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82B1 - Ink ejection recovering method and device in inkjet printer - Google Patents

Ink ejection recovering method and device in inkjet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82B1
KR960005182B1 KR1019910005792A KR910005792A KR960005182B1 KR 960005182 B1 KR960005182 B1 KR 960005182B1 KR 1019910005792 A KR1019910005792 A KR 1019910005792A KR 910005792 A KR910005792 A KR 910005792A KR 960005182 B1 KR960005182 B1 KR 960005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discharge
recovery
recording
heat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10018183A (en
Inventor
노리후미 고이다바시
히도시 스기모도
히로시 다지까
미유끼 마쯔바라
아쯔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1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collection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Facsimile Heads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This invention provides a novel and effective recovery method and device for an ink jet recording head, which method or device has the step of or means for carrying out substantially at a time a condition for driving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s to discharge ink from the discharge ports of the head and a condition for effecting the forced discharge of the ink by a suction or pressing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itself can be made compact and moreover, the recovery process of all the discharge ports can be carried out reliably within a short time. <IMAGE>

Description

잉크제트기록헤드의 토출회복방법 및 그 실시장치Discharge recovery method of an ink jet recording head and its apparatus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 사용한 기록헤드·잉크탱크일체형 카트리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ording head ink tank integrated cartridg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각각 그 기록헤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2 (a) and 2 (b) are front and sid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cording head.

제 3 도 및 제 4 도는 각각 제 1 도에 도시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본 실시예 장치의 캐리지 주변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3 and 4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periphery of the carriage of 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n which the cartridge shown in FIG. 1 is mounted.

제 5 도는 본 실시예 장치의 주요부인 회복계 유니트의 개략을 도시하기 위한 당해 장치의 모식적 사시도.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for showing an outline of a recovery system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제 6 도 및 제 7 도는 각각 그 회복계 유니트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6 and 7 respectively sho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recovery system unit.

제 8 도는 그 회복계 유니트에 배설한 캡유니트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ap unit disposed in the recovery system unit.

제 9 도는 그 블레이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되는 블레이드에 의한 와이핑의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aspect of wiping by a blade that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blade lift mechanism.

제10(a)도 및 제10(b)도는 똑같이 그 블레이드에 대한 클리닝의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Explanatory drawing for demonstrating the aspect of the cleaning with respect to the blade similarly to FIG. 10 (a) and 10 (b).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본 발명 회복병용기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11 and 12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covery combination peri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제13도는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잉크흡인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1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k suction mechanism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제14(a)도 및 제14(d)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복처리시의 캐리지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14 (a) and 14 (d)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arriage position during the recovery process in the present embodiment.

제15(a)도 및 제15(e)도는 본 실시예의 시퀀스 실행시에 있어서의 제13도에 도시한 잉크흡인기구 및 제14도에 도시한 캐리지의 동작위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15 (a) and 15 (e)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k suction mechanism shown in FIG. 13 and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carriage shown in FIG. 14 when the seque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executed. .

제16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계의 1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Fig.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한 제어계에 의한 개략의 기록동작순서의 1예를 도시한 플로우차아트.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one example of an outline recording operation procedure by the control system shown in FIG.

제18(a)도 및 제18(e)도는 각각 제16도에 도시한 제어계에 의한 초기처리, 기록준비처리, 기록시회복처리, 기록종료처리 및 대회복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아트.18 (a) and 18 (e) respectively show examples of detailed procedures of initial processing, recording preparation processing, recording time recovery processing, recording end processing, and competition recovery processing by the control system shown in FIG. Flowchart art.

제19도는 헤드칩내에 존재하는 기포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1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te of bubbles existing in the head chip.

제20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20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1(a)도 및 제21(a)도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회복처리시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타이밍차아트.21 (a) and 21 (a) are timing difference art showing driving states during the competition recovery proces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2도는 본 발명의 주요 플로우차아트를 도시한 설명도.Fig. 2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main flowchart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잉크제트기록헤드 및 사무기기 일반에 사용되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잉크제트기록장치 등에 적용가능한 기록헤드 또는 잉크탱크일체형의 기록헤드의 회복방법 및 장치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ecording head that can be detached from a recording head or an ink tank integrated recording head applicable to a printer, a copier, a facsimile,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the like, which is generally used for ink jet recording heads and office equipment. It relates to a recording device.

[종래의 기술][Prior art]

종래의 잉크제트기록헤드 및 장치에 있어서, 막비등을 이용한 열에너지기록방식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것에 비하여 각별하고, 다른 광에너지 등의 열에너지기록에 비교하여도 뛰어난 것으로서 실용화되어 있다.In conventional ink jet recording heads and apparatuses, the thermal energy recording method using film boiling is exceptional compared with the use of piezoelectric elements, and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as being superior to thermal energy recording such as other optical energy.

기록제에 액체인 잉크를 사용하는 것에 기이한 이들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는 다른 기록장치에서는 볼 수 없는 고유한 구성, 즉, 액로내를 리플레쉬하거나, 토출구(吐出口) 형성면을 양호한 상태로 하는 수단, 이른바 기록헤드의 토출회복계가 설치되어 있다.In order to eliminate these drawbacks of using liquid ink for the recording agent, th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s a unique configuration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recording apparatuses, that is, it refreshes the inside of the liquid passage, or ejects the discharge port. Means for bringing the forming surface into good condition, a so-called discharge recovery system of the recording head, are provided.

이들 토출회복계에는 여러가지 구성의 것이 있고, 먼저 액로내를 리플레쉬하는 것으로서 기록시 이외에 토출에너지 발생소자를 구동하여 소정의 잉크수용매체에 잉크토출을 행하는 것(예비토출 또는 공토출이라고도 일컬어진다)이 있다.These discharge recovery systems have various configurations. First, the ink is discharged to a predetermined ink-receiving medium by driving the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referred to as preliminary discharge or empty discharge) by refreshing the inside of the liquid passage, in addition to recording. There is this.

이것을 개시한 특허로서는 영국특허 제2,169,855호 명세서를 들 수 있다. 이 특허는 상기 내용 이외에 잉크를 예비적으로 가열한 후에 예비토출을 행하는 것도 개시하고 있다.As a patent which discloses this, the specification of British Patent No. 2,169,855 is mentioned. This patent also discloses performing preliminary ejection after the ink is preliminarily heat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ntents.

또, 잉크 공급계를 가압하거나, 또는 잉크의 토출구로부터 흡인을 행하는 등, 액로에 소정의 압력을 작용시켜 잉크를 토출구로부터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한 것도 있다.In some cases, the ink is forced out of the discharge port by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liquid passage, such as by pressurizing the ink supply system or by suctioning from the ink discharge port.

이것을 개시한 대표적인 특허는 미국특허 제4,600,931호 명세서이다. 이 흡인회복은 항상 행하는 것은 아니고, 기록불량이 생기는 상황에 이르기 직전 혹은 토출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것이다.Representative patents that disclose this are US Pat. No. 4,600,931. This suction recovery is not always performed, but is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reaching a situation where recording failure occurs or in a state where discharge is not performed.

흡인회복의 발명은 많은 출원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흡인조건을 크게 하는 대회복과, 통상흡인을 행하는 통상회복을 전환할 수 있는 발명도 알려져 있다.There are many applications for the invention of suction recovery, and among them, inventions which can switch between general clothes for increasing the suction conditions and normal recovery for performing normal suction are also known.

또, 투출구 형성면을 리플레쉬하여 토출방향의 편향을 예방하는 것으로서는, 토출구 형성면과 접촉하는 와이핑부재를 설치하여, 양자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토출구 근방에 부착한 잉크방울, 먼지 등을 닦는 (와이핑)것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deflection in the discharge direction by refreshing the discharge port formation surface, a wip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formation surface is provided, and both of them are moved relative to wipe ink droplets, dust, etc. adhering to the discharge port. There is also (wiping).

[기술 과제][Technical Challenges]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회복수단에 대하여 검토하였던바, 기록시의 환경변화(헤드온도나 주위온도가 시퀀스중의 공정 등을 포함)에 있어서 예비토출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은 유효하고, 흡인이나 가압펌프에 의한 강제배출도 통상은 유효하나, 이하의 문제점을 발견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reviewed the conventional recovery means, and it is effective to change the preliminary discharging conditions in the environmental change at the time of recording (including the process in which the head temperatur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are in sequence). Forced discharge by the air is usually valid, but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found.

즉, 보다 다량의 잉크손실을 장시간 걸려서도 높은 수준의 회복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흡인이나 가압에 의한 강제배출시에 특히 문제이고, 복수 토출구 전체에서 균등한 흡인력이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아 잉크를 허비해 버리는 것이었다. 특히, 이 회복력을 강화시키려고 펌프의 대형화를 행하여도, 그다지 효과가 없고, 도리어 잉크의 손실량을 더 크게 하고 있었던 것이 판명되었다.In other words, even if a large amount of ink loss takes a long time, a high level of recovery may not be achieved. This is especially a problem at the time of forced discharge by suction or pressurization and wastes ink because no equal suction force or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 pump was enlarged in order to reinforce the recovery force, it was not very effective, and the amount of ink loss was increased.

또, 예비토출에 의한 각 토출구로부터의 잉크토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회복처리에 소비되는 시간이 길어져 기록의 처리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들은 저온환경하에서의 회복처리에 있어서는 현저하다.In addition, increasing the ink ejection amount from each ejection opening by preliminary ejection ha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recovery process becomes long and the throughput of recording is reduced. These are remarkable in the recovery process under low temperature environment.

[발명의 개요][Overview of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주어진 강제회복수단의 회복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확실한 회복을 달성할 수 있는 잉크제트기록헤드의 회복방법 및 그것을 실시하는 장치의 제공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vering an ink jet recording head capable of efficiently improving a recovery capability of a given forced recovery means, and achieving a reliable recovery without causing an increase in size of the apparatus,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수납부내의 부압발생원인흡수체의 영향이 있어도 확실한 회복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회복방법 및 기록장치의 제공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very method and a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reliable recovery process even under the influence of an absorber which is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source in an ink storage portion supplied to a recording hea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복정도가 종래에 비하여 뛰어나고, 그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가장 적절하게 잉크손실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회복방법 및 기록장치의 제공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very method and a recording apparatus which can recover the recovery more excellently than in the prior art, can shorten the processing time, and most appropriately reduce ink loss.

더 구체적인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튜브펌프와 같은 기구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효율적인 흡인을 회복처리 개시부터 얻을 수 있는 회복방법 및 기록장치의 제공에 있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very method and a recording apparatus which can obtain efficient suction from the start of the recovery process without causing the enlargement of a mechanism such as a tube pump.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구에 대응하여 구비된 열에너지 발생수단에 기록신로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열에너지 발생수단이 열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야기하여 기록을 위해 열에너지를 사용하므로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위한 회복방법으로서, 상기 열에너지 발생수단을 구동하고 그리고 상기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강제로 배출함으로서 상기 토출구가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의 회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recording path to a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provided corresponding to an ejection opening for ejecting ink, and causes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heat energy, thereby ejecting ink from the ejection opening by using heat energy for recording. A recovery method for a jet recording apparatus, wherein the discharge port is recovered by driving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and forcibly discharging ink from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구에 대응하여 구비된 열에너지 발생수단에 기록신호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열에너지 발생수단이 열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야기하여 기록을 위해 열에너지를 사용하므로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로서, 상기 열에너지 발생수단을 구동하고 그리고 상기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강제 배출함으로서 상기 토출구를 회복하기 위한 회복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recording signal to a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provided corresponding to an ejection opening for ejecting ink, and causes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heat energy, thereby ejecting ink from the ejection opening by using heat energy for recording. A recording apparatus, comprising: a recovery means for driving the thermal energy generating means and recovering the discharge port by forcibly discharging ink from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은 특히 토출에너지 발생소자로서 발열소자, 그 중에서도 기포를 형성하는 전기열 변환체에 있어서 더욱 유효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a heat generating element as a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and among other things, an electrothermal converter that forms bubbles.

본 발명은 종래에는 예상되어 있지 않았던 구성에 의하여 예상을 상회할 정도의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고, 잉크제트기록의 처리량을 올려, 회복처리간격을 대폭 넓힐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exceeding the expectation by a constitution that is not anticipated in the prior art, and can increase the throughput of the ink jet recording and greatly widen the recovery processing interval.

본 발명의 다른 나머지 목적 또는 상세한 구성은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Other remaining objects o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카트리지(1) cartridge

먼저, 제 1 도는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캐리지(제 3 도에 대하여 후술한다)에 탑재가능한 카트리지(C)의 1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First, FIG. 1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artridge C that can be mounted on a carriage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FIG. 3) of th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본 예의 카트리지(C)는 윗쪽에 잉크흡수체(스폰지)를 내부에 가진 잉크탱크부(80), 아랫쪽에 기록헤드(86)를 가지고 있고, 또한 기록헤드(86)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등을 유용함과 동시에 잉크 잔량검지의 출력을 행하기 위한 헤드측 코넥터(85)를 잉크탱크부(80)에 나란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카트리지(C)를 후술의 캐리지에 장전하였을 때에 그 높이(H)를 낮게 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의 주사방향의 두께(W)를 박형화함으로써 제 2 도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C)를 나란히 배치할 때에 캐리지를 작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rtridge C of the present example has an ink tank 80 having an ink absorber (sponge) therein, a recording head 86 at the bottom, and a signal lamp for driving the recording head 86. At the same time, the head-side connector 85 for outputting the ink remaining amount detec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parallel to the ink tank unit 80. Therefore, the height H can be made low when this cartridge C is loaded into the carriage mentioned later. In addition, by reducing the thickness W in the scanning direction of the cartridg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carriage small when arranging the cartridges C side by 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3은 탱크외벽과 일체로 형성한 코넥터 커버이고, 코넥터(85)에의 뜻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또, 81은 위치결정부이고, 2방향의 접촉면(81a,8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위치결정면과 기록헤드(86)상에 설치되는 위치결정용 접촉면과 충분한 거리를 취함으로써 후술의 압핀에 의한 사면(84)부에의 가압으로 확실한 기록헤드의 위치결정고정이 가능하게 된다.83 is a connector cov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tank outer wall, and prevents accidental contact with the connector 85. 81 is a positioning portion, and contact surfaces 81a and 81b in two directions are formed. By taking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se positioning surfaces and the positioning contact surfaces provided on the recording head 86, it is possible to reliably fix the positioning of the recording head by pressurizing the inclined surface 84 by a push pin as described later.

또한, 82는 손잡이이고, 카트리지(C)를 장전부에 대하여 착탈할때 등에 사용된다. 또, 82a는 앞에 손잡이(82)에 설치되고, 잉크탱크부(80) 내부를 대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대기연통구이다. 또 83a는 절결부, 83b는 가이드로서, 함께 카트리지(C)를 장전부에 장전할 때에 가이드가 된다.82 is a handle, and is used when the cartridge C is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loading section. In addition, 82a is provided in the handle 82 at the front, and is an atmospheric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ink tank 80 with the atmosphere. 83a is a notch and 83b is a guide when the cartridge C is loaded together in the loading section.

본 예의 기록헤드(86)는 도면중 저면측에 개구한 복수의 토출구를 가지며, 그 토출구에 연통한 액로부분에 잉크토출에 이용되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토출에너지 발생소자가 배치된다. 이 토출에너지 발생소자로서는 토출구 내지 액로의 고집적화가 가능하므로, 열에너지 발생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The recording head 86 of this example has a plurality of ejection openings open on the bottom face side in the drawing, and a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for generating energy used for ink ejection is disposed in the liquid passag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ejection opening. As the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since the discharge port and the liquid path can be highly integrated, it is suitable to use a heat energy generating element.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각각 기록헤드(86)의 토출방향 앞쪽에서 본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2 (a) and 2 (b) are front and sid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een from the front of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ecording head 86. FIG.

제 2 (a) 도 및 제 2(b) 도에 있어서, 101은 기록헤드(86)의 베이스판이고, Al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판(101)상에는 Si 등으로 형성되는 기판(히이터 보오드)(102)이 접착되어 있다. 히이터 보오드(102)에는 그 표면에 열에너지 발생소자로서의 전기열 변환체(도시하지 않음)나 이 전기열 변화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능소자로서의 다이오드 등이 형성되어 있다. 103은 오리피스 플레이트(토출구 형성부재)이고, 여기서는 잉크액실을 형성하기 위한 홈을 설치한 천판(103A)과 일체 성형되어 있다.In FIGS. 2 (a) and 2 (b), 101 is a base plate of the recording head 86, which is formed of Al. On the base plate 101, a substrate (heater board) 102 formed of Si or the like is bonded. On the heater board 102, an electrothermal transducer (not shown) as a heat energy generating element, a diode as a functional element for driving the electrothermal transducer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103 is an orifice plate (discharge port forming member),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p plate 103A provided with a groove for forming the ink liquid chamber.

이 오피리스 플레이트(103)에 있어서의 토출구의 형성은, 예컨대 엑시머레이저광의 조사나 포토에칭공정에 의하여 정밀하게 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복수의 토출구 전체에 걸쳐 정밀도 높은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오리피스 플레이트(103)는 토출구 형성면에 복수의 이종재료가 노출하는 경우에는, 이들 재료간의 습도의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토출방향의 편향을 방지하는 의미에서도 사용되는 것이다.Formation of the ejection opening in this opisil plate 103 can be performed precisely by irradiation of an excimer laser light, or a photoetching process, for example, and a highly precise shape can be obtained over the whole ejection opening. In addition, this orifice plate 103 is used also in the sense which prevents the deflection of the discharge direction which arises by the difference of humidity between these materials, when several different materials are exposed to the discharge port formation surface.

104는 필터이고, 칩탱크(105)로부터 공통액실(106)에 이르는 잉크공급구에 설치된다. 필터(104)는 도면중 화살표와 같이 흘러오는 잉크의 불순물이나 먼지 등을 제거한다. 필터(104)를 통과한 잉크는 공통액실(106)에 흘러들어가서, 이 액실에 연통하는 복수의 잉크액로(107)의 각각에 그 토출에 따라 공급된다. 109는 오리피스 플레이트(103)를 그 탄성력등으로 누르고, 개구면(여기서는 특히 히이터 보오드(102)의 단면)에 대하여 밀착시키는 누름부재이다. 본 예에서는 누름부재(109)로서 SUS(스테인레스)를 사용하고 있다.104 is a filter and is provided in the ink supply port from the chip tank 105 to the common liquid chamber 106. The filter 104 removes impurities, dust, and the like that flow out as shown by the arrow in the figure. The ink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04 flows into the common liquid chamber 106 and is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k liquid passages 107 communicating with the liquid chamber in accordance with its discharge. 109 is a pressing member which presses the orifice plate 103 with its elastic force or the like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surface (here, in particular, the cross section of the heater board 102). In this example, SUS (stainless steel) is used as the pressing member 109.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기록헤드(86)에 일체화되어 있는 잉크탱크부(80)로부터 칩탱크(105)에 잉크를 공급하고, 그 후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잉크가 흐른다. 먼저, 필터(104)를 통과함으로써 잉크중의 먼지나 불순물이 제거되고, 공통액실(106)에 이르러 거기서부터 액로(107)에 유도된다. 그리고, 액로(107)내에 배설된 전기열 변화체를 구동함으로써 잉크중에 기포를 발생시켜, 이 기포의 상태변화에 의하여 토출구(108)를 통하여 잉크를 토출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nk is supplied to the chip tank 105 from the ink tank 80 integrated with the recording head 86, and then ink flows as shown by the arrow shown. First, dust and impurities in the ink are removed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104, and the common liquid chamber 106 is reached and guided therefrom to the liquid passage 107. Then,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ink by driving the electrothermal changer disposed in the liquid passage 107, and ink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8 due to the change of state of the bubbles.

(2) 캐리지(2) carriage

제 3 도 및 제 4 도는 각각 제 1 도에 도시한 카트리지(C)를 장착가능한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캐리지 주변의 구성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캐리지(2)상에 4개의 카트리지(C1, C2, C3, C4)(각각 다른색의 잉크를 수용하고 있으며, 예컨대, 황색, 암녹색, 청색, 흑색 등)를 위치결정하여 장전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3 and 4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around a carriage of th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in which the cartridge C shown in FIG. 1 is mountable. These figures show an example of positioning and loading four cartridges C1, C2, C3, C4 (each containing different inks, for example, yellow, dark green, blue, black, etc.) on the carriage 2. It is shown.

지지부재로서의 코넥터호울더(40)상에는 4개의 압핀(10)(압핀 A~D)이 걸어 맞추어져 있고, 스프링(10a)(스프링 A~D)에 의하여 제 3 도중 왼쪽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로서의 코넥터호울더(40)는 축(20)(축 Ⅰ, 축Ⅱ)을 통하여 링크(21)(링크 Ⅰ, 링크Ⅱ)와 걸어맞추고, 또한 이 링크(21)에 걸어맞추는 조작레버(7)의 회전동작(시계방향,반시계방향)에 따라 제 3 도중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을 해제하여 카트리지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한편 왼쪽방향으로 이동하여 카트리지의 장전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On the connector holder 40 as a supporting member, four pressure pins 10 (pressure pins A to 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pressed in the leftward direction during the third time by the springs 10a (springs A to D). Here, the connector holder 40 as a supporting member engages with the link 21 (link I, link II) via the shaft 20 (axis I, axis II), and also engages with this link 21.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clockwise, counterclockwise) of the lever 7, it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third direction, and moves to the right to release the pressure to enable the replacement of the cartridge, and to the left to It is a structure which accommodates loading of a cartridge.

조작레버(7)를 축(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호울더(40)가 앞으로 나와 핀(10)이 카트리지(C)와 걸어맞추어져서 카트리지(C)는 장전부에 장전된다. 그리고, 압핀(10)의 선단부(10b)는 각각 4개의 카트리지(C)의 접촉면(1d)에 맞닿아, 카트리지를 누른다. 또, 압핀(10)의 외주면(10c)은 캐리지(2)의 접촉면(2S)에 맞닿아, 카트리지를 누른다. 또, 압핀(10)의 외주면(10c)은 캐리지(2)의 접촉면(2S)에 맞닿아, 발생하는 압핀축과 직각방향의 스러스트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40)는 스프링(10a)(스프링 A~D)의 반발력만을 받을 뿐이고, 스러스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복수의 카트리즈를 동시에 해제할 때에도 해제레버(7)를 작은 조작력으로 조작하여 착탈동작이 가능해진다.When the operating lever 7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shaft 9, the holder 40 comes forward and the pin 10 engages with the cartridge C so that the cartridge C is loaded in the loading section. . And the front-end | tip part 10b of the push pin 10 abuts on the contact surface 1d of four cartridge C, respectively, and presses a cartridge. More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push pin 10 abuts on the contact surface 2S of the carriage 2, and presses a cartridge. More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push pin 10 abuts on the contact surface 2S of the carriage 2, and has the structure which receives the pressure pin shaf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the thrust force of a perpendicular direction, respectively. Therefore, the support member 40 only receives the repulsion force of the springs 10a (springs A to D), and since the thrust force does not act, even when releasing a plurality of carts simultaneously, the release lever 7 is operated with a small operating force. The detachable operation can be performed.

다음에, 카트리지(C)쪽의 헤드코넥터(85)와, 이에 걸어맞추어지도록 본체폭에 설치한 코넥터(본체코넥터)(6)와의 끼워맞춤 및 이탈을 위한 기구 내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chanism or operation for fitting and detaching the head connector 85 on the cartridge C side and the connector (body connector) 6 provided in the main body width so as to engage with the cartridge C will be described.

본체코넥터(6)가 헤드코넥터(85)에 삽입될 때에는(그리고 본체코넥터(6)와 일체인 걸어맞춤축(6a)이 인장스프링(41)(제 4 도 참조)의 탄성력에 의하여 코넥터호울더(40)의 슬릿상의 걸어맞춤구멍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춘 상태에 있다.), 레버를 조작하면 본체코넥터(6)와 코넥터호울더(40)가 일체가 되어 이동한다. 그러면, 헤드코넥터(85)와 본체코넥터(6)가 만나서, 본체코넥터(6)의 사면(도시하지 않음)에 안내되어 본체코넥터(6)가 헤드코넥터(85)와 끼워맞추어(결합)진다. 이후, 코넥터호울더(40)는 주사레일(11)쪽에 소정거리 오른쪽으로 이동한다(이 이동은 레버(7)의 회전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여기서, 이 소정거리란, 본체코넥터(6)를 위치결정상태로부터 가동적인 가동상태(해방)로 하기 위한 코넥터호울더(40)의 이동거리이다.When the main body connector 6 is inserted into the head connector 85 (and the engaging shaft 6a integral with the main body connector 6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ld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41 (see FIG. 4). The main body connector 6 and the connector holder 40 are integrally moved by operating the lever. Then, the head connector 85 and the main body connector 6 meet, guided to the slope (not shown) of the main body connector 6, and the main body connector 6 is fitted (coupled) with the head connector 85. Then, the connector holder 40 moves to the scan rail 11 side to the righ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is movement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7). Here, this predetermined distance i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onnector holder 40 for bringing the main body connector 6 into a movable operation state (release) from the positioning state.

그리고, 본체코넥터(6)는 헤드코넥터(85)와 상기 인장스프링(41)보다 강한 힘으로 결합하고 있으므로, 본체코넥터(6)는 코넥터호울더(40)로부터 해방된다. 즉,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체코넥터(6)와 헤드코넥터(85)의 끼워맞춤(결합)시에는 본체코넥터(6)는 코넥터호울더(40)에 대하여 유리상태가 되므로, 카트리지(C)는 캐리지(2)에 대하여 압핀(10)에 의한 가압력만으로 위치결정되게 되어, 기록헤드(86)의 캐리지(2)에 대한 정확한 위치결정이 확보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connector 6 is coupled to the head connector 85 with a stronger force than the tension spring 41, the main body connector 6 is released from the connector holder 40. That is, the engagement is released. Therefore, when the main body connector 6 and the head connector 85 are fitted (combined), the main body connector 6 is in a glass state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holder 40, so that the cartridge C is attached to the carriage 2. The positioning is performed only by the pressing force by the push pin 10, so that accurate positioning of the recording head 86 relative to the carriage 2 is secured.

다음에, 카트리지(C)를 제거할(해방할) 때에는 레버(7)를 세운 위치에서 옆으로 한 위치(제 3 도의 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걸어맞춤축(6a)은 헤드코넥터(85)와 강한 힘으로 결합하고 있으나, 코넥터호울더(40)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걸어맞추는 구멍(40a)의 대경부측면이 걸어맞추는 축(6a)에 부딪혀, 제 3 도중 안쪽방향으로 걸어맞추는 축(6a)을 밀면서 본체코넥터(6)를 헤드코넥터(8)로부터 이탈(해방)시킨다. 동시에 압핀(10)도 코넥터호울더(40)와 일체가 되어 이동하여, 기록헤드(86)로부터 떨어지게 된다.Next, when the cartridge C is removed (released), the lever 7 is rotated counterclockwise from the upright position to the side (the position in FIG. 3). Then, the engaging shaft 6a is coupled to the head connector 85 with a strong force, but as the connector holder 40 moves to the right, the large diameter side of the engaging hole 40a is engaged with the shaft ( The main body connector 6 is detached (released) from the head connector 8 while pushing the shaft 6a which engages inwardly in the middle of 6th). At the same time, the push pin 10 also moves in unison with the connector holder 40 to be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head 86.

(3) 기록장치의 개략(3) Outline of the recording device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 있어서, 11은 캐리지(2)의 주주사방향으로 뻗어 있고, 캐리지(2)를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주사레일, 11a는 축받이, 51은 코넥터를 통하여 카트리지(C)와의 사이에서 여러가지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 52는 캐리지(2)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이다. 또, 17,18 및 15,16은 기록헤드(86)에 의한 기록위치의 전후에 배치되어 기록매체를 끼워지지 반송하기위한 쌍로울러, 50은 기록매체의 피기록면을 평탄하게 규제하는 플라텐이다.3 to 5, 11 is a scanning rail which extends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2, and a slide rail freely supports the carriage 2, 11a is a bearing, and 51 is a cartridge C through a connector. The flexible cable 5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signals between and, 52 is a bel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for reciprocating the carriage 2. In addition, 17, 18 and 15, 16 are arranged in front and rear of the recording position by the recording head 86, and are paired to carry and hold the recording medium. 50 is a platen which flatly regulates the recording surface of the recording medium. .

제 4 도는 이상의 구성을 적용한 프린터 또는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기록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4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a copier, a facsimile or the like to which the above configuration is applied.

기록장치 본체(1000)는 조작측 바로 앞에 개폐가능한 커버(1001)를 가지고 있다. 이 커버(1101)가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열린상태가 되면, 본체내부를 개방한다. 이 개방에 의하여 상기한 레버(7)의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카트리지(C1~C4)의 장치본체에 대한 착탈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중의 실선표시의 레버(7)는 제 1 도에 도시한 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하게 하는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이 위치에서는 커버(1101)의 닫힌 상태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그리고, 도면중의 파선표시의 카트리지를 장착동작중의 것을 도시한 것이고, 실선표시의 카트리지를 장치본체에 위치결정되어 기록가능한 소정위치에 있다. 이때, 카트리지의 기록헤드(86)의 토출구 형성면은 플라텐(50)의 안내면에 평행으로 대향하고, 돌출한 기록헤드부는 캐리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기록매체반송용 로울러(16,18)간에 위치하고 있다. 1102는 전기배선부의 플렉시블시이트 12는 상기한 레일(11)과 함께 캐리지(2)를 지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레일이다.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1000 has a cover 100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mmediately before the operation side. When the cover 1101 is opened with the rotation center axis as the center,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opened. This opening enables the above-mentioned rotational operation of the lever 7 to enable the detachable operation of the cartridge body C1 to C4 to the apparatus main body. The lever 7 in the solid line in the drawing shows the position at which the cartridge shown in Fig. 1 is mountable, and the position of the cover 1101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closed state. Incidentally, the broken line cartridge in the drawing is shown in the mounting operation, and the solid line cartridge is position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apable of recording. At this time, the ejection opening forming surface of the recording head 86 of the cartridge faces in parallel with the guide surface of the platen 50, and the protruding recording head port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arriage and is located between the recording medium conveying rollers 16 and 18. have. Reference numeral 1102 denotes a flexible sheet 12 of the electrical wiring portion, which is a rail for supporting and guiding the carriage 2 together with the rail 11 described above.

코넥터호울더(40)는 카트리지가 장착된 후에 레버(7)를 파선의 상태로 하여 카트리지의 캐리지에 대한 고정을 완료한 후의 상태로서 도시되어 있다. 20, 202는 상기한 코넥터호울더(40)의 캐리지에 대한 상대이동방향에 관하여 양측면쪽에 설치되어 있는 축이고, 서로 위치레벨이 동일한 위치에 나란히 놓여 있다. 이 축은 캐리지의 양쪽측면의 1직선상에 그 중심장축을 가진 2개의 긴 구멍의 내부내에서 이동가능한 원주 형상이다. 도면중, 축(20,202)은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서 실선표시의 레버(7)에 대응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축(20,202)을 코넥터 본체 이외에 설치하고, 기록헤드 위치결정용 압핀(10)의 윗쪽근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기록헤드 위치결정용 압핀(10)의 위치정밀도 향상된다. 그리고, 축(20,202)과 똑같은 축을 코넥터 본체에 설치하여 코넥터본체의 평행이동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코넥터 접속후에는 전후방향, 측판과의 간극분의 좌우방향의 자유도를 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connector holder 40 is shown as a state after completing the fixing of the cartridge to the carriage with the lever 7 in a broken line after the cartridge is mounted. 20 and 202 are shafts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of the connector holder 40 mentioned above, and are mutually located in the position where the position level is the same. This axis is circumferentially movable in the interior of two elongated holes with their central major axis on one straight line on both sides of the carriage. In the figure, the shafts 20 and 202 correspond to the lever 7 of the solid line display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this example, the shafts 20 and 202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onnector body, and are disposed near the upper side of the recording head positioning push pin 10, so that the position accuracy of the recording head positioning push pin 10 is improved. The same shafts as the shafts 20 and 202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to stabilize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connector body, and may be configured to giv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gap with the side plate after the connector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는 축(202)용의 긴 구멍을 코넥터본체가 코넥터 접속을 한 후에는 축(202)을 전후방향으로는 고정시키지 않고 위치결정용 압핀(10)의 위치결정은 축(20)에만 지배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after the connector main body connects the long hole for the shaft 202, the positioning of the positioning push pin 10 is performed only on the shaft 20 without fixing the shaft 202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be dominant.

(4) 회복계 유니트의 개요(4) Overview of the recovery meter unit

다음에, 본 예의 회복계 유니트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recovery system unit of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제 5 도는 그 회복계 유니트의 배설부위 및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본 예에 있어서는 회복계 유니트를 홈포지션쪽에 배설하고 있다.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cretion site 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recovery system unit. In this example, the recovery system unit is disposed on the home position side.

회복계 유니트에 있어서, 300은 기록헤드(86)를 가진 복수의 카트리지(C)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한 캡유니트이고, 캐리지(2)의 이동에 따라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중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다. 그리고, 캐리지(2)가 홈포지션에 있을 때에는 기록헤드부(86)와 접합하여 이것을 캡핑한다.In the recovery system unit, 300 is a cap unit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cartridges C having a recording head 86,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4 as the carriage 2 moves. It is possible to slide in the direction and to move up and down. When the carriage 2 is in the home position, the carriage 2 is joined to the recording head 86 to cap it.

또, 회복계 유니트에 있어서, 401 및 402는 각각 와이핑부재로서의 제1 및 제 2 블레이드, 403은 제 1 블레이드(401)를 클리닝하기 위하여, 예컨대 흡수체로 된 블레이드 클리너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캐리지(2)의 이동에 따라 구동되는 블레이드 승강기구에 의하여 제 1 블레이드(401)를 지지시켜, 이것에 의하여 제 1 블레이드(401)를 기록헤드(86)의 토출구 형성면중 노출된 오리피스 플레이트(103)의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하여 돌출(상승)한 위치와, 이것과 간섭하지 않도록 후퇴(하강)한 위치에 설정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기록헤드(86)는 제 2(a) 도에 있어서의 폭(b)을 가진 부분이 제 7 도 왼쪽에 있도록 부착되어 있게 하고, 캐리지(2)가 도면중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에 제 1 블레이드(401)에 의한 와이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노출되어 있는 오리피스 플레이트(103)의 면은 제 2(a) 도에 도시한 토출구의 배설위치에 의하여 구획되는 좁은 부분측(폭(a)의 부분)으로부터 넓은 부분측(폭(b)의 부분)을 향해서만 와이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블레이드(402)에 대해서는 제 1 블레이드(401)에 의하여 와이핑되지 않는 기록헤드(86)의 토출구 형성면, 즉, 제 2(a) 도에 있어서의 노출된 오리피스 플레이트 표면의 양쪽부분에 있는 누름부재(109)의 표면을 와이핑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In the recovery system unit, 401 and 402 are first and second blades as wiping members, and 403 are blade cleaners made of, for example, absorbers for cleaning the first blade 401. In this example, the first blade 401 is supported by a blade elevating mechanism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2, thereby exposing the first blade 401 in the discharge port formation surface of the recording head 86. In order to wipe the surface of the orifice plate 103 which has been made, it is possible to set at the position protruded (rising) and the position retracted (fall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it. In this example, the recording head 86 is attached so that the portion having the width b in FIG. 2 (a) is on the left side of FIG. 7 and the carriage 2 is moved from left to right in the figure. Wiping by the first blade 401 is made when moving. The surface of the orifice plate 103 exposed by this is wide part side (width b) from the narrow part side (part of width a) partitioned by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shown in FIG. 2 (a). Wiping is done only in the direction of. The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ade 402, the ejection opening forming surface of the recording head 86 which is not wiped by the first blade 401, that is, both of the exposed orifice plate surfaces in FIG. 2 (a). It is fixed at a position to wipe th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09 in the portion.

또한, 회복계 유니트에 있어서, 500은 캡유니트(300)에 연통한 펌프유니트이고, 캡유니트(300)를 기록헤드(86)를 접합시켜 행하는 흡인처리등에 있어서 그것을 위한 부압을 생기게 하는데 사용된다.In the recovery system unit, 500 is a pump unit in communication with the cap unit 300, and is used to generate negative pressure for the cap unit 300 in a suction process or the like performed by bonding the recording head 86 to each other.

(4. 1) 캡 유니트(4.1) Cap Unit

제 6 도는 회복계 유니트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recovery system unit.

먼저, 캡유니트(300)의 기록헤드(86)의 토출구의 주위에 밀착하는 캡(302)과, 이것을 지지하는 호울더(303)와, 공토출처리(空吐出處理) 및 흡인처리에 있어서 잉크를 수용하는 흡수체(306)와, 이 수용된 잉크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튜브(304)와, 또한 펌프유니트(500)에 연통된 접속튜브(305) 등을 가지고 있다. 이 캡유니트(300)는 카트리지(C)의 각각에 대응한 위치에 같은 계수(본 예에서는 4개)만 설치하고, 캡호울더(3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First, the cap 302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recording head 86 of the cap unit 300, the holder 303 supporting it, the ink in the air discharge process and the suction process And an absorbent body 306 for accommodating the water, a suction tube 304 for sucking the ink contained therein, and a connection tube 305 connected to the pump unit 500. The cap unit 300 is provided with only the same coefficient (four in this exampl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artridges C, and is supported by the cap holder 330.

332 및 334는 캡호울더(330)에서 돌출한 핀이고, 고정된 회복계 베이스(350)에 설치되어 캡호울더(330)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캡홈(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걸어맞추는 것이다. 캡호울더를 우단위치 및 하강위치에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주고 있다.332 and 334 are pins protruding from the cap holder 330, and are installed on the fixed recovery system base 350 to engage with cap grooves (not shown) for guiding the cap holder 3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cap holder is supported at the right end position and the down position.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6 도중의 342는 캡호울더(330)로부터 들어올려져, 스타트 포지션보다 왼쪽의 위치에서 캐리지(2)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이다. 캐리지(2)가 스타트 포지션보다 왼쪽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걸어맞춤부(342)에 의하여 캡호울더(330)는 스프링(36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이때, 캡호울더(330)는 안내되어, 왼쪽과 윗쪽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캡(302)이 기록헤드(86)의 토출구의 주위와 밀착하여, 캡핑이 실시된다. 그리고, 이 캡핑이 이루어질때의 캐리지(2)의 위치를 호포지션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4, 342 in the sixth way is an engagement portion which is lifted from the cap holder 330 and engages the carriage 2 at a position to the left of the start position. When the carriage 2 moves to the left of the start position, the cap holder 330 is moved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360 by the engaging portion 342. At this time, the cap holder 330 is guided, and is displaced to the left and upward. Thus, the cap 30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recording head 86, so that capping is performed. And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 at the time of this capping is made into a favorable position.

다음에, 제 8 도를 사용하여 본 예의 캡유니트(3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흡수체(306)를 생략하고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ap unit 300 of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addition, the absorber 306 is abbreviate | omitted in the figure.

캡(302)은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호울더(303)에의 접합고정부(302a)와 이 고정부(302a)에 관상구조(302b)를 설치하기 위한 가장자리부(302c)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The cap 302 is made of an elastic body, and is composed of a joint fixing part 302a to the holder 303 and an edge part 302c for installing the tubular structure 302b to the fixing part 302a, and these are integrally formed. Is molded.

캡(302)은 예컨대 실리콘고무, 부틸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할 수 있다.The cap 302 may be formed of an elastomer such as silicone rubber or butyl rubber.

도면에 도시한 t의 부분(가장자리부(302c))의 두께를 될 수 있는대로 얇게 함으로써 기록헤드의 토출구 배열면에 대한 캡(302)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장자리부(302c)의 두께(t)는, 바람직하기는 0.4mm 이상, 1mm 이하로 되는 것이 좋다.By keeping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 (edge portion 302c) shown in the figure as thin as possible, the followability of the cap 302 to the discharge port arrangement surface of the recording head can be improved. The thickness t of the edge portion 302c is preferably 0.4 mm or more and 1 mm or less.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캡(302)의 관상구조(302b)는 그 토출구밀폐수단의 토출구 배치면에의 맞닿는 방향에서 탄성을 가지며, 그 탄성을 이용하여 그 캡의 토출구 배치면 에의 에코라이즈가 달성된다. 그리고, 캡유니트(300)의 토출구 형성면에의 맞닿음은 캡호울더(330)의 회복계 베이스(350)에 대한 이동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때, 접속튜브(304)의 후단측을 대기에 개방하여 접촉을 시키면, 캡내 공간이 감소하여도 캡내는 대기압으로 유지되고, 토출구 내부의 잉크메니스커스가 후퇴하는 일은 없다.By this structure, the tubular structure 302b of the cap 302 has elasticit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sealing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arrangement surface, and the elasticity of the cap to the discharge port arrangement surface is achieved by using the elasticity. And the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formation surface of the cap unit 300 is performed by the movement to the recovery system base 350 of the cap holder 33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f the rear end side of the connection tube 30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tmosphere, the cap remains at atmospheric pressure even if the space in the cap decreases, and the ink meniscus inside the discharge port does not retreat.

다음에, 캡을 이탈시킬때에는 캡내의 공간은 캡(302)이 기록헤드(86)에 맞닿고 있을 때에 대폭 감소되어 있으므로, 이탈 동작에 따르는 캡의 복원에 의한 펌프작용(부압작용)이 생겨, 따라서 캡내에의 잉크의 보존이 더욱 용이해진다. 즉, 캡이 기록헤드로부터 이탈할때에, 수축한 캡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이다. 또한, 캡이 이탈하면 캡내가 부압조건으로부터 대기압상태로 향하여 변화하므로, 캡내에서 잉크가 쏟아지는것이 방지되어, 잉크를 계속 캡내에 보존할 수 있다. 이 작용은 호울더(303)의 캡바로 아래의 캡내경 보다도 넓은 공간의 설정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Next, when the cap is detached, the space in the cap is greatly reduced when the cap 302 is in contact with the recording head 86. Therefore, a pump action (negative pressure action) occurs due to the restoration of the cap due to the detachment operation. Therefore, preservation of the ink in the cap becomes easier. That is, when the cap is detached from the recording head, the contracted cap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In addition, when the cap is detached, the inside of the cap changes from the negative pressure condition to the atmospheric pressure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ink from pouring out in the cap, and the ink can be kept in the cap continuously. This effect can be effectively obtained by setting a space wider than the cap inner diameter below the cap bar of the holder 303.

(4.2) 블레이드 승강기구 등(4.2) blade lifting mechanism, etc.

다음에, 제 1 블레이드(401)의 승강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lifting mechanism of the first blade 401 will be described.

다시 제 7 도를 참조하면, 410은 승강가능한 블레이드 호울더이고, 그 상부에 부착부(411)에 의하여 제 1 블레이드(401)를 부착하고 있다. 412는 블레이드호울더(410)를 하강위치를 향하여 가압하기 위한 호울더복귀스프링이다.Referring again to FIG. 7, 410 is a liftable blade holder, attached to the first blade 401 by an attachment portion 411 thereon. 412 is a holder return spring for pressing the blade holder 410 toward the lowered position.

430은 블레이드 호울더(410)에 돌출설치한 핀(414)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고 스토퍼(432)의 상면부와 걸어맞춤으로써 블레이드 호울더(410)를 그 상승위치에 있어서 록하기 위한 록레버이고, 스프링(434)에 의하여 제 7 도에 있어서 윗쪽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또, 동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블레이드 호울더(410)에 돌출설치한 부분(416)에 걸어맞추고, 도시한 위치에 유지된다.430 is a lock lever rotatable around the pin 414 protruding from the blade holder 410 and engag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432 to lock the blade holder 410 in its raised position. It is pressed by the spring 434 toward the upper side in FIG. Moreover, in the state shown in the figure, it engages with the part 416 which protruded in the blade holder 410, and is hold | maintained in the illustrated position.

440은 블레이드 호울더(410)에서 돌출설치한 핀(418)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고, 블레이드 호울더(410)의 상승위치에 있어서의 록레버(430)의 록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레버이고, 핀(418)이 윗쪽을 향함으로써 그 록의 해제를 행한다. 즉, 해제레버(440)에는 록레버(430)와 걸어맞추는 핀(442)을 세워 설치하고, 해제레버(440)가 핀(418)의 둘레에 동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핀(442)는 록레버(430)를 핀(414)의 둘레에 회전시켜, 록레버(430)와 스토퍼(432)의 상면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킨다.440 is a release lever for rotatable around the pin 418 protruding from the blade holder 410, and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lever 430 in the raised position of the blade holder 410. The pin 418 faces upward to release the lock. That is, the pin 442 that engages with the lock lever 430 is erected and installed on the release lever 440. When the release lever 44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same figure around the pin 418, the pin ( 442 rotates the lock lever 430 around the pin 414 to release engagement of the lock lever 430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topper 432.

이들의 기구는 캐리지(2)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캠(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구동력으로 블레이드 호울더(410)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 한정된 구성은 아니다.These mechanisms are for raising the blade holder 410 with a driving force from a cam (not shown) which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2, and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 9 도는 블레이드(401)가 와이핑을 행할때의 상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토출구로부터 단차부(段差部)까지의 폭이 좁은 쪽으로부터 넓은 쪽으로만 와이핑된다. 즉, 토출구 배열이 오리피스 플레이트(103)에 있어서 편기(篇倚)한 방향으로 와이핑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출구 근방이 젖거나, 먼지 등이 부착되어도 와이핑에 의하여 깨끗한 토출구면이 재현하여 양호한 토출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s when the blade 401 performs wiping, and as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example, the width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step portion is wider from the narrower side to the wider side. Only wiped. That is, the ejection outlet arrangement is wiped in the knitting direction in the orifice plate 103. In this way, even whe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port becomes wet or dust or the like adheres, a clean discharge port surface can be reproduced by wiping to maintain a good discharge state.

반대로, 토출구로부터 단차부까지의 거리가 넓은 쪽으로부터 좁은 쪽으로 와이핑한 경우, 좁은 쪽의 단차부에 제거되지 않고 남은 잉크나 먼지가 고여, 그 결과로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오리피스가 막혀버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좋지 않다.On the contrary, when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stepped portion is wiped from the wide side to the narrow side, ink or dust remaining without being removed from the narrowed stepped portion accumulates, and as a result, the orifice may be blocked because the distance is close. Not good.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와 같이 적절히 승강시킴으로써 단차부까지의 거리가 좁은 쪽으로부터 넓은 쪽으로 와이핑되고, 최악의 경우라도 잉크나 먼지가 토출구(8)의 위치에는 이르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토출구에 영향을 주지않고, 안정된 토출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blade is raised and lowered properly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to the stepped portion is wiped from the narrower side to the wider side, and even in the worst case, the ink or dust does not reach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8. This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discharge state without affecting the discharge port.

그런데, 본 예에 있어서는 제 9 도와 같이 와이핑방향이 규정되기 때문에, 그 와이핑의 속도, 즉 캐리지(2)의 이동속도에 아무런 고려를 하지 않으며 블레이드(401)의 재질이나 형상등에 의하여 정해지는 인자(탄성계수 등)에 의하여 토출구 형성면의 凹凸에의 추종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즉, 제 1 블레이드(401)가 단차부에 추종할 수 없어서, 이것이 복원되었을 때에는 이미 토출구(108)를 뛰어넘어버리고 있는 불편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이들 인자를 고려하여 와이핑시에는 통상 주사시보다 캐리지(2)를 완속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토출구 부근이 확실히 와이핑되도록 한다.However, in this example, since the wiping direction is defined as in the ninth degree, no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speed of the wiping, that is, the moving speed of the carriage 2, and is determin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blade 401. The printability (elastic coefficient, etc.) may cause a problem in the followability of the discharge port formation surface to the fin. In other words, the first blade 401 cannot follow the stepped portion, and when this is restored, inconvenience that has already jumped over the discharge port 108 occurs. Thus, in this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the carriage 2 is moved at a slower speed during the wiping than in the normal scanning, so that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port can be wiped surely.

제10(a)도 및 제10(b)도는 블레이드(401)의 클리닝의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캡유니트(300)의 슬라이드에 따라 블레이드(401)가 상승하고(동도면(a)), 그후 캐리지(2)의 오른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와이핑이 행하여진다. 이때, 본 예에서는 와이핑되어 블레이드(401)에 수용된 잉크는 블레이드(401)의 표면을 따라서만 흐르고, 장치내에 적하하는 일은 없다.10 (a) and 10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spects of cleaning of the blade 401. As described above, the blade 401 is raised according to the slide of the cap unit 300 (at the same drawing (a)), and then wiping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to the right side of the carriage 2. At this time, in this example, the ink that is wiped and accommodated in the blade 401 flows only along the surface of the blade 401 and is not dripped in the apparatus.

그리고, 동 도면(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2)가 오른쪽으로 이동해올 때에는 블레이드(401)는 하강한다. 블레이드 클리너(403)는 이것이 캡유니트(300)에 부착된 것이라고, 이미 캡유니트(300)가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고 있으므로, 블레이드(401)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01)의 하강에 따라 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잉크 등은 모두 흡수체 형태의 클리너(403)에 수용되고, 블레이드(401)가 확실히 닦여지게 된다.Then, as shown in the drawing (b), when the carriage 2 moves to the right side, the blade 401 is lowered. The blade cleaner 403 is attached to the cap unit 300. Since the cap unit 300 has alread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blade cleaner 403 is in contact with the blade 401. Therefore, as the blade 401 descends, all the ink or the like adhering to the surface thereof is accommodated in the absorber-type cleaner 403, and the blade 401 is reliably wiped.

(4.3) 펌프 유니트(4.3) pump unit

제 6 도와 제 7 도를 참조하여 펌프유니트(50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pump unit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여기서, 502는 반원통면상으로 설치한 회복계 베이스의 규제면이고, 여기에 적어도 그 규제면상에서는 가요성을 가진 부재로서 구성한 튜브(304)를 설치한다. 510은 튜브(304)를 규제면(50)에 대하여 누르면서 펌프축(504)의 둘레에 회전하는 가압로울러이고, 도면중 화살표 방향으로 튜브(304)를 누르면서 회전함으로써 캡유니트(300)에 이르는 공간에 부압을 생기게 하여, 투출구로부터의 잉크 흡입등을 행한다.Here, 502 is a restraining surface of the recovery system base provided on the semi-cylindrical surface, and the tube 304 comprised as a flexible member on at least the restraining surface is provided here. 510 is a pressure roller that rotates around the pump shaft 504 while pressing the tube 304 with respect to the regulating surface 50, and the space leading to the cap unit 300 by rotating while pressing the tube 30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figure.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t the ink, and ink suction from the discharge port is performed.

520은 가압로울러(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로울러이고, 펌프축(504)에 축지지되어 있다. 522는 가압로울러(510)의 축(512)을 가이드로울러(520)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구이다. 524는 가이드로울러(520)에 일체로 설치되고, 튜브(304) 군의 흩어짐을 억제하여 각별히 분리시켜 두기 위한 가이드용 격벽이다. 526은 가이드로울러(520)에 일체화되고, 이것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의 전달을 받는 포지션캠이다. 528은 펌프구동기어이고, 기록매체반송(부주사)용 로울러(15)의 축에 설치된 기어(15A)와, 포지션캠(526)에 일체로 설치한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를 가진다. 즉, 본 예에서는 펌프구동(가압로울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고울러(15)로부터 받는 것이다.520 is a guide roller for rotating the pressure roller 510 and is axially supported by the pump shaft 504. 522 is a support for attaching the shaft 512 of the pressure roller 510 to the guide roller 520. 524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guide roller 520, and is a guide partition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tube 304 group and separating it separately. 526 is a position cam that is integrated with the guide roller 520 and receives a transmission force for rotating it. 528 is a pump drive gear, and has a gear 15A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roller 15 for recording medium conveyance (sub-scanning), and a gear meshing with a gear integrally provided in the position cam 526. That is, in this example, the driving force for pump driving (rotation of the pressure roller) is received from the gouler 15.

530은 로울러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설치한 검지수단으로서의 리이프 스위치이고, 펌프축(504)의 둘레에 가이드로울러(520)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532)에 의하여 스위칭된다.530 is a relief switch provided as a detection means provided to recognize the roller position, and is switched by a cam 532 which rotates integrally with the guide roller 520 around the pump shaft 504.

(5) 기록장치의 시퀀스(5) Sequence of recording device

(5.1) 가압로울러의 위치 설정(5.1) Positioning of the pressure roller

먼저, 기록헤드(86)로부터 잉크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하여 흡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펌프유니트(500)의 가압로울러의 위치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positioning of the pressurizing roller of the pump unit 500 for applying a suction force to forcibly eject ink from the recording head 86 will be described.

제13도는 그 설명도이고,

Figure kpo00001
가 가압로울러(510)의 설정위치이다. 또,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흡인을 하는 방향)을 「+」로 하고, 시계방향을 「-」로 한다.13 is an explanatory diagram,
Figure kpo00001
Is the setting position of the pressure roller 510. In the drawi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direction of suction) is set to "+", and the clockwise direction is set to "-".

먼저, 위치

Figure kpo00002
는 가압로울러(510)가 튜브(304)를 짓누르고 있지 않는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는 캡핑시라도 캡내 내지 잉크흡인계가 대기와 연통하고 있다. 위치
Figure kpo00003
은 가압로울러(510)가 규제면(502)을 따라 튜브(304)를 짓누르면서 +회전한 후에 정지되는 위치이고, 이들의 설정위치에서는 튜브(304)가 짓눌려 있으므로, 캡핑시에는 캡 내지 흡인계가 대기와 밀폐되어 있다.First, location
Figure kpo00002
In this state, the pressure roller 510 is not crushing the tube 304. In this state, the in-cap or ink suction system communicates with the atmosphere even when capping. location
Figure kpo00003
Is the position where the pressure roller 510 stops after + rotating while pressing the tube 304 along the regulating surface 502, and the tube 304 is crushed at these set positions, so that the cap to the suction system It is sealed to the atmosphere.

본 예에 있어서는 잉크흡인에 의한 회복처리의 형태를 두가지가 있다.In this example, there are two types of recovery processing by ink suction.

하나는 장치의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휴지후나, 단순한 공토출, 와이핑 기타에 의한 다른 회복처리에 의하여도 잉크토출상태가 양호하게 되지 않을때 등에 스위치등 적절한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또는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때에는 잉크가 증점(增粘) 기타에 의하여 배출되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캡내의 토출구에 큰 흡인력을 작용시켜, 즉 유속을 높여서 급격히 잉크배출을 행하게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공토출 동작을 실행한다(이하, 이것을 대회복 또는 회복병용 기간이라고 한다).One can be done automatically by the operation of a suitable operating means such as a switch after the relatively long period of rest of the apparatus or when the ink ejection condition is not improved even by other emptying, wiping or other recovery treatments. To lose. At this time, since the ink is difficult to be discharged by thickening or the like, a larg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port in the cap, that is, the flow rate is increased to rapidly discharge the ink. At the same time, the air discharge operation is executed (hereinafter, this is referred to as a race dress or recovery combined use period).

다른쪽은 소정량의 기록동작 직후에 있어서 리플레쉬 내지 냉각 등에 의하여 토출상태를 양호하게 하도록 행하는 것이다. 특히, 토출에너지로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본 예와 같은 장치에서는, 이 때에는 잉크온도가 어느 정도 높고, 따라서 점성이 적게되어 있고, 잉크가 비교적 배출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대회복시 보다 작은 흡인력을 작용시켜 잉크 배출을 행하게 한다(이하, 이것을 소회복이라 한다).On the other hand, immediately after a predetermined amount of recording operation, the discharge state is improved by refreshing or cooling. In particular, in an apparatus such as the present example using heat energy as the discharge energy, at this time, the ink temperature is somewhat high, and thus the viscosity is low, and the ink is relatively easy to be discharged. To discharge the i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ll recovery).

이들 대회복 및 소회복시에 본 예에서는 +회전시킨 가압로울러(510)를 각각 위치

Figure kpo00004
에 설정하여 소정시간 유지한다. 작용하는 흡인력 및 흡인량은 잉크 흡인계의 내용적의 증가, 즉 +회전한 가압로울러(510)가 튜브(304)를 짓누르기 시작하는 위치부터 정지위치까지의 길이에 대응한 내용적에 의하여 정해지므로, 위치
Figure kpo00005
에 정지시켰을 때에는 위치
Figure kpo00006
의 경우보다도 흡인력이 작아진다. 이에 의하면, 소회복시에는 대회복시보다 잉크가 토출구로부터 천천히 흐르게 된다. 따라서, 흐름의 상태가 안정되고, 토출구 안쪽에 존재할 수 있는 미세기포 등, 즉 흡인력이 커서 흐름의 상태가 안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난류나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하여 제거할 수 없는 미세기포 등도 확실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 흡인되는 잉크량도 적어지므로, 잉크가 필요 이상으로 소비되는 일도 없다.In this example, the pressurized rollers 510 rotated + are positioned at the time of these meeting clothes and small recovery, respectively.
Figure kpo00004
Set to and hold for a predetermined time. Since the suction force and the suction amount acting are determined by the increase in the inner volume of the ink suction system, that is, the inne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from the position where the + rotated pressure roller 510 starts to crush the tube 304 to the stop position, location
Figure kpo00005
When stopped at
Figure kpo00006
The suction force becomes smaller than in the case of. According to this, the ink flows slowly from the discharge port at the time of small recovery than at the time of recovery. Therefore, the state of the flow is stabilized, and the microbubbles that may exist inside the discharge port, that is, the microbubbles that cannot be removed by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or vortex can be reliably excluded when the state of the flow is unstable due to the large suction force. Will be.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ink sucked also becomes small at this time, ink is not consumed more than necessary.

그리고, 주로 잉크 소비량의 저감화를 꾀하는 것이라며, 소회복시에도 위치

Figure kpo00007
에 설정하고, 여기에 정지시켜 두는 시간을 대회복시보다 적게 하면 된다. 또, 주로 미세기포 등의 제거를 확실화하는 것이라면, 소회복시에는 가압로울러(510)의 회전속도를 늦추어 천천히 잉크흡인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경우, 정지위치를 적절히 정하면, 잉크소비량의 저감화도 달성할 수 있다.It is mainly intended to reduce ink consumption, and it is also located in small recovery.
Figure kpo00007
It is possible to set the time to stop at this time and to stop it here. In addition, as long as the removal of fine bubbles or the like is mainly ensured, ink suction may be performed slowly by slowing dow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essure roller 510 at the time of small recovery. In this case, if the stop position is properly determined, the reduction in ink consumption can also be achieved.

잉크를 강제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흡인펌프에 다른 형태의 것을 사용하거나, 혹은 토출구에 이르는 잉크공급계를 가압하여 행하는 것이라도 좋으나, 본 예와 같은 펌프유니트(500)를 사용하면, 상기와 같은 제어 내지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As a means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ink, it is possible to use another type of suction pump or pressurize the ink supply system leading to the discharge port. However, if the pump unit 500 of the present example is used, It is easy to control or adjust.

(5.2) 캐리지의 위치 설정(5.2) Positioning carriage

제14도를 사용하여 캐리지(2)의 위치설정형태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욱, 도면중

Figure kpo00008
는 먼저 기록영역측에 위치하는 헤드를 기준으로 한 위치이다.The positioning form of the carriage 2, etc. are demonstrated using FIG. Furthermore, in drawing
Figure kpo00008
Is a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ead first located on the recording area side.

우선, 동도(a)는 와이핑시의 반전포지션을 표시한다. 더욱 본 예에서는 이 위치를 캡핑을 실시하는 경우 또는 블레이드(401)를 상승시키는 경우에 설정되는 위치로 한다. 본 예에서는 이들 캡핑이나 블레이드 돌출을 위한 동작이 캐리지(2)의 이동에 따라 행해지기 때문에 캐리지(2)로부터는 어느 정도 이상 큰 힘의 전달이 필요하다. 여기서 캐리지(2)를 적절한 위치

Figure kpo00009
에 설정하고 이 위치로부터 이동을 행하게 함으로서 그 관성을 이용하면 캐리지(2)의 구동원인 모터의 대형화나 구동전력의 증대를 가져오는 일없이 상기 기구를 구동하는데 필요 충분한 양의 구동력이 얻어지는 것으로 된다.First, the same figure (a) shows the reversal position at the time of wiping. Furthermore, in this example, this position is set as the position set when capping is performed or the blade 401 is raised. In this example, since these capping and blade protruding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2, the transfer of a large force from the carriage 2 is necessary to some extent. Where the carriage (2) is properly positioned
Figure kpo00009
By using this inertia, the inertia is moved to obtain a sufficient driving force necessary to drive the mechanism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motor, which is the driving source of the carriage 2, or increasing the driving power.

다음에 동도(b)의 위치

Figure kpo00010
는 기록동작의 개시포지션 및 기록동작중의 반전포지션인 스타트 포지션을 표시한다. 이 때에는 각 헤드(86)와 각 캡(300)이 각각 대향하는데, 캡호울더(330) 및 블레이드 호울더(410)는 구동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캡(300)은 헤드(86)와 격리한 위치에 있고, 그리고 블레이드(401)도 상승하고 있지 않다. 공토출은 이 위치에서 행해진다.Next, the position of the east road (b)
Figure kpo00010
Indicates a start position which is a start position of the write operation and an inverted position during the write operation. At this time, each head 86 and each cap 300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cap holder 330 and the blade holder 410 are not driven, and thus the cap 300 is separated from the head 86. And the blade 401 is not rising. Empty discharge is performed at this position.

다음은 동도(c)에 표시하는 위치

Figure kpo00011
는 블레이드 호울더(410)의 상승이 기동되는 위치이다. 캡핑을 행하는 경우 또는 와이핑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위치를 통과하여, 혹은 이 위치에 설정된다. 또 동도(d)의 위치
Figure kpo00012
는 캡호울더(330)가 상승하여 캡핑이 실시되는 위치이고 이 위치에서 대회복이나 소회복이 행해지거나, 기록휴지시의 대기 등이 행해진다.Next is position to display on the same road (c)
Figure kpo00011
Is the position at which the lift of the blade holder 410 is started. When capping or wiping is performed, this position is passed or set at this position. In addition, the position of (d)
Figure kpo00012
Is the position where the cap holder 330 is raised and capping is performed, and the dress or the small dress is performed at this position, or the waiting at the time of recording pause is performed.

(5.3) 동작 시퀀스의 정리(5.3) Arrangement of Action Sequence

제15(a)도~제15(e)도는 본 예의 동작 시퀀스를 정리한 것이다. 이들에서 1은 가압로울러(510)의 위치를 표시하는 란, 2는 캐리지(2)의 위치를 표시하는 란이다.15 (a) to 15 (e) summarize the operation sequence of this example. In these, 1 is a column which shows the position of the press roller 510, and 2 is a column which shows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 As shown in FIG.

또,

Figure kpo00013
는 제13도에 도시된 로울러위치,
Figure kpo00014
는 제14(a)도~제14(d)도에 표시한 캐리지 위치와 동일하다.In addition,
Figure kpo00013
Is the roller position shown in FIG.
Figure kpo00014
Is the same as the carriage position shown in FIGS. 14 (a) to 14 (d).

동도(a)는 전원투입후의 초기처리시를 표시하는 것으로 가압로울러나 캐리지의 위치의 초기화가 행해진다. 동도(b)는 복사버튼을 아래로 누름에 의하여 기록개시의 지령이 주어졌을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그후의 카세트 급지 또는 내미는 급지에 의한 기록매체의 송급이 행해진다. 동도(c)는 기록처리시에 있어서 적당한 타이밍(예를 들면 5~10라인의 기록주사마다)에서 행해지는 와이핑 내지 공토출시의 처리이다. 동도(d)는 소정량(본 예에서는 1페이지분의 기록매체로의 기록) 종료직후에 행하도록 한 소회복처리를 포함하는 기록종료처리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 동도(e)는 대회복시의 처리이다.Figure (a) shows the initial processing time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position of the press roller and the carriage are initialized. The diagram (b) shows the state when the instruction to start recording is given by pressing the copy button down, and the feeding of the recording medium by the subsequent cassette feeding or feeding out is performed. Figure (c) shows the process of wiping to empty discharge performed at a suitable timing (for example, every 5 to 10 recording scans) during the recording process. Figure d shows a recording end process including a small recovery proces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a predetermined amount (recording on the recording medium for one page in this example). (E) is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competition.

이들의 상세한 점에 대하여는 제17도 및 제18도와 같이 설명한다.These detai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5.4) 제어계의 구성(5.4) Configuration of Control System

제16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계의 구성예를 표시한다. 여기서, 800은 주제어부를 이루는 콘트롤러이고,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순서를 실행하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형태의 CPU(801), 그 순서에 대응한 프로그램이나 기타의 고정데이타가 기록된 ROM(803) 및 화상데이타를 전개하는 영역이나 작업용의 영역등을 설치한 RAM(805) 등을 갖는다. 810은 화상데이타의 공급원을 이루는 호스트장치(판독부, 즉 제 6 도의 수단(212) 등이라도 좋다)이고, 화상데이타 기타 명령, 상태신호 등은 인터페이스를(I/F)(812)를 사이에 두고 콘트롤러와 송수신된다. 820은 전원스위치(822), 기록(복사) 개시를 지령하기 위한 복사스위치(824) 및 대회복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대회복스위치(826) 등, 조작자에 의한 지령입력을 수용하는 스위치군이다. 830은 홈포지션이나 스타트포지션 등 캐리지(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832), 및 리프스위치(530)를 포함하고 펌프위치검출을 위하여 사용하는 센서(834) 등, 장치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군이다. 840은 기록데이타에 따라 기록헤드(86)의 토출에너지 발생소자(본 예에서는 전기열변환체)를 구동하기 위한 헤드드라이버이다. 850은 캐리지(2)를 주주사방향(제 7 도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주사모우터, 852는 그의 드라이버이다.16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Here, 800 denotes a controller that forms a main control section, and executes the procedures shown in FIGS. 17 and 18, for example, a microcomputer-type CPU 801, and programs or other fixed data corresponding to the order are recorded. ROM 803 and RAM 805 provided with an area for developing image data, an area for work, and the like. 810 denotes a host apparatus (reading unit, i.e., means 212 in FIG. 6, etc.) which constitutes a source of image data, and image data and other commands, status signals, and the like are provided via an interface (I / F) 812. It is sent and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820 is a group of switches that accepts command input by an operator, such as a power switch 822, a copy switch 824 for commanding the start of recording (copy), and a contest copy switch 826 for instructing the start of the dress. . 830 is a sensor 832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 such as a home position or a start position, and a sensor 834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ump, including a leaf switch 530, and a sensor 834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Sensor group. 840 is a head driver for driving the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in this example, the electrothermal transducer) of the recording head 86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ing data. 850 is a main scanning motor for moving the carriage 2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7), and 852 is its driver.

860은 부주사모우터이고, 기록매체를 반송(부주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동시에, 본 예에서는 로울러(15)를 사이에 두고 가압로울러(510)의 구동을 행한다. 854는 그의 드라이버이다. 870은 전술의 튜브펌프 등의 흡인펌프로, 그 구동은 모우터드라이버(853)에 의하여 관리된다.860 is a sub-scan motor, which is used to convey (sub-scan) the recording medium, and in this example, the pressure roller 510 is driven with the roller 15 interposed therebetween. 854 is his driver. The 870 is a suction pump such as the tube pump described above, and the driving thereof is managed by the motor driver 853.

(5.5) 제어순서(5.5) Control sequence

제17도는 본 예에 의한 기록처리순서의 개략 플로우챠트이다. 전원스위치(822)가 조작되어 전원투입되면 본 순서가 기동하고, 우선 스텝(SA)에서 초기처리를 행한다.17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recording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When the power switch 822 is operated and the power is turned on, this procedure is started, and the initial processing is first performed in step SA.

다음에 스텝(S1)에서 복사스위치(824)의 조작 또는 호스트장치(810)로부터의 지령, 또는 소위 내미는 급지시에 있어서 급지신호 등, 기록개시의 지령신호를 대기한다. 호스트장치(810)로부터의 화상데이타의 입력에 따라 이것에 지시되면, 스텝(SB)에서 기록 준비처리를 행한다. 그후 스텝(S3)에서 소정 라인수(본 예에서는 5~10의 복수라인)의 기록을 행하고, 스텝(S5)에서 1페이지분의 기록이 종료하였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Next, at step S1, the operation of the copy switch 824 or the command from the host apparatus 810, or the so-called extruding paper feed command, waits for a recording start command signal such as a feed signal. If this is instruc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mage data from the host apparatus 810, the recording pr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step SB. Thereafter, at step S3, the predetermined number of lines (multiple lines of 5 to 10 in this example) is recorded, and at step S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cording for one page has been completed.

여기서 부정판정이면 스텝(SC)의 기록시 회복처리를 행하고, 즉 소정 라인수의 기록종료마다 1회의 회복처리를 행하고 일방 긍정판정이면 스텝(SD)에서 기록종료처리를 행한후에 스텝(S1)으로 이행한다.In this case, if the negative judgment is made, the recovery process at the time of recording the step SC is performed, i.e., the recovery process is performed once at the end of the recording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lines. To fulfill.

다음에 상기 스텝(SA~SD)의 상세 및 대회복처리의 상세를 제18(a)도~제18(d)도 및 제18(e)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더욱, 이들 제18(a)도~제18(e)도에 있어서, 시퀀스는, 제15(a)도~제15(e)도에 각각 대응한다.Next, the details of the steps SA to SD and the details of the competition dress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 to 18 (d) and 18 (e). Furthermore, in these 18th (a)-18th (e), a sequence corresponds to 15th (a)-15th (e), respectively.

우선, 제18(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처리시에는 스텝(SA1)에서 캐리지(2)의 홈포지션(위치

Figure kpo00015
)으로의 설정을 행한다. 또 이때 가압로울러(510)를 위치
Figure kpo00016
에 설정한다(이하 이 위치를 로울러의 홈포지션이라 함). 캐리지(2)의 홈포지션으로의 설정에 있어서는 그 이동을 이용하여 캡호울더(330) 및 블레이드 호울더(510)를 구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관성력을 얻기 위하여 캐리지(2)를 회복계 유니트와 중첩하지 않는 적당한 위치(예를 들면 제14(a)도의 위치
Figure kpo00017
)에 설정하고 조주(助走)가 행해지도록 한다. 그리고 홈포지션으로의 설정에 의하여 기록헤드(86)가 캡핑되고, 그리고 캡내 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된다. 또 이때에는 블레이드(401)가 돌출하고 록되기 위한 위치(제14도의 위치
Figure kpo00018
)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블레이드(401)는 상승위치에 있다(이동작은 이하도 마찬가지이다). 더욱 캐리지(2) 및 로울러(510)가 이미 홈포지션에 있으면 본 스텝을 스킵하여도 좋다.First, as shown in Fig. 18A, the initial position (position) of the carriage 2 at the step SA1 during the initial processing.
Figure kpo00015
) Is set. In this case, the pressure roller 510 is positioned
Figure kpo00016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home position of the roller). In setting the carriage 2 to the home position, the cap holder 330 and the blade holder 510 are driven using the movement thereof, so that the carriage 2 does not overlap with the recovery system unit to obtain proper inertia force. Unsuitable loca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in Figure 14 (a)
Figure kpo00017
), And let the tide be performed. The recording head 86 is capped by the setting to the home position, and the space in the cap is sealed. At this time, the position for the blade 401 to protrude and lock (position of FIG. 14)
Figure kpo00018
), The blade 401 is in the ascending position (this operation is also the same below). If the carriage 2 and the roller 510 are already in the home position, this step may be skipped.

다음에 스텝(SA3) 캐리지(2)를 위치

Figure kpo00019
로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토출구형성면의 와이핑이 행해진다. 캐리지(2)의 홈포지션으로의 설정에 의하여 이미 블레이드(401)가 돌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의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기록주사시등 보다도 낮은 속도 즉 단차에 블레이드(401)가 추종하여 확실한 와이핑이 이루어지는 속도로 행한다.Next, the step (SA3) carriage 2 is positioned
Figure kpo00019
Wiping of the ejection opening forming surface is performed by moving toward. This is because the blade 401 has already protruded by setting the carriage 2 to the hom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is performed at a lower speed than the normal recording scan or the like, i.e., at a speed at which the blade 401 follows the step and makes sure wiping is performed.

다음에 스텝(SA5)에서 가압로울러(510)를 위치

Figure kpo00020
에서 회전운동시켜 스텝(SA7)에서 캐리지(2)를 스타트포지션(제14도의
Figure kpo00021
의 위치)에 설정하여 그 위치에서 공토출을 행한다. 즉 와이핑후에는 공토출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이하의 처리에서 마찬가지이고, 본 예에서는 와이핑후에 반드시 공토출을 행하도록 한다. 더욱 스타트포지션으로의 이동에 따라 캐리지(2)가 해제레버에 걸어맞춤되어, 이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401)는 하강한다. 여기서 그 공토출은, 하나의 블레이드로 복수의 기록헤드를 와이핑함으로써 생기는 혼색 등의 방지를 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예에서는 이를 보다 유효하게 행하기 위하여 후에 와이핑된 기록헤드일수록 또는 명도의 높은 잉크(노란색 등)에 대응한 기록헤드일수록 혼색이 눈에 띄기 쉬우므로 이와 같은 기록헤드에 대하여는 정성들여 공토출을 행하도록 한다.Next, at step SA5, the pressure roller 510 is positioned.
Figure kpo00020
The carriage 2 is started at step SA7 (see Fig. 14).
Figure kpo00021
Position), and empty discharge is performed at that position. That is, after wiping, air discharge is performed. This is the same in the following processing, and in this example, air discharge is always performed after wiping. Further, the carriage 2 is engaged with the release lever as it moves to the start position, and the blade 401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to operate it. Here, the empty discharge is performed to prevent color mixing or the like caused by wiping a plurality of recording heads with one blade, and in this example, the recording heads that are wiped later or have higher brightnes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do this. As the recording head corresponding to (yellow, etc.) is more prominent in mixed color, such a recording head is carefully elaborated.

즉 혼색이 생기기 쉬운 기록헤드일수록 공토출처리를 행하는 시간을 길게 내지는 토출회수를 많이 하는 등이다. 또 본 예에서는 공토출시에는 통상 기록시보다 전기열변화체의 구동주파수를 낮게 한다(예를 들면 1/4). 구동주파수가 낮으면 토출구 형성면의 잉크에 의한 젖음이 적은 것이 확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욱 공토출에 있어서는 토출구군을 소정개수(예를 들면 8개) 마다 블럭으로 나누고 블럭마다 순차로 전기열변환체를 구동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도 젖음이 생기기 어려워짐이 확인되어 있다. 이들 상태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행해지는 공토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That is, the more the recording head which tends to be mixed, the longer the time for performing the empty discharge process or the more the number of discharge times is required. In this example,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electric heat changer is lower during normal discharge (for example, 1/4). This is because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low,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little wetness by the ink on the ejection opening forming surface. Further, in the air discharge, the discharge port group is divided into blocks every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eight), and the electrothermal transducers are sequentially driven for each block. Because of this, it is confirmed that wetness is less likely to occur. The same holds true for the air discharge performed below in these states.

더욱, 젖음이 생기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는 구동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에 대신하여, 또는 이것과 동시에 구동펄스의 폭, 전압, 형상 등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 구동형태로 적당히 정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 in order to make it difficult to get wet, instead of changing the driving frequency or simultaneously with this, the width, voltage, shape, etc. of the driving pulse may be changed, and the driving mode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이와 같이 공토출후에는 스텝(SA9)에서 캐리지(2), 로울러(510)를 홈포지션으로 설정한다. 여기서는 우선 캐리지(2)를 홈포지션으로 설정함으로서 캡핑하는데 이때 스텝(SA5)에서 로울러(510)가 위치

Figure kpo00022
에 설정되어 대기연통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캡핑시의 캡내 체적변화에 의하여도 캡내에는 정압이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토출구내 안쪽에 공기가 혼입되는 일은 없다. 그후 로울러(510)를 제13도중-회전시켜(+회전에서는 잉크를 흡수애 버리고, 소비량의 저감화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위치
Figure kpo00023
에 설정한다. 이로서 튜브(304) 내지 캡내는 약간 가압된 상태로 되고, 그리고 먼저 공토출에 의하여 수용한 잉크가 흡인되지 않고 잔류하여 캡내가 습윤한 분위기로 유지되므로 토출구로부터의 잉크용제성분의 증발도 생기기 어렵게 된다.Thus, after idle discharge, the carriage 2 and the roller 510 are set to a home position in step SA9. In this case, first, the carriage 2 is capped by setting the home position. At this time, the roller 510 is positioned at step SA5.
Figure kpo00022
Since atmospheric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in the capping, the static pressure does not act in the cap even when the cap volume changes during capping, and therefore air is not mixed inside the discharge port. Then, the roller 510 is rotated in the middle of FIG. 13 (the ink is absorbed in the + rotation, which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consumption).
Figure kpo00023
Set to. As a result, the tube 304 to the inside of the cap are slightly pressurized, and since the ink contained by the first air discharge is not attracted and remains, the inside of the cap is maintained in a wet atmosphere, so that the evaporation of the ink solvent component from the discharge port is less likely to occur. .

기록개시가 지령된 경우(스텝(S1))에는, 기록동작(스텝(S3))으로 이행하기 전에 제18(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준비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우선 스텝(SB1)에서 상기 스텝(SA3)과 마찬가지의 와이핑을 행한다(본 절차는 스텝(SA9)의 홈포지션 설정후에 행해지므로 블레이드(401)는 이미 상승위치에 있고, 따라서 캐리지의 위치

Figure kpo00024
로의 이동에 의하여 와이핑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스텝(SA7)과 마찬가지로 하여 캐리지(2)를 스타트 포지션으로 설정하고, 공토출을 행한다. 계속되는 기록동작은 이 위치
Figure kpo00025
로부터 항상 행해진다.When recording start is commanded (step S1), the pr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18B before moving to the recording operation (step S3). Here, first, in step SB1, wiping similar to the step SA3 is performed. (This procedure is performed after setting the home position of step SA9. Therefore, the blade 401 is already in the raised position,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Figure kpo00024
Wiping is per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furnace. Next, the carriage 2 is set to the start position similarly to the step SA7, and empty discharge is performed. Subsequent write operations are to this position
Figure kpo00025
Is always done from

소정의 수라인의 기록마다 행해지는 기록시 회복처리에 있어서는, 제18(c)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스텝(SC1)에서 캐리지(2)를 위치

Figure kpo00026
로 이동시켜, 블레이드 호울더(410)를 구동하여 블레이드(401)를 토출시킨다. 그리고 그후 상기 스텝(SB1) 및 (SB3))과 마찬가지로 와이핑(스텝(SC3)) 및 스타트 포지션으로의 설정·공토출(스텝(SC5))을 실행한다. 더욱 본 절차를 기록매체의 반송처리를 행하는 사이에 실행하도록 하면 기록의 산출량이 크게 저하하는 일은 없다.In the recording recovery process performed for each recording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ines, as shown in FIG. 18 (c), the carriage 2 is first positioned at step SC1.
Figure kpo00026
The blade holder 410 is driven to discharge the blade 401. Thereafter, similarly to the steps SB1 and SB3), the wiping (step SC3) and the setting and empty discharge to the start position (step SC5) are executed. Furthermore, if this procedure is performed during the conveyance processing of the recording medium, the output of the recording does not significantly decrease.

1페이지의 기록이 종료하여 그 기록매체가 배출되면, 계속 제18(d)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로울러(510)를 위치

Figure kpo00027
에 설정한다(스텝(SD1)).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텝(SD3)에서 캐리지(2)를 홈포지션으로 설정하고, 캡핑을 실시한다.When the recording of one page is finished and the recording medium is discharged, the pressure roller 51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18 (d).
Figure kpo00027
(Step SD1). In this state, the carriage 2 is set to the home position in step SD3 and capping is performed.

다음에 스텝(SD5)에서 소회복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는 우선 가압로울러를 위치

Figure kpo00028
에 설정하고, 이 위치에서 소정시간(예를 들면 0.1초) 유지하여 잉크흡인을 행한다. 그후 스텝(SD7, SD9, SD11 및 SD13)에서 각각 상기 스텝(SA3, SA5, SA7 및 SA9)과 마찬가지 처리를 행하고 장치는 기록헤드에 캡핑을 실시한 상태에서 다음 기록개시지령을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대회복 스위치(826)가 조작되면, 제18(e)도에 표시하는 처리가 기동된다. 본 절차에서는 스텝(SE1)에서 캐리지(2)의 홈포지션(위치
Figure kpo00029
)으로의 설정 및 가압로울러(510)의 홈포지션(위치
Figure kpo00030
)으로의 설정을 행한후, 스텝(SE3)의 대회복을 행한다. 여기서는 가압로울러(510)를 +회전시켜 위치
Figure kpo00031
에 재설정하고 이 위치에서 소정시간(예를 들면 2~3초) 간직하여 잉크흡인을 행한다. 또 이것과 동시에 소정의 공토출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그후 스텝(SE5,SE7,SE9 및 SE11)에서 각각 제18(a)도의 스텝(SA3,SA5,SA7 및 SA9)과 마찬가지 처리를 행하고, 본 절차를 종료한다. 더욱 흡인과 공토출을 동시에 행하기 위하여는, 예를 들면 대회복에 앞서서 소정의 공토출용 구동데이타를 드라이버(840)에 세트하여 두고 적당한 타이밍으로 기동하도록 하면 좋다.Next, a small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in step SD5. In this case, firstly pressurizing roller
Figure kpo00028
It is set at, and ink suction is performed at this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1 second). Subsequently, at steps SD7, SD9, SD11, and SD13, the same processing as those of steps SA3, SA5, SA7, and SA9 is performed, respectively, and the apparatus holds the next recording start command while capturing the recording head. When the dress-up switch 826 is operated, the process shown in FIG. 18 (e) is started. In this procedure, the home position (position) of the carriage 2 in step SE1
Figure kpo00029
Setting and home position (position) of the pressure roller 510
Figure kpo00030
) Is set, and the competition dress of step SE3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pressure roller 510 is rotated +
Figure kpo00031
The ink is sucked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3 seconds) at this position.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empty discharge operation is performed. Subsequently, at steps SE5, SE7, SE9, and SE11, the same processing as in steps SA3, SA5, SA7, and SA9 shown in FIG. 18A are performed, respectively, and the procedure ends. Further, in order to simultaneously perform suction and empty discharge,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empty discharge drive data may be set in the driver 840 prior to the competition dressing to start at an appropriate timing.

본 예와 같이 대회복처리시에 잉크흡인과 같이 공토출을 행하는 목적 및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As in the present example, the purpose and effect of performing the air discharge such as ink suction during the dressing process are as follows.

제19도는 헤드칩 내부에 있어서, 방치 등에 의하여 잉크내에 용존(溶存) 가스가 석출하거나 토출시의 잔류기포 등이 집합하여 많은 거품이 존재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FIG. 19 shows a state in which a lot of bubbles exist due to precipitation of dissolved gas in the ink or residual bubbles at the time of discharging inside the head chip.

이 상태에서 전기열변환소자(112) 등의 토출에너지 발생소자를 구동하고, 기록을 위한 토출동작을 행하면 토출이 행해진 액로(107)에서 액실(106)로부터 잉크가 공급되기 때문에 공통액실(106) 내에 있어서 잉크의 유동이 생긴다. 그 결과 음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액로에 기포가 모이고, 액로로의 잉크의 공급을 저해하는 것으로 된다.In this state, when a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such as the electrothermal conversion element 112 is driven and a discharge operation for recording is performed, ink is supplied from the liquid chamber 106 in the liquid passage 107 where the discharge was performed, so that the common liquid chamber 106 is used. Ink flows in the interior. As a result, since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bubbles are collected in the liquid passage, which impedes supply of ink to the liquid passage.

따라서 토출이 불안정하게 되어 비꼬임이나 불토출이 생긴다. 심한 경우에는 기포가 액로후단에 첨부되어 완전히 액로내로의 잉크의 공급을 차단하여 불토출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As a result, the discharge becomes unstable, resulting in kinks or fire discharges. In severe cases, bubbles may be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flow path, which completely blocks the supply of ink into the flow path, resulting in fire discharge.

이와 같은 기포가 다수 존재하면 토출이 불안정한 것이 되기 때문에, 통상은 흡인이나 가압 등에 의하여 기포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고점도의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나 저온환경하에 잉크가 고점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인등으로 회복을 행하더라도 거품을 거의 제거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잉크를 쓸데없이 낭비하고 말뿐이다.When a large number of such bubbles exist, discharge becomes unstable, and is usually removed from the bubbles by suction, pressurization or the like. However, when high viscosity ink is used or when the ink has a high viscosity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bubbles are hardly removed even when recovery is performed by suction or the like. It is also a waste of ink.

제20도는 거품의 크기와 흡인을 행하더라도 제거하지 못하고 잔류하고마는 거품의 율을 표시하고 있다.In FIG. 20, the size of the foam and the amount of foam remaining after being sucked even though the suction is performed are displayed.

이때의 기록헤드의 액로직경은 40㎛이고, 64개의 토출구를 갖는 멀티노즐헤드를 사용하였다. 흡인펌프의 최대발생 음압은 -0.5atm이다.At this time, a liquid nozzle diameter of the recording head was 40 mu m, and a multi-nozzle head having 64 discharge ports was used. The maximum generated negative pressure of the suction pump is -0.5 atm.

그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액로직경보다도 큰 기포는 제거하기 어렵지만 어떤 정도의 크기 이상으로 되면 제거하기 쉽다라는 것이다. 즉 액로직경이하의 기포는 당연 제거할 수 있지만 액로직경보다 큰 기포일지라도 어느 정도의 크기이상으로 되면 기포가 변형하여 액로내에 들어가고, 액로를 통하여 기포의 외기가 연통하는 것으로 잉크가 다시 액로내를 채우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It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at bubbles larger than the liquid path diameter are difficult to remove, but are easily removed when they are above a certain size. In other words, bubbles below the diameter of the channel can be removed naturally, but even if the bubbl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the bubble deforms and enters into the channel, and the outside air of the bubble communicates through the channel so that the ink refills the path. It is because it becomes.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의 음압을 크게 하는 것으로(-0.5atm →-0.6atm) 기포의 잔율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큰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펌프구성의 소형화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he figure, increasing the sound pressure of the pump (-0.5atm → -0.6atm) can reduce the residual ratio of bubbles, but a large effect is not expected and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iniaturization of the pump configuration.

또 이상의 것은 특히, 고농도를 실현하기 위하여 잉크의 염도농도를 올리거나 고해상(高解像)으로 하기 위하여 토출구의 크기를 작게하였을 때에 현저하다. 염로농도가 높다라는 것은 점성이 높다라는 것이고 작은 토출구에서는 큰 토출구에 대하여 같은 크기의 기포를 제거하는 경우 기포를 상당히 변형시켜 토출구보다도 작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흡인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음압을 발생하는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면 기포를 취하는 것은 곤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흡인의 경우 기포에 의하여 막혀 있지 않는 액로에서만 잉크가 배출되고 그 부분의 잉크의 흐름이 빨라지고 기포에 의하여 막혀버린 액로부의 잉크의 흐름이 늦어지는 것으로부터, 잉크의 흐름이 빠른편이 상대적으로 음압이 커지므로 한층 기포를 제거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The above is particularly remarkable whe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is made small in order to increase the salinity concentration of the ink in order to achieve high concentration or to achieve high resolution. The high concentration of the furnace means that the viscosity is high. In the case of small discharge ports, when bubbles of the same size are removed from the large discharge ports, the bubbles must be significantly deformed and smaller than the discharge ports. In the case of suctioning, it is difficult to take bubbles unless a pump generating a considerable negative pressure is used, and in some cases, ink is discharged only in a liquid passage which is not blocked by the bubbles in the case of suction, and the ink flows faster and bubbles are generated. Since the flow of ink of the liquid passage portion blocked by the delay is slow, the relatively faster the flow of ink, the larger the negative pressur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remove bubbles.

여기서 본 예에서는 스텝(SE3)의 대회복시에 흡인과 동시에 잉크의 토출을 행하고 있다. 즉, 액로내의 잉크가 토출되는 것으로 순간적으로 토출후의 액로내의 음압이 큰 것으로 되기 때문에 흡인의 음압과 어울려서 펌프단독의 경우에 비하여 상당히 강한 음압이 발생하고, 그리고 그 음압은 각 액로에 대하여 동등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기포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본 예의 경우 토출할 때의 기포를 발생시키는 수단(열에에너지 발생수단)으로서의 전기열변화체(112)가 구동되기 때문에, 각 액로부의 잉크의 온도가 상승하고 점도를 저하시켜, 그리고 표면장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한층 액로내의 유고저항력이 작은 것으로 되고 기포의 제거가 더욱 용이한 것으로 된다. 특히, 긴 시간헤드를 방치한 경우의 점성증가는 상당히 진행되고 있는 효과적이다. 즉, 제21(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구 형성면 전체에 캡에 밀착시켜 펌프에 의하여 흡인을 행함과 동시에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도록 하는 흡인만으로는 액로후단에 가까인 끌어당길뿐으로 밖으로 빨아내지 못했던 거품이 토출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액로내에 잉크의 흐름이 생기고 액로내의 음압이 증대함으로 후단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져 있던 기포가 액로내에 들어가고 밖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된다.In this example, the ink is discharged at the same time as the suction at the recovery of the step SE3. That is, since the ink in the flow path is discharged and the sound pressure in the flow path after the discharge is large, the sound pressure in the flow path matches with the sound pressure of suction, so that a significantly stronger sound pressure is generated than in the case of the pump alone, and the sound pressure acts equally on each flow path. As a result, bubbles can be easily removed. Furthermore, in the present example, since the electric heat changer 112 as a means for generating bubbles at the time of discharg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is driv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of each liquid passage portion rises, the viscosity decreases, and the surface tension decreases. As a result, the oil resistance in the liquid passage becomes smaller, and bubbles are more easily removed.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viscosity when the long time head is left is a significant progressing effect. That is, as shown in Fig. 21 (a), only the suction which allows the ink to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while being sucked by the pump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ap on the entire discharge port formation surface is pulled out close to the end of the liquid path. As the bubble which cannot be sucked out simultaneously discharges, ink flows in the liquid passage and the sound pressure in the liquid passage increases, so that bubbles drawn near the rear end enter the liquid passage and are discharged out of the liquid passage.

이로서, 제20도의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구 안쪽의 기포가 제거되고 안정한 토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by,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of FIG. 20, the bubble inside a discharge port is remov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stable discharge.

(6) 다른 실시예(6)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에서는 흡인과 동시에 토출을 행함에 있어서 헤드의 토출 특성의 한계의 잉크충전주파수이상의 구동조건으로 한다. 그리하면 흡인에 의한 액로내의 기포는 후방으로 가까이 끌어당기어 더욱 토출에 의한 액로내의 음압증대에 의한 기포가 액로내에 침입한다. 한편 액로선단부분에 있어서는 충전 주파수의 한계 이상의 주파수로 토출이 행해지기 때문에 매니커스가 진동하고 있다. 주파수 다시 말하면 발포의 간격을 메니커스의 후퇴가 최대로 되는 시간이라 하면 전기열변환소자(노출용히터)로부터 발포된 거품과 메니스커스가 합체하고, 메니스커스의 후단이 급격하게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suction, and the driving condition is higher than the ink charge frequency at the limit of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head. Then, the bubbles in the liquid passage by suction are attracted close to the rear side, and the bubbl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liquid passage due to the discharge invade the liquid passage.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liquid passage, the discharge is performed at a frequency higher than or equal to the limit of the charging frequency, so that the manikus vibrates. In other words, if the interval between foaming is the time at which the meniscus retreats to the maximum, the foam and the meniscus foamed from the electrothermal conversion element (exposure heater) merge, and the rear end of the meniscus is sharp.

따라서 액로후단에서 침입한 액실내기포와 선단에서 중대한 메니스커스의 후단부분이 합체한다. 헤드전체에 걸쳐서 이 상태를 발생시키면 액로내에는 외부로부터 단숨에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액실의 내부에 잉크가 없어진 상태(「잉크떨어짐」이라 칭한다)로 된다. 그리고 잉크가 없어지기 때문에 기포로 흡수되어 없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liquid-chambered gun inva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channel and the rear part of the significant meniscus at the front end merge. If this condition is generated over the entire head, air flows into the liquid passage from the outside at a short time, and thus the ink is discharged into the liquid chamber (called ink dropping). And since the ink disappears, it is absorbed by the bubbles and disappears.

본 예와 같이 카트리지(C)에 있어서 잉크탱크(80)내에 흡수체 등을 넣어 헤드를 대기에 대하여 음압으로 하고 있는 구성에서는 상기의 잉크떨어짐은 촉진된다.In the cartridge C, the ink drop is promoted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bsorber or the like is placed in the ink tank 80 so that the head is negatively pressured to the atmosphere.

그러나 이와 같은 카트리지에서는 잉크떨어짐이 발생하더라도 헤드칩의 토출구 안쪽의 잉크가 없어질 뿐이므로 그 분량의 잉크가 거의 대부분은 탱크내에 되돌아오는 것이다.However, in such a cartridge, even if ink drops occur, only the ink inside the discharge port of the head chip disappears, so that most of the ink is returned to the tank.

따라서 잉크는 헤드 외부에 거의 나오지 않고 잉크를 낭비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ink hardly comes out of the head and wastes ink.

그리고 제21(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구 안쪽의 잉크가 거의 없어진 다음에 흡인을 행한다. 이때는, 펌프의 흡인능력으로서 헤드칩내를 잉크로 채우고 더욱 여분의 분량의 흡인이 행해지도록 설정한다. 이로서 회복에 요하는 폐잉크의 양을 극력감소시킬 수가 있고, 카트리지 더 나아가서는 기록장치의 운영비용을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1 (b), suction is performed after the ink inside the discharge port is almost gone. At this time, the suction capacity of the pump is set so that the inside of the head chip is filled with ink, so that an extra amount of suction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amount of waste ink required for recovery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ng cost of the cartridge and furthermore, the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 2 의 실시예에 의한 처리를 행하기 전에, 외부 히터를 구동하고, 또는 토출히터에 토출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발열이 생기도록 구동하는 등에 의하여 액로내의 잉크온도를 상승시켜 잉크의 점도, 표면장력을 저하시키도록 한다. 이로서 기포끼리 합체하여 큰 기포로 되기 숴이지고 더욱더 잉크의 유동성도 올라기기 때문에 제20도중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또는 제 2 의 실시예 효과를 한층 향상하는 것으로 한다. 제 2 실시예와 같이 잉크 떨어짐 시키는 방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의 표면장력이 저하하고 있기 때문에 액로선단에서의 매니스커스힘이 약해지고, 더욱 표면장력의 저하에 의하여 충전주파수의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토출의 간격을 그 본체의 최단의 토출간격(소위 베타인자를 행하는 경우에 상당) 이하로 하는 일없이 효과적으로 잉크떨어짐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heater is driven prior to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r driven so as to generate heat such that no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discharge heater. The ink temperature in the liquid path is raised to lower the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of the ink. As a result, the bubbles are coalesced to form large bubbles, and the fluidity of the ink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effect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is further improved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20. When applied to the ink dropping metho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ink is lowered, the meniscus force at the tip of the liquid path is weakened, and the charge frequency is lowered due to the lowering of the surface tens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enerate ink drop without set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discharges to be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shortest discharge interval (equivalent to beta factor).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예에서는 흡인시에 구동하는 액로를 특정한 것(예를 들면 복수액로의 양단측의 액로를 구동하여 역으로 중앙역을 구동하지 않는 등)으로 한정한다. 즉, 전액로로부터 토출시키면 하나의 기포에 대하여 복수의 액로로부터 힘을 받기 때문에 기포가 변형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하여 복수의 액로로부터 히믈 받기 때문에 기포가 변형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하여 소정 부분의 액로로부터 집중하여 음압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기포의 변형로를 높일 수가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passage to be driven at the time of suction is limited to a specific one (for example, to drive the liquid passages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liquid passages and not to reversely drive the central region). In other words, when the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entire liquid passage, the bubbles are difficult to deform because they receive forces from a plurality of liquid passages for one bubble, whereas the bubbles may be difficult to deform because they are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assages. By decentralizing the liquid path and applying negative pressure, the bubble deformation path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제 5 의 실시예에서는 제21(c)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과 토출과의 개시타이밍을 완전히 동시로 하는 것이 아니고 다소 이동하도록 한다. 즉 흡인시의 최대의 발생압과 토출등의 최대 음압이 동시에 되도록 한다. 토출시의 최대 음압은 발표한 거품이 소포할 때이고, 토출과 거의 동시이지만 펌프의 최대 발생압은 펌프의 로울러 등이 이동하는 시간만큼 늦어지기 때문이다. 즉 다소 흡인동작을 토출에 비해 빨리 행하는 편이 좋은 것이다. 이로서 기포의 제거율은 비약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1 (c), the start timings of the suction and the discharge are not simultaneously synchronized but rather moved. In other words, the maximum generated pressure at the time of suction and the maximum sound pressure at the time of discharge are simultaneously made. This is because the maximum negative pressure at the time of discharge is when the released bubbles are parceled ou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discharge, the maximum generated pressure of the pump is delayed by the time when the roller or the like of the pump moves. In other words, it is better to perform the suction operation somewhat earlier than the discharge. As a result, the bubble removal rate can be increased dramatically.

본 발명은 이하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소망의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변형예로서는 여러곳에 기술한 것외에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described below, Of course, arbitrary desired deformation | transformation can be add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change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As such a modification, besides what was described in various places, the following are mentioned, for example.

예를 들면, 소회복처리에 있어서 필요하면 흡인과 동시에 공흡인을 행하도록 하더라고 좋고, 또 대회복처리를 적당히 2종으로 나누고, 흡인만을 행하는 것과 공토출을 병용하는 것과는 설치하여도 좋다. 또 흡인력을 작용하기 위한 펌프로서도 상예와 같이 튜브와 로울러를 사용한 형태의 것 뿐만 아니라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좋다. 더욱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흡인하여 강제배출을 행하는 것 뿐아니라 잉크공급제를 가압하는 것도 좋다.For example, in the small recovery process, if necessary, the suction and co-aspira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uction, and the recovery recovery process may be appropriately divided into two types, and the suction recovery may be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only the suction and the empty discharge. Moreover, as a pump for exerting a suction force, it is not only the form using a tube and a roller like a conventional example, but may consist of a cylinder and a piston.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ressurize the ink supply agent as well as to force the ink by sucking the ink from the discharge port.

제22도는 상술한 장치구성의 각각 바람직한 형에 구속될 것없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플로우챠아트를 회복모우드로서 설명하는 것이다.22 illustrates the flowchart ar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covery mode without being limited to each preferred type of the above-described devic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회복상태를 단위시간당 헤드의 각 토출구로부터 균일 그리고 다량의 잉크배출을 행할수록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본 예에서는 회복모우드(ST1)가 플로우챠아트로서 또는 선택키로부터 신호에 의하여 또는 통상의 주된 흡인회복으로서 채용된 경우이다.The recovery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more preferable as a uniform and large amount of ink is discharged from each discharge port of the head per unit time. In this example, the recovery mode ST1 is employed as a flow art or by a signal from a selection key or as a normal main suction recovery.

회복모우드지령에 따라 헤드내 잉크의 가열처리공정(ST2)이 행해진다. 이 공정(T2)은 공통액실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좋지만 헤드의 액로내부만으로도 좋다.In accordance with the recovery mode command, the heat treatment step ST2 of the ink in the head is performed. In this step (T2), it is preferable to rai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mon liquid chamber, but only the liquid path inside the head may be used.

바람직하기는 이들 양쪽이 좋다. 공통액실 가열로서는 외부히터나 액실내히터 등 주지의 수단이 채용된다. 액로가열은 토출에너지 발생소자가 기포를 형성하는 발열체이면 전술한 예비가열을 행하도록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얻어진다.Preferably both of these are good. As common liquid chamber heating, well-known means, such as an external heater and an internal chamber heater, is employ | adopted. Liquid-phase heating is obtained by simply supplying an electric signal to perform the preliminary heating described above, provided that the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is a heat generating element that forms bubbles.

거구로 전기·기계변화체를 소자로 하는 경우는, 액로 각각 또는 전체가열가능한 히터, 광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가열하면 좋다. 이 공정(ST2)에 의하면 잉크와 헤드내벽과의 유체저항에 의한 관성력은 감소하여 잉크의 초기 이동시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잉크토출용소자의 구동공정(ST3)이 흡인수단(또는/그리고 가압수단)을 구동하는 공정(ST4)과 거의 동시에 행해진다. 이는 흡인수단의 잉크 흡인개시에 동반하여 잉크자체의 이동개시를 즉시 또는 빠르게 하느 작용을 초래한다.In the case of using an electric / mechanical transformer as a large element, heating may be performed by using a heater or light energy capable of heating each of the liquid paths or the entire furnace. According to this step (ST2), the inertial force due to the fluid resistance between the ink and the head inner wall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load during the initial movement of the ink. Next, the driving step ST3 of the ink ejecting element is per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s the step ST4 of driving the suction means (or / and the pressurizing means). This accompanies the start of ink suction of the suction means, resulting in the action of immediately or rapidly starting the movement of the ink itself.

잉크흡인의 복수액로·토출구 각각의잉크흡인작용력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복효율도 향상되었던 것은 전술한 대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정(ST3,ST4)을 대략 동시에 행한다는 것은 종래의 흡인회복을 회복펌프의 대형화를 최래하는 일없이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전체에 균일한 흡인작용과 전체로서 우수한 회복효과를 얻어지는 것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하간 상술한 각 실시예는, 잉크의 관성력을 저하시켜 초기 잉크배출상태를 개선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ink suction action for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k suction and discharge ports can be made uniform, and the recovery efficiency is also impr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ST3 and ST4) are per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to obtain a uniform suction action and excellent recovery effect as a whole in a relatively short time in a conventional short time without causing the recovery pump to increase in size. It is all inclusive. In any case,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olves the conventional problem because the inertia force of the ink is reduced to improve the initial ink discharge state.

다음에, 제11도, 제12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토출에너지발생소자의 구동기간과 흡인 또는 가압용의 펌프 등을 이용하는 강제배출기간과를 병용하여 같이 실행하는 회복병용 기간을 갖는 회복모우드에 대하여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중에는 복수개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다.Next, by using FIG. 11 and FIG. 12, a recovery mode having a recovery combined period which is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the driving period of the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ced discharge period using a pump for suction or pressure. Another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lurality of inventions are included.

제11도는 횡측의 시간(T)을 취하고, 이를 공통으로 상방에 강제배출기간의 압력변화를 표시하는 종축의 압력(P)(정압)과 아래에 소자구동기간의 종축의 펄스전압 V를 표시하고 있다. PMAX는 강제배출기간중의최대압력으로 시간 T4에 있어서 발생되고 있다.Fig. 11 takes the time T on the lateral side and displays the pressure P of the vertical axis (static pressure) indicat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forced discharge period in common and the pulse voltage V of the vertical axis of the element driving period below. have. PMAX is generated at time T 4 at the maximum pressure during the forced discharge period.

이는 예를 들면 펌프의 1스트로우크중의 최대 압력발생시로서 들 수가 있다.This can be mentioned, for example, at the time of maximum pressure generation in one stroke of the pump.

P2는 최대압력(PMAX)의 50%의 압력치를, P1은 최대압력(PMAX)의 30%의 압력치를 각각 본 예에서는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압력 P1, P2를 표시하는 시간은 순서로, T2, T3이다. 압력(P1,P2)는 압력상승중과 압력하강중에 생기고 후자는 압력(P1) 발생시가 시간(T5)이다. 시간(T1)은 압력발생시, 시간(T6)은 압력소멸시이다. T0는 회복모우의 개시신소를 받은 시간이다.P2 denotes a pressure value of 50% of the maximum pressure PMAX, and P1 denotes a pressure value of 30% of the maximum pressure PMAX, respectively. The time for displaying these pressures P1 and P2 is T2 and T3 in order. The pressures P1 and P2 occur during the pressure rise and during the pressure drop, and the latter is the time T5 when the pressure P1 occurs. The time T 1 is when the pressure is generated, and the time T 6 is when the pressure is extinguished. T0 is the time when the recovery cow was initiated.

회복용의 전압(VP)의 펄스(PUL)는, 본 예에서는 시간(T3)으로부터 시간(T4)가지 사이에 복수개 입력되어 있다. 이 복수펄스(PUL)의 각각은 기록헤드의 모든 토출에너지 소자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입력되는 것이다. 본 예는 정압에서의 최대압력(PMAX)의 50%의 시점에서 최대압력(PMAX)으로 되기까지의 강제잉크배출기간중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소자구동펄스가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예에 의하면 압력상승중의 전반의 회복력을 대폭 그리고 도중에서 급격화하고 있으므로 초기회복력이 잉크의 관성력을지우기 위하여 상쇄되고마는 압력증가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취지로 부터 하면 시간(T2)이상, 즉, PMAX의 30%이상에서 소자구동펄스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 조건으로 된다. 물론 증가압력은, 발열소자에 의한 기포의 형성에 의한 편이 압전소자에 비하여 급격하므로 바람직하다. 제11도에 있어서 다시 예를 설명한다.In the present example, a plurality of pulses PUL of the recovery voltage V P are input between the time T3 and the time T4 branch. Each of the plurality of pulses PUL is input to all the discharge energy elements of the recording hea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In this example, at least one element driving pulse is supplied during the forced ink discharge period from 50% of the maximum pressure PMAX at the constant pressure to the maximum pressure PMAX.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xample, since the recovery force of the first half during the pressure increase is drastically and in the middle, the loss of the pressure increase that the initial recovery force is offset to erase the inertia force of the ink can be prevente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device driving pulse at a time T2 or more, that is, at least 30% of PMAX. Of course, the increased pressure is preferable because the formation of bubbles by the heat generating element is more rapid than that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again in FIG.

상기예는 압력(P)의 증가중에 소자구동펄스(PUL)를 입력하고 있으므로 총압력의 증가라는 회복력의 증대화는 압력(P)의 하강중에 소자구동펄스를 부가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보면 압력(P1)으로 되는 시간(T5)까지의 사이, 바람직하기는 시간(T6)까지의 압력(P)의 존지기간에 그 펄스를 부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In the above example, since the element driving pulse PUL is input while the pressure P is increased, an increase in the recovery force of increasing the total pressure can be achieved by adding the element driving pulse while the pressure P is falling.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desirable to add the pulse to the duration of the pressure P up to the time T5 which becomes the pressure P1, preferably up to the time T6.

다음에 강제배출기간의 종료시와 소자구동기간의 종료시를 검토하면, 강제배출의 압력 P는 감소하여 가므로 미량 압력에 의하여 잉크가 토출구근방에 약간 나온 것이 토출구표면에 남는 경우도 고려되므로 압력P가 소멸한 T6 이후의 소정기간, 즉 시간 T7까지 사이도 소자구동펄스(PUL)를 계속 공급하여 급격한 배출력으로 각 잉크로의 상태를 보다 개선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전술한 제18(e)도의 플로우 챠아트로 대회복, 즉 상기 병용회복기간을 갖는 회복모우드를 실행한 후 토출구표면을 클리닝하고 더욱 그후 공토출을 행하는 시퀀스는 이하의 이유로 바람직한 것이다. 즉, 대회복에서는 헤드내 기포묶음을 제거하는 목적이나 눈막힘의 원인을 토출구 외부로 배출하는 목적의 어느것에도 사용된다. 이때 토출구 외부에 나온 먼지가 고형물등의 필요없는 물질이 토출구 주변에 잔존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클리닝공정은 중요하다. 이 클리닝에 의하여 약간 토출구측으로 되돌려지는 미세한 필요없는 물질이 있다 하더라도 대회복으로 제거할 것까지는 없고 공토출의 토출력으로 확실히 그리고 토출구면에서 이탈시킬 수가 있기 때문이다.Next, at the end of the forced discharge period and at the end of the element driving period, the pressure P of the forced discharge decreases, so that a small amount of ink remaining on the discharge port surface due to the slight pressure is also conside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ment driving pulse PUL is continuously suppli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disappearance of T6, that is, until the time T7, to further improve the state of each ink with a sudden discharge force. By the way, a sequence of cleaning the discharge port surface after performing the recovery dress having the above-mentioned recovery mode having the above combined recovery period with the flow chart of FIG. 18 (e) is further preferred for the following reasons. In other words, the dressing gown is used for either the purpose of removing the bundle of bubbles in the head or the purpose of discharging the cause of the clogging outside the discharge port. At this time, the dust which appeared outside the discharge port may remain i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as unnecessary substance, such as a solid matter. The cleaning process is important to remove this efficiently. This is because even if there is a fine unnecessary material which is slightly returned to the discharge port side by this cleaning,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it by the dressing clothes, but it can be reliably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ort surface by the output of the air discharge.

더욱 강제배출기간의 개시시기와 소자구동기간의 개시시에 대하여 검토한다.Further, the start time of the forced discharge period and the start of the element driving period are examined.

회복처리의 초기에는 잉크와 잉크로벽 또는 잉크실벽과의 밀착상태에 의한 관성력이 존재하고 있고 회복압력을 강제배출의 펌프력에 의지하는 경우는 에너지손실이 크다.At the beginning of the recovery process, an inertial force exists due to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ink and the ink path wall or the ink chamber wall, and the energy loss is large when the recovery pressure is relied on the pump force of forced discharge.

이를 해결하는 예로서는 소자구동기간의 개시를 압력 P의 발생시 T1시에 작용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펌프력의 유효이용이 되므로 바람직하다.An example of solving this problem is to cause the start of the element driving period to act at the time T1 when the pressure P is generated. This is preferable because the pump force can be effectively used.

더욱 시간 T1에서 시간 T2에 이르는 사이에도 소자구동을 행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시간 T1 이전에 회복신호가 나오는 시간 T0 사이에 소자구동기간의 개시를 행하는 것은 강제배출전에 전토출구의 잉크유동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이렇게 선행한 소자구동기간의 개시로부터 상술의 병용회복기간중까지에 공급되는 소자구동펄스는 주기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최대 회복력을 얻기 위하여 시간(T4)의 시점에서 소자구동펄스가 인가될 것, 구체적으로 발열소자가 형성하는 기포는 최대 성장시를 일치시키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된다.Furthermore, it is more preferable to perform element driving even from time T1 to time T2. Further, starting the element driving period between the time T0 at which the recovery signal comes out before the time T1 is preferable because the ink flow state of all the discharge ports can be formed before the forced disch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vice drive pulses supplied from the above start of the device drive period to the above combined recovery period have a constant cycle.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recovery force, the device driving pulse is applied at the time T4.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ubbles formed by the heat generating device coincide with the maximum growth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11도에 관한 각 구성설명은, 각각을 임의로 조합시킨 것 모두가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respective configuration descriptions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FIG. 11 include all those in which the respective combinations are arbitrarily combined.

다음에 제12도에서 특별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예는 회복모우드로서 통상 회복모우드 통상 회복모우드와 전술의 회복병용모우드를 구비하고 이들을 전화시켜 실행하는 실시예중 특종한 것이다. 즉, 잉크수납부내에 잉크흡수체를 갖는 경우, 통상 음압변동범위가 -30mmHg 내지 -120mmHg로 되는 것이 많다. 이 경우 음압이 작은 경우 예를 들면 -50mmHg보다 작은 음압에서는 통상 회복만으로 충분한 것이 얻어졌다고 할 때, 상술의 대회복은 -50mmHg이상 -120mmHg이하의 음압의 범위만으로 행하면 잘된다.Next, a special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FIG. This example is a special example of an embodiment in which a recovery mode, which has a normal recovery mode and a recovery combined mode as described above, is executed by converting them. That is, when the ink absorber has an ink absorber, the negative pressure fluctuation range is usually in the range of -30 mmHg to -120 mmHg. In this case, when the sound pressure is small, for example, at a sound pressure smaller than -50 mmHg, a sufficient recovery is normally obtained, and the above-mentioned competition suit may be performed only in the range of sound pressure of -50 mmHg or more and -120 mmHg or less.

또 잉크의 사용량에 의하는 경우, 잉크사용량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대회복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항상 대회복을 행하는 것은 잉크손실로 되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전화를 행하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k used, it may be necessary to wear a dress when the amount of ink used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In such a case, it is a preferred embodiment to make the following telephone call because it is lost ink to always wear a dress.

제12도의 플로우챠아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으로 되는 소정치가 적산카운트 또는 잔검 등의 검지기구로 판별되는 (SM1)과 기준치보다 큰 경우(음압의 경우는 절대치를 취한다) 공토출만 또는 흡인만 등의 통상회복(SM3)을 행하고 기준치이상에서는 상술의 회복병용모드(SM2)를 선택하도록 설정하는 서브루우틴을 표시하고 있는 이 기준치로서는 먼저 설명한 │-50│mmHg를 들 수가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flow chart of FIG. 12 has only the air discharge or suction when the predetermined value as a referenc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SM1) determined by a detection mechanism such as an integrated count or a remnant gum (the absolute value is taken in the case of sound pressure). This reference value, which indicates a subroutine for performing normal recovery (SM3) such as 10,000 and setting the above-described recovery combined mode (SM2) to be selected above the reference value, may be exemplified above. It is not.

하여간 회복병용모우드를 필요에 따라 선택되도록 되는 방식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각종의 실시를 회복병용모우드중의 복수의 실행 프로세스로서 갖고 이들을 임의로 선택 사용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중에도 전술한 제 2 실시예는 바람직한 것으로 회복력을 최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큰 압력을 발생하는데는 대형화되고마는 튜브펌프나 컬러복수헤드의 회복기구 등에 대하여 절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manner in which the recovery combination mode is selected as necessary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various implementations described above as a plurality of execution processes in the recovery combination mode, and optionally uses them. Among these,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is preferable and maximizes the resilie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rt an absolute effect on a large-sized tube pump or a recovery mechanism of a color multiple head to generate a large pressure.

(7) 기타(7) other

더욱 본 발명은 특히 잉크제트기록방식중에도 캐논(주)가 제창하는 버블제트방식의 기록헤드, 기록장치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기록의 고밀도화, 고정세화가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brings about an excellent effect in a bubble jet type recording head and a recording apparatus which Canon Inc. advocates, especially in the ink jet recording method. This is because the density of the recording and the high definition can be achieved by this method.

그 대표적인 구성이나 원리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723,129호 명세서, 동 제4,740,796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기본적인 원리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은 소위 온디멘드형, 콘티뉴어스형의 어느 것에도 적용가능하지만, 특히 온디멘드형의 경우에는 액체(잉크)가 간직되어 있는 시트나 액로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전기열변환체에 기록정보에 대응하여 있고 핵비등을 초과하는 급속한 온도상승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전기열변환체에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기록헤드의 열작용면에 막비등을 생기게 하여 결과적으로 이 구동신호에 일대일로 대응한 액체(잉크) 내의 기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효하다.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representative structure and principle using the basic principles disclosed in, for example, US Pat. No. 4,723,129 and 4,740,796.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any of the so-called on-demand and continuous types, but in the case of the on-demand type, it is recorded in the electrothermal transducer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eet or liquid path in which the liquid (ink) is kept. By applying at least one dr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nd giving rapid temperature rise exceeding nuclear boiling, heat energy is generated in the electrothermal transducer, resulting in film boiling on the thermal working surface of the recording head. This is effective because bubbles in the liquid (ink) corresponding one to one can be formed.

이 기포의 성장, 수축에 의하여 토출용개구를 통하여 액체(잉크)를 토출시켜 적어도 하나의 방울을 형성한다. 이 구동신호를 펄스형상으로 하면, 즉시 적절히 기포의 성장수축이 행해지므로 특히 응답성에 우수한 액체(잉크)의 토출이 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다. 이 펄스형상의 구동신호로서는 미국특허 제4,463,359호 명세서, 동 제4,345,262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 적합하다. 더욱, 상기 열작용면의 온도상승율에 관한 발명의 미국특허 제4,313,12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조건을 채용하면 더욱 우수한 기록을 행할 수가 있다. 기록헤드의 구성으로서는 상술의 각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토출구, 액로, 전기열변화체의 조합구성(직선상액로 또는 직각액유로)외에 열작용부가 굴곡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개시하는 미국 특허 제4,558,33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459,600호 명세서를 사용한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전기열변환체에 대하여 공통하는 슬릿트를 전기열변환체의 토출부로 하는 구성을 개시하는 특개소 59-123670호 공보나 열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는 개공을 토출부에 대응시키는 구성을 개시하는 특개소 59-138461호 공보에 입각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는 유효하다. 즉, 기록헤드의 형태가 어떠하더라도 기록을 확실히 효율좋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As the bubble grows and contracts, at least one droplet is formed by discharging the liquid (ink)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When this drive signal is made into a pulse shape, since the growth and contraction of bubbles are performed immediately and appropriately, discharge of a liquid (ink) excellent in responsiveness is particularly achieved, which is more preferable. As the pulse-shaped driving signal, ones described in US Patent No. 4,463,359 and US Patent No. 4,345,262 are suitable. Further, better recording can be performed by employing the condition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US Pat. No. 4,313,124 of the invention relat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the heat acting surfac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recording head, a U.S. patent that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at acting portion is bent in addition to the combination configuration (straight liquid solution or right angle liquid flow path) of the discharge port, the liquid path, and the electric heat changer a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specifications. Configurations using the specification of 4,558,333 and US Pat. No. 4,459,600 a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123670, which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lit common to a plurality of electrothermal transducers is used as an ejecting portion of the electrothermal converting body, or a configuration in which openings absorbing pressure waves of thermal energy are corresponded to the ejecting portions Even if it is the structure based o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9-138461,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is effective. In other words, it is because recording can be surely performed efficiently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recording head.

더욱, 기록장치가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의 최대폭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풀라인타입의 기록헤드에 대하여도 본 발명은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 헤드로서는, 복수기록헤드의 조합에 의하여 그 길이를 만족시키는 구성이나, 일체적으로 형성된 1개의 기록헤드로서의 구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더하여 상례와 같은 시리얼 타입의 것도 장치본체에 고정된 기록헤드, 또는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장치본체의전기적인 접속이나 장치본체로부터의 잉크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교환자유로운 팁타임의 기록헤드를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ffectively applied to a full-line type recording hea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width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the recording apparatus can record. Such a recording head may be either a configuration which satisfies the length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cording heads or a configuration as one recording head which is formed integrally. In addition, the serial type of the same type as the conventional type is used in the recording head fix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or the exchangeable tip time recording head which enables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or supply of ink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which is mount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Even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또 탑재되는 기록헤드의 종류 내지 개수에 대하여도 예를 들면 단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1개만이 설치된 것외에 기록색이나 농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잉크에 대응하여 복수 개수 설치되는 것일지라도 좋다.The number or type of recording heads to be mounted may also be provided in a plural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nks different in recording color or density, in addition to only one in correspondence with a single color ink, for example.

더욱 더하여 본 발명 잉크제트기록장치의 형태로서는, 컴퓨터등의 정보처리기기의 화상 출력단말로서는 사용되는 것외에, 판독기능과 조합한 복사장치, 더욱 송수신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장치의 형태를 취하는 것일지라도 좋다.Furthermore, in the form of th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being used as an image output terminal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computer, it may take the form of a copying apparatus combined with a reading function and a facsimile apparatus having a transmitting / receiving function.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 또는 가압에 의한 강제배출동작과 토출에너지 발생소자의 구동에 의한 토출동작을 대략 동시에 행하도록 타이밍구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토출구내방의 기포를 간단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remove bubbles in the discharge port by performing timing driving so as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forced discharge operation by suction or pressurization and the discharge operation by driving the discharge energy generating element. .

또 흡인 또는 가압을 행하기 위한 펌프 등의 강제회복수단의 능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기록장치 본체의 소형화, 저비용화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capacity of the forced recovery means such as a pump for suction or pressurization is not required to be increased,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can be miniaturized and cost can be reduced.

Claims (9)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구에 대응하여 구비된 열 에너지 발생수단에 기록신호를 적용하고 그리고상기 열에너지 발생수단이 열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야기하여 기록을 위해 열에너지를 사용하므로서 상기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위한 회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에너지 발생수단을 구동하고 그리고 동시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강제 배출함으로서 상기 토출구가 회복되고 잉크는 상기 토출회복처리전에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의 회복방법.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hich applies a recording signal to a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ejection opening for ejecting the ink, and causes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heat energy, thereby ejecting ink from the ejection opening by using the heat energy for recording; A recovery method for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ischarge port is recovered by forcibly discharging ink from said discharge port and said ink is heated before said discharge recovery proc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에너지 발생수단은 발열소자로서, 상기 열에너지 발생수단을 구동하는 단계는 이 발열소자의 잉크에 기포를 형성하는 구동신로를 공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복방법.Th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is a heat generating element, and the driving of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is a step of supplying a drive path for forming bubbles to the ink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에너지 발생수단을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소자에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복수회의 잉크토출을 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복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iving of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comprises supplying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o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perform a plurality of ink ej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배출단계는 복수의 상기 토출구를 덮는 캡을 통하여 흡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ced discharging step is a step of sucking through a cap covering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구에 대응하여 구비된 열 에너지 발생수단에 기록신호를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열에너지 발생수단이 열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야기하여 기록을 위해 열에너지를 사용하므로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에너지 발생수단을 구동하고 그리고 동시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강제 배출함으로서 상기 토출구가 회복하기 위한 회복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 잉크 상기 토출회복처리전에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hich applies a recording signal to a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ejection opening for ejecting ink, and causes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heat energy, thereby ejecting ink from the ejecting opening by using the heat energy for recording; An ink jet comprising: a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discharge port by driving the thermal energy generating means and simultaneously forcibly discharging ink from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ink is heated before the discharge recovery process; Logg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수단은 상기 토출구를 덮는 캡을 통하여 흡인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흡인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열 에너지 발생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6.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ecovery means drives the suction pump through a cap covering the discharge port to perform the suction, and drives the plurality of thermal energy generating mea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에너지 발생수단은 발열소자로서, 상기 열 에너지 발생수단의 구동은 잉크에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발열소자에 구동신호롤 공급하기 위한 구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6.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is a heat generating element, and the driving of the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is a driving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roll to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form bubbles in in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수단은 상기 기포의 성장중에 상기 흡인을 개시하여, 상기 흡인시의 최대 흡인력을 상기 기포의 소포시에 작용시키는 타이밍 구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7.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covery means starts the suction during growth of the bubble, and performs timing driving to apply the maximum suction force at the time of the suction during defoaming of the bubb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수단은 상기 기포의 성장에 의한 잉크토출에 상기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7.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recovery means is a means for applying said suction force to ink ejection by growth of said bubble.
KR1019910005792A 1990-04-11 1991-04-11 Ink ejection recovering method and device in inkjet printer KR9600051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406 1990-04-11
JP9540690 1990-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183A KR910018183A (en) 1991-11-30
KR960005182B1 true KR960005182B1 (en) 1996-04-22

Family

ID=1413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792A KR960005182B1 (en) 1990-04-11 1991-04-11 Ink ejection recovering method and device in inkjet printer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0452119B1 (en)
KR (1) KR960005182B1 (en)
CN (1) CN1062515C (en)
AT (2) ATE194552T1 (en)
AU (2) AU7434291A (en)
CA (1) CA2040120C (en)
DE (2) DE69132320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28942T2 (en) * 1992-02-10 2000-11-30 Canon Kk Ink jet recording device
JP3159225B2 (en) * 1992-06-26 2001-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nk jet recording device
DE69307053T2 (en) * 1992-08-26 1997-04-17 Hewlett Packard Co Cover with a resilient lip for an inkjet printhead
EP0585888B1 (en) * 1992-09-01 1999-12-08 Canon Kabushiki Kaisha Position detection and fixing means for a carriage of a recording apparatus
EP0765752B1 (en) 1993-03-11 1999-08-18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3233175B2 (en) * 1993-03-11 2001-1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nk jet recording device
JP3253766B2 (en) * 1993-07-06 2002-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Recovery processing device for inkjet recording device
SG89302A1 (en) * 1993-12-10 2002-06-18 Seiko Epson Corp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5805180A (en) 1994-08-26 1998-09-08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hich performs suction recovery with a cap and method for same
JPH0957989A (en) * 1995-08-29 1997-03-04 Oki Data:Kk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878214B2 (en) * 1996-11-20 1999-04-05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Ink jet recording device
US6273546B1 (en) 1996-11-29 2001-08-14 Seiko Epson Corporation Capping unit having a decreased load during a peeling operation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406123B1 (en) * 1998-09-07 2002-06-18 Seiko Epson Corporation Capping unit for ink jet recording head incorporated i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063102A (en) 1999-08-24 2001-03-13 Canon Inc Method for recovering suction of ink jet recorder
EP1312479B1 (en) * 2000-08-11 2009-09-30 Canon Finetech Inc. Ink-jet recorder and method for cleaning restoring system
JP5451103B2 (en) * 2008-03-25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head recovery processing method
EP2566697B1 (en) * 2010-05-02 2020-12-09 Xjet Ltd. Printing system with self-purge, sediment prevention and fumes removal arrangements
CN110507173B (en) * 2018-05-21 2021-04-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Cooking appliance, control method thereof, control device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224836B2 (en) 2018-10-05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Recording device and recover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7227A (en)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US4330787A (en)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313124A (en)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DE3040055A1 (en) 1979-10-23 1981-05-14 Canon K.K., Tokyo INK PENS
US4558333A (en)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9123670A (en) 1982-12-28 1984-07-17 Canon Inc Ink jet head
JPS59138461A (en) 1983-01-28 1984-08-08 Canon Inc Liquid jet recording apparatus
DE3633239A1 (en) * 1985-10-01 1987-04-16 Canon Kk METHOD FOR OPERATING AN INK-JET RECORDING DEVICE AND INK-JET RECORDING DEVICE
IT1195151B (en) * 1986-09-05 1988-10-12 Olivetti & Co Spa Operation restoring appts. for ink jet printing nozzle
JP2659955B2 (en) 1987-05-27 1997-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Ink jet recording device
US4853717A (en) * 1987-10-23 1989-08-01 Hewlett-Packard Company Service station for ink-jet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34291A (en) 1991-10-17
AU676924B2 (en) 1997-03-27
AU7037094A (en) 1994-10-13
ATE194552T1 (en) 2000-07-15
DE69132320T2 (en) 2000-12-14
CA2040120C (en) 1996-03-26
DE69117559D1 (en) 1996-04-11
KR910018183A (en) 1991-11-30
EP0670223B1 (en) 2000-07-12
CN1062515C (en) 2001-02-28
ATE134932T1 (en) 1996-03-15
CN1057428A (en) 1992-01-01
CA2040120A1 (en) 1991-10-12
DE69132320D1 (en) 2000-08-17
EP0452119B1 (en) 1996-03-06
DE69117559T2 (en) 1996-09-05
EP0452119A3 (en) 1991-12-27
EP0452119A2 (en) 1991-10-16
EP0670223A2 (en) 1995-09-06
EP0670223A3 (en) 199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182B1 (en) Ink ejection recovering method and device in inkjet printer
JP2831804B2 (en) Recovery method for inkjet recording device
JP2705995B2 (en) Ink jet recording device
US20030007049A1 (en) Ink jet head having buffer tank in fluid communication with ink circulation pathway
EP1616702B1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with liquid wiper device
EP1354707B1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JP7250467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6145956A (en) Discharge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k jet recording head
JP5668467B2 (en) Liquid ejector
JPH1120187A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H07101081A (en) Ink jet recording device
JP3067829B2 (en) Recovery method for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0120249A (en) Recorder
JP2004262116A (en) Ink jet recorder
JP20030018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enance, and ink jet printer using the same
JP2005081594A (en) Liquid ejector
JP3970964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2002036577A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773969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ejection recovery apparatus for the apparatus
JP2005111686A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675909B2 (en) Ink jet recording device
JP4717365B2 (en) Discharge device
JP2002036576A (en) Liquid jet device and head cleaning method therein
JP2004167913A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H05293967A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