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276B1 -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276B1
KR960005276B1 KR1019930008479A KR930008479A KR960005276B1 KR 960005276 B1 KR960005276 B1 KR 960005276B1 KR 1019930008479 A KR1019930008479 A KR 1019930008479A KR 930008479 A KR930008479 A KR 930008479A KR 960005276 B1 KR960005276 B1 KR 96000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machine
frequency
drain
control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76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제1도는 종래의 드레인펌프를 사용한 전자동세탁기의 세탁조와 높이에 따른 수위량을 표시한 것이다.
제2도는 종래의 기계식 수위조절스위치를 사용한 시스템에서 급수장치의 불량시 처리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수위조절스위치를 사용한 시스템에서 급수장치의 불량시 처리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기계식 수위조절스위치를 사용한 시스템에서 급수제어기 불량시 처리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센서식 수위조절스위치를 사용한 시스템에서 급수제어기의 불량시 처리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강제배수시스템의 처리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출력곡선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형 세탁기에서의 실시예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출력곡선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형 세탁기에서의 실시예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출력곡선의 다른 실시예로서 대형 세탁기에서의 실시예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전자동 또는 수동식 세탁기에서 물이 세탁조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세탁조에 저장되는 물이 넘쳐 흐르는 경우에 이것을 감지하여 과잉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전자동세탁기는 세탁에 사용된 용수(用水)를 배출하기 위하여 드레인펌프를 사용한 세탁기이다. 상기 세탁기는 주로 수출되는 기종으로서 배수관이 직접적으로 하수도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지상으로부터 80 내지 100센티미터 정도의 높이에 설치된 배수파이프로 물을 배출한다, 이 드레인펌프를 이용하는 세탁기는 주로 유럽이나 남미에서 사용되는 기종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동세탁기는 급수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 압력스위치를 사용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물의 하중에 의하여 내부에 설치된 전기적 성질을 띠는 코어(core)가 이동하면 이에 따라 리앤턴스(reactance)가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이 변화된 리액턴스를 주파수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따라서, 일정한 내용적으로 갖는 원통형의 세탁조내로 물이 공급되어지는 경우에 물의 공급량에 따라 일정하게 수위가 상승되게 되며, 그 내부에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코어의 이동에 따라 반비례하여 변화하는 주파수를 출력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기계식 압력스위치도 역시 공급되는 물에 의한 압력을 스프링을 사용하여 하중을 측정하고 이것을 주파수로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용 마이컴(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감지센서 또는 압력스위치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사전에 설정되어 입력되어질 수 있는 기준주파수 및 상기 압력감지센서나 기계식 압력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를 비교하며, 그에 따라 적절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 상기 기준주파수와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감지센서나 기계식 압력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를 비교하여 물이 고수위인지 또는 저수위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세탁시에 급수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 의한 제어신호의 출력에도 불구하고 급수가 정지되지 않는 때에는 물은 세탁조를 넘어 바닥으로 넘치게 되어 소비자의 안전이나 재산상의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었다.
제1도에 도시된 것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세탁조로서 소량 수위(P1), 저수위(P2), 중수위(P3) 및 고수위(P4)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 보다 약간 높은 위치, 즉 세탁조의 상단부가 오버플로우 지점이 된다. 이 높이는 세탁기의 용량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하므로 수치를 지정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기재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위의 측정은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나 기계식 압력스위치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측정하여 미리 정해진 물의 양이 공급되었는가를 인지하는 것이며, 이 주파수들의 상세한 내용은 제7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세탁기의 급수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판단은 제2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세탁물이 많아서 고수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공급되는 물의 양을 상기한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 압력스위치를 사용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라 변환된 상기 주파수로서의 출력신호를 제어용 마이컴으로 사전에 설정되어 입력되어질 수 있는 기준주파수와 비교하여 물이 고수위인지 또는 저수위인지를 판단하여 고수위로 판단되면 급수를 중단하고, 고수위에까지 도달되지 못한 경우 고수위가 될 때까지 급수를 계속하도록 한다.
물이 고수위에 도달하면 세탁기의 제어용 마이컴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급수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폐쇄시켜 급수를 중단시키고,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등의 세탁행정을 예정되어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진행된다. 그러나 만일 급수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면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급수시스템의 이상을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과잉공급되어지는 물은 세탁조로부터 넘치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은 종래의 수위조절스위치가 불량인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공급된 물이 고수위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판단을 하지 못하고 계속 물을 공급하게 되므로 물은 세탁조를 넘치게 된다.
즉, 수위를 조절하는 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으므로 수위검색이 불가능하며 달리 검색할 방법이 없게 된다.
급수제어기의 불량시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행정이 실행된다.
즉, 물이 고수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여 고수위까지 도달하였으면 세탁행정이 진행된다. 세탁중 급수제어기에 고장이 발생하였으므로 물이 계속 공급되어 드레인 포인터(DP ; drain point)에 물이 도달하여도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이것을 감지할 방법이 없었으며, 이것은 수위조절스위치의 경우도,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상태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물이 넘치는 경우에도 별도의 감지방법이 요구되며, 본 발명은 고수위보다는 상위이며 물이 넘치는 세탁조의 상단부보다는 낮은 지점(드레인 포인트)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 압력스위치를 사용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이 상기 드레인 포인트에 다다르게 되면 이를 제어용 마이컴으로 사전에 설정되어 입력되어질 수 있는 기준주파수와 비교하여 물이 넘치기 전에 제어용 마이컴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토록 하여 드레인펌프를 구동시켜 배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제어용 마이컴을 이용하여 급수되는 물이 상기 드레인 포인트에 도달하면 이것을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 압력스위치를 사용하여 이를 감지하고, 드레인펌프를 작동시켜 드레인 포인트 이상으로 공급되는 과잉의 물을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펌프를 이용하여 용수를 배출하는 세탁기에서 물이 과잉공급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하여 세탁기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은, 종래의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 압력스위치를 사용하여 급수되는 물의 세탁조 바닥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른 하중을 측정하고 이를 주파수로 변화시켜 출력하면, 물의 양에 따라 변환된 상기 주파수로서의 출력신호를 제어용 마이컴으로 사전에 설정되어 입력되어질 수 있는 기준주파수와 비교하여 넘치기 전에 상기 드레인 포인트에까지 다다르도록 공급되어진 물을 강제적으로 드레인펌프로 배출토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주파수에 의하여 세탁기 수위를 제어하는 제어용 마이컴에 물이 넘치기 전의 위치인 드레인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 포인트도 역시 물의 하중에 의한 주파수로 변환되어 제어용 마이컴에서 측정되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구체예의 설명]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되는 물의 양이 고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물이 공급된다. 만일 급수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면, 물은 계속하여 유입되므로 압력감지센서 또는 압력스위치는 압력을 계속 측정한다. 물이 급수되어 미리 설정된 드레인 포인트(DP)에 도달하면, 제어용 마이컴은 이것을 감지하고 강제로 물을 배수한다.
제6도에는 프로그램에 따른 세탁, 즉 전자동 세탁기의 경우로서 물이 도달하면 세탁행정이 진행된다. 만일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여 급수가 계속되고 물이 드레인 포인트에 도달하면, 역시 급수가 정지되고 강제 배수가 된다.
하기의 실시예의 상기 세탁기의 용량에 의하여 변환된 드레인 포인트의 위치와 상응하는 주파수의 관계를 소형, 중형 및 대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1]
제7도에 도시된 것은 일반적으로 세탁량이 5 내지 6킬로그램인 소형 세탁기에 사용되는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의 압력스위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와 세탁기 높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소량 수위인 경우에 물의 높이는 약 200밀리미터 정도이며, 이때 발생되는 주파수는 24.05킬로헤르쯔(kHz)가 된다. 또한 고수위인 경우에는 수위가 약 400밀리미터 정도가 되며, 주파수는 22.62킬로헤르쯔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 포인트는 수위가 70 내지 480밀리미터가 되는 지점이 되며, 이때 발생되는 주파수는 약 21.9킬로헤르쯔가 된다. 이 주파수는 미리 제어용 마이컴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만일 제어용 마이컴에 상기 드레인 포인트의 설정 주파수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용 마이컴은 물이 넘치기 직전이라고 판단하고 드레인펌프를 구동시켜 과잉 공급된 물을 배출하여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2]
제8도에 도시된 것은 일반적으로 세탁량이 6 내지 8킬로그램인 중형 세탁기에 사용되는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 압력스위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와 세탁기 높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소량 수위인 경우에 물의 높이는 약 200밀리미터 정도이며, 이때 발생되는 주파수는 24.25킬로헤르쯔가 된다. 또한 고수위인 경우에는 수위가 약 380밀리미터 정도가 되며, 주파수는 22.76킬로헤르쯔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 포인트는 수위가 445 내지 455밀리미터가 되는 지점이 되며, 이때 발생되는 주파수는 21.95킬로헤르쯔가 된다. 이 주파수도 미리 제어용 마이컴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만일 제어용 마이컴에 상기 드레인 포인트의 설정 주파수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용 마이컴은 물이 넘치기 직전이라고 판단하고 드레인펌프를 구동시켜 과잉 공급된 물을 배출하여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3]
제9도에 도시된 것은 일반적으로 세탁량이 8킬로그램 이상인 대형 세탁기에 사용되는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 압력스위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와 세탁기 높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소량 수위인 경우에 물의 높이는 약 180밀리미터 정도이며, 이때 발생되는 주파수는 24.12킬로헤르쯔가 된다. 또한 고수위인 경우에는 수위가 약 450밀리미터 정도가 되며, 주파수는 22.7킬로헤르쯔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 포인트는 수위가 395 내지 405밀리미터이며, 이때 발생되는 주파수는 22.2킬로헤르쯔가 된다. 이 주파수도 역시 해당 제어용 마이컴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만일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 상기 드레인 포인트의 설정주파수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용 마이컴은 물이 넘치기 직전이라고 판단하고 드레인펌프를 구동시켜 과잉 공급된 물을 배출하여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은 종래의 수위를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 또는 기계식의 압력스위치에서 발생되는 높이에 따른 주파수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압력감지센서나 또는 스위치의 고장에 의하여 물이 넘치는 경우에 물을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며 이것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6)

  1.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전자동 세탁기의 제어용 마이컴을 사용하여 세탁기의 수위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이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라 압력감지센서나 기계식 압력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사전에 설정되어 입력되어진 기준주파수와의 비교에 의하여 세탁조의 상부측에 설정된 드레인 포인트(DP)에의 수위의 도달을 감지하는 경우에 드레인펌프를 구동시키도록 드레인 포인트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이 드레인 포인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파라미터가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가 소형 세탁기의 경우에 21.9킬로헤르쯔이고, 드레인 포인트의 높이가 세탁조의 바닥으로부터 470 내지 480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가 중형 세탁기의 경우 21.95킬로헤르쯔이고, 드레인 포인트의 높이가 세탁조의 바닥으로부터 445 내지 455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가 대형 세탁기의 경우 22.2킬로헤르쯔이고, 드레인 포인트의 높이가 세탁조의 바닥으로부터 395 내지 405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포인트가 고수위보다는 높으며, 세탁조의 상단부 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KR1019930008479A 1993-05-18 1993-05-18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KR96000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479A KR960005276B1 (ko) 1993-05-18 1993-05-18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479A KR960005276B1 (ko) 1993-05-18 1993-05-18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276B1 true KR960005276B1 (ko) 1996-04-23

Family

ID=1935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479A KR960005276B1 (ko) 1993-05-18 1993-05-18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6351B2 (en) 2001-05-28 2007-04-17 Sharp Kabushiki Kaisha Signal evaluation devices and signal evaluation methods, signal quality evaluation methods and reproducing devices and recording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6351B2 (en) 2001-05-28 2007-04-17 Sharp Kabushiki Kaisha Signal evaluation devices and signal evaluation methods, signal quality evaluation methods and reproducing devices and recording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925B1 (ko) 마이크로폰을 채용한 전자동 세탁기 제어방법
US5720064A (en) Washing machine water level detecting method using weight sensor
KR960005276B1 (ko) 드레인펌프가 부착된 세탁기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KR100895392B1 (ko) 인버터가 적용된 부스터펌프 소유량판별제어
KR20110023939A (ko) 세탁기용 압력센서의 안전장치
CN108691145B (zh) 一种洗衣机偏载指示装置、洗衣机及偏载检测方法
KR0162315B1 (ko) 세탁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방법
KR100186294B1 (ko) 세탁기의 배수시간 자동조정 및 오물제거 알람방법
KR19990038082A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개방 제어 방법
KR20020005869A (ko) 세탁기의 수위감지 방법
KR200153791Y1 (ko) 드럼형 세탁기의 수위 제어장치
CN110804833A (zh) 一种储水机构水满的判断方法及干衣机
KR900003307B1 (ko) 세탁기용 세탁물량 검출방법
KR200325125Y1 (ko) 반도체제조공정용기기의오일자동교환장치
KR100333599B1 (ko) 세탁기의물넘침방지방법
KR0121127Y1 (ko) 오버플로우 감지기능이 구비된 전기세탁기
JPH0365200B2 (ko)
KR0123049Y1 (ko) 반도체 제조를 위한 코팅공정용 포토레지스트 자동폐기장치
KR20050123228A (ko) 세탁기의 배수제어 장치 및 방법
KR970003194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세탁기 수위감지장치
KR19990042143A (ko) 세탁기의 수위조절 장치 및 제어방법
JPH0442958B2 (ko)
KR19990042144A (ko) 세탁기의 탈수상태 감지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95067B1 (ko) 세탁기 전극센서의 오동작 감지 방법
KR19990038159A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경보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724

Effective date: 20091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01

Effective date: 2010090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