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052Y1 - 등반장비 휴대용 벨트 - Google Patents

등반장비 휴대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052Y1
KR960004052Y1 KR2019930016924U KR930016924U KR960004052Y1 KR 960004052 Y1 KR960004052 Y1 KR 960004052Y1 KR 2019930016924 U KR2019930016924 U KR 2019930016924U KR 930016924 U KR930016924 U KR 930016924U KR 960004052 Y1 KR960004052 Y1 KR 960004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climbing
band
hang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719U (ko
Inventor
장동수
Original Assignee
장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수 filed Critical 장동수
Priority to KR2019930016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052Y1/ko
Publication of KR950005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등반장비 휴대용 벨트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장비걸이가 인체에 위치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제3도는 상기 장비걸이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일측면도.
제4도는 상기 장비걸이를 다른 수단으로 실시한 상태를 예시한 측면예시도.
제5도는 상기 장비걸이를 또 다른 수단으로 실시한 상태를 예시한 일부측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깨멜빵 2 : 등밴드
3 : 가슴밴드 4 : 허리밴드
5 : 벨크로테이프 6 : 장비걸이밴드
7 : 장비걸이 7a : 유동방지편
7b : 밴드고정걸이
본 고안은 등반, 낚시, 암벽타기 준비물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는 등반장비 휴대용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외부에 휴대하는 장비를 휴대한채, 도보에 의한 등산이나 하산할때, 활동에 장애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암벽타기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그때 필요한 여러가지의 장비를 휴대하게 되는데, 이때의 장비로는 등산배낭외에 인체 외부에 매달아서 휴대하는쟈일을 비롯한 록 해머나 아이스해머, 렌턴등의 여러가지 장비를 휴대하게 되며, 이때 휴대하는 장비는 암벽타기 장비를 기준으로 할때 약 50킬로그램 내지 60킬로그램에 달하는 많은 장비를 휴대한채 도보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에 휴대하는 많은 장비들을 허리벨트의 둘레에 매달아서 이동을 하기 때문에, 도보중에 휴대한 장비가 발걸음을 옮길때마다 흔들리면서 활동을 방해하게 되어, 가뜩이나 힘든 상황을 더욱 가중시켜서, 심한 경우에는 등산중이거나 하산중일때 넘어져서 다치게 하거나, 추락사고까지 유발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배낭에 휴대하는 장비 이외에, 인체에 휴대하는 장비가 활동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 양쪽 겨드랑이 밑으로 장비를 분할해서 휴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로써, 좌, 우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멜빵(1)을 형성하여 그 전면과, 배면에 등밴드(2)와, 가슴밴드(3)를 봉착하고, 그 하단에는, 벨크로테이프(5)를 가진 허리벨트(4)를 봉착하여, 장비걸이(7)를 결합구성한다.
이때의 어깨멜빵(1)은, 신축성이 없는 견고한 직물지나 가죽,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등밴드(2)를 비롯한 가슴밴드(3)와, 허리벨트(4)는, 신축성 없는 재질로 형성해도 상관은 없으나, 가능하면, 후리싸이즈로 생산공급 하고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다소의 신축성을 가진 통상의 스판을 부분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의 허리벨트(4)는, 버클이나 벨크파이프(5)를 갖게하여, 쉽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봉착형성한 어깨멜빵(1)의 양옆에는, 첨부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강선철사를 절곡한 양단부의 밴드고정고리(7b)와, 유동방지편(7a)을 가진 장비걸이(7)를 형성하여, 장비걸이밴드(6)로 봉착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때의 장비걸이(7)는, 강선이외에 FRP나, PP등의 재질로 한 합성수지재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5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여러편의 유동방지편(7a)과, 이로 인한 장비걸이부(7')를 가진 장비걸이(7)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실시의 경우이건간에 인체구조학상 장비걸이(7)가 양쪽의 겨드랑이 밑에 양호하게 밀착되게 하기 위해서는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평면이나 저면에서 볼때, 다소 만곡지게 형성하여 여러가지 장비를 걸어매서 도보등산 및 하산하는 중에, 그 장비가 인체전면이나 배면으로부터 부딪침이 없게 하여 활동장애를 받지 않게 결합구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상의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머리위에서부터 내려서 착용한다.
착용하는 중에, 양쪽 두 팔은, 양쪽 어깨멜빵(1)과 장비걸이(7) 사이로 빼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등밴드(2)는, 등에 밀착되며, 가슴밴드(3)는, 경우에 따라 가슴과 일치하거나 혹은 복부에 밀착돼서 착용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통상의 허리띠를 매듯이 선단양쪽의 허리벨트(4)를 잡아당겨서 대향상태에 있는 벨크로테이프(5)를 접합시키게 되면 착용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하고자하는 장비들을 양쪽으로 무게분배하여 장비걸이(7)에 걸게되면, 걸려진 장비는 겨드랑이 아래에 위치한 양쪽으로 분배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도보할 때 흔들림이 덜하게 되는 한편, 도보하면서 전후로 유동하는 인체와는 스치듯이 약간의 마찰만 있을뿐, 유동하는 인체의 전면과 배면으로 부딪히지 않기 때문에 장애를 주지않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배면쪽의 " X " 자형 내지 " - " 자형 등밴드(2)와, 전면쪽 가슴밴드(3)에도 장비를 걸어 매달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등밴드(2)나 가슴밴드(3)에 장비를 걸어매달더라도 최소한 종래 휴대방법이나 그 위치보다는 상측에 매달아서 휴대할 수 있으므로 중량을 가볍게 해서 휴대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장비를 양쪽 겨드랑이 밑부분쪽으로 분배한 상태로 장비를 운반하기 때문에, 양팔을 고의적으로 들어올리지 않는한 매달려 있는 장비가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활동장애를 유발시키지 않게 되며, 또 무게가 허리윗쪽으로 실리기 때문에 같은 무게라도 가볍고 쉽게 휴대한채 이동할 수 있으므로, 등산이나 하산할 때 많은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장비를 휴대한채 몸을 앞으로 숙이더라도 장비걸이에 걸려있는 장비들은 돌출형성돼있는 유동방지편(7a)에 의해 앞으로나 뒤로 흘러내리지를 않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등산하거나 하산할때 접하는 위험은 험로상에서 발이 미끄러지는 문제가 발생할때에는 신속하게 방어하거나 대처할 수 있으므로 등산 암벽등에서의 추락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양쪽의 어깨멜빵(1)을 형성하여, 등밴드(2)와, 가슴밴드(3)를 형성하고, 선단 양쪽에 벨크로테이프(5)를 가진 허리벨트(4)를 형성하여 봉착하며, 양측상부로 돌출된 유동방지편(7a)와 밴드고정고리(7b)를 가진 두개의 장비걸이밴(6)를 형성하여, 그 양단부를 장비걸이밴드(6)로 상기 양쪽의 어깨멜빵(1)에 봉착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반장비 휴대용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장비걸이(7)는, 등밴드(2)를 비롯한 가슴밴드(3)와, 허리벨트(4)의 구성에 관계없이 상기의 어깨멜빵(1) 양쪽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반장비 휴대용벨트.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장비걸이(1)는, 철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양단부에는 장공내지 다공형성한 밴드고정고리(7b)를 형성하여 두개이상의 유동방지편(7a)을 형성하거나 요철형으로한 유동방지편(7a)과, 장비걸이부(7')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반장비 휴대용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장비걸이(7)는, 평면 내지 저면상으로 관찰할때, 직선형으로 형성하거나, 인체와 밀착되도록 만곡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반장비 휴대용벨트.
KR2019930016924U 1993-08-30 1993-08-30 등반장비 휴대용 벨트 KR960004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924U KR960004052Y1 (ko) 1993-08-30 1993-08-30 등반장비 휴대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924U KR960004052Y1 (ko) 1993-08-30 1993-08-30 등반장비 휴대용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19U KR950005719U (ko) 1995-03-20
KR960004052Y1 true KR960004052Y1 (ko) 1996-05-21

Family

ID=1936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924U KR960004052Y1 (ko) 1993-08-30 1993-08-30 등반장비 휴대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0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19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339B1 (en) Baby carrier used for holding baby in both face-to-face and forward-facing manners
US3973643A (en) Detachable harness for fireman's coat and the like
US5934533A (en) Apparatus for releasably carrying recreational equipment
US5941438A (en) Utility belt
US4490855A (en) Knee pad
US6095093A (en) Animal leash assembly
US4177877A (en) Safety vest
US5964386A (en) Detachable accessory holder
US2613953A (en) Monowheel vehicle harness
US5333768A (en) Adjustable chest pouch
US6393619B1 (en) Anklet for encircling an ankle of a child and engaging a foot covering so as to prevent loss of the foot covering
US3401857A (en) Body encircling belt with fish carrier means
US9138042B2 (en) Articulable shoulder strap
CN102469869B (zh) 儿童载具
US4202343A (en) Jogger's brassiere
US4632217A (en) Automatically adjustable climbing harness
US6375056B1 (en) Over the shoulder holster belt
US4593416A (en) Knee pad
CA2401816C (en) Removable and repositionable pocket assembly for golf bags
US20090283561A1 (en) Anti-slip apparatus
CA2143921A1 (en) Neck protecting device
KR960004052Y1 (ko) 등반장비 휴대용 벨트
US4292687A (en) Protective shoulder pad construction
US7353546B2 (en) Sports apparatus for securing the position of protective pads
US5657514A (en) Angle fit belt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