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695Y1 - 주택용 분전함의 덮개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주택용 분전함의 덮개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695Y1
KR960002695Y1 KR2019930017294U KR930017294U KR960002695Y1 KR 960002695 Y1 KR960002695 Y1 KR 960002695Y1 KR 2019930017294 U KR2019930017294 U KR 2019930017294U KR 930017294 U KR930017294 U KR 930017294U KR 960002695 Y1 KR960002695 Y1 KR 960002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plate
cover plate
bolt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7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168U (ko
Inventor
손상철
Original Assignee
진흥전기 주식회사
손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흥전기 주식회사, 손상철 filed Critical 진흥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40011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택용 분전함의 덮개판 조립구조
제1도는 본고안의 주택용 분전함을 분리 도시한 전체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주택용 분전함 결합상태 예시도로서, (a)도는 덮개판을 분리한 결합구조 단면도, (b)도는 덮개판을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전함체 13, 14 : 너트체결구
20 : 차단기 30 :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
31, 32 : 후렌지부 33, 34 : 보울트 체결장공
35, 36 : 보울트 삽입홈 37a, 37b, 38a, 38b : 덮개 결합구멍
40 : 덮개판 41,42 : 절개공
41a, 41b, 42a, 42b : 탄성체결편 45 : 내부 차단판
48 : 뚜껑체 열림 억제돌기 50 : 뚜껑체
본 고안은 주택용 분전함의 덮개판 조립구조에 관한것으로, 특히 벽면에 매립되는 분전함체와 각종의 차단기들이 설치되는 지지용 플레이트, 그리고 그 상면에 복개되는 보호용 덮개판을 보다 간편하게 분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은 물론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의 분전함체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함이라 함은,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등이나 소켓(부하)으로 분리, 공급시키기 위한 전원 분배기와,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과부하 누전등과 같은 이상상태 발생시 이를 신속히 차단시킴으로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조기에 예방하게 되는 누전차단기, 또는 이상이 있는 부하측만을 선택적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용 차단기등 각종의 제어기기를 한곳에 모아서 설치하는 함체이다.
이와같은 주택용 분전함은, 벽면을 따라 배선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건축 구조물에 매설된 매립형의 분전함체와, 상기 전원케이블과 개별 접속되는 복수개의 차단기를 구비한체 상기 분점함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와, 전원 케이블 및 차단기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분전함체의 상면에 복개되는 사용자 보호용 덮개판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분전함은, 제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박스형의 분전함체(1) 내측 바닥면에 플레이트 체결용 나사구멍(1A)를 복수개 천공하고 있고 그 상면에는 분전함체(1)로부터 연장되는 덮개판 체결구(1B)를 일체로 절곡 성형함으로서, 이에 각종의 차단기(2)들을 설치하고 있는 판상의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와 보호용 덮개판(4)이 각기 보울트(5)(5A)로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분전함은, 차단기(2)들을 구비하고 있는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의 설치를 위해 여러개의 보울트(5)를 각 위치에 맞추어 정확히 체결하여야 하는 조립의 번거로움과 함께, 덮개판(4)의 설치시에도 4개소 이상의 보울트(5A) 조립을 수반하고 있는 것이어서, 각각의 부재에 성형되어 있는 체결용 나사구멍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되지 아니하는 경우 일시적인 고정방법 예로서, 별도의 철선을 이용한 결속이나 체결부위에 또 다른 나사구멍을 추가로 가공하여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것이었다.
뿐만아니라, 이와같이 조립된 분전함체(1)내의 전선상태가 불량하거나 누전등으로 인해 해체정비가 불가피한 때에는 이를 분해함에 있어서도 체결 보울트(5)(5A)를 모두 분리시킨 다음, 덮개판(4)과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를 차례로 해체하여 새로이 결선하여야 하는데, 이때 체결 보울트가 분실되는 사례를 또한 빈번히 결험할 수 있는등 여러가지의 폐단이 따르고 있어 조립과정은 물론, 유지보수에도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공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개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전함체와 덮개판이 원터치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분전함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같은 조립구조의 개선을 통해 생산원가의 절감과 함께 별도의 공구없이는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분전함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 내에 일체로 배설되는 박스형의 분전함체와, 각 전선 케이블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차단기들을 탑재하고 있고 상기 분전함체내에 설치되는 판상의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와, 그 상면에 밀폐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주택용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체의 좌우 양측 벽면에 수직방향의 너트 체결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에는 그 양측을 절곡하여 형성한 후렌지부에 보울트 체결장공 및 덮개 결합구멍을 각기 천공하며, 상기 후렌지부의 덮개 결합구멍에 조립될수 있도록 덮개판의 거치용 턱 양측에 외향 걸림돌부를 구비하는 "V"형으로 절곡된 탄성조립편을 설치하되, 상기 "V"형 탄성 조립편의 일단은 거치용 턱 상에 천공되는 절개공의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고 그 타단은 절개공의 상부로 도출되도록 구성하여 이들이 원터치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1도는 본 고안의 주택용 분전함을 분리 도시한 전체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결합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주택용 분전함은, 메인 전원케이블(8)과 각 부하로 연결되는 접속케이블(9)을 연결 구성할 수 있도록 건축 구조물에 일체로 매몰되는 박스형의 분전함체(10)와, 상기 분전함체(10)내에 설치되며 각 케이블(8)(9)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차단기(20)들을 탑재하고 있고 분전함체(10)의 상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에 한쌍의 절곡된 후렌지부(31)(32)를 형성하게 되는 차단기지지용 플레이트(30)와, 좌우 양측에 각기 한쌍의 타나성 조립편(41a)(41b)(42a)(42b)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절곡 후렌지부(31)(32)에 원터치 결합되는 보호용 덮개판(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전함체(11)(12)에는 벽체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의 너트체결구(13)(14)를 돌설시켜 구성하며, 이 너트체결구(13)(14)의 상면에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의 양측 후렌지부(31)(32)가 거치 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의 양측 후렌지부(31(32)에는 보울트 체결장공(33)(34)을 각기 천공하여 주어 이 체결장공(33)(34)을 통해 조립되는 보울트(5)에 의해서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와 분전함체(10)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장공(33)(34)의 일측에는 또한 보울트(5)의 삽입에 충분한 삽입홈(35)(36)을 형성시켜 주게 되는데, 이는 분전함체(10)의 너트체결구(13)(14)상에 보울트(5)를 가 조립한 상태에서도 보울트(5)를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를 체결장공(33)(34)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견고한 조립상태와 이탈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체결장공(33)(3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한쌍의 덮개 결합구멍(37a)(37b),(38a)(38b)를 천공하여 주어 후술될 덮개판(40)과의 결합구조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 덮개판(40)에는,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의 양측에 상향 절곡되어 있는 후렌지부(31)(32)에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용 턱(43)(44)을 각기 형성하게 되는 것이고, 이같은 거치용턱(43)(44)에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의 양측 후렌지부(31)(32)와의 결속을 위해 탄성조립편(41a)(41b),(42a)(42b)을 형성시켜주게 된다.
후렌지부(31)(32)와의 결속에 사용되는 상기 탄성조립편(41a)(41b),(42a)(42b)은, 후렌지부(31)(32)에 천공되는 덮개 결합구멍(37a)(37b). (38a)(38b)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거치용 턱(43)(44)양측에 외향 걸림돌부(141a)(141b), (142a)(142b)를 구비하는 대략 "V"형으로 절곡 구성된다.
이같은 탄성조립편(41a)(41b), (42a)(42b)은 "V"형으로 구성되는 상기 탄성편의 일단을 거치용 턱(43)(44)상에 천공되는 절개공(41)(42)의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그 타단은 절개공(41)(42)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다시말해, 덮개판(40)의 거치용 턱(43)(44)에 탄력적으로 돌설되는 상기 탄성조립편(41a)(41b), (42a)(42b)은, 덮개판(40)이 거치되는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의 후렌지부(31)(32)상에 천공된 덮개 결합구멍(37a)(37b), (38a)(38b)과 각기 1 : 1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므로 탄성조립편(41a)(41b), (42a)(42b)을 갖는 덮개판 (40)을 플레이트의 후렌지부(31)(32)에 일치시켜 가볍게 눌러주는 동작을 통해 견고한 조립상태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같은 덮개판(40)의 중앙부에는, 거치용 턱(43)(44)보다 다소 낮게 형성되는 내부 차단판(45)과, 차단편(45)의 중앙에 길리방향으로 천공되고 차단기(20)의 각 노브(21)들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구멍(45a)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덮개판(40)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투명한 뚜껑체(50)의 양측힌지(51)(5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힌지구멍(46)(47)을 천공하는 동시에, 이와같이 힌지 결합된 투명한 뚜껑체(50)의 전개각을 규제할 수 있도록 내부차단판(45)의 중앙에 뚜껑체 열림억제돌기(48)을 돌설시키는 한편, 뚜껑체(50)의 전방에 돌설시킨 로킹편(53)과 대응되도록 덮개판(40)의 소정위치에 다시 로킹노브(49)를 각기 형성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의 분전함은,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할 때 상기 분전함체(10)를 구조물에 매몰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 분전함체(10)에 복수개의 차단기(20)들을 탑재하고 있는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를 설치 하기 위하여, 먼저 분전함체(10)의 좌, 우측 벽면(11)(12)에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의 양측 후렌지부(31)(32)가 놓이도록 한다음, 체결보울트(5)를 이용하여 후렌지부(31)(32)의 보울트 체결장공(33)(34)를 통하여 분전함체(10)의 너트체결구(13)(14) 에 조립하게 되면, 분전함체(10)에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가 쉽게 조립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분전함체(10)는 건물 시공시 벽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그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서 고정시키기가 곤란하며 수평이나 깊이가 일정하지 않게 되지만 깊이조절은 볼트(5)의 높이로 조절하고, 수평은 차단 지지용 플레이트(30)의 보울트 체결장공(33)(34)의 위치 조정에 의해 조절하게 되면 정확한 깊이와 수평의 조정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울트(5)는 또한 머리부가 보울트 삽입홈(35)(36)의 직경보다는 작고 보울트 체결장공(33)(34)의 폭보다 큰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분리시에 별도의 공구(드라이버등)없이도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볼트 머리부가 보울트 삽입홈(35)(36)에 위치하게 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조립시에는 분전함체(10)의 너트체결구(13)(14)에 느슨하게 체결되어 있는 보울트(5)의 머리부가 보울트 삽입홉(35)(36)에 위치하도록 삽입한 다음, 보울트 체결장공(33)(34)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보울트 체결장공에 보울트 머리부가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공구없이도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에 덮개판(40)을 조립할 시에는 제2도의 (a)도와 같이 덮개판(30) 거치용 턱(43)(44)상의 절개공(41)(42)에 일체로 돌설되는 탄성조립편(41a)(41b), (42a)(42b)의 돌부(141a)(141b), (142a)(142b)가 상기 덮개결합구멍 (37a)(37b), (38a)(38b)의 내측에 걸려서 견고한 조립상태를 보이게 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덮개판(4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뚜껑체(5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개폐된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각 차단기(20)의 노브(21)들을 조작하여 부하측의 신속한 제어를 하게되는데, 이 차단기(20) 조작을 위해 덮개판(40)상의 뚜껑체(50)를 열어주게 되면 힌지(51)(52)를 중심으로 고정되어 있는 뚜껑체(50)가 덮개판(40)의 상측 턱부(40a)에 걸리면서 정지되어 일정한 각도로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뚜껑체(50)는 개폐되는 탄성에 의해 과도한 전개각을 보이기도 하는 것이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차단판(45)으로 부터 연장되는 뚜껑체 열림 억제돌기(48)를 덮개판(40)상에 구성하고 있어 힌지구멍(46)(47)를 중심으로 고정되어 있는 뚜껑체(50)의 과도한 펄쳐짐과 외력에 따른 흼에 의해 뚜껑체(50)가 파손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덮개체(40) 내부의 결선상태가 불량하거나 이상상태 발생시 차단기(20)에 연결된 전선등을 새로이 결선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덮개판(40)를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는 제2도의 (b)도와 같이 "V"형으로 구성되는 탄성조립편(41a)(41b)(42a)(42b)의 노출된 선단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서 덮개 결합구멍(37a)(37b)(38a)(38b)의 내측에서 상기 탄성 조립편의 돌부(141a)(141b)(142a)(142b)가 이탈하게 한 다음 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손쉽게 분리된다.
그러므로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0)와 덮개판(40)의 조립 및 분리시에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매립형의 부전함체와 차단기등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덮개판의 조립, 분리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각기의 부재들을 원터치 결합시켜 손쉽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주택용 분전함의 설치시간 단축은 물론 유지보수 작업 역시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의 잇점을 제공하는 유용하고도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건축구조물 내에 매설되는 박스형의 분전함체와, 각 전선케이블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차단기들들 탑재하고 있고 상기 분전함체내에 설치되는 판상의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와, 뚜껑체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분전함체에 상에 보울트로 결합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체의 좌우 양측 벽면에 수직방향의 너트체결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너트체결구에 체결되는 보울트의 머리를 끼우고 회전시켜 고정시킬수 있는 보울트 삽입홈과 보울트 체결장공이 일체로 천공되고 덮개결합구멍이 천공된 후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판 양측의 거치용 턱 상에는 상기 각각의 덮개결합구멍에 탄성적으로 결합가능한 돌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당겨 해제가능한 선단이 상부로 돌출된 "V"형 탄성조립편을 형성하고 내부차단판의 중앙에는 상기 뚜껑체의 전개각을 규제할 수는 있는 뚜껑체 열림억제 돌기를 돌설시킨 주택용 분전함의 덮개판 조립구조.
KR2019930017294U 1992-10-30 1993-09-01 주택용 분전함의 덮개판 조립구조 KR9600026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1087 1992-10-30
KR920021087 1992-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168U KR940011168U (ko) 1994-05-27
KR960002695Y1 true KR960002695Y1 (ko) 1996-03-30

Family

ID=1934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7294U KR960002695Y1 (ko) 1992-10-30 1993-09-01 주택용 분전함의 덮개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6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168U (ko) 199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7353A (en) Electrical connector enclosure
CA2045051C (en) Low voltage electrical switchgear cabinet
CA2592824A1 (en) Weatherproof cover assembly
JP3248474B2 (ja) 配電ボックス
DE10310630B3 (de) Bausatz für eine Steckvorrichtungen-Kombination
JP2004185965A (ja) バッテリ接続部材
KR960002695Y1 (ko) 주택용 분전함의 덮개판 조립구조
CA2544011C (en) Stud snap & lock non-metallic snap-on electrical box
KR200250464Y1 (ko) 배전반 프레임용 코너연결구 설치구조
EP2484848B1 (en) Receptacle for supporting electric power supply, protection, indication and control componets of a lighting fixture inside a cavity of a lighting pole
US3452148A (en) Electrical cabinet with separable parts
KR100687313B1 (ko) 릴레이박스의 와이어 하네스 설치구조
US4407537A (en) Door and lock support
KR200439488Y1 (ko) 전기 컨트롤 박스
JP4407078B2 (ja) 回路しゃ断器の端子カバー
KR200304740Y1 (ko) 터미널 블럭
JP3591276B2 (ja) 分電盤
KR200229427Y1 (ko) 배전반의도어결합장치
KR970001676Y1 (ko) 분전반
KR200276991Y1 (ko) 분전반의 도어 결합구조
EP1059717B1 (de) Gerätekombination für Geräteeinbaukanäle
KR200293160Y1 (ko) 스위치용 브라켓의 조임부 높이 보상구조
PT80020B (pt) Porta estanque para quadros de distribuicao electrica
JPS645827Y2 (ko)
JPH0341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B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