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43B1 - 브레이크 부우스터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부우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43B1
KR960005843B1 KR1019880011302A KR880011302A KR960005843B1 KR 960005843 B1 KR960005843 B1 KR 960005843B1 KR 1019880011302 A KR1019880011302 A KR 1019880011302A KR 880011302 A KR880011302 A KR 880011302A KR 960005843 B1 KR960005843 B1 KR 96000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top
control rod
plung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27A (ko
Inventor
고띠에 쟝-삐에르
뻬레 미겔
베르보 뻬드로
Original Assignee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크리스띠앙 레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크리스띠앙 레제 filed Critical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89000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레이크 부우스터
제1도는 도면의 상반부 및 하반부가 정지상태와 브레이크페달을 부우스터에 작동시킬 때 여러가지 부품들로 점유된 위치들을 각각 예시하면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브레이크 부우스터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는 종단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부우스터의 부분 횡단면도.
제3도는 피스턴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키이 및 경사키이의 끝 부분들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4도는 경사키이의 끝부분과, 결합된 성형(成形)멈추개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는, 제2도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및
제5도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여타의 부분들을 생략한 채로, 고정키이, 경사키이 및 작동 위치에서, 이것들을 지지하는 지지링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케이싱 20 : 중공 피스톤
20b : 지지표면 20e : 제2밸브시이트
22a : 멈추개 표면 25 : 제1탄성장치(압축스프링)
28 : 플런저 28a : 제1밸시이트
30 : 제어로드 34 : 밸브프랩
38 : 제3탄성장치(압축스프링) 40 : 제2탄성장치(압축스프링)
44 : 고정 멈추개 부재(제1멈추개 부재, 고정키이)
44b : 핑거 46 : 지지링
46a : 지지부분 46b : 직선부분
47 : 고리모양홈
50 : 경사 멈추개 부재(제2멈추개 부재, 경사키이)
50b : 텅 50c : 오목부분
54 : 멈추개 54a : 드릴구멍
54b : 홈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우스터(brake booster)에 관한 것이며 그러한 부우스터를 구비하고 있는 브레이크 회로를 갖춘 모든 자동차에 편리하게 적용된다.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에 의하여 1986년 4월 23일자 출원된 프랑스 특허출원 제86/05,857호에는 종래의 설계로 된 브레이크 부우스터가 기술되어 있다.
이 부우스터는 부우스터의 축선을 따라서 가동 중공(中空)피스톤에 밀봉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요성 막의 양쪽에 프런트 챔버(front chamber)와 리어 챔버(rear chamber)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싱을 특별히 구비하고 있다.
프런트 챔버는 진공원에 영구히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리어챔버는 공통 플랩(flap)으로 제어되는 2개의 밸브에 의하여 프런트 챔버든지 외부공기든지 어느 한쪽과 통해있다.
이들 밸브에 의해 점유되는 위치들은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고 중공 피스톤 내부에 부우스터의 축선을 따라 배치된 제어 로드(rod)의 위치를 의존한다.
더 명확히 말해서, 제어 로드의 앞 끝부분은 피스톤 내부로 소정의 축방향 유극(遊隙)을 가지는 플런저를 지지한다.
이 유극은 2개의 밸브에 대하여 공통인 플랩이 플런저상에 형성된 밸브의 시이트(seat)에 대하여 밀봉식으로 누르고 제어 로드가 후부 정지 위치를 점유할 때 피스톤 상에 형성된 밸브의 시이트로 부터 떨어질 수 있을 정도이다.
리어 챔버는 그때에 프런트 챔버와 통하고 피스톤은 복귀 스프링의 작용하에서 외부케이싱상에 형성된 후부 멈추개 표면에 기대게 된다.
그 반면에, 2개의 밸브에 대하여 공통인 플랩은 피스톤상에 형성된 밸브시이트에 대하여 밀봉식으로 누르고 제어로드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는 영향하에서 전방으로 변위될 때 플런저상에 형성된 밸브시이트로 부터 떨어진다.
그때 프런트 챔버와 리어 챔버 사이의 연락은 중단되고, 리어챔버가 이번에는 외부공기와 통한다.
부우스터의 피스톤은 이와같이 프런트와 리어챔버들 사이의 압력차이의 영향하에서 전방으로 변위되고 그 이동에 의하여 브레이크 회로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부우스터의 출력로드를 구동시킨다.
그리하여 브레이크 부우스팅(boosting)이 확실하게 된다.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될 때, 프런트 챔버와 리어챔버가 정지상태에서 서로 통하게 하는 제1밸브의 폐쇄, 및 그 다음에 리어챔버로 하여금 외부공기와 통하게하는 제2밸브의 개방을 연속적으로 결정하는 것에 부우스터의 피스톤의 내부에 있는 플런저의 유효 스트로크라는 것은 상기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문서에 있어서, 이 스트로크는 피스톤의 내부에 장착되고, 플런저에 형성된 2개의 대향 어깨들의 사이에 놓인 2개의 멈추개 부재들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멈추개 부재들 중의 하나는 피스톤안에 고정지지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될때 피스톤의 내부 전방으로 플런저의 최대 위치를 결정하는 고정키이로 불리는 플레이트이다.
다른 하나의 멈추개 부재는 한 쪽 끝이 고정 키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부우스터의 외부 케이싱에 형성된 멈추개 표면에 대하여 지탱하기에 적합한 멈추개를 형성하도록 뒤로 굽어져 있으므로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고 있지 않을때 후방으로 플런저의 최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키이로 불리는 경사플레이트이다.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에 의해 1986년 4월 23일자 출원된 프랑스 특허출원 제86/05,857호에 있어서, 고정 키이는 피스톤에 형성된 홈에 수납된 지지링에 의하여 피스톤의 내부에 지탱되어 있는데, 지지링의 끝부분들은 피스톤의 축선과 평행하게 뒤로 굽어져 있어서 피스톤의 외면을 향하여 접혀있는 고정키이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경사키이는 고정 키이에 의하여 적소에 지탱되어 있으면서, 이 경사키이의 변형 부분은 키이들을 수납하기 위해 피스톤에 형성된 마운팅의 베이스와 고정키이의 상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공지 구조물의 단점은 키이들의 조립과 지지링의 도움으로 그것들을 고정 지지하는 것이 비교적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작업들이라는 것이다. 특히, 경사키이의 변형부분이 고정키이와 마운팅의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단단히 지지되도록 확보 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경사키이가 불량장착되고 고정키이에 의해 지탱되지 않을 위험이있다.
더구나, 프랑스특허출원 제86/05,857호에서 경사키이의 멈추개를 형성하고 있는 뒤로 굽어진 끝부분이, 예를 들어 이 멈추개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리 멈추개로 교체된다면, 경사 키이가 적소에 정확하게 놓여진다고 할지라도 분리 멈추개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키이들의 조립과 그것들을 고정 지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있는 한편, 경사키이를 부적절하게 장착할 위험과, 사용할 경우, 이 키이상의 분리 멈추개가 떨어질 위험이 배제된 브레이크 부우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외부케이싱; 상기 케이싱안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중공 피스톤; 피스톤의 지지표면이 외부 케이싱의 멈추개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후부 정지 위치로 이 피스톤을 변위시키려 하는 제1탄성장치; 피스톤의 축선을 따라 배열되고 플런저를 앞 끝부분에서 지지하고 있는 제어로드; 제어로드를 후부 정지 위치로 변위시키려 하는 제2탄성장치; 제어로드를 둘러싸도, 피스톤의 내부에 밀봉식으로 장착된 밸브 플랩; 제어로드가 그의 후부 정지위치를 점유하고 있을 때에는 플런저상에 형성된 제1밸브 시이트와, 그리고 제어로드가 전방으로 변위되어 있을 때에는 피스톤상에 형성된 제2밸브 시이트와 접촉하게 되도록 밸브 플랩을 전방으로 변위 시키려하는 제3탄성장치; 중공 피스톤안에 장착되고, 제어 로드가 전방으로 변위되어 있을때 플런저에 의해 지탱되는 고정 멈추개 부재; 한 쪽 끝부분은 고정 멈추개 부재에 대하여 선회하기에 적합하고 반대편 끝부분은 멈추개를 지지하고 있으며, 제어로드의 후부 정지 위치가 플런저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플런저를 지탱하고, 멈추개가 케이싱의 상기 멈추개 표면을 지탱하게 되어있는 경사 멈추개 부재; 및 피스톤에 형성된 고리모양 홈안에 수납되어 있으며, 피스톤의 외면 쪽으로 향하여진 고정 멈추개 부재의 한 쪽 가장자리를 지탱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고정 및 경사 멈추개 부재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브레이크 부우스터가 제공되며, 이 부우스터는 지지링이 경사 멈추개 부재로 하여금 선회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그것을 피스톤안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멈추개에 형성된 홈안에 수납되고 피스톤의 축선과 평행하게 방향진 직선부분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분과 직선부분은 지지링의 양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 멈추개 부재는, 예를 들어 U-자형의 편평한 노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피스톤의 외면쪽으로 향하여진 그 가장자리는 상기 고리모양 홈을 향하여 뒤로 굽어져서 지지링의 상기 지지부분에 의하여 지지되는 핑거(finger)를 가지고 있다. 이 후자 부분은 이와 같이 피스톤의 축선과 평행하게 방향지어질 수 있고 그 끝부분에서 핑거에 대하여 뒤로 굽어질 수 있다.
경사 멈추개 부재는, 예를 들어, U-자형의 편형한 노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피스톤의 외면쪽으로 향하여진 그 가장자리는 멈추개를 지탱하는 텅(tongue)을 가지고 있다.
그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멈추개는 피스톤의 축선과 평행하게 방향지어지고 경사 멈추개 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플레이트의 오목부분이 수납되는 드릴구멍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비한정적인 실례의 목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유압 브레이크 회로를 제어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과의 사이에 통상의 방식으로 놓여지도록 제공된 브레이크 부우스터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마스터 실린더쪽으로 향하게 되어있는 부우스터의 부분은 프런트(front)라고 부르고, 브레이크 페달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는 부분은 리어(rear)라고 부른다.
제1도에서 부우스터는 A-A 축선에 관하여 회전대칭이면서 셀(shell) 형상인 외부 케이싱(10)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 케이싱(10)의 주요 리어부분만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금속 지지 디스크(14)에 의해 그 주요 부분에서 보강된 가요성 엘라스토머(elastomer) 막(12)은 케이싱(10)에 의해 경계지어진 공간 내부에 프런트 챔버(16)와 리어 챔버(18)를 형성한다. 막(12)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도시되어있지 않음)는 외부 케이싱(10)에 밀봉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그 막(12)의 안둘레 가장자리는 부우스터의 A-A축선을 따라 배열된 중공피스톤(20)의 바깥둘레 표면에 형성된 고리모양홈을 밀봉식으로 수납된 플랜지(12a)를 형성한다.
이 중공 피스톤(20)은 케이싱(10)의 뒷벽을 밀봉식으로 통과하는 관모양 부분(20a)의 형상으로 리어쪽으로 뻗는다.
그것이 밀봉식으로 통과한다는 사실은 케이싱(10)의 뒷벽을 통하여 리어 쪽으로 뻗는 중앙 관모양부분(10a)에서 링(24)에 대하여 결합되는 보강된 고리모양 시일링 조인트(22; sealing joint)에 의해 확보된다.
시일링 조인트(22)의 편평한 앞면(22a)은 멈추개 표면을 구성하는데, 피스톤(20)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되어있고 부우스터가 정지상태에 있을때 지지표면을 구성하는 어깨(20b)가 상기 멈추개 표면을 가압한다.
멈추개 표면(22a)에 대한 지지표면(20b)의 가압은 피스톤(20)과 외부 케이싱(10)의 앞벽(도시되어 있지 않음)과의 사이에 놓여 있는 압축스프링(25)에 의하여 확보된다.
관모양 뒷부분(20a)과 앞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막(12)이 결합되어 있는 중앙부분에 있어서, 피스톤(20)은 세로 공기순환통로(27)를 포함하고 있는 계단식 통로(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로의 앞부분, 즉 더 작은 직경부분은 A-A축선에 관하여 역시 회전대칭을 이루고 있는 플런저(28)의 앞 끝부분을 미끄럼식에 의하여 수납한다.
이 플런저(28)는 A-A축선을 따라 역시 배열된 제어로드(30)의 앞 끝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0)의 관모양 부분(20a)의 뒷끝부분을 지나 돌출하는, 이 로드(30)의 뒷 끝부분은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직접 제어된다.
제어로드(30)와 피스톤(20)의 관모양 부분(20a)과의 사이에 경계지어진 고리모양 공간은 고리모양 공기 필터(32)를 지나서 부우스터의 리어에서 외부쪽으로 개방한다.
프런트 쪽으로는, 그 고리모양 공간은 피스톤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반경방향 통로(20c)를 지나서 리어챔버와 통할 수 있는데, 이 연락은 이제 설명할 밸브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밸브는 플런저(28)의 뒷끝면에 형성된 고리모양 밸브 시이트(28a)와 피스톤의 관모양 부분(20a)에 장착된 고리모양 플랩(flap)(34) 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플랩(34)은 엘라스토머의 가요성 슬리이브(35)의 앞 끝부분, 즉 더 작은 직경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슬리이브(35)의 뒷 끝부분은 관모양 부분(20a)의 내부에 밀봉식으로 장착되는 플랜지를 형성한다.
이 플랜지(35a)는 금속 플레이트(36)에 의하여 적당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시이트(28a)를 밀봉식으로 밀기위해 플랩(34)를 전방으로 변위시키려하는 압축스프링(38)에 의해 지탱되어 있다.
제2통로(20d)는 부우스터의 프런트 챔버(16)를 피스톤의 관모양 부분(20a)의 내부의 플랩(34)의 둘레에 형성된 고리모양 챔버와 연결하기 위해, A-A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피스톤(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챔버(16)와 리어 챔버(18)는 이와 같이 다른하나의 밸브의 제어하에서 통로(20c 및 20d)들을 경유하여 서로 통해 있다. 이 밸브는 플랩(34)과 피스톤(20)의 중앙부분의 뒷끝면에 형성된 고리모양 밸브시이트(20e)와의 사이에 경계지어져 있다.
압축 스프링(40)의 앞 끝부분은 플레이트(36)를 지탱하고 그 뒷 끝부분은 와샤(42)를 통해서, 제어로드(30)에 형성된 어깨를 지탱한다.
이 스프링(40)은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될때 제어로드(30)로 하여금 다시 뒤로 돌아올 수 있게 한다.
2차적으로, 그것은 플랩(34)을 지지하고 있는 가요성 슬리이브(35)의 플랜지(35a)를 적소에 지지한다.
엘라스토머 재질의 반동 디스크(58)는 금속칼라(60)에 의하여 피스톤(20)의 중앙부분의 앞면과 접촉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칼라(60)는 부우스터의 출력 로드(62)의 뒷끝부분과 결합되어 있고, 이 출력로드(62)의 앞 끝부분은 마스터 실린더(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피스톤을 작동시킨다.
피스톤(20)의 중앙부분의 내부의 플런저(28)에 대하여 가능한 축방향 스트로크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마운팅(63; 제2도)에 수잡되어 있는 2개의 멈추개 부재(44 및 50)들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데, 이 마운팅(63)은 피스톤의 내부의 통로(26)와 통해 있고 반경방향의 통로(20c)안으로 개방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멈추개 부재(44 및 50)들은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 하여 이제 상세히 설명될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고정 키이라고 불리는 제1멈추개 부재(44)는 마운팅(63)에 A-A축선과 수직하게 장착된 편형한 금속플레이트로 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44)는 마운팅(63)의 양쪽에 형성된, 서로 대향한 슬라이드(64)들안에 수납되어 있다.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것의 일반적인 형상은 플런저(28)의 감소된 직경의 중앙부분(28B)이 통과하는 U-자형의 노치(44a)를 가진 4각형이다.
피스톤(20)의 외면쪽으로 굽어진 플레이트(44)의 가장자리에는 플레이트의 평면에 대하여 앞을 향하여 뒤로 굽어진 4각형 핑거(44b)가 형성되어 있다.
핑거(44b)와 플레이트(44)와의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특히, 약 30°정도일 수 있다.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44b)는 그것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44)의 가장자리의 중앙에 대하여 옆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고정 키이(44)는 앞쪽으로 향하여져 있고 플린저(28)상에 형성되어 있는 어깨(48)의 맞은 편에 배열되어 있다.
부우스팅의 실패의 경우에, 어깨(48)는 로드(30)상에 가압된 브레이킹 작용력을 피스톤(20)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도록 키이(44)를 지탱하게 되어 있다.
피스톤(20)의 중앙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제2멈추개 부재(50)는 편평한 금속플레이트로 구성된, 경사 키이로 불리는 경사 멈추개 부재이다. 이 플레이트(50)는 노치(44a)와 동일하고 플런저(28)의 감소된 직경의 중앙부분(28b)이 통과하는 U-자형의 노치(50a)를 가지고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의 내부에 위치된 플레이트(50)의 끝부분은 플레이트(44 및 50)들이 지탱되어 있는 마운팅(63)의 베이스에 형성된 좁은 부분(63a) 때문에 플레이트(44)의 상대 끝부분을 지탱하면서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좁은 부분(63a)은, 피스톤(20)의 외면쪽으로 향하여져 있는 플레이트(50)의 맞은편 끝부분을 고정 플레이트(44)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50)로 하여금 화살표(F)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게 한다.
그것의 중앙부분에 있어서, 피스톤(20)의 외면쪽으로 향하여 있는 경사 플레이트(50)의 가장자리는 텅(50b)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의 끝 부분에서는 성형 멈추개(54)를 고착하고 있다. 멈추개(54)는 피스톤의 A-A축선에 평행하게 멈추개(54)에 형성된 드릴구멍(54a) 안으로 통과하는 텅에 있는 오목부분(50c)에 의하여 텅(50b)의 끝부분에 고착되어 있다(제4도).
멈추개(54)는, 제1도의 상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우스터가 작동되고 있지 않을때 멈추개 표면(2a)을 지탱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플레이트(50)는 고정키이(44)와 어떤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어깨(48)로 향하도록 플런저(28)상에 형성되어 리어 쪽으로 향하여져 있는 어깨(56)를 지탱하게 될 수 있는 멈추개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 키이(44)와 경사 키이(50)는, 피스톤(20)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고리모양 홈(47)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키이들에 대하여 앞쪽으로 약간 오프셋되어 있는 지지링(46)에 의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적소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46)의 한쪽 끝부분(46a)은 핑거(44b)의 끝 가장자리를 지탱하게 되도록 A-A축선과 평행하게 리어를 향하여 뒤로 굽혀져 있고 그 다음에 핑거(44b)의 뒷면을 또한 지탱하도록 이 축선을 향하여 굽혀져 있다.
이런식으로, 지지링(46)의 끝부분(46a)은 피스톤(20)에 형성된 마운팅(63)의 내부에 고정키이(44)를 지지한다.
더구나, 지지링(46)의 반대편 끝부분(46b)은 피스톤(20)의 외면쪽으로 향하여져 있는 멈추개(54)의 면위에 A-A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홈(54B)에 장착되기 위하여 A-A축선과 평행하게 리어를 향하여 또한 뒤로 굽혀져 있다.
홈(54b)이 경사키이(50)로 하여금 선회할 수 있게 하기위해 그것의 중앙부분에서보다 그것의 양쪽 끝부분들에서 더 깊어져 있는 것을 제4도에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링의 끝 부분(46b)은 경사키이(50)가 피스톤(20)에 형성된 마운팅(63)에 지지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고, 멈추게(54)가 핑거(50b)에 부적당하게 결합될 경우 멈추개(54)의 이탈을 방지한다.
방금설명된 구조의 덕택으로 키이(44 및 50)들의 마운팅이 용이해진다.
특히, 지지링(46)의 양 끝부분들은 경사키이(50)의 이탈 위험으로 이끄는 부적당한 조립이 불가능할 정도로, 두개의 키이들을 서로 독립적이고 명백하게 지지한다.
더 나아가서, 성형 멈추개(54)는 또한 경사키이의 텅(50b)에 이 멈추개의 부적당한 결합의 경우일지라도 지지링의 끝부분(46b)에 의하여 지지된다.
방금 설명된 부우스터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을때, 프런트 챔버(16)는 영구적으로 진공원과 통해있다.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고 있지 않을때, 부우스터의 여러 요소들은 제1도의 상반부에 도시된 위치들을 점유한다,
특히, 플런저(28)의 어깨(56)가 경사키이(50)를 지탱하는 경우, 경사키이(50)에 의해 지지되는 성형 멈추개(54)가 멈추개 표면(22a)를 지탱하면서, 복귀스프링(40)은 제어 로드(30) 및 플런저(28)를 그들의 최후단 위치에 지지한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플런저의 시이트(28a)는 플랩(34)을 밀봉식으로 지탱하는데, 상기 플랩은 피스톤의 시이트(20e)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 챔버(16)와 리어 챔버(18)는 통로(20d), 시이트(20e)와 플랩(34) 사이에 형성된 유극, 및 통로(20c)를 경유하여 서로 통해 있다. 그 반면에, 리어 챔버(18)와 외부공기와의 연락을 제어하는 밸브는 폐쇄되어 있다.
2개의 챔버(16 및 18)들은 이와 같이 진공하에 있고, 피스톤(20)의 위치는 멈추개 표면(22a)에 대하여 피스톤의 지지표면(20b)을 가압하는 압축스프링(25)의 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차량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킬 때, 제어로드(30)와 플런저(28)는 전방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는 피스톤(20)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프랩(34)과 밸브 시이트(20e)와의 사이에 정지 상태로 있는 공전(空轉)은 회복되지 않는다.
그때에, 플랩(4)은 시이트(20e)를 밀봉식으로 지탱하게 되고, 그리하여 부우스터의 챔버(16 및 18)를 사이의 연락을 차단한다.
피스톤(20)내의 플런저(28)의 전방변위는 밸브 시이트(28a)가 플랩(34)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있을 때까지 계속된다.
부우스터의 리어 챔버(18)는 그때에 통로(20c), 시이트(28a)와 플랩(34)사이의 통로, 및 피스톤의 관모양 부분(20a)과 제어로드(30)사이에 경계지어진 고리모양 공간을 경유하여 외부공기와 통하는 상태로 된다.
그때에 아직 진공상태하에 있는 프런트 챔버(16)와 리어챔버(18)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이는 피스톤(20)을 앞쪽으로 변위시켜서 브레이킹의 기계적 작용의 공압식 부우스팅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제어로드의 앞쪽으로의 변위가 계속된다.
마스터 실린더를 제어하는 로드(62)의 변위는 이와같이 부우스터의 피스톤(20)의 변위에 의하여 확실하게 된다.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되어 있을때, 부우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은, 특히 스프링(40 및 25)들의 작용하에서, 다시 제1도의 상반부에 도시된 위치들을 점유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방금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고정키이와 경사 키이를 지지하는 지지링의 부품들은 지지링의 앞 끝부분이 아니라 지지링의 다른 한 영역에 형성될수도 있다. 고정키이는 더 나아가서 피스톤의 축선에 평행하게 방향지어지고 피스톤의 외면쪽으로 향하여져 있는 고정 키이의 가장자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2개의 핑거들을 지지하게 되어있는 지지링의 2개의 부품들에 의하여 지지될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멈추개(54)가 경사 키이로 부터 분리되지 않고 경사키이에 직접, 예를 들어 텅의 끝부분의 뒤로 굽혀진 부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키이(44 및 50)들과 지지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상기 설명된 것과 다른 형태를 가진 브레이크 부우스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외부 케이싱(10); 상기 케이싱안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중공 피스톤(20); 피스톤의 지지표면(20b)이 외부 케이싱의 멈추개 표면(22a)과 접촉하게 되는 후부 정지위치로 이 피스톤을 변위시키려 하는 제1탄성장치(25); 피스톤의 축선을 따라 배열되고 플런저(28)를 앞 끝부분에서 지지하고 있는 제어로드(30); 제어로드를 후부 정지 위치로 변위시키려 하는 제2탄성장치(40); 제어로드를 둘러싸고, 중공 피스톤의 내부에 밀봉식으로 장착된 밸브 플랩(34); 제어로드가 그의 후부 정지 위치를 점유하고 있을 때에는 플런저상에 형성된 제1밸브 시이트(28a)와, 그리고 제어로드가 전방으로 변위되어 있을 때에는 피스톤상에 형성된 제2밸브 시이트(20e)와 접촉하게 되도록 밸브 플랩을 전방으로 변위 시키려하는 제3탄성 장치(38); 중공 피스톤 안에 장착되고, 제어로드가 전방으로 변위되어 있을때 플런저에 의해 지탱되는 고정 멈추개 부재(44); 한 쪽 끝부분은 고정 멈추개 부재에 대하여 선회하기에 적합하고 반대편 끝부분은 멈추개(5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로드의 후부 정지위치가 플런저(28)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플런저를 지탱하고, 멈추개(54)가 케이싱의 상기 멈추개 표면(22a)을 지탱하게 되어있는 경사 멈추개 부재(50); 및 피스톤(20)에 형성된 고리모양홈(47)안에 수납되어 있으며, 피스톤(20)의 외면 쪽으로 향하여진 고정 멈추개 부재의 한쪽 가장자리를 지탱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분(46a)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고정 멈추개 부재(44) 및 경사 멈추개 부재(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링(46)으로 구성되어 있는 브레이크 부우스터에 있어서, 지지링(46)은 경사 멈추개 부재(50)로 하여금 선회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그것을 피스톤(20)안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멈추개(54)에 형성된 홈(54b)안에 수납되고 피스톤의 축선과 평행하게 방향지어진 직선부분(46b)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우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부분(46a)과 상기 직선 부분(46b)은 지지링(46)의 양 끝부분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우스터.
  3. 제1항 및 제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멈추개 부재(44)는, 피스톤(20)의 외면쪽으로 향하여진 그의 가장자리가 상기 고리모양 홈(47)을 향하여 뒤로 굽혀지고 지지링의 상기 지지부분(46a)에 의해 지탱되는 핑거(44b)를 구비한 U-자형의 편형한 노치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우스터.
  4. 제2항 제3항에 있어서, 지지링(46)의 지지부분(46a)은 피스톤(20)의 축선과 평행하게 방향지어져 있고 그의 끝부분에서 팽거(44b)에 대하여 뒤로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우스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 멈추개 부재(50), 피스톤(20)의 외면쪽으로 향하여진 그의 가장 자리가 멈추개(54)를 지지하고 있는 텅(50b)을 포함하고 있는 U-자형의 편평한 노치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우스터.
  6. 제5항에 있어서, 멈추개(54)는, 피스톤(20)의 축선과 평행하게 방향지어져 있고, 경사 멈추개 부재(5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오목 부분(50c)이 수납되어 있는 드릴구멍(54a)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우스터.
KR1019880011302A 1987-09-17 1988-09-01 브레이크 부우스터 KR960005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2868A FR2620673B1 (fr) 1987-09-17 1987-09-17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FR8712868 1987-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27A KR890004927A (ko) 1989-05-10
KR960005843B1 true KR960005843B1 (ko) 1996-05-03

Family

ID=935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302A KR960005843B1 (ko) 1987-09-17 1988-09-01 브레이크 부우스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907494A (ko)
EP (1) EP0308310B1 (ko)
JP (1) JPH01109159A (ko)
KR (1) KR960005843B1 (ko)
CN (1) CN1013487B (ko)
BR (1) BR8804781A (ko)
DE (1) DE3862356D1 (ko)
ES (1) ES2021858B3 (ko)
FR (1) FR2620673B1 (ko)
MX (1) MX164620B (ko)
PL (1) PL157387B1 (ko)
PT (1) PT88411B (ko)
YU (1) YU469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5219A1 (de) * 1989-05-10 1990-11-15 Teves Gmbh Alfred Unterdruckbremskraftverstaerk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H0340278U (ko) * 1989-08-31 1991-04-18
IT1241193B (it) * 1990-03-15 1993-12-29 Bendix Italia S.P.A. Servomotore di assistenza alla frenatura
JP2534087Y2 (ja) * 1991-04-17 1997-04-30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倍力装置
US5161451A (en) * 1991-11-27 1992-11-10 Allied-Signal Inc. Modifier for vacuum booster reaction force
FR2684059B1 (fr) * 1991-11-27 1994-01-07 Bendix Europe Services Technique Servomoteur pneumatiqu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9248A (en) * 1980-04-21 1981-11-19 Jidosha Kiki Co Ltd Valve mechanism controller for brake booster
JPS6233651Y2 (ko) * 1981-03-30 1987-08-28
FR2559725B1 (fr) * 1984-02-22 1986-12-05 Dba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FR2591172B1 (fr) * 1985-12-05 1988-03-18 Bendix France Servomoteur a depression d'assistance au freinage
FR2597821B1 (fr) * 1986-04-23 1990-09-28 Bendix France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07494A (en) 1990-03-13
PT88411A (pt) 1989-07-31
PT88411B (pt) 1993-11-30
PL157387B1 (en) 1992-05-29
FR2620673A1 (fr) 1989-03-24
BR8804781A (pt) 1989-04-25
DE3862356D1 (de) 1991-05-16
EP0308310B1 (fr) 1991-04-10
MX164620B (es) 1992-09-09
ES2021858B3 (es) 1991-11-16
CN1013487B (zh) 1991-08-14
FR2620673B1 (fr) 1989-12-01
YU169588A (en) 1990-04-30
JPH01109159A (ja) 1989-04-26
CN1032065A (zh) 1989-03-29
YU46986B (sh) 1994-09-09
PL274548A1 (en) 1989-05-30
EP0308310A1 (fr) 1989-03-22
KR890004927A (ko) 198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31736A (ko)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보조제어부를 갖춘 공기 부스터
GB2146399A (en) Vacuum operated power booster
KR900001034B1 (ko) 보조서어보 모우터의 밸브플런저용 멈춤키 및 그러한 키가 장착된 보조서어보 모우터
EP0110740B1 (en) Brake actuation assembly
US4522108A (en) Vacuum booster device
US5228377A (en) Brake booster
KR960005843B1 (ko) 브레이크 부우스터
GB1590936A (en) Tandem diaphragm brake booster assembly
US4538503A (en) Vacuum booster diaphragm mounting
EP0173338B1 (en) Tandem brake booster
GB2060100A (en) Vacuum brake boosters
US4567812A (en) Brake boosters for automotive vehicles
US7089846B2 (en) Negative pressure type booster device
US20140325973A1 (en) Primary piston assembly for a master brake cylinder of a braking system of a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for a braking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ing unit
GB2216210A (en) Tandem-type vacuum booster
KR100335472B1 (ko) 공압브레이크부스터
GB2104989A (en) Pneumatic servo booster
US4453452A (en) Servomotor for braking assistance with reduced stroke of actuation
GB2070707A (en) Vacuum brake booster
GB2135412A (en) Master cylinder for hydraulic brake systems of vehicles
US5537910A (en) Actuator for a brake booster
US5657680A (en) Pneumatic brake booster with flexible valve
JPH03136967A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の作動ユニット
US4368661A (en) Control valve for brake booster
JPH051026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