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829Y1 -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829Y1
KR960003829Y1 KR2019930026862U KR930026862U KR960003829Y1 KR 960003829 Y1 KR960003829 Y1 KR 960003829Y1 KR 2019930026862 U KR2019930026862 U KR 2019930026862U KR 930026862 U KR930026862 U KR 930026862U KR 960003829 Y1 KR960003829 Y1 KR 960003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ing
leakage
detecto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756U (ko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두산기술원 연구조합
성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기술원 연구조합, 성우경 filed Critical 두산기술원 연구조합
Priority to KR2019930026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829Y1/ko
Publication of KR950019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에 따른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누출감지공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관 파이프 2 : 이음부
3 : 접속관 4 : 감지기
5 : 케이블 7 : 모니터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관 파이프들이 상호 연결되는 이음부상에 누출액을 모으는 접속관을 설치시켜 이 접속관을 통해 유출되는 누출액을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형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배관의 누출감지 장치는 감지하고자 하는 부위에 전극판을 노선형식으로 길게 형성시켜 배관 파이프의 하단에 부착시키거나, 혹은 배관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보온재사이에 설치하여 배관 파이프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누출감지장치는 시공하기가 어려우며, 누출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감지선을 설치하지 못하거나 배관 파이프상에 진동이 심할 경우에는 누출액이 감지선외로 누출되어 배관 파이프의 누출을 제대로 감지할 수 없었고, 배관 파이프를 보온재로 보호하여야 할 경우에는 유지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 설치장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요구되는 감지선의 길이가 보통 30m이며 이에 따라 모니터상에 배관 파이프의 누출이 감지되더라도 정확한 감지포인트를 찾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배관누출감지장치를 분석한 결과 배관 파이프내의 액체가 누출될 때는 대부분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이음부, 즉 파이프와 파이프가 접속되는 커플러나 용접부 및 부식되기 쉬운 부분에서 발생하였으며, 배관 파이프의 몸체상에 감지선을 설치시키는 것은 거의 무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분석결과와 같이 배관 파이프 연결부상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누출액을 한 곳으로 집중시켜 아주 소량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이를 원거리에서 감지할 수 있는 배관 누출 원격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특징은 누출액을 모으는 콘형의 접속관과, 모아진 누출액을 통하여 전압변화를 유도하므로서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전압변화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변환기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받아 모니터상에서 이미지화시키는 모니터로 구성됨에 있으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에 따른 누출 감지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누출감지공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면에서 부호 1은 배관 파이프, 2는 이음부, 3은 접속관, 4는 감지기, 5는 케이블, 7은 모니터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누출감지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액체를 유송하는 배관 파이프(1)를 연결시키는 이음부(2)상의 중력방향측에 접속관(3)을 설치시켰다. 상기 접속관(3)은 외면상에서 누출액이 흘러 내리는 가이드 유면(3c)을 구비하고 있으며, 주로 이음부(2)의 양측부에서 이루어지는 소량의 누출액이라도 이를 한곳으로 모을 수 있도록 상부(3a)보다 적은 하부(3b)를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관(3)이 원뿔형 또는 콘형으로 형성되어 누출액을 상기 하부(3B)로 집중시켜 준다.
감지기(4)는 중력방향으로 누출액을 집중시키는 상기 접속관(3)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낙하되는 누출액을 수용하도록 일정공간으로 이격되며, 자계를 이루도록 한쌍의 극판(4a, 4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극판(4a, 4b)에는 콘덴서브릿지(8)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극판(4a, 4b)상에서 통과하는 누출액으로 인한 자계의 변화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되면 상기 감지기(4)가 그에 상응하는 전압변화를 유도시킨다.
상기 전압변화는 누출정보에 관계되는 신호로서 사용자에게 정보판별이 이루어지도록 A/D 변환기(6)를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전환되며, 이 신호가 케이블(5)을 통하여 원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7)로 전송된다. 상기 모니터(7)와 A/D 변환기(6)는 누출액으로 인한 전압변화의 신호를 가시화시켜 감시자에게 누출액 판벽을 제공하는데 이는 종래 유용한 모니터를 응용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접속관(3)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상에서 가이드 유면(3c)이 누출액을 상기 접속관(3)의 내면을 통하여 흘러 내리도록 하고, 하부(3b)를 이음부(2)의 양측부는 물론 어느 일측에서 이루어지는 소량의 누출액이라도 이를 한곳으로 모을 수 있도록 상부(3a)보다 적게 개구시키는 변형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서 액체가 유동하는 수평한 배관 파이프(1)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이음부(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을 경우, 본 고안에 의한 접속관(3)은 상기 파이프(1)의 하측에 설치하며, 상기 이음부(2)의 양측부에서 이루어지는 누출액은 상부(3a)를 지나 가이드 유면(3b)을 타고 흘러 내려 하부(3c)에서 집중되고 이 집중된 누출액은 즉시 작은 방울을 이루어 떨어지면서 전원에 의해 일정한 자계를 형성하고 있는 감지기(4)의 양 극판(4a, 4b) 사이를 통과한다.
이 순간, 양 극판(4a, 4b)에는 정전용량이 변화되어, 이를 콘덴서브릿지를 통해 전압변화가 유도된다. 이와 같은 감지기(4)의 전압변화의 정보는 A/D 변환기(6)에서 디지탈 신호로 전환되어 케이블(5)를 통하여 모니터(7)로 전송되어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누출유무를 판별케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3)과 감지기(4)는 요구되는 여러 장소의 각 배관 파이프(1)의 이음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감지기(4)는 각각 A/D 변환기(6)를 거쳐 케이블(5)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7)에 연결되어 종래와 같이 사용자에게 각각의 누출위치에 해당하는 누출정보판별을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배관누출 감지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출액을 모으는 접속관(3)에 다른 변형을 갖을 수 있다.
즉, 배관 파이프와 그 연결부 및 배관 파이프 설치장소가 진동이 심한 경우에는 누출액이 배관 파이프(1) 하측에 설치된 접속관(3)에서 멀리까지 튕겨 예측하지 못한 장소로 튀겨지기 때문에 누출이 예상되는 심한 진동의 파이프(1)의 이음부(2)를 포함하도록 상기 이음부(2)의 외부상에 접속관(3)을 설치시키므로서, 파이프(1)의 누출액이 가이드 유면(3c)을 따라 흘러 내려 개구된 하부(3b)에서 가장 집중됨과 동시에 방울을 이루며 감지기(4)의 양 극판(4a, 4b) 사이로 낙하되도록 하며, 누출액의 극판통과에 의해 정전용량변화에 이어 전압변화를 일으키는 감지기(4)와 상기 전압변화를 디지탈 신호로 전환시키는 A/D 변환기(6) 및 전환된 누출 신호를 케이블(5)에 전송하여 누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가시화시키는 모니터(7)를 통하여 원거리에서 배관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된 것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배관 파이프(1) 및 이음부(2) 주위에 물기나 습기 및 빗물등이 쉽게 접촉될 경우에는 상기 접속관(2)의 외측에 커버등을 부착시키므로서 다른 요소에 의해 감지기(4)와 A/D 변환기(6) 및 모니터(7)상에서 이음부(2)의 누출로 혼동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누출 감지장치는 접속관(2)에 의하여 배관 파이프(1)의 이음부(2)의 양측부는 물론 어느 일측에서 이루어지는 소량의 누출액이라도 이를 한 곳으로 집중시키므로서 감지기(4)를 통하여 신속하게 누출유무를 모니터(7)에 표시하여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진동이 심하고 습기가 많은 장소의 배관 파이프(1)상에도 적합하게 설치시켜 정확한 누출부위를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판별하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배관 파이프(1)상의 누출을 원거리에서 판별시키는 배관 파이프 누출 감지장치에 있어서, 누출액을 모으는 접속관(3)과, 상기 모아진 누출액이 양 극판(4a, 4b)을 통과하면 콘덴서브릿지(8)에 의한 전압변화가 일어나도록 형성된 감지기(4)와, 상기 전압변화를 디지탈 신호로 전환시키는 A/D 변환기(6)와, 상기 전환된 신호를 케이블(5)을 통하여 전송받아 누출정보를 이미지화시키는 모니터(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누출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3)이 외면상에서 상기 배관 파이프(1)의 이음부(2)에 장착되는 상부(3a)와 상기 상부(3a)를 지나 누출액을 중앙으로 집중시키는 가이드 유면(3c)과, 상기 상부(3a)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며 집중된 누출액을 감지기(4)로 안내하는 하부(3b)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콘형을 이루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누출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3)이 내면상에서 상기 배관 파이프(1)의 이음부(2)에 장착되는 상부(3d)와 상기 상부(3d)를 지나 누출액을 중앙으로 집중시키는 가이드 유면(3f)과, 상기 상부(3d)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며 집중된 누출액을 감지기(4)로 안내하도록 개구된 하부(3e)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콘형을 이루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누출 감지장치.
KR2019930026862U 1993-12-08 1993-12-08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 KR960003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862U KR960003829Y1 (ko) 1993-12-08 1993-12-08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862U KR960003829Y1 (ko) 1993-12-08 1993-12-08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756U KR950019756U (ko) 1995-07-24
KR960003829Y1 true KR960003829Y1 (ko) 1996-05-09

Family

ID=1937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862U KR960003829Y1 (ko) 1993-12-08 1993-12-08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8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756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507B1 (ko) 음향/압력 복합센서를 구비한 상수도관용 누수감지장치
FR2805042B1 (fr) Procede et dispositif non intrusif pour caracteriser les perturbations d'ecoulement d'un fluide a l'interieur d'une canalisation
US20110146405A1 (en)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Probe With Bottoming Indicator
KR101185368B1 (ko) 누수음 발생 및 발생지점의 방향 체크가 가능한 누수탐지장치
KR960003829Y1 (ko) 배관 파이프 누출 원격 감지장치
EP2570788A1 (en) Non-Contact Fluid Leak Detection System
US7604017B2 (en) Water ingress detection system
KR101505544B1 (ko) 지하수와 하천수의 수두차 측정장치
KR102382535B1 (ko) 가스감지용 포집장치
KR100380179B1 (ko) 매립지 차수막 파손 외부측정 감지기
KR20020039490A (ko)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KR200412983Y1 (ko)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EP3722650B1 (en) A leak detector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leak detector
JPH116826A (ja) 水質モニターシステム
KR20190133518A (ko) 누출 감지장치
TW403915B (en) Detector of liquid in an element of an installation and use of this detector for detecting leaks
CN109630906A (zh) 一种可拆卸式管道泄漏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910004137B1 (ko)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링
CN206369528U (zh) 一种测量混凝土内部位移的装置及系统
JP6199367B2 (ja) 非接触警報器
KR102505270B1 (ko) 누수진단센서모듈
KR102600121B1 (ko) 배관 부식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부식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CN108072408A (zh) 一种水下探测装置
JPH0247471Y2 (ko)
KR102018264B1 (ko) 누유 및 누수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류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