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414B1 -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14B1
KR960003414B1 KR1019930012632A KR930012632A KR960003414B1 KR 960003414 B1 KR960003414 B1 KR 960003414B1 KR 1019930012632 A KR1019930012632 A KR 1019930012632A KR 930012632 A KR930012632 A KR 930012632A KR 960003414 B1 KR960003414 B1 KR 960003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code
character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960A (ko
Inventor
최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14B1/ko
Publication of KR95000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로서 스트로크 키가 배열된 상태도이다.
제2a도는 전화기 키 패드상에 배열된 상태도이고, 제2b도는 계산기의 키보드상에 배열된 상태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내에 위치된 본 발명의 키버퍼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제어 흐름도이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코드 테이블의 맵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키패드 14 :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
16 : 코드 테이블 18 : 마이크로프로세서
20 : 출력장치 21 : 오토메타
본 발명은 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소화된 스트로크 키(Stroke key)를 가지고 필기획순으로 문자 입력용 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 예를들면, 컴퓨터와 같은 장치는 각 글자의 자소에 대응되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키들 각각에 특정 형태의 코드를 부여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문자를 표시하거나 입력시켰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컴퓨터 혹은 이와 유사한 문자 입력/표시 장치들은 문자를 입력시키기 위한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보드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자 입력장치로서 한글 혹은 영문자를 소망하는 형태로 원활하게 입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6개 이상의 키를 구비하여야 하며, 상기 각 키들에 대응한 코드를 부여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자 입력 장치는 부피가 매우 커 휴대하기에 어려움이 많으며,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로 인해 소형의 시스템에 적용되기가 어려웠다. 예를들면 휴대용 전화기, 계산기, 전자수첩 등과 같이 키가 적게 설치된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가 없었다.
또다른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으로는 전화기에 설치된 퓨쉬 버튼 스위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1992년 제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발표 논문집 제271면에 게재된“전자식 전화기를 이용한 문자입력용 코드”(이하 “논문”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논문에 개시된 “Muliple Depression, Single Depression, Shift Key 방식, 코드표 이용 방식, 인접 버튼 조합 방식”들은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기의 키패드의 디지트 버튼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를 표시하여 놓고, 상기 디지트 버튼의 입력 횟수 또는 *,0,#키의 입력에 따라 미리 입력된 문자 코드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화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은 사람이 코드표를 보거나 키패드의 위면(제품)에 인쇄된 글쇄를 찾아서 정해진 방법에 의해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인쇄된 자료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문자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의 배열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컴퓨터 혹은 워드프로세서의 키 배열과는 상이하여 신속하게 입력시킬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화된 스트로크 키(Stroke key)로써 소망하는 문자를 입력시키기 위한 문자 입력용 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의 다이얼링 키에 필기 방향에 대응한 스트로크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되는 스트로크 키의 입력을 필기 획순으로 조합하여 문자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화기의 다이얼링 키에 필기 방향에 대응한 스트로크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입력되는 방향 스트로크의 입력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기 방향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트로크 키의 선택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하는 필기 스트로크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현재 입력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제1저장영역에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입력상태 처리 과정과, 종료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와 제2영역에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코드가 있는 가를 검색하는 문자 입력 코드 검색과정과, 상기 문자 입력코드 검색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스트로크 코드가 상기 제2저장영역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들중의 하나라고 판단시 해당 문자(자소) 코드를 미리 저장된 문자코드 테이블로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문자코드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블럭도로서, 필기 방향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키패드(12)와, 상기 키 패드(12)를 소정의 주기로 스캔하여 방향 스트로크 키의 입력에 대응 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하는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14)와, 미리 설정된 다수의 스트로크 코드들을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스트로크 코드 테이블(SCT)과 상기 스트로크 코드의 입력에 대응한 문자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문자코드 변환 테이블(CT)을 가지고 있으며, 소정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트로크 코드와 문자코드를 출력하는 코드 테이블(16)과, 상기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14)로 부터 출력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내부의 키버퍼(KB)에 순차 저장함과 동시에 진행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고, 종료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키버퍼(KB)에 저장된 내용과 상기 코드 테이블(16)에 위치된 스트로크 코드 테이블과 비교하여 동일 코드를 탐색하며, 상기 탐색된 스트로크 코드에 대응한 문자코드를 상기 문자코드 테이블로 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이하“MPU”라 함)(18)와, 상기 MPU(18)로 부터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장치(20)와, 상기 MPU(18)로부터 출력되는 문자코드를 조합하여 문자를 처리하는 오토메타(2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드 테이블(16)은 영구 저장 메모리로서 후술하는표 1, 표 2와 같은 스트로크 코드 테이블과, 스트로크 코드를 어드레스로 하는 영역에 문자 데이터를 가지문자코드 테이블이 저장되어있다.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경우의 실시예는 전화기에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예로서,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14)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DTMF 리시버와 DTMF 디코더를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전자 계산기 혹은 전자 수첩등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14)는 키 매트릭스를 스캔하는 정도의 기능을 가지는 스캐너 정도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MPU(18)내의 메모리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의 키보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밍이 되어 있다면, 상기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14)를 구성하지 않고 바로 키패드(12)를 스캔하여 눌려진 키에 대응된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로서 스트로크 키가 배열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a도는 전화기 키 패드상에 배열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필기 방향에 따라 스트로크를 “6,7,8,9”번에 “→ ,↙,↓,↘ ”를 대응시키고,“5”번 키에 “●”의 장단 결정 스트로크를 대응 시켰으며, 0번 키에 “o”의 스트로크를 대응시켰다. 나머지 1,2,3,4,번의 키에는 “ㅅ,ㄱ,ㄱ,ㄴ”등 두개의 스트로크로 구성된 필기획을 대응시켰다. 상기의 대응방법은 최총획의 역방향을 대응시켰다. 예를 들면 “ㄱ”를 “↓”에 대응시킨 것이다. “ㅅ”은 “↖”에 대응시키고 “ㄱ”은 “↗에,”ㄴ”은 “←”에 대응시킨 것이다.
상기 제2b도는 계산기의 키 패드상에 배열된 상태도을 나타낸 것으로서, 디지트 “7,8,9,4,6,1,2,3”번 키에 “↖,↑,↗,←,→ ,↙,↓,↘” 등의 8방향 스트로크를 대응 시켰다. 그리고 제2a도와 동일하게 “5”번키에 “●”의 장단 결정 스트로크를 대응시켰으며, 0번 키에 “o”의 스트로크를 대응시켰다.
상기 제2a,b도에서 8방향 스트로크는 사람이 필기시의 스트로크와 동일한 것을 얻기 위함이며, 장단 결정 스트로크는 한글의 모음을 나타낼때 길이가 짧은 스트로크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o”의 스트로크는 한글의 자음 “ㅇ”를 표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2a,b도에서의 차이점은 디지트의 위치만이 다를뿐 방향 스트로크의 위치는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2a도에 도시된 전화기의 키패드의 예를들어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o”등에 대응된 스트로크 코드를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1,2,3,4,5,6,7,8,9,0”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기 “↖,↑,↗,←,→,↙,↓,↘”의 스트로크들은 45˚의 각도의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어며 이들은 제1∼제8스트로크에 대응하며, “●”와 o는 제9, 제10스트크에 대응한다.
제3도는 제1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내에 위치된 본 발명의 키 버퍼(KB)이다.
상기의 키버퍼(KB)는 8개의 디지트 버퍼(DB)로 구성되며, 상기 디지트 버퍼(DB)는 니블 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진다. 이때 상기 키버퍼(KB)에는 입력되는 순서로 LSN 위치에서 MSN 위치로 시프트 레프트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제1도에 도시된 MPU(18)내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밍된 제어 수순이다.
이의 제어 수순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키의 입력상태를 검색하여 키의 입력을 판단시 현재 입력되는 키가 종료상태의 신호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의 검색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키가 종료키가 아니라고 판단시에 현재 입력되는 스트로크코드를 제1저장영역에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입력상태 처리 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키가 종료키라고 판단시에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와 제2영역에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코드가 있는가를 검색하는 문자 입력 코드 검색과정과, 상기 문자 입력코드 검색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스트로크 코드가 상기 제2저장영역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들중의 하나라고 판단시 해당 문자(자소)코드를 미리 저장된 문자코드 테이블로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문자코드 발생과정되어 있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코드 테이블의 맵을 도시한 것이다.
제5도중 STC(Stroke Code Table)는 본 발명에 의거한 스트로크 코드가 저장된 것이다. 상기의 SCT에 저장된 각각의 스트로크 코드는 제2도에 도시되어진 스트로크 키를 필기 획순으로 입력시 입력된 스트로크 코드의 조합(필기획순의 조합)에 의한 문자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어 사용자가“ㄱ”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2도에 도시된 “3”번 키와 “7”번의 키를 눌렀을 경우 스트로크 코드 “37”에 “ㄱ”자의 문자코드를 대응 시키어 이를 발생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CT(Character Table)로서 상기 스트로크 코드를 어드레스로하고 상기 어드레스의 영역에 상기 스트로크 코드에 대응한 문자 코드를 저장된 것이다. 상기 CT의 각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 문자 코드는 어스키 코드로 저장된다.
상기 SCT와 CT 테이블의 구성예를 살피면 표 1과 표 2와 같다.
[표 1]
[표 2]
상기 표 1과 표 2에서 ADD는 어드레스, DATA는 데이터이며, CC는 문자코드로서 이는 해당문자의 어스키 코드값이다. 그리고, 상기 CT의 어드레스는 표 1의 데이터이며, MPU(18)는 스트로크 코드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CT 내의 문자코드를 억세스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제1도와 같이 구성된 문자 코드용 입력 장치가 동작되면, MPU(18)는 키 대응코드 발생기(14)의 출력을 제4도 102과정에 리이드하여 키 입력이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102과정에서 키의 입력이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MPU(18)는 초기의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 (14)는 키패드(12)를 소정의 주기로 스캐닝하고 키패드(12)에 위치된 키들의 누름이 검출될때 상기 눌러진 키에 대응한 코드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제2도와 같이 구성된 키패드(12)에 위치된 스트로크 키를 누르면 상기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14)가 이를 감지하여 눌려진 키에 대응된 코드를 발생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한글 “가”를 입력 시키기 위하여 “→”키 즉, 6번키를 누르면 상기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14)는 이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된 스트로크 코드 “6”를 MPU(18)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MPU(18)는 전술한 102과정에서 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104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키가 종료키(#) 인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종료키라 함은 사용자가 필기 획순으로 하나의 문자(자소)를 스트로킹 완료후 누르는 키이다. 상기 104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키가 종료키(#)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MPU(18)는 106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스트로크 코드를 제3도와 같이 구성된 내부의 키버퍼(KB)의 최하위 니불자리 영역(LSN)인 데이터 버퍼(DB)에 저장한다. 그리고, 108과정에서 출력장치(20)로 현재 입력된 스트로크의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여 “→”의 스트로크가 입력되었음을 표시하고, 전술한 102과정으로 리턴한다.
출력장치(20)는 상기 MPU(18)로부터 출력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현재 어떠한 스트로크가 입력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키버퍼(KB)에 저장되는 스트로크 코드는 상기 키 대응코드 발생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키 대응코드를 MPU(18)가 입력하여 상기 키버퍼(KB)에 자동 저장하는 것임에 유의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도와 같이 구성된 키패드(12)의 7번키를 누르면, MPU(18)는 전술한 102,104,106,108과정을 반복 동작하고, 이의 반복동작에 의해 제3도와 같이 구성된 키버퍼(kb)에는 “67”의 스트로크 코드가 저장된다. 물론 출력장치(20)에는 현재 입력된 “↙”방향의 스트로크 코드가 표시된다. 이때의 표시는초기 입력된 “→”의 스트로크와 나중에 입력된 스트로크 “↙”가 조합된 “ㄱ”의 상태가 표시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12)에 위치된 종료키(#)를 누르면, 상기 MPU(18)는 제4도의 104과정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상기 104과정에서 종료키(#)가 입력 되었다고 판단한 상기의 MPU(18)는 110과정에서 키버퍼(KB)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와 코드 테이블(16)내의 SCT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의 내용을 비교하고, 112과정에서 동일한 코드가 있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110과정에서의 비교검색은 통상의 검색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MPU(18)는 제5도의 SCT의 초기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를 읽어 상기 키버퍼(KB)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를 비교한다. 상기의 비교결과 두 코드의 데이터가 다르다면 상기 MPU(18)는 SCT의 어드레스를 증가하여 그다음의 어드레스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의 내용과 키버퍼(KB)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를 비교한다. 상기와 같은 반복 동작에의해 SCT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와 키버퍼(KB)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의 동일 여부를 시퀀셜하게 검색 비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교결과 112 과정에서 SCT에 저장돤 스트로크 코드들중 키버퍼(KB)에 저장된 코드와 동일한 코드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MPU(18)는 116과정에서 해당 자소의 문자코드를 코드 테이블(16)내의 CT로 부터 억세스하고, 이를 118과정에서 오토매터(21)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와 같은 비교 결과 동인한 코드가 없다고 112과정에서 판단되면 상기 MPU(18)는 114과정에서 에러처리하고 키버퍼(KB)의 내용을 리세트한다.
상기 116과정에서의 문자 코드 억세스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112과정에서 동일한 코드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MPU(18)는 키버퍼(KB)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스트로크 코드를 코드 테이블(16)내의 CT의 어드레스로 출력한다. 이때 제5도와 같이 구성된 CT(전술한 표 2 참조)로부터는 입력된 어드레스에 저장된 문자 코드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필기획순과 동일한 순서로 키패드(12)에 위치된 6번키(→)와 7번키(↙)와 종료키(#)를 누른 경우 MPU(18)는 상기 스트로크 코드 “67”를 제5도와 같이 구성된 CT(전술한 표 2 참조)의 어드레스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코드 테이블(16)내의 CT로부터는 어드레스 “67”에 대응하는 “ㄱ”의 문자 데이터가 출력되며, 이는 MPU(18)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문자 데이터를 입력한 상기 MPU(18)는 이를 출력장치(20)로 출력함과 동시에 오토메타(2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의 오토메타(21)는 범용적인 퍼스날 컴퓨터 혹은 워드프로세서내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자소의 문자 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문자를 조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필기획순과 동일한 스트로크 키의 조작에의해 해당하는 자소의 문자 코드를 손쉽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85”(↓, →의 스트로크)번키와 종료키(#)를 연속적으로 입력시켰다면,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MPU(18)는 “ㅏ”의 문자 데이터를 오토메타(21)로 출력한다. 물론, 출력장치(20)를 통해서는 입력된 스트로크의 형태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패드(12)에 위치된 “6,7,#,8,5,#”(→,↙,↓,●의 스트로크)키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경우라면,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MPY(18)로 부터는 “ㄱ”과 “ㅏ”에 대응한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오토메타(21)는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문자 “가”로 처리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키패드(12)에 필기 방향에 대응된 스트로크들을 대응시키어 놓고 상기 스트로크의 조합으로 해당하는 문자(자소)의 코드를 발생하는 과정의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완성된 문자를 입력할 수도 유의 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방법 역시 본원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못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기등과 같이 최소화된 키들만이 설치된 키패드에 중앙에 위치된 숫자를 기준으로 서로 방향이 다른 8방향의 필기 스트로크를 마킹하고, 상기 8방향 스트로크의 입력을 검출하여 문자 입력용 코드 즉, 문자 데이터를 발생함으로써 필기획순과 동일한 순서로 입력되는 스트로크를 조합하여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필기 방향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트로크 키이 선택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하는 필기 스트로크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한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한번 이상의 스트로크에 응답하여 현재 필기 방향의 스트로크에 대응된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스트로크 코드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필기 방향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트로크 키의 선택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하는 필기 스트로크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한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현재 입력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제1저장 영역에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입력상태 처리 과정과, 종료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와 제2영역에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코드가 있는가를 검색하는 문자 입력 코드 검색과정과, 상기 문자 입력 코드 검색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스트로크 코드가 상기 제2저장 영역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들중의 하나라고 판단시 해당 문자 코드를 미리 저장된 문자코드 테이블로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문자코드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3. 필기 방향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키패드와, 필기 획순에 따른 스트로크 코드를 적어고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는 제1저장 수단과, 상기 스트로크 코드에 대응된 문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2저장수단을 구비한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에 있어서, 키의 입력상태를 검색하여 키의 입력을 판단시 현재 입력되는 키가 종료상태의 신호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의 검색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키가 종료 키가 아니라고 판단시에 현재 입력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제1저장 영역에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입력상태 처리 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현재 입력 된 키가 종료키라고 판단시에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와 제2영역에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코드가 있는가를 검색하는 문자 입력 코드 검색과정과, 상기 문자 입력코드 검색과정에서 현재 입력된 스트로크 코드가 상기 제2저장 영역에 저장된 스트로크 코드들중의 하나라고 판단시 해당 문자 코드를 미리 저장된 문자코드 테이블로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문자코드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에 있어서, 필기획순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트로크 키의 선택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하는 스트로크 발생수단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스트로크 코드들을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스트로크 코드 테이블과 상기 스트로크 코드의 입력에 대응한 문자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문자코드 변환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소정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문자코드를 출력하는 코드 테이블과, 상기 스트로크 코드 발생 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내부의 키 버퍼에 저장하고, 이를 상기 코드 테이블에 위치된 스트로크 코드 테이블과 비교하여 동일 코드를 탐색하며, 상기 탐색된 스트로크 코드에 대응한 문자코드를 상기 문자코드 테이블로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문자 코드 발생 제어 수단으로 구성하는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발생수단은, 필기 방향에 대응하여 방향이 서로 다른 8방향의 스트로크 키를 가지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를 소정의 주기로 스캔하여 방향 스트로크 키의 입력에 대응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하는 키 대응코드 발생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10개의 디지트를 입력시키는 텐키(0∼9)의 주의에 45˚의 각도로 방향이 상이하게 설정된 “↖,↑,↗,←,→ ,↙,↓,↘”의 스트로크가 마킹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스트로크의 장, 단을 결정하기 위한 “ㆍ”의 스트로크가 마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7.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에 있어서, 필기 방향에 대응된 방향 스트로크 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를 소정의 주기로 스캔하여 방향 스트로크 키의 입력에 대응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발생하는 키 대응코드 발생 수단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스트로크 코드들을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스트로크 코드 테이블(SCT)과 상기 스트로크 코드의 입력에 대응한 문자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문자코드 변환 테이블(CT)을 가지고 있으며, 소정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트로크 코드와 문자코드를 출력하는 코드 테이블과, 상기 키 대응코드 발생 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스트로크 코드를 내부의 키버퍼(KB)에 순차 저장함과 동시에 진행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고, 종료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키버퍼(KB)에 저장된 내용과 상기 코드 테이블에 위치된 스트로크 코드 테이블과 비교하여 동일 코드를 탐색하며, 상기 탐색된 스트로크 코드에 대응한 문자코드를 상기 문자코드 테이블로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문자코드를 조합하여 문자를 처리하는 오토메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필기획순에 대응하여 방향이 서로 다른 8방향의 스트로크가 적어도 8개의 숫자키에 마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10개의 디지트를 입력시키는 텐키(0∼9)의 주의에 45˚의 각도로 방향이 상이하게 설정된 “↖,↑,↗,←,→ ,↙,↓,↘”의 스트로크가 마킹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스트로크의 장, 단을 결정하기 위한 “ㆍ”의 스트로크가 마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텐키중의 0번키에는, “ㅇ”의 스트로크가 마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테이블내의 스트로크 코드 테이블은 하기와 같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KR1019930012632A 1993-07-06 1993-07-06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및 장치 KR960003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632A KR960003414B1 (ko) 1993-07-06 1993-07-06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632A KR960003414B1 (ko) 1993-07-06 1993-07-06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60A KR950003960A (ko) 1995-02-17
KR960003414B1 true KR960003414B1 (ko) 1996-03-13

Family

ID=1935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632A KR960003414B1 (ko) 1993-07-06 1993-07-06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968900A (en) * 1999-10-21 2001-04-30 Hee-Sung Chung Method for generating characters and/or symbol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JP3926089B2 (ja) 2000-09-26 2007-06-06 原田工業株式会社 車載用平面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60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476A (en) Keyboard for personal information device
US6362752B1 (en) Keypad with strokes assigned to key for ideographic text input
US8990738B2 (en) Explicit character filtering of ambiguous text entry
US7162694B2 (en) Method for entering text
US7136047B2 (en) Software multi-tap input system and method
US5128672A (en) Dynamic predictive keyboard
US20100046737A1 (en) Method of mapping a traditional touchtone telephone keypad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US6766179B1 (en) Cross-shape layout of chinese stroke labels with lyric
US20070057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ata entry
JPH08211987A (ja) 曖昧さの解決論理を備えたキーボード
US20080300861A1 (en) Word formation method and system
US6636163B1 (en) Numeric key-based chinese address inputting method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US67921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y of multi-stroke characters
KR100361621B1 (ko)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960003414B1 (ko) 문자 입력 코드 발생 방법 및 장치
US8466878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utomatic preferred selection of a punctuation, and associated method
CA240611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y of multi-stroke characters
US20080255846A1 (en) Method of providing language objects by indentifying an occupation of a user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4931969A (en) Character entry device
KR0159191B1 (ko)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412571B1 (ko)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980013177A (ko)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 using electric telephone keypad)
KR20040027197A (ko)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1980933A1 (en) Method of providing language objects by identifying an occupation of a user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