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52Y1 - 감압 역지 밸브 - Google Patents

감압 역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52Y1
KR960004552Y1 KR2019930016273U KR930016273U KR960004552Y1 KR 960004552 Y1 KR960004552 Y1 KR 960004552Y1 KR 2019930016273 U KR2019930016273 U KR 2019930016273U KR 930016273 U KR930016273 U KR 930016273U KR 960004552 Y1 KR960004552 Y1 KR 960004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reducing
check valve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784U (ko
Inventor
이상만
이제혁
Original Assignee
이상만
이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만, 이제혁 filed Critical 이상만
Priority to KR2019930016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52Y1/ko
Publication of KR950006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4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mechanically actuated, e.g. by screw-spindle or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감압 역지 밸브
제1도는 본 고안 감압 역지 밸브의 반단면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감압 역지 밸브의 조립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감압 역지 밸브의 다른 구성 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카바
3 : 감압 역지부 4 : 다이어 프램
5 : 조정부 7 : 바란서
9 : 스템 12 : 케이트 러버
14 : 조정나사 15 : 조정 스프링
18 : 압력링 21 : 연결나사부
23 : 조정 나사부 71 : 삽입부
74 : 디스크 91 : 헤드부
104 : 게이트
본 고안은 감압 역지 밸브, 더욱 상세히는 상수관으로부터 가정등으로 공급되는 지관의 계량기 근접 또는 보일러, 샤워기, 세탁기등에 부착되어, 상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함과 동시에 상수 및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 것으로, 특히 누수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원으로부터 상수관을 따라 공급되는 상수는 사용 위치의 고저, 상수원으로 부터 거리 또는 다른 수용자의 사용여부등에 의해 수압이 수시로 변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 방안으로서 감압 역지 밸브의 사용이 요구되며, 이 경우 상수의 토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역류가 방지되어 물이 오염되지 않으며 전체 수용자가 거의 균일한 수압의 상수를 깨끗이 이용할 수 있음은 주지의 같다.
즉, 상수원의 공급압력은 거리상 가까운곳, 낮은 위치일 수록 높아지고, 거리가 멀거나 높은 위치의 경우에는 송출 압력 저하에 기인하여 수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예를들어 냉, 온수를 혼합하여 샤워기를 사용할 때에는 상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냉수의 높은 압력에 의해 온수가 역류하게 되므로 냉수만 토출되거나, 또는 냉수의 압력이 너무 낮아 온수만이 토출되는 사용상의 큰 불편이 있다.
따라서, 감압 역지 밸브는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사용 위치의 고저 및 거리의 장단에 따른 수압 차이를 일정하게, 전체적인 송출 압력이 낮을 경우 개방된 밸브를 통한 상수 또는 공기의 역류를 막아 송물이 오염을 방지하게 되며, 통상 각 가정등으로 유입되는 계량기의 근접 위치에 설치 사용하고 있으나, 가정내에서 사용되는 분지관등에는 설치할 경우 더욱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종래의 감압 역지 밸브는 다양한 형태, 구성의 것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외형 규격은 커짐에 반하여 감압 역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함은 물론, 사용중 각 연결 부위로의 누수 발생 우려가 높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각 연결부위 특히 본체와 카바의 체결 부위 사이로의 누수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감압 역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작동 신뢰성을 대촉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감압 역지 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감압 역지 밸브(V)는 제1도에서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를 복개하는 카바(2)와, 상기 본체(1)내에서 수압에 따라 승강 개폐작동되도록 탄력 설치된 감압 역지부(3)와, 상기 본체(1)와 이미 카바(2)사이에 압박되도록 감압역지부(3)에 고정 설치되는 다이어 프램(diaphragm : 4)과, 상기 갑압 역지부(3)의 작동 압력을 조정하도록 카바(2)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는 조정부(5)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그 일측에 상수관(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상수를 도입하는 입구(101)가 형성되고, 본체(1) 내측의 압력실(102)에는 그 상부에 지지구멍(103) 및 게이트(104)를 보유하는 지지부(105)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입구(101)의 타측과 게이트(104)의 수직하부에는 도입된 상수를 토출 안내하는 출구(106, 106')가 T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의 상단 외주면에는 체결 나사부(107)가 형성되어 카바(2)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 나사부(21)가 패킹(6a)과 함께 체결 고정되며, 카바(2) 상부의 조정관(22) 내면에는 조정 나사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압 역지부(3)는, 상기 지지구멍(103) 내부에 기밀 유지되도록 패킹(6b)과 함께 설치되는 삽입부(71)가 형성되고 그 내부의 안내구멍(72) 상부에는 나사부(73)를 형성시킨 바란서(7)와, 상기 안내구멍(72)내에 스프링(8)과 함께 수납설치되고 그 상부에 헤드부(91)가, 형성된 스템(9)과, 상기 나사부(73)에 패킹(6c)과 함께 채결 고정되며 그 하단에 헤드부(91)의 회동 방지 및 승강 안내하도록 작동홈(10a)을 형성시킨 스템볼트(10)와, 상기 스템(9)의 하단에 본체(1)의 게이트(104)를 개폐시키도록 차례로 체결 고정시킨 와셔(11), 게이트 러버(12) 및 게이트 볼트(13)로 이루어 진다.
상기 다이어 프램(4)은, 그 주연부에 압박부(41)가 형성되어 본체(1)와 카바(2) 사이에 패킹(6a)과 함께 압박 체결 고정되며, 그 중심부에는 스템(9)이 관통하는 고정부(42)가 형성되어 바란서(7)의 상면과 스템볼트(10)의 고정판(10b) 사이에 압박 고정된다.
한편, 상기 조정부(5)는, 상기 카바(2)의 고정 나사부(23)에 체결 고정되도록 조정홈(14a)이 형성되고 그 하단과 중앙에는 안착부(14b)와 체결구멍(14c)을 형성시킨 조정나사(14)와, 상기 안착부(14b)와 스템볼트(10) 상단의 고정판(10b)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조정스프링(15)과, 상기 카바(2)의 조정관(22) 상단에 복개설치되며 그 중앙에 관통공(16a)을 형성시킨 캡(16)과, 상기 캡(16)의 관통공(16a)을 통해 조정나사(14)의 체결구멍(14c)에 체결되는 봉인 볼트(17)로 이루어 진다.
제3도는 본 고안 감압 역지 밸브(V)의 다른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여기서는 본체(1)의 출구(106)를 게이트(104)의 하부에 L형으로 형성시키고, 감압 역지부(3)의 바란서(7)는 그 주연부에 압력링(18)을 보유하는 디스크(74)를 연장형성하여 압력실(104)내에 기밀 유지되도록 삽입 설치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a, 17a)는 봉인 구멍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감압 역지 밸브(V)는 , 제2도에서와 같이 본체(1)의 입구(101)를 통해 상수관으로부터 도입되는 상수가 그 송출압력에 의해 게이트(104)를 통해 출구(106, 106')로 안내된다.
이때 지지부(105)내에 가해지는 상수의 압력은 게이트(104)는 물론 그 상부의 지지구멍(103)에 삽입된 바란서(7)의 삽입부(71)하단에도 동일한 크기로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바란서(7)는 본체(1)의 압력실(102)상부로 약간 상승된 상태가 된다.
또한 게이트(104)로 배출되는 상수의 수압은 스텝(9) 하단의 게이트러버(12)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스템(9)은 스템볼트(10)의 작동홈(10a) 내에서 스프링(8)을 압축시키며 하향 이동된 상태, 즉 게이트(104)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구(101)로 도입되는 상수의 수압이 증가할 경우, 바란서(7)는 수압에 의해 조정스프링(15)을 압축시키면서 더욱 상승되므로 게이트(104)는 게이트 러버(12)에 의해 점차 폐쇄되어 일정한 수압을 유지시키게 되고, 반대로 수압이 낮아질 경우 바란서(7)는 조정 스프링(15)의 복귀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게이트(104)는 최대 개방된 상태가 되어 결국, 입구(101)측의 압력 변화에도 불구하고 출구(106, 106')측의 수압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한 작동은 입구(101)측의 수압이 출구(106, 106')측의 수압보다 낮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상수 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즉, 출구(106,106')측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 이 압력은 압력실(102)을 통해 다이어 프램(4)측과 게이트 (104)측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바란서(7)는 그 압력에 의해 상향 이동됨과 동시에, 게이트 러버(12)에 대한 하향 압력이 해지되어 스템(9)이 스프링(8)의 복귀력에 의해 스템볼트(10)의 작동홈(10a) 상부로 상승되므로, 게이트(104)는 게이트 러버(12)에 의해 적극적으로 폐쇄되어 상수 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감압 역지부(3)의 수압에 따른 작동 조정은 우선, 봉인 볼트(17)와 캡(16)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조정나사(14)의 조정홈(14a)을 드라이버등의 공구로서 좌우로 돌려주면, 조정나사(14)는 조정나사부(23)를 따라 승강하면서 조정 스프링(14)을 압축 또는 이완시키게 되어 바란서(7)에 대한 압력 증감을 조정하게 된다.
또한 조정 완료후에는 조정관(22)의 상부를 캡(16)으로 복개시킨뒤 봉인볼트(17)를 캡(16)의 관통공(16a)을 통해 조정나사(14)의 체결구멍(14c)에 견고히 체결시키게 되며, 이후 봉인볼트(17)의 봉인구멍(17a)과 카바(2)의 봉인 구멍(2a) 사이에는 봉인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결박 고정시키게 되므로 조정 상태의 임의 해지 우려는 배제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란서(7)와 스템(9)의 연관작동에 의해 감압역지를 수행할때에 상수가 본체(1)와 카바(2)의 체결부위 등으로 누설되는 것은 다이어 프램(4)이 적극 방지하게 되는데, 바란서(7)의 안내구멍(72)과 스템(9)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는 상수는 바란서(7)와 스템볼트(10)의 고정판(10b) 사이에 압박된 패킹(6c)과 다이어프램(4)의 고정부(42)에 의해 방지되며, 본체(1)의 체결 나사부(107)와 카바(2)의 연결 나사부(21) 사이에는 패킹(6a)과 다이어 프램(4)의 압박부(41)가 압박고정되므로, 상수의 누수 우려는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특히 제3도에서와 같이, 바란서(7)의 주연부에 디스크(74)를 형성하여 압력실(102)과의 사이에 압력링(18)으로 수밀 설치할 경우 더욱 상승된 누수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감압 역지 밸브(V)는 수압에 따라 바란서(7)와 스템(9)이 조정 스프링(15)과 스프링(8)에 의해 상호 유기적으로 관련 작동하여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역류를 방지하게 되므로 작동 신뢰성이 대폭 향상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다이어 프램(4)과 바란서(7) 주연부의 디스크(74)에 의해 수압에 의한 상수의 누수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1)와 카바(2), 감압 역지부(3) 및 조정부(4)로 구성된 감압 역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체결 나사부(107)와 카바(2)의 연결 나사부(21) 사이에 압박 고정되도록 압박부(41)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감압 역지부(3)를 구비하는 바란서(7)와 스템볼트(10) 사이에 압박되는 고정부(42)를 형성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다이어 프램(4)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역지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역지부(3)의 바란서(7) 외주연에, 본체(1)의 압력실(102)내에 기밀 유지도록 압력링(18)을 보유하는 디스크(74)를 일체로 연장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역지 밸브.
KR2019930016273U 1993-08-21 1993-08-21 감압 역지 밸브 KR960004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273U KR960004552Y1 (ko) 1993-08-21 1993-08-21 감압 역지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273U KR960004552Y1 (ko) 1993-08-21 1993-08-21 감압 역지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84U KR950006784U (ko) 1995-03-21
KR960004552Y1 true KR960004552Y1 (ko) 1996-06-03

Family

ID=1936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273U KR960004552Y1 (ko) 1993-08-21 1993-08-21 감압 역지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84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5114A (en) Spray head for a sink faucet or the like
US3536294A (en) Foot-operated control valve attachment device for water faucets
US4577653A (en) Anti-siphon and anti-knock diverter valve
US4662395A (en) Pressurized liquid flushing valve arrangement with a shut-off sleeve
USRE32981E (en) Anti-siphon and anti-knock diverter valve
KR960004552Y1 (ko) 감압 역지 밸브
CA1301017C (en) Valve seat configuration
EP0303816A2 (en) Valve spindle
US5228647A (en) Automatic opening, dosing and closing valve
US2757687A (en) Single valve mixing faucet
KR960007357B1 (ko) 감압 역지 밸브
US6187186B1 (en) Device for introducing substances into water
KR20030017925A (ko) 자폐식 수도전
GB2156496A (en) Fluid pressure governor
US5360029A (en) Vacuum breaker
KR200236048Y1 (ko) 고정부재가 구비된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CA2022585A1 (en) Safety device for a sanitary fitting
KR200235719Y1 (ko) 맥동방지기능이 구비된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36050Y1 (ko)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50135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392376Y1 (ko) 감압밸브
WO1995000784A1 (en) Reduced pressure zone backflow prevention valve
JPH0438139Y2 (ko)
KR100415078B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950009978Y1 (ko) 샤워기 원터치 개폐식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