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896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896Y1
KR960001896Y1 KR2019930016276U KR930016276U KR960001896Y1 KR 960001896 Y1 KR960001896 Y1 KR 960001896Y1 KR 2019930016276 U KR2019930016276 U KR 2019930016276U KR 930016276 U KR930016276 U KR 930016276U KR 960001896 Y1 KR960001896 Y1 KR 960001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crushing
blade portion
blade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355U (ko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김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구 filed Critical 김용구
Priority to KR2019930016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896Y1/ko
Publication of KR950005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3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즙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착즙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착즙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분쇄롤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5도는 분쇄롤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분쇄롤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걸름망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착즙하우징
21 : 몸통부 22 : 캡부
23 : 투입구 24 : 부산물 배출구
25 : 즙취출구 26 : 깔떼기
30 : 걸름망 31 : 1차파쇄걸름망부
32 : 2차파쇄통부 32a : 파쇄돌조
33 : 압착망부 34 : 절개부
40 : 압착롤 41 : 롤축
42 : 1차파쇄날부 42a : 스크류형 파쇄날
42b : 각형홈 42c : 링형홈
43 : 2차파쇄날부 43a : 헬리컬형 파쇄날
43b : 각형돌기 44 : 압착날부
44a : 스크류형 압착날 45 : 영구자석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청소가 간편하면서도 착즙효율이 높게 되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즙기로서는 실용신안등록 제59191호와 같이 헬리컬형 세절이송부와 스크류형 압착이송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압착률을 걸름망 내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것으로서 즙을 연속적으로 추출하면서 섬유질 등의 부산물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착즙기에서는 헬리컬형 세절이송부와 스크류형 압착이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제작이 매우 어렵고, 2개의 압착률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원가상승을 초래하며, 사용 후 청소가 번거롭게 되고, 착즙기 전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1개의 압착률을 사용하면서도 착즙효율이 높고, 제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1개의 압착률을 사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후 청소가 간편하게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압착률을 일체형이 아닌 분리, 조립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와, 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입구와 즙취출구 및 부산물 배출구를 가지는 착즙하우징과, 이 착즙하우징내에 삽입되는 걸름망과, 이 걸름망내에서 회전되는 압착률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측즙하우징은, 본체에 고정되는 원통형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선단측에 나사결합되는 캡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름망은, 상기 착즙하우징의 투입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개부를 가지는 망으로 된 원통형 1차파쇄걸름망부와, 이 1차파쇄걸름망부의 선단에 고정부착되어 금속판으로 된 원추통형 2차파쇄통부 및 이 2차파쇄통부의 선단에 고정부착되며 망으로 된 원추통형의 압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률은, 상기 걸름망의 1차파쇄걸름망부내에 위치하는 스크류형 1차파쇄날을 가지는 1차파쇄날부와, 이 1차파쇄날부의 선단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2차파쇄통부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헬리컬형 파쇄날을 가지는 원추형 2차파쇄날부와, 이 2차파쇄날부의 선단측에 고정부착되어 스크류형 압착날을 가지는 압착날부를 하나의 롤축에 순차적으로 끼워 결합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착즙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분쇄롤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5도는 분쇄롤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분쇄롤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걸름망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동모터등의 구동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착즙기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일측에서 외팔보형으로 연장되며 상면에는 투입구(23)가 형성되고 선단에 부산물 배출구(24)가 형성되며 저면에 즙취출구(25)가 형성된 착즙하우징(20)과, 이 착즙하우징(20)내에 삽입되며 상기 투입구(23)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개부(34)가 형성된 걸름망(30) 및, 상기 걸름망(30)내에 설치되어 본체(10)내의 구동계에 연동되는 압착롤(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구동계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등의 조작패널(11)이 설치되며 착즙하우징(20)의 하부측에는 즙을 받아내기 위한 컵 등의 용기를 올려놓는 용기받침판(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착즙하우징(20)은 도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투입구(23)와 즙취출구(25)가 즙취출구(25)가 형성됨과 아울러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롤축(41)을 지지하는 축지지부(26)가 형성되는 원통형 몸통부(21)와 그 선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하되어 끝단에는 부산물 배출구(24)가 형성된 캡부(22)로 구성함으로써 청소기 몸통부(21)와 캡부(22)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몸통부(21)와 캡부(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무방하다.
이때 몸통부(21)와 캡부(22)를 분리형으로 할 경우에는 각각 나사부(21a,22a)를 형성하여 나사식으로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구(23)에는 착즙할 재료의 투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투입안내용 깔떼기(27)가 설치되며, 이 깔떼기(27)는 그 가장자리에 재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벽체(27b)가 형성된 판체(27a)와 이 판체(27a)에 천공된 투입공(28c)과 상기 투입구(23)를 연결하는 투입관부(27d)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몸통부(21)의 저면은 즙취출구(25)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즙이 즙취출구(25)쪽으로 원활하게 모여서 취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부(22)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돌조(22b)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걸름망(30)과 캡부(22)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름망(30)은 스테인레스 강제의 망판을 원통형으로 형성한 1차파쇄걸름망부(31)와, 이 1차파쇄걸름망부(31)의 선단측에 연이어서 스테인레스 강판을 원추통형으로 형성된 2차파쇄통부(32) 및, 이 2차파쇄통부(32)의 선단에 연이어서 스테인레스 강제 망판을 원추통형으로 형성한 압착부(33)로 구성된다.
상기 1차파쇄걸름망부(31)의 상면측에는 상기 투입구(23)에 대응하는 절개부(34)가 형성되어 투입구(23)를 통하여 투입되는 재료가 절개부(34)를 통하여 압착롤(40)의 1차파쇄날부(42)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2차파쇄통부(32)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파쇄돌조(32a)가 형성되어 있어 2차파쇄날부(43)의 파쇄날(43a)과의 작용으로 재료의 파쇄를 더욱 강력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파쇄돌조(32a)는 도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돌편을 톱니모양으로 부착할 수도 있으나, 2차파쇄통부(32)를 구성하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압착롤(40)은 본체(10)내에 설치된 구동계에 연결되는 롤축(41)과, 이 롤축(41)에 고정결합되며 스크큐형 파쇄날(42a)을 가지는 1차파쇄날부(42)와, 이 1차파쇄날부(42)의 선단측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헬리컬형 파쇄날(43a)을 가지는 2차파쇄날부(43) 및, 이 2차파쇄날부(43)의 선단측에 결합되며 스크큐형 압착날(44a)을 가지는 압착날부(44)로 구성된다.
상기 롤축(41)은 금속으로 형성하며, 1차파쇄날부(42)와 2차파쇄날부(43) 및 압착날부(44)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롤축(41)과 1차파쇄날부(42)는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며 이 상태에서 2차파쇄날부(43)를 롤축(41)에 끼워 그 후단면이 1차파쇄날부(42)의 선단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롤축(41)에 압착날부(44)를 나사식으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2차파쇄날부(43)가 1차파쇄날부(42)의 선단부와 압착날부(44)의 후단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롤축(41)과 압착날부(44)를 나사식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롤축(41)에는 숫나사부(41a)를 압착날부(44)에는 암나사부(44b)가 각각 형성된다.
롤축(41)의 직경은 상기 착즙하우징(20)의 부산물 배출구(24)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 롤축(41)의 선단측 외주면과 부산물 배출구(24)의 내주면 사이에 부산물 배출간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1차파쇄날부(42)의 골경은 선단부로 갈수록 크게 하여 스크큐형 파쇄날(42a)의 산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재료의 선단측으로의 압착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파쇄날부(42)의 선단면에는 각형홈(42b)이 형성되고 2차파쇄날부(43)의 후단면에는 상기 1차파쇄날부(42)의 각형홈(42b)에 삽입되는 각형돌기(43b)가 형성되어 각형홈(42b)가 각형돌기(43b)의 결합에 의하여 2차파쇄날부(43)가 헛도는 일이 없이 1차파쇄날부(42)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1차파쇄날부(42)의 선단면에는 영구자석(45)이 매설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1파쇄날부(42)의 선단면에 링형홈(42c)을 형성하고 이에 링형 영구자석(45)을 삽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상의 영구자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3은 착즙하우징(20)을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착즙기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제2도와 같이 분해된 상태에서 착즙하우징(20)이 몸통부(21)내에 압착롤(40)과 걸름망(30)을 삽입하고 몸통부(21)의 선단부에 캡부(22)를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제4도와 같이 결합하면 롤축(41)의 후단부가 착즙하우징(20)의 후단에 형성된 축지지부(26)에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착즙하우징(20)과 롤축(41)의 후단부를 본체(10)의 전면에 천공된 통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삽입하면 롤축(41)의 후단부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계에 결합되어 구동계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로 되며, 본체(10)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나사(13)를 조이면 착즙하우징(20)의 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착즙하우징(20)의 투입구(23)에 투입안내용 깔떼기(27)의 투입관부(27d)를 끼워 투입공(28c)과 투입구(23)가 연통되도록 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착즙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조작패널(11)에 설치된 스위치등을 조작하여 본체(10)내에 구동계를 가동시키면 구동계에 연결된 롤축(41)이 회전하게 되고 이 롤축(41)에 결합된 1차 및 2차파쇄날부(42,43)와 압착날부(44)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투입구(23)를 통하여 착즙하고자 하는 재료를 투입하면 그 재료는 투입구(23)에 대응하여 걸름망(30)에 형성된 절개부(34)를 통하여 압착롤(40)의 1차파쇄날부(42)의 스크큐형 파쇄날(42a)과 접촉하면서 파쇄되기 시작한다. 재료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투입안내용 깔떼기(27)를 결합하여 그 투입공(28c)을 통하여 재료를 투입한다.
재료는 1차파쇄날부(42)의 스크큐형 파쇄날(42a)에 의하여 파쇄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걸름망(30)의 망목을 통과하지 못한 파쇄된 재료등은 1차파쇄날부(42)의 스크류형으로 된 파쇄날(42a)에 의하여 전방으로 계속하여 이송된다.
스크큐형 파쇄날(42a)에 의하여 이송되는 재료등은 2차파쇄날부(43)에 이르러서 다수개의 헬리컬형 파쇄날(43a)에 의하여 파쇄되는 바, 2차파쇄날부(43)의 파쇄날(43a)은 헬리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으로 된 2차파쇄통부(32)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파쇄돌조(3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욱 강력하게 파쇄되면서 그 전방의 압착날부(44)측으로 이송된다.
1차 및 2차 파쇄과정에서 파쇄된 재료는 계속하여 스크큐형 압착날(44a)을 가지는 압착날부(44)로 이송되며 여기서 걸름망(30)은 압착날부(44)를 감싸고 있는 부위가 원추형으로 형성된 압착부(3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재료는 압착부(33)와 압착날부(44)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최종적으로 즙이 생성된다.
여기서 압착날부(44)의 압착날(44a)은 스크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압착날부(44)를 감싸고 있는 금속망으로 된 압착부(33)는 약간 원추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쇄된 자료는 압착날부(44)의 스크큐형 압착날(44a)과 압착부(33)사이에서 가압되어 강력하게 압착되면서 즙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1,2차 파쇄과정 및 압착과정에서 생성된 즙은 걸름망(30)에 의하여 걸러진 다음 착즙하우징(20)의 저면에 형성된 즙취출구(25)를 통하여 취출되어 본체(10)의 용기받침판(12)위에 올려놓은 용기에 담겨진다.
이때 착즙하우징(20)의 저면은 즙취출구(25)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쇄과정에서 생성된 즙은 즙취출구(25)로 흘러나가게 되어 즙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즙을 압착해내고 남은 찌꺼기등의 부산물은 압착날부(44)의 선단측에서 돌출된 롤축(41)선단과 착즙하우징(20)의 캡부(22)에 형성된 부산물 배출구(24)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착즙이 완료되고 전원을 끈 다음 청소를 함에 있어서는 본체(10)의 일측에 체결된 고정나사(13)를 이완시켜 착즙하우징(2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한 다음 착즙하우징(20)의 캡부(22)를 몸통부(21)에서 풀어내면, 압착롤(40)과 걸름망(30)을 꺼내어 세척할 수 있게 되며, 착즙하우징(20)과 압착롤(40) 및 걸름망(30)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술한 순서로 조립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롤축에 하나의 압착롤을 사용하면서도 강력한 재료의 파쇄와 압착을 할 수 있어 착즙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차파쇄날부와 2차파쇄날부 및 압착날부를 조합하여 하나의 압착롤을 구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 및 청소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압착롤을 구성하는 1차파쇄날부와 2차파쇄날부(43) 사이에 영구자석을 매설 하였으므로 즙을 자화시켜 건강을 더욱 좋은 즙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본체(10)와, 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입구(23)와 즙취출구(25) 및 부산물 배출구(24)를 가지는 착즙하우징(20)과, 이 착즙하우징내에 삽입되는 걸름망(30)과, 이 걸름망(30)내에서 회전되는 압착롤(40)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착즙하우징(20)은, 본체(10)에 고정되는 원통형 몸통부(21)와, 이 몸통부(21)의 선단측에 나사결합되는 캡부(22)로 구성되며, 상기 걸름망(30)은, 상기 착즙하우징(20)의 투입구(23)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개부(34)를 가지는 망으로 된 원통형 1차파쇄걸름망부(31)와, 이 1차파쇄걸름망부(31)의 선단에 고정부착되어 금속판으로 된 원추통형 2차파쇄통부(32) 및 2차파쇄통부(32)의 선단에 고정부착되며 망으로 된 원추통형의 압착부(33)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롤(40)은, 상기 걸름망(30)의 1차파쇄걸름망부(31)내에 위치하는 스크큐형 1차파쇄날(42a)을 가지는 1차파쇄날부(42)와, 이 1차파쇄날부(42)의 선단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2차파쇄통부(32)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헬리컬형 파쇄날(43a)을 가지는 원추형 2차파쇄날부(43)와, 이 2차파쇄날부(43)의 선단측에 고정부착되어 스크큐형 압착날(44a)을 가지는 압착날부(44)를 하나의 롤축(41)에 순차적으로 끼워 결합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30)의 원추통형 2차파쇄통부(32)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파쇄돌조(3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돌조(32a)는 2차파쇄통부(32)를 구성하는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40)의 롤축(41)은 1차파쇄날부(42)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며, 상기 압착날부(44)는 롤축(41)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2차파쇄날부(43)가 1차파쇄날부(42)와 압착날부(44)사이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파쇄날부(42)의 선단면에는 각형홈(42b)이 형성되고 2차파쇄날부(43)의 후단면에는 상기 1차파쇄날부(42)의 각형홈(42b)에 삽입되는 각형돌기(43b)가 형성되어 각형홈(42b)과 각형돌기(43b)의 결합에 의하여 2차파쇄날부(43)가 헛돌지 않고 1차파쇄날부(42)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40)에는 영구자석(45)이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파쇄날부(42)의 선단면에 링형홈(42c)을 형성하여 이에 링형 영구자석(45)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19930016276U 1993-08-21 1993-08-21 착즙기 KR960001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276U KR960001896Y1 (ko) 1993-08-21 1993-08-21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276U KR960001896Y1 (ko) 1993-08-21 1993-08-21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55U KR950005355U (ko) 1995-03-20
KR960001896Y1 true KR960001896Y1 (ko) 1996-03-04

Family

ID=1936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276U KR960001896Y1 (ko) 1993-08-21 1993-08-21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55Y1 (ko) * 2013-05-21 2014-09-18 이은숙 착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55Y1 (ko) * 2013-05-21 2014-09-18 이은숙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55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6154A (en) Juice extractor
CN2430088Y (zh) 食物粉碎装置
TW201302136A (zh) 榨汁機
KR101455080B1 (ko) 착즙기
KR960001896Y1 (ko) 착즙기
CN109744842B (zh) 一种易清洗的螺杆挤压式榨汁机
KR200189288Y1 (ko) 녹즙기의 착즙장치
US11033047B2 (en) Easy-cleaning juicing net structure of juicing device
KR970002069Y1 (ko) 착즙기용 착즙망 세척장치
JP3148257B2 (ja) 万能調理機
KR200283830Y1 (ko) 착즙기
KR101267801B1 (ko) 착즙기
KR200280339Y1 (ko) 착즙기
CN215077444U (zh) 食品料理机
CN110464224B (zh) 食物处理机
CN213757715U (zh) 榨汁机
KR200189808Y1 (ko) 녹즙기의 착즙부재 구조
WO2021088694A1 (zh) 便携式榨汁机
CN110960056A (zh) 食物处理机
KR200497345Y1 (ko) 착즙기
KR950001346Y1 (ko) 착즙기
CN220735208U (zh) 无胶圈滤网的榨汁机组件
KR960007374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로울러의 축이음 장치
CN214230857U (zh) 一种榨汁机
KR960003087Y1 (ko) 분쇄기를 겸한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