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284Y1 -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 Google Patents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284Y1
KR960003284Y1 KR2019930000291U KR930000291U KR960003284Y1 KR 960003284 Y1 KR960003284 Y1 KR 960003284Y1 KR 2019930000291 U KR2019930000291 U KR 2019930000291U KR 930000291 U KR930000291 U KR 930000291U KR 960003284 Y1 KR960003284 Y1 KR 960003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ir
rod
bolt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875U (ko
Inventor
박창섭
Original Assignee
박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섭 filed Critical 박창섭
Priority to KR2019930000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284Y1/ko
Publication of KR940018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284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미설치한 작기 작용 전체를 예시한 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기작용 상하움직임을 그린 일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미설치 작기 전체를 예시한 투시도.
제6도는 제5도 본 고안의 작기 전체가 접혀 있을시 전체를 예시한 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의자부착 상하조절을 예시한 뒷면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제3도를 부착한 일부 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독립항 1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일부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10도의 쇠통 확대단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일부투시도.
1. 모든 사람이 앉아서 일하는 의자에 있어서 본 고안은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사람의 허리와 요추를 보호하고 특히 운전자의 허리요추 등구부러짐을 방지하며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일을하는 사람들의 허리요추를 보호하여 허리통증을 방지하고 피로를 풀어 일의 능률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모든의자(차량의자, 응접실의자, 사무실의자, 식당의자, 극장의자)등받이에 장착하여 상하 또는 앞뒤로 신체 체위에 알맞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사람의 체위에 알맞게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고안된 것으로 반영구적으로 설치 조절할 수 있게 고안된 등받이 의자로 의자등받이 중하단부위에 장착하여 만든 허리요추받이 의자이다.
이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의자등받이 기둥(1)과 기둥(1')의 양기둥에 제7도에서와 같이 안내홈(31)과 (31')의 안내요입을 만들고 이 요입홈에 제3도 하판(5)를 장착하고 (5)에 연결된 장쇠(6)에 상하조절 연결판(7)을 끼워 감고 다시 너트봉 및 연결 장쇠(8)과 (8')에 장착하여 상하조절 연결판(11)과 (11')에 장착하며 이것을 상판(13)에 고정끼워 장착한 것을 손잡이(10)을 좌우로 돌리면 너트봉(8)과 (8')가 한개의 원통형에 양분하여 만든 오른볼트봉과 왼볼트봉으로 분리 설치된 볼트봉(9)을 좌우 왔다 갔다 왕복하면서 상판(13)가 상하 움직이게 되어 이것을 의자 등받이 기둥에 장착하여 허리 요추받이 기능을 구한 허리요추 받이 의자인 것이다.
제5도는 그 원리가 제3도와 같은 것이나 상하조절 연결판이 사각을 이루고 있는것이 특징적이며, 모든 상판에는 촛감을 부드러웁게 허리를 보호해 주는 스프링(15)와 (29)가 장착되어 있다.
제7도는 의자 등받이 기둥(1)과 (1')에 요입홈(31)과 (31')를 설치한 것에 각 하판지지대(5)를 설치하고 그 뒷면에 너트홈(18)를 설치 부착한 다음 볼트봉(16)를 부착하여 손잡이(17)를 돌려 의자 등받이 위치를 상하 조절하여 체위에 따른 격차를 조절하는 상하 조절 장치인 것이다.
제9도는 그 원리는 같으나 하판(5)에 요입안내홈(34)와(34')를 (ㄷ)로 설치하고 여기에 형성된 요입홈(36)과 (36')에 너트봉(35)와 (35')를 삽입 그 너트 봉안 사이에 1개의 원통형에 양분하여 만든 오른볼트봉과 왼볼트봉(9)를 설치하고 여기 너트봉 양 옆에 상하 조절 연결판(37)과 (37')를 장착하고 그 상쪽에 연결장쇠(38)과 (38') 부착하여 상판(39)에 고정장착된 것이다.
이렇게 된 것을 손잡이(10)를 회전 시키면 손잡이에 부착 연결된 볼트봉(9)가 회전하면 너트봉(35)(35')가 오늘 볼트 쪽은 오른쪽으로 왼 볼트쪽은 왼쪽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판(39)가 상하로 움직이게 고안된 것을 의자 등받이 기둥에 하판(5)를 장착하여 만든 의자 등받이 요추받이 의자인 것이다.
이를 또한 상판 연결장쇠로 제12도와 같이 (38)(38')(38'')3개로 하고 상하 조절연결판 (37)(37')(37'')(37''')을 4개로 하여 너트봉(35)와 (35') 2개로 하거나 제10도와 같이 또한 상판 연결 장쇠를 (38)(38')(38'') 3개로 하고 상하 조절 연결판(37)(37')(37'')(37''') 4개로 하여 너트봉(35)(35')(35'')(35''') 4개로 설치하여도 같은 기술 원리의 효과를 동일하게 얻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출된 작기식 의자를 모든 의자에 쉽게 부착할 수 있어 허리 등받이 요추를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어 안출된 것으로 그 원의 기술적 향상과 그 형상이 인체에 안락함과 편안함을 주는 향상된 기능의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하판(5)를 기둥(1)에 장착하고 연결장쇠(6)을 상하판연결판(7)(7')에 연결핀 너트봉(8)(8')의 볼트봉(9)에 손잡이(10) 연결판(11)(11')에 연결핀장소(12)(12') 상판(13)와 스프링(15)로 고안된 작기식 제3도와 하판(5)에 연결장쇠하(19), 연결판(20)(20')에 너트봉(21)(21')을 상판연결판(24)(24')를 연결장쇠상(19')에 부착 상판(25)에 고정하고 지지대(27)(27')(28)(28')에 스프링(29)로 된 것에 (23) 볼트봉으로 상하 조절되는 요추받이 의자에 제7도 볼트봉(16)에 너트(18), 손잡이(17)로 구성된 체위 상하조절 기능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제9도 하판(5)에 안내홈(34)에 너트봉(35)(35')에 1개의 봉에 양분하여 오른볼트와 왼볼트를 동시에 설치한 볼트봉(9)를 삽입하고 다시 이봉에 상하연결판 하쪽에 (37)과 (37')를 부착하고 그 상쪽에 연결핀(38)(38')를 상판(39)에 고정부착하고 그 판위에 스프링(15)를 설치한 의자 등받이와 연결핀(38)(38')(38'') 3개에 상하연결판(37)(37')(37'')(37''')4개로 너트봉(35)(35') 두개로 한 등받이와 연결판(38)(38')(38'') 3개와 상하 연결판(37)(37')(37'')(37''') 4개에 너트봉(35)(35')(35'')(35''') 4개로 하여 볼트봉(9)로 상하 조절케 한 등받이 의자.
KR2019930000291U 1993-01-12 1993-01-12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KR960003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291U KR960003284Y1 (ko) 1993-01-12 1993-01-12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291U KR960003284Y1 (ko) 1993-01-12 1993-01-12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875U KR940018875U (ko) 1994-08-16
KR960003284Y1 true KR960003284Y1 (ko) 1996-04-19

Family

ID=1934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291U KR960003284Y1 (ko) 1993-01-12 1993-01-12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2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875U (ko) 199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7284C (en) Adjustable backrest
US7625046B2 (en) Task chair
US6565153B2 (en) Upper back support for a seat
US5195804A (en) Back-rest having two oval shaped shells each concave to vertical and convex to horizontal
US4634178A (en) Adaptable seating device
US7040703B2 (en) Health chair a dynamically balanced task chair
DE59707201D1 (de) Sitzmöbelelement mit einer gekoppelten Rückenlehnen- und Sitzverstellung
GB2235369A (en) Posture support with multi-planar adjustment
JPS5929244B2 (ja) 調節自在背付椅子
US7416251B2 (en) Chair
KR960003284Y1 (ko)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KR20030015595A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102004312B1 (ko) 이중 관절식 등받이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용 의자
CA2041669A1 (en) Adjustable seating assembly
US3917341A (en) Chair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CN209377118U (zh) 一种舒适实用办公椅
KR960003286Y1 (ko) 허리요추받이 작기식 의자
RU215522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ясничная поддержка
RU220615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ясничная поддержка
CN220876343U (zh) 一种模块化可调节座椅
KR200371543Y1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20110067613A (ko) 상체 운동기능을 가지는 의자
KR200254711Y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WO2023239262A2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ясничная поддержка
KR102320665B1 (ko) 요추 지지 성능 개선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