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48B1 - Elevator group control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group controll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48B1
KR960002448B1 KR1019920021667A KR920021667A KR960002448B1 KR 960002448 B1 KR960002448 B1 KR 960002448B1 KR 1019920021667 A KR1019920021667 A KR 1019920021667A KR 920021667 A KR920021667 A KR 920021667A KR 960002448 B1 KR960002448 B1 KR 96000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elevator
call
group control
elevato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11327A (en
Inventor
노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448B1/en
Publication of KR94001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device has the characteristics as follows. It consists of the number of elevator equal control unit, transport data generating device which transmits transport data to the elevator group control unit, and the simulator operating control unit recording the operation result and supervising the operation of elevator group control unit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그룹 제어장치Group control of elevator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제어반의 시험을 위한 주변 장치도.1 is a peripheral diagram for testing a group control panel of a conventional elevator.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시험 상황의 예시도.2 is an illustration of a test situation according to FIG.

제3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그룹 제어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에서의 호기 등가 제어반의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exhalation equivalent control panel in FIG.

제5도는 제3도의 교통류 발생장치의 제어 흐름도.5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traffic flow generator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 4 : 호기 제어반1: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4: exhalation control panel

5 : 호기 등가 동작반 10 : 호기 등가 제어반5: Exhalation equivalence operation panel 10: Exhalation equivalence control panel

11 : 시뮬레이터 운영 제어반 12 : 교통류 발생장치11: Simulator operation control panel 12: Traffic flow gener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시험,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그룹 제어반의 시험 및 평가작업을 용이하게 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and evaluation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p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that facilitates testing and evaluation work of a group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엘리베이터는 사람을 수송하는 산업설비이므로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각종 시험을 많이 행해야 하며, 특히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은 복잡한 검출의 인원수송을 담당해야 하므로 설치되는 건물에 따라서 유동 인원 설계에 따른 최적화 시험을 거쳐 성능을 평가한 후 피이드백 수정을 하고 다시 성능 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을 여러번 거치게 된다.Since elevators are industrial facilities that transport people, various tests must be conducted to ensure safety.In particular, elevator group control panels must be responsible for transporting complex detection personnel. After the evaluation, the feedback correction is performed and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again and again.

이 과정후에도 실제로 운영과정에서 여러번의 수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시험이나 성능평가가 자주 이루어질수록 그룹 제어반은 최적화된다로 할 수 있다.After this process, the actual number of modifications must be made in the operation process, and the group control panel is optimized as the test or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frequently.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그룹 구동제어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과, 각각의 호기 제어반(4)이 상기 엘리베이터 그룹제어반(1)의 통신포트(2)로 n 대 1만큼 1 : 1로 연결되고, 각각의 호기 제어반(4)은 실제엘리베이터와 같은 동작을 하는 호기 등가 동작반(5)과 제어신호 및 상태신호선으로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의 별도의 입출력단자(3)는 각층의 홀 시험 조작반(8)에 접속되어 홀부름 버튼 신호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다.Conventionally used elevator group drive control apparatus, as shown in Figure 1,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and each exhalation control panel 4 is a communication port (2)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1 to 1 by n to 1, and each exhalation control panel 4 is connected to an exhalation equivalent operation panel 5 which operates like an actual elevator by a control signal and a status signal line, A separate input / output terminal 3 is connected to the hall test operation panel 8 of each layer to receive a hall call button signal.

또한 각각의 호기 제어반(4)으로부터도 카(car)부름 입력과 방향 표시 신호, 해당 층의 서비스 할당신호선이 시험 조작반(8)으로 연결된다.Also from each exhalation control panel 4, a car call input, a direction indication signal and a service allocation signal line of the corresponding floor are connected to the test operation panel 8.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에 대하여 그 동작과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device in detail as follows.

먼저, 특정 상황하에서 홀부름이 발생하였을 때 엘리베이터 그룹제어반(1)내의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서비스할 호기를 할당하게 되는데 특정 상항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시험조작반(8)의 홀부름 스위치(8-1)를 여러개 조작하여야 한다.First, when a hall call occurs under a specific situation, a call to be serviced is assigned by a control algorithm in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and in order to produce a specific situation, the hall call switch 8-1 of the test control panel 8 is used. It must be operated several times.

예를 들어, 제2도에 있어서 여섯 호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에 속한 엘리베이터의 위치가 1호기는 4층에 위치하여 상행중이고, 2호기는 1층에 대기중이고, 3호기는 8층에서 하행중…일 때, 7중의 홀부름(상행)(가)이 발생할 경우 서비스 할당되는 호기를 시험 및 성능분석하려면 제1도의 구성을 연결시키고 각각의 호기 제어반(4)과 호기 등가 동작반(5)과의 정상동작을 확인하고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의 입출력단자(3)의 접속을 확인한 다음 1호기의 4층 홀부름 버튼을 누르고 3호기의 8층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하여 특정 상황을 연출한 후 7층 상행 부름을 발생시켜 동작과 서비스 결과를 눈으로 확인한다.For example, in FIG. 2, the elevator belonging to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that controls six units is located uphill on the fourth floor, the second on the first floor, and the third on the first floor. Descending from the floor… In the case of 7-hole call (up) (a), if the service assigned to test and performance analysis, connect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each of the exhalation control panel (4) and the exhalation equivalent operation panel (5) After confirming the normal operation and confirming the connection of the I / O terminal 3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press the 4th floor hall button of Unit 1 and the 8th floor button of Unit 3 to produce a specific situation. Make an ascending call on the seventh floor to visually check the operation and service results.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을 시험하고자 할때 방대한 량의 장치와 전자장비를 연결하여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한 후 실시해야 하므로 사전 준비작업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However, when the device is to test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the preliminary work is too much because it must be carried out after connecting a large amount of devices and electronic equipment to check the normal operation.

그리고, 시험조작반(8)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황을 연출하므로 시간과 여건을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실제상황과는 다른 시험 및 성능의 평가로 진행될 수 밖에 없어서 한정된 시험 및 성능의 평가 결과를 기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ituation is created b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test control panel 8,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 test and evaluation of performance different from the actual situation in which the elevator is operated depending on time and conditions, and thus the limited test and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can be expected. There is only a problem.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운행 시스템에 따르는 결합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대한 양의 시험장비를 사전 설치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실제의 운행상황과 유사한 교통 흐름의 상황을 만들어 시험 및 평가하므로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의 실험 및 성능평가의 현저한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엘리베이터의 그룹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uplin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vator oper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pre-installing a large amount of test equipment and to create a situation of traffic flow similar to the actual operation situation and test and Therefore, to provide a new elevator group control method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experi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에 대한 시뮬레이터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 운영 제어반(11)과 N개의 호기 등가 제어반(10), 교통류 발생장치(12)로 구성되며, 각각의 호기 등가 제어반(10)은 독립된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과 결합되며, 교통류 발생장치(12)는 별도의 통신포트(13)를 통해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통류 발생장치(12)는 출근 모드 또는 퇴근모드 등과 같은 모드별로 시간에 따라 홀(Hall)부름과 카(car)부름의 수가 변하는 데이타 등을 화일화하여 N개의 교통 흐름 데이타 화일로 구성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imulator for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simulator operation control panel 11, N unit equivalent control panels 10, and a traffic flow generating device 12 are illustrated. Exhalation equivalent control panel 10 is coupled to the independent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the traffic flow generating device 12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port (13). In addition, the traffic flow generation device 12 comprises N traffic flow data files by filing data such as the number of Hall calls and car calls according to time by mode such as a work mode or a work mode. do.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그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in detail.

제3도에서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 시뮬레이터의 운영 제어반(11)은 콤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집합체로서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의 운행상태를 콤퓨터의 화면으로 감시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나 각종 도표로 작성하여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서 프린트에 출력하기도 한다. 즉, 각 개별호기의 운행상태는 호기 동가 제어반(10)으로부터 그룹 제어 표시상태, 문의 여닫힘 상태, 건물의 어느 층을 운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여 컴퓨터의 칼라 모니터 화면에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또한 발생된 홀부름을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에서 얻고 할당하기 전에는 제2도의 (가)의 위치에 표시해 두고 어느 호기에 의해 서비스되는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브름이나 카부름의 서비스결과 어느 호기가 어느 층에 정지되고 몇명의 승객이 탑승되었는지를 칼라 모니터 화면에 그림으로 표시하여 감시하게 된다. 운행한 결과로 실제화면의 움직임을 모두 표시하려면 데이타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성능분석을 위한 최소한의 데이타를 발췌하여 N개의 교통흐름 데이타 화일로 교통류 발생장치(12)에 저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시간에 따라 발생되는 부름은 너무 많기 때문에 분석용 데이타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고, 엘리베이터가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운행선도, 엘리베이터의 상행운행 횟수, 실어 나르는 승객의 총수, 운행시간, 운행거리 등을 표형식으로 화일화하여 교통류 발생장치(12)에 저장한 것이다.In FIG. 3, the operation control panel 11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simulator is a collection of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which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on the screen of a computer and prepares the result in a graph or various diagrams to make it hard. It also writes to disk and prints out as needed. That is, the operation state of each individual unit obtains the group control display state, the door open / closed state, and which floor of the building are operated from the exhalation dynamics control panel 10 and displays it graphically on the color monitor screen of the computer. . In addition, before the generated hall call is obtained from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and assigned, it can be marked at the position of (a) in FIG. 2 to observe which unit is being serv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ervice of Holbrum or Kaburum, it is possible to monitor which plane was stopped on which floor and how many passengers were boarded on the color monitor screen. To display all the movements of the actual screen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since there is too much data, the minimum data for performance analysis is extracted and stored in the traffic flow generator 12 as N traffic flow data files. For example, the number of calls generated over time i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record, and it i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record, but it is a graph show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over time, the number of ascents of the elevator, the total number of passengers carried, the time of travel, The filed travel distance and the like in a tabular format is stored in the traffic flow generating device (12).

따라서, 그룹 제어반 시뮬레이터의 시작시에는 교통류 발생장치(12)의 교통 흐름 데이타를 선택하는 제어를 운영자가 시뮬레이터 운영 제어반(11)의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여 초기화한다.Therefore, at the start of the group control panel simulator, the operator inputs the control for selecting the traffic flow data of the traffic flow generator 12 through the keyboard of the simulator operation control panel 11 and initializes it.

시험 및 성능 평가가 시작되면, 키보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시뮬레이션 모드와 시뮬레이션 시간에 따라 해당되는 교통 데이타 파일을 교통류 발생장치(12)에서 읽고 교통흐름을 발생시켜 시뮬레이터의 통신포트(1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으로 전송한다.When the test and performance evaluation are started, the corresponding traffic data file is read by the traffic flow generator 12 according to the simulation mode and the simulation time input through the keyboard or the like, and the traffic flow is generated to lift the eleva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3 of the simulator. It transmits to the group control panel 1.

전송받은 내용을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의 알고리즘과 파라미터에 따라서 서비스할 호기를 선택하여 해당 호기의 통신포트(2,9)를 통하여 해당 호기의 등가 제어반(10)으로 할당하게 된다. 즉, 카부름은 홀부름이 할당되면 서비스된 호기에 서비스된 홀부름에 해당되는 카부름이 발생되고, 이는 홀부름이 서비스되고 나면 즉시 카부름으로 변경되는 것이다.The received informa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algorithm and parameters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and assigned to the equivalent control panel 10 of the corresponding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s 2 and 9 of the corresponding unit. That is, when a call is assigned to a call, a call corresponding to a call that is serviced by the serviced call is generated, which is immediately changed to a call after the call is served.

할당받은 호기의 등가 제아반(10)은 엘리베이터의 움직임과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할당받은 부름을 서비스하고 그 상태와 결과를 통신포트(9)를 통하여 계속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으로 보고하고, 시뮬레이터의 운영 제어반(1)으로 할당받은 상태와 등가 제어반(10) 자신의 시뮬레이션 상태를 항상 보낸다.The equivalent Zeaban 10 of the assigned breathing service services the assigned call through a simulation such as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and reports the status and result to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9 continuously, The simulation state of the equivalent control panel 10 itself is always sent to the state assigned to the operation control panel 1.

제2도의 시험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교통 흐름 데이타를 7층 상행 부름(가)이 발생하기 일정시간전부터 제2도의 상황과 같도록 만들고 원하는 시간에(가)신호를 만들어 주면 된다.To simulate the test situation in FIG. 2, the traffic flow data should be the same as the situation in FIG. 2 a certain time before the seventh ascending call occurs, and the signal can be generated at the desired time.

제1도의 시험 조작반(8)의 조작과 비교하면 훨씬 엄밀하고 정확한 시험이 가능하게 되며, 시뮬레이터의 운영 제어반(11)에 기록 및 저장되는 운행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그룹 제어반의 알고리즘과 파라미터의 분석을 시뮬레이션으로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Compar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est control panel 8 of FIG. 1, a much more precise and accurate test is possible,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riving results recorded and stored in the operation control panel 11 of the simulator is performed to analyze the algorithms and parameters of the group control panel. It can be optimized by simulation.

한편,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의 제어를 받는 호기 등가 제어반(10)의 제어흐름을 제4도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control flow of the exhalation equivalent control panel 10 under the control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4.

먼저, 그룹 제어반(1)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특수 운행 모드이면 특수 운행을 실시하고, 신규할당된 홀부름이 있을 경우 그 부름을 등록하며, 홀/카부름중에서 동기층에서 진행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부름을 조사하여 홀부름이면 홀부름 서비스를 실시하고 신규 탑승객별 카부름을 발생시키며, 카부름이 가장 근접한 부름이면 카부름 서비스를 실시한 다음 해당층 부름을 해제한다.First,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by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group control panel 1, and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If there is a newly assigned hall call, the call is registered. Investigate this to perform a hall call service and generate a call for each new passenger. If the call is the closest call, perform a call service and then release the call.

그러나, 부름이 없으면, 기준층에 대한 대기 운행을 실시하고 부름없이 경과된 시간을 체크하여 시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절전대기에 들어가게 된다.However, if there is no calling, a standby operation for the reference floor is performed and the elapsed time is checked without calling, and when the time elapses for a predetermined time, power saving standby is entered.

제5도는 교통류 발생장치(12)에 대한 제어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시각과 모드를 입력하고 상황에 따른 교통 흐름 데이타 화일을 선정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선정된 화일의 데이타로 교통 흐름을 발생시키며 특수 상황시험의 수동 데이타를 입력하여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에 전송한다.5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the traffic flow generating device 12. As shown in FIG. 5, the simulation time and mode are input, the traffic flow data fil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traffic flow is selected based on the data of the selected file over time. Enter the manual data of the special situation test and send it to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룹 제어반을 시험, 성능평가할 때 준비를 위해 방대한 기구물과 전자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시뮬레이터와 통신포트만을 연결하여 준비를 끝냄으로써 준비시간이 거의 없어지며, 교통류 흐름 데이타로 처리하므로 실제의 상황과 거의 같은 시험과 성능 평가를 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반영하여 즉시 교통류 데이타의 수정이나 그룹 제어반의 운전 파라미터를 수정하여 최적화 과정을 현장이 아닌 시험실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실제적용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most eliminates the preparation time by connecting only the simulator and the communication port without installing a larg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preparation when testing and evaluating the group control panel. As a result, the test and performance evaluation are almost the same as the actual situation, and the optimization process can be carried out immediately by modifying the traffic flow data or modifying the operating parameters of the group control panel by reflecting the simulation resul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application time.

Claims (1)

여러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으로 제어하여 시험 및 성능을 평가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특수 운행 모드이면 특수 운행을 실시하고, 신규 할당된 홀부름이 있을 경우 그 부름을 등록하며, 홀/카부름중에서 동기층에서 진행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부름이 홀부름이면 홀부름 서비스를 실시하고 신규 탑승객별 카부름을 발생시키며, 카부름이 가장 근접한 부름이면 카부름 서비스를 실시한 다음 해당층 부름을 해제하여, 엘리베이터 호기의 모든 기능을 등가적으로 수행하는 호기 등가 제어반(10)과, 시뮬레이션 시각과 모드를 입력하고, 상황에 따른 교통 흐름 데이타 화일을 선정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선정된 화일의 데이타로 교통흐름을 발생시키며, 특수 상황시험의 수동 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반(1)에 전송하는 교통류 발생장치(12)와, 상기 엘리베이터 그룹제어반(1)의 운행을 감시하고 운행 결과를 기록하는 시뮬레이터 운영 제어반(11)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제어 장치.In an elevator group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nd tests multiple elevators in a group, the elevator group control unit 1 receives a command from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to perform special operation in a special operation mode, and when there is a newly assigned hall call. The call is registered, and if the closest call in the direction of the synchronous floor is called, the hall call service is executed and new callers are generated. If the call is the closest call, the call service is provided. Then, the floor is called and the exhalation control panel 10, which performs all functions of the elevator exhalation, inputs a simulation time and mode, selects a traffic flow data fi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traffic flow is generated with the data of the selected file. And a traffic flow generator 12 for transmitting to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and a simulator operation control panel 11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group control panel 1 and recording the result of the operation. Group control of elevator.
KR1019920021667A 1992-11-18 1992-11-18 Elevator group controlling apparatus KR960002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667A KR960002448B1 (en) 1992-11-18 1992-11-18 Elevator group control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667A KR960002448B1 (en) 1992-11-18 1992-11-18 Elevator group controll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327A KR940011327A (en) 1994-06-21
KR960002448B1 true KR960002448B1 (en) 1996-02-17

Family

ID=1934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667A KR960002448B1 (en) 1992-11-18 1992-11-18 Elevator group controll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4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99B1 (en) * 1996-08-17 2004-10-06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including platform buttons and displa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327A (en) 199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61921A (en) Carry the terminal device application of row Mass movement
CA2282609C (en) Remote control of lift installations
GB2276954A (en) Elevator fault diagnosis
EP3363758A1 (en) Mechanism for monitoring operation of passenger transport device
EP0337717A2 (en) Training kit
KR960002448B1 (en) Elevator group controlling apparatus
JP2009155042A (en) Group supervisory elevator performance assessment device
JPS6327267B2 (en)
CN101531298B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22072615A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method and elevator system
KR950005366B1 (en) Simulator for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CN1100063A (en)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s
JP2502730B2 (en) Remote monitoring device
JPH0215476B2 (en)
JP3028876B2 (en) Elevator remote monitoring device
JPH04371476A (en) Group management and device for elevator
KR100891229B1 (en) Elevator monitoring system
JP2001139248A (en) Elevator system
Beebe Lift management
JPH0873147A (en) Elevator monitor
JP2010130711A (en) Input/output test system of remote monitor control device
JP2008037519A (en) Elevator operation condition display system
CN115783916A (en) Elevator remote control system applied to emergency
KR100186629B1 (en) Test equipment of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group
JPH0326679A (en) Supervisory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