다음 책을 읽거나 또는 서류등을 검토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s purpose is to fix a book or document on the door of a glove box to fix it at a good angle, and then read a book or review a document. To provide a reading table fo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글로브 박스의 도어 표면에서 장방향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단부의 좌우측벽부를 분리된 부분과 측으로 결합하여 이 축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좌우측에 띠형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하단부가 축으로 결합되어 받침판이 인출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한쌍의 지지구와, 상기 받침판의 둘레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책을 협지고정함과 동시에 책의 읽는 곳을 표시할 수 있는 가이드와,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내삽되어 축설됨과 동시에 축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인출되어 책의 하단부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받침구로 구성된 자동차용 독서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oor surface of the automobile glove box, and simultaneously combines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portions of the upper portion with the separated portion and the supporting plate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drawn out toward the front about this axis. And a pair of supports which are separated in a band shape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shaft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support plate is drawn out, and is freely movable up and down around the support plate to narrow the book. At the same time, the reading table for the car consists of a guide which can mark the reading place of the book, and a pair of supporting holes which are interpolated and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and rotated and drawn out at right angles about the axis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ook bottom. By providing a.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 내지 제4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독서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용 독서대는 글로브 박스(20)의 개폐도어(10)의 표면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받침판(12)과, 이 받침판(12)의 양단부에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받침판(12)의 인출각도를 조정하는 한쌍의 지지구(14)와, 받침판(12)에 놓여지는 책의 하단부를 협지고정함과 동시에 현재 읽는 부분을 표시해둘 수 있는 투명체의 가이드(18)와, 상기 책의 하단부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한쌍의 받침구(16)로 구성된다.1 to 4, there is shown an automobile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10 of the glove box 20 so that the lower end is pulled forward. (12) and a pair of supports (14) formed in a band shape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late (12) to adjust the extrac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2), and the lower end of the book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2). It is composed of a guide 18 of a transparent body that can be fixed and display the current reading portion, and a pair of support holes 16 that can support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book.

상기 받침판(12)은 글로브 박스(20)의 도어(10) 표면에서 장방형으로 분리 형성됨과 동시에 이 받침판(12)이 분리되어 도어(10) 표면에 생긴 장방향의 홈(110)과 다시 결합하되 받침판(12)의 상단부와 홈(110)의 상단부를 축(121)으로 축설하여 상기 받침판(12)이 축(121)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도어(10)의 장방향 홈(110)에서 인출되도록 한다.The support plate 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surface of the door 10 of the glove box 20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late 12 is separated and re-engaged with the longitudinal grooves 11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10.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12 and the upper end of the groove 110 are arranged to the shaft 121 so that the support plate 12 is drawn out from the longitudinal groove 110 of the door 10 around the shaft 121. do.

상기 한쌍의 지지구(14)는 상기 받침판(12)의 좌우에서 띠 형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분리된 위치에 다시 결합하되, 하단부에 축(143)을 축설하여 상기 받침판(12)의 하부가 탑승자를 향하여 인출됨과 동시에 이 지지구(14)의 상단부가 도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홈(110) 표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The pair of supports 14 are separated in a band shape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12 and at the same time again coupled to the separated position, the shaft 143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2 is occupant At the same tim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4 is formed to face the surface of the rectangular groove 11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10.

그리고 상기 지지구(14)의 상부 내측면에는 내향되는 지지돌기(141)가 일체로 형성된다.And the support protrusion 141 which is inwardly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14 is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지지구(14)는 축(143)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지지돌기(141)가 제4도에서와 같이 도어(10)에 형성된 간격조절 돌기부(142)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서 상기 받침판(12)의 하단부가 도어(10)에서 멀어지는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14 is rotated about the shaft 143, the support protrusion 141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pacing adjusting projection 142 formed on the door 10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of 12 adjusts the angle away from the door 10.

따라서 받침판(12)에 책을 올려놓은 다음 또는 올려 놓기 전에 이 지지구(14)를 조정하여 읽기 좋은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placing the book on the support plate 12 or before placing the support 14 can be adjusted to a good angle to read.

상기 가이드(18)는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을 주재료로 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판(12)의 전후면을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guide 18 is configured to form a thin thickness us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to sandw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 12.

상기 투명의 가이드(18)는 자체 탄성에 의해 신축성을 가지게 되는데, 사용자가 글로브 박스(20)의 도어(10)에 형성된 한쌍의 받침구(16)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놓은 다음 받침판(12)의 하부를 당김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구(14)가 홈(110)의 표면을 향하도록 하고, (이때 지지구(14)의 후면에 형성된 지지돌기(141)를 장방형의 홈 표면에 형성된 간결조절 돌기부(142)에 일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가이드(18)를 일부 잡아당김과 동시에 받침판(12) 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책을 넣어 다시 이 가이드(18)를 놓으므로써 이 가이드(18)가 책의 하단부를 협지고정하게 된다.The transparent guide 18 has elasticity by its elasticity, and the user rotates the pair of support holes 16 formed at the door 10 of the glove box 20 at right angles, and then, At the same time as pul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s 14 toward the surface of the groove 110, (in this case the support projection 14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14, the short adjustment projection formed on the rectangular groove surface (142)). Subsequently, the guide 18 is narrow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ook by putting the book 18 into the space genera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2 and simultaneously placing the book 18 while partially pulling the guide 18.

그리고 상기 가이드(18)는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책을 협지고정함과 동시에 책의 읽는 곳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guide 18 is freely movable up and down to narrow the book and display the reading place of the book.

상기 한쌍의 받침구(16)는 받침판(12)의 하부에 내삽되어 축설됨과 동시에 축(161)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인출되어 책의 하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어(10)의 하부에 매설되고 전면으로 손잡이부인 돌기부(162)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pair of support holes 16 are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12 to be laid out and at the same time rotated out at right angles about the axis 161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ok, buried in the lower part of the door 10. And the front projection portion 162 is formed integrally.

상기 받침구(16)는 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면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일반적으로 읽혀지는 책의 폭과 상기 받침판(12)의 최대경사각을 고려하여 크기를 결정한다.The support 16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book and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2 is generally read the distance protruding toward the front by rotating about the axis (161).

다시 설명하면 자동차 글로브 박스(20)의 도어(10) 표면에서 장방향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단부의 좌우측벽부를 분리된 부분과 축(121)으로 결합하여 이 축(121)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12)과, 상기 받침판(12)의 좌우측에 띠형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하단부가 축(143)으로 결합되어 받침판(12)이 인출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한쌍의 지지구(l4)와, 상기 받침판(12)의 둘레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책을 협지고정함과 동시에 책의 읽는 곳을 표시할 수 있는 가이드(18)와 상기 받침판(12)의 하부에 내삽되어 축설됨과 동시에 축(161)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인출되어 책의 하단부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받침구(16)로 구성된다.In other words, at the same ti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oor 10 of the automobile glove box 20,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portions of the upper portion are combined with the separated portion and the shaft 121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shaft 121. Supporting plate 12 is formed to be drawn out toward the support plate, and a pair of supports that can be separat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12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shaft 143 to adjust the angle of the support plate 12 is drawn out (4) and a guide 18 and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2, which are freely movable up and down around the support plate 12 to narrow the book and display the reading place of the book. It is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 holes 16 that can be inserted and laid out at the same time and rotated out at right angles about the axis 161 to support the bottom bottom surface of the book.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부호 3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이고 101은 도어(10)의 록킹부이며, 102는 힌지축이다. 그러면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n instrument panel, 101 denotes a locking portion of the door 10, and 102 denotes a hinge axis. Nex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인스트루먼트 패널(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글로브 박스(20)의 도어(10)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책의 하단부 폭 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투명의 가이드(18)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전방을 향해 직각으로 회전되어 책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한쌍의 받침구(16)를 구비하고 있다.A transparent guide 18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rface of the door 10 of the glove box 2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trument panel 30 to fix the entir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book. A pair of support holes 16 are rotated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book.

그리고 글로브 박스(20)의 도어(10) 표면에서 장방향으로 분리 형성된 받침판(12)을 구비하고, 이 받침판(12)이 분리되어 도어(10)표면에 생긴 장방형의 홈에 받침판(12)을 다시 결합하되 받침판(12)의 상단부와 홈의 상단부를 축(121)으로 축설하여 상기 받침판(12)이 축(121)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도어의 장방향 홈에서 인출되도록 한다. 이 받침판(12)의 좌우로 띠형상의 지지구(14)를 분리함과 동시에 이 지지구(14)를 원래 위치에 다시 결합하되 이 지지구(14)의 하단부에 축(143)을 축설하여 상기 받침판(12)의 하부가 탑승자를 향하여 인출됨과 동시에 이 지지구(14)의 상단부 도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홈 표면을 향하도록 한다.And the supporting plate 1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oor 10 of the glove box 20, the supporting plate 12 is separated and the supporting plate 12 in the rectangular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10 Combine again, bu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12 and the upper end of the groove to the axis 121 to be arranged so that the support plate 12 is drawn out from the longitudinal groove of the door around the shaft 121. While separating the band-shaped support 14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upport plate 12, the support 14 is again coupled to its original position, but the shaft 143 is lai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4.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12 is drawn out toward the occupant and at the same time faces the rectangular groove surfa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end door 10 of the support 14.

상기 지지구(14)의 상단부 내측에 지지돌기(141)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지지돌기(14)와 대응하게 장방형의 홈 표면 상, 하 방향으로도 다수개의 간격조절 돌기부(142)를 형성한다.The support protrusion 141 is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4,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gap adjusting protrusions 142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rectangular groove surfa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pport protrusion 14. .

상기 투명의 가이드(18)는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을 주재료로 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판(12)의 전후면을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transparent guide 18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s a main material to form a thin thickness and to sandw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 12.

상기 투명의 가이드(18)는 자체 탄성에 의해 신축성을 가지게 되는데, 사용자가 글로브 박스(20)의 도어(10)에 형성된 한쌍의 받침구(16)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놓은다음 받침판(12)의 하부를 당김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구(14)가 홈의 표면을 향하도록 하고, 이어서 투명의 가이드(18)를 일부 잡아당김과 동시에 받침판(12)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책을 넣어 다시 가이드(18)를 놓으므로써 이 가이드(18)가 책의 하단부를 협지하게 된다.The transparent guide 18 has elasticity by its elasticity, and the user rotates the pair of support holes 16 formed at the door 10 of the glove box 20 at right angles, and then, At the same time as pulling the lower portion, the pair of supports 14 face the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n partially pulls the transparent guide 18 and at the same time puts the book into the space crea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2 and the guide 18 again. The guide 18 clamps the lower end of the book by releasing.

그리고 책의 하단 저면부는 상기 한쌍의 받침구(16)에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다.And the bottom bottom portion of the book is supported in a state raised on the pair of support holes (16).

또한 상기 받침판(12)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구(14)를 이용하여 조수석의 탑승자가 편리한 위치까지 조절하여 책을 읽게 됨과 동시에 투명의 가이드(18)를 책의 상,하방향으로 오르내리면서 읽는 줄을 표시해 주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the pair of supports 14 formed on the support plate 12,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reads the book by adjusting to a convenient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read the guide 18 of the transparent up and down the book The line will be displayed.

마지막으로 책을 상기 투명 가이드(18)에서 빼어냄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구(14)를 원래위치로 놓고 받침판(12)를 글로브 박스(20) 도어(10)에 형성된 장방형의 홈에 결합하고, 이어서 하단부에서 직각으로 인출되어진 받침구(16)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원래 위치에 넣으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판(12), 한쌍의 지지구(14) 및 받침구(16)가 글로브 박스(20)의 도어(10) 표면내에 면접되게 되는 것이다.Finally, the book is removed from the transparent guide 18 and at the same time, the pair of supports 14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the support plate 12 is coupled to the rectangular groove formed in the glove box 20 door 10, Subsequently, the support hole 16 drawn out at right angles from the lower end may be rotated at right angles to be put in the original position. In this state, the support plate 12, the pair of support holes 14, and the support hole 16 may be glove boxes 20. Will be interviewed within the surface of the door 10.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흔들리는 자동차 실내의 조수석에 탑승한 승차자가 용이하게 편리하게 책을 협지고정함과 동시에 책을 편리하게 볼 수 있는 각도로 조절하여 읽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rider in the passenger seat of a shaking car to conveniently read and adjust the book at a convenient angle while simultaneously reading the book,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It is a useful design.

Claims (1)

자동차용 독서대는 ;Car reading stand; a) 자동차 글로브 박스(20)의 도어(10) 표면에서 장방형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단부의 좌우측벽부를 분리된 부분과 축(121) 결합하여 이 축(121)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인출 되도륵 형성되는 받침판(12)과 ;a) Rectangle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oor 10 of the vehicle glove box 20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portions of the upper end portion are combined with the separated portion and the shaft 121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drawn out toward the front of the shaft 121. A supporting plate 12 formed therein; b) 상기 받침판(12)의 좌우측에 띠형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하단부가 축(143)으로 결합되어 받침판(12)이 인출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한쌍의 지지구(14)와 ;b) a pair of supports 14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12 in a band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shaft 143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support plate 12 is drawn out; c) 상기 받침판(12)의 둘레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책을 협지고정함과 동시에 책의 읽는 곳을 표시할 수 있는 가이드(18)와 ;c) a guide 18 coupled to be freely movable up and down around the support plate 12 so as to narrow the book and display a reading place of the book; d) 상기 받침판(12)의 하부에 내삽되어 축설됨과 동시에 축(161)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인출되어 책의 하단부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받침구(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ir of support holes 16 which ar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2 and laid out at the same time and rotated out at right angles about the axis 161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ok.
KR2019940009354U 1994-04-29 1994-04-29 Reading device for a vehicle KR9600065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354U KR960006588Y1 (en) 1994-04-29 1994-04-29 Reading devic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354U KR960006588Y1 (en) 1994-04-29 1994-04-29 Reading device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119U KR950030119U (en) 1995-11-20
KR960006588Y1 true KR960006588Y1 (en) 1996-08-03

Family

ID=1938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354U KR960006588Y1 (en) 1994-04-29 1994-04-29 Reading device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58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119U (en)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840A (en) Vehicle armrest/console valet
USD413856S (en) Overhead console with flip-down television screen for a motor vehicle
WO2007090226A1 (en) An accessory for a display screen
US4275917A (en) Auxiliary visor
KR960006588Y1 (en) Reading device for a vehicle
KR0120006B1 (en) Guide style of simple table for a door armrest
JP3316443B2 (en) Vehicle storage box device
JPS62210150A (en) Vehicle glove box
KR0128208B1 (en) Books supporting plate for an automobile
JPH0717637U (en) Gap cover
KR0175242B1 (en) Cupholder for mounting on automobile door
KR200404898Y1 (en) Console box for car
KR200318653Y1 (en) A thin thing receipt pocket that is equipped armoring of car door trim arm rest
JPS5839948Y2 (en) Grab box for automobile instrument panel
JP2012153210A (en) Vehicle seat
JP2000168784A (en) Tissue paper box fixing case and tissue paper box
KR200174437Y1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AU2006236091B2 (en) An Accessory For A Display Screen
JP3373288B2 (en) Sun visor for vehicles
KR19980052306U (en) Doormap pocket
JP3097417B2 (en) Automotive console box structure
JPH11170918A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
USD284849S (en) Automobile quarter panel
KR980007585U (en) Console box of car
JPH10236234A (en) Cargo receiving structure of passenge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