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241Y1 - 파이프 렌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241Y1
KR960000241Y1 KR92019259U KR920019259U KR960000241Y1 KR 960000241 Y1 KR960000241 Y1 KR 960000241Y1 KR 92019259 U KR92019259 U KR 92019259U KR 920019259 U KR920019259 U KR 920019259U KR 960000241 Y1 KR960000241 Y1 KR 960000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ving
jaw
guide groove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9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583U (ko
Inventor
공선재
Original Assignee
공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선재 filed Critical 공선재
Priority to KR92019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241Y1/ko
Publication of KR940009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25B13/5025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 B25B13/504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with movable or adjustable jaws
    • B25B13/505Pivotally moving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렌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렌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선 확대 단면도
제 3 도의 (a)는 죠오들이 파이프를 파지하는 초기상태를 보인 파이프 렌치의 부분 정면도
제 3 도의 (b)는 죠오들이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켜 파이프를 조이는 상태를 보인 파이프 렌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가이드 홈
3 : 헤드 4 : 고정 죠오
5 : 손잡이 6 : 이동 조임대
7 : 이동 죠오 8 : 연장 편
9 : 덮개 판 11 : 압축 스프링
12 : 괘지 편
본 고안은 파이프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의 크기에 관계없이 죠오(JAW)의 몰림이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 조절되며, 또한 파이프의 조임 및 해체 작업시 죠오의 물림 상태를 일일이 파이프에 맞춰 조절해 주지 않아도 간편하게 연속 반복적으로 조임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렌치(Pipe Wrench)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파이프 렌치에 있어서는 파이프를 물어주는 죠오의 물림 크기를 파이프의 크기에 따라 일일이 조절 너트를 돌려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그로 인한 작업의 신속성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파이프의 조임 및 해제 작업시 매번 죠오의 물림 상태를 일일이 파이프에 맞춰 다시 조절한 다음 작업을 하였던 까닭에 연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 렌치의 조임 위치에 관계없이 파이프를 물어주는 조임 부재인 죠오의 이동이 용이하여 파이프에 대한 렌치 작업시 이를 물거나 또는 해체가 신속하며, 또한 이동 조임대를 스프링으로 탄력 이동되게 하여 죠오의 물림 상태가 자유자재로 조절되게 하면서도 강한 힘으로 파이프를 물어줄 수 있으며, 이동 조임대를 원호의 형태로 제작하여 임의 직경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파이프 렌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렌치의 특징은 소정의 곡률로서 만곡지며 일정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몸체부의 일측에는 파이프를 물기 위한 고정 죠오가 설치되는 헤드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일체로 형성시키고, 몸체부의 타측에는 손잡이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일체 연설시키며, 몸체부의 가이드 홈에는 고정 죠오와 협동하여 파이프를 몰기 위한 이동 죠오를 구비하며 가이드 홈과 동일한 곡률을 가져 직경이 상이한 파이프를 용이하게 파지 하도록 한 이동 조임대를 약간 헐거운 상태로 삽설시키고, 덮개판을 고정 나사로써 몸체부에 고정시켜 이동 조임대의 이탈을 방지하며, 이동 조임대의 후방으로는 압축스프링을 끼운 다음 괘지편을 또 다른 고정 나사로 고정시켜 탄력 지지되게 하되, 이동 죠오의 파이프 물림면을 고정 죠오의 파이프 물림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렌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로서, 일정 깊이의 가이드 홈(2)이 소정의 곡률로서 만곡지게 형성되고, 몸체부(1)의 상단으로는 고정 죠오(4)가 설치되는 헤드(3)를 경사지게 형성하되, 몸체부(1)의 하단으로는 손잡이(5)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일체 연설하며, 상기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에는 이동 죠오(7)가 구비된 이동 조임대(6)의 연장편(8)을 약간 헐거운 상태로 삽설하여 이의 일 측면을 제 2 도에서와 같이 덮개판(9)으로 덮어 고정 나사(10)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연장편(8)의 후방으로 압축 스프링(11)을 끼운 다음 괘지 편(12)을 또 다른 고정 나사(13)로 고정시켜 탄력 지지되게 하였다. 여기에서, 이동 조임대(6)는 가이드 홈(2)과 동일한 곡률을 가져 임의 직경의 파이프(14)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화살표(X)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한 구조의 파이프 렌치를 이용하여 조이고자 하는 파이프(14)를 물릴 경우에는 제 1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11)에 의해 몸체부(1)에 탄력 설치된 이동 조임대(6)를 괘지 편(12)쪽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시켜, 즉, 경사 설치된 고정 죠오(4)를 기준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X)으로 이동 조임대(6)의 선단부(이동 죠오7이 있는 부분)를 잡아당기거나, 원호의 형태로 된 이동 조임대(6)의 후단부(괘지 편 12의 끝단부)를 화살표 방향(X)으로 밀어 이동 죠오(7)가 제 1 도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벌려지도록 한 후, 상기 각 죠오(4)(7)사이에 파이프(14)를 위치시킨 다음 잡아 당기거나, 밀고 있던 이동 조 임대(6)를 놓으면 압축 스프링(11)의 복귀력에 의해 이동 조임대(6)가 후퇴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이동 죠오(7)와 고정 죠오(4) 사이에 파이프(14)가 제 3 도의 (a)와 같이 파지 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가장 필수적인 것을 제 1 도에서와 같이 이동 조임대(6)를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의 형태로 제작하여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를 파지하도록 하고, 고정죠오(4)의 파이프 물림면(4A)을 파이프(14)의 중심선과 수평(평행)이 되도록 하고 제 1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죠오(7)의 파이프 물림면(7A)을 고정 죠오(4)의 파이프 물림면(4A)과 소정의 각도(예컨대, 예각)를 이루도록 하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만약에 이동 죠오(7)의 파이프 물림면(7A)이 고정 죠오(4)의 파이프 물림면(4A)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것이 아닌 일직선의 형태로 제작하면 잡아당기거나, 밀고 있던 이동 조임대(6)를 놓더라도, 압축 스프링(11)의 복귀력에 의해 이동 조임대(6)가 후퇴하더라도 파이프(14)를 단단히 파지할 수 없게 되어 렌치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동 조임대(6)가 원호 형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이동 조임대(6)가 화살표(X)의 양방향으로 진퇴될 경우에는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14)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동 조임대(6)의 연장편(8)은 가이드 홈(2)과 동일한 곡면 상태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을 따라 곡선을 그리면서 진퇴 되어져 이동 죠오(7)를 고정 죠오(4)로부터 벌려 주고 또는 좁혀 주기가 용이한 것이며, 특히 고정 죠오(4)와 이동 죠오(7)가 각각 몸체부(1)와 이동 조임대(6)상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상태로 고정하였기때문에 이동 조임대(6)만을 조절하여 주더라도 통상의 파이프(14)를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물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3 도의 (a)와 같은 상태에서 파이프(14)를 조여 주기 위해서 몸체부(1)의 하부 외측으로 경사 형성된 손잡이(5)를 화살표 방향(Z)으로 회전시키면 고정죠오(4)와 이동 죠오(7)에 의해 몰려 있는 파이프(14)는 회전되어 조여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손잡이(5)를 제 1 도의 화살표 방향(Z)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11)에 의해 탄력 설치된 이동 조임대(6)는 제 3 도의 (b)와 같이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의 상단 우측부(a)와 하단 좌측부(b)에 접촉되지만, 가이드 홈(2)의 상단 좌측부(c)와 하단 우측부(d)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도에 도시한 손잡이(5)의 화살표 방향(Z)의 회전시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의 상단 우측부(a)와 하단 좌측부(b)가 이동 조임대(6)의 해당 부위를 가압하므로 이동 조임대(6)는 요동되지 않고 확실한 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파이프(14)가 조여질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파이프(14)의 조임시 압축 스프링(11)은 이동 조임대(6)를 화살표(X)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실질적으로 파이프를 조이는 것은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의 상단 우측부(a)와 하단 좌측부(b)가 이동 조임대(6)의 해당부위를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가압되는 파이프(14)를 연속적으로 조여 주기 위해서 손잡이(5)를 화살표(Z)의 반대 방향으로 들어올려 회전시킬 경우에는 파이프(14)의 물림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즉, 손잡이(5)를 화살표(Z)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 조임대(6)의 이동 죠오(7)는 파이프(14)의 하부를 받쳐 주게 되고, 고정 죠오(4)는 파이프(14)의 상부를 눌러 주게 된다. 다시 말하면, 손잡이(5)를 화살표(Z)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손잡이(5)를 화살표(Z)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3 도의 (a)와 같이 이동 조임대(6)는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의 상단 우측부(a) 및 하단 좌측부(b)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대신에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의 상단 좌측부(c) 및 하단 우측부(d)와 접촉한다. 여기에서 화살표(Z) 방향으로의 손잡이(5)의 가압을 해제하는 순간 이동 조임대(6)가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의 상단 우측부(a) 및 하단 좌측부(b)와의 접촉이 해재되는 이유는 압축 스프링(11)이 모체부(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탄설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때 이동 죠오(7)는 파이프(14)의 하부를 단단히 받쳐 주고 있고, 이동 조임대(6)가 원호 형태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손잡이(5)를 화살표(Z)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이동 조임대(6)는 화살표(X)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 조임대(6)가 화살표(X) 방향으로 약간 이동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죠오(7)의 파이프 물림면(7A)을 고정 죠오(4)의 파이프 물림면(4A)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 죠오(7)의 파이프 물림면(7A)이 고정 죠오(4)의 파이프 물림면(4A)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고, 고정 죠오(4)이 파이프 물림면(4A)은 파이프(14)의 중심선과 평행하므로 손잡이(5)를 화살표(Z)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이프(14)에 대한 이동 죠오(7)의 파지력은 고정 죠오(4)의 것보다 강하므로 이동 조임대(6)는 화살표(X)방향으로 약간 이동됨과 동시에 고정 죠오(4)는 파이프(14)의 표면 위를 미끄러지게 된다.
만약에 이동 죠오(7)의 파이프 물림면(7A)이 고정 죠오(4)의 파이프 물림면(4A)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것이 아닌 일직선의 형태로 제작하면 손잡이(5)를 화살표(Z)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일직선 형태의 이동 조임대는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결국, 화살표(Z)의 반대 방향에 대한 손잡이(5)의 회전시 이동 조임대(6)가 화살표(X) 방향으로 약간 전진되어 파이프(14)에 대한 고정 죠오(4)의 물림 상태가 약간 해제되어 손잡이(5)를 계속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손잡이(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파이프(14)를 조이기 위해서, 손잡이(5)를 화살표(Z)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키면,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의 상단 좌측부(c) 및 하단 우측부(d)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동 조임대(6)는 압축 스프링(11)의 복귀력에 의해 화살표(X)의 반대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조임대(6)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손잡이(5)를 화살표(Z)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화살표(X)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시 지금까지 이동 죠오(7)와 고정 죠오(4)에 의해 약간 해제되었던 물림력은 다시 강해진다. 이와 동시에 손잡이(5)를 화살표(Z)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몸체부(1)내에서 이동 조임대(6)는 가이드 홈(2)의 상단 우측부(a)와 하단 좌측부(b)와 단단히 접촉되므로 손잡이(5)의 화살표(Z) 방향의 회전시 몸체부(1)의 가이드홈(2)의 상단 우측부(a)와 하단 좌측부(b)가 이동 조임대(6)의 해당 부위를 단단히 가압하므로 이동 조임대(6)는 요동되지 않고 확실한 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파이프(14)는 조여 질 수 있게 된다.
만약에 조여져 있던 파이프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렌치를 역으로 사용하면 되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파이프(14)를 좀더 확실히 조이고자 할 경우 또는 꽉 조여진 파이프를 단단히 파지하여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이동 조임대(6)의 연장편(8)부분을 화살표(Y) 방향으로 눌러 줄 수도 있다. 즉, 파이프(14)를 죠오(4), (7) 사이에 물리고 난 뒤 손잡이(5)의 회전시 이동 조임대(6)의 연장편(8) 부분을 화살표(Y) 방향으로 동시에 누르게 되면 이동 죠오(7)가 파이프(14)를 확실하면서도 단단히 파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렌치는 연속 조임 작업시 종래와 같이 파이프 렌치 자체를 일일이 파이프에서 분리 또는 결합하여 물림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이 손잡이의 가압 조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 조임대의 동작에 의해 연속해서 파이프의 조임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소정의 곡률로서 만곡지며 일정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2)이 형성된 몸체부(1)의 일측에는 파이프(14)를 물기 위한 고정 죠오(4)가 설치되는 헤드(3)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몸체부(1)의 타측에는 손잡이(5)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일체 연설시키며, 상기 몸체부(1)의 가이드 홈(2)에는 상기 고정 죠오(4)와 협동하여 파이프(14)를 물기 위한 이동 죠오(7)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홈(2)과 동일한 곡률을 가져 상이한 직경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이동 조임대(6)를 약간 헐거운 상태로 삽설시키고, 덮개판(9)을 고정 나사(10)로 몸체부(1)에 고정시켜 상기 이동 조임대(6)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이동 조임대(6)의 후방으로는 압축 스프링(11)을 끼운 다음 괘지 편(12)을 또 다른 고정 나사(13)로 고정시켜 탄력 지지되게 하되, 상기 이동 죠오(7)의 파이프 물림면(7A)을 상기 고정 죠오(4)의 파이프 물림면(4A)과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렌치.
KR92019259U 1992-10-08 1992-10-08 파이프 렌치 KR960000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259U KR960000241Y1 (ko) 1992-10-08 1992-10-08 파이프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259U KR960000241Y1 (ko) 1992-10-08 1992-10-08 파이프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583U KR940009583U (ko) 1994-05-21
KR960000241Y1 true KR960000241Y1 (ko) 1996-01-05

Family

ID=1934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9259U KR960000241Y1 (ko) 1992-10-08 1992-10-08 파이프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018B1 (ko) * 2018-08-06 2019-10-30 이정희 다기능 체결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018B1 (ko) * 2018-08-06 2019-10-30 이정희 다기능 체결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583U (ko) 199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3801A (en) Clamp
US5094131A (en) Hand tool or improved bar clamp
US5149071A (en) Double-jaw vice for holding workpieces
US6206354B1 (en) Vise having automatic locating mechanism
US6568667B1 (en) Quick setup apparatus for bar clamp operated with one hand
US4823636A (en) Wrenchable C-clamp
US2317195A (en) Clamp
US5791213A (en) Pipe wrench stand
US4205833A (en) Bench vise
JPH055637B2 (ko)
US5975511A (en) Clamping device with a jaw brake
US3124347A (en) haddad
US4477937A (en) Combined pliers, clamp and wrench
KR960000241Y1 (ko) 파이프 렌치
US6761349B2 (en) Quick-set clamping mechanism
US5127639A (en) Adjustable vise
EP0272120A2 (en) Clamping or pressing devices
SE9002366L (sv) Snabbinstaellning foer kaeftarna vid verktyg och liknande
US4974478A (en) Device for tightening the screw on scissors
US3306143A (en) Vise grip pliers having toggle release means
GB2081629A (en) Pipe gripping tool
US5833225A (en) Gripping device
US7681870B2 (en) Pipe clamp fixture
KR102038018B1 (ko) 다기능 체결 공구
US20010054335A1 (en) Self-adjusting vise-grip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