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991Y1 - 미용용구 세트대 - Google Patents

미용용구 세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91Y1
KR950009991Y1 KR2019930007173U KR930007173U KR950009991Y1 KR 950009991 Y1 KR950009991 Y1 KR 950009991Y1 KR 2019930007173 U KR2019930007173 U KR 2019930007173U KR 930007173 U KR930007173 U KR 930007173U KR 950009991 Y1 KR950009991 Y1 KR 950009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ircular
tool set
support column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006U (ko
Inventor
이만택
Original Assignee
이만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택 filed Critical 이만택
Priority to KR2019930007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991Y1/ko
Publication of KR940024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0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45D44/04Special adaptations of portable frames or rac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용용구 세트대
제1도는 본 고안의 미용용구 세트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미용용구 세트대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세트대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지지기둥과 회동지지구 사이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지지기등
20 : 윗판 30 : 아래판
40 : 원형선반 50 : 회동지지구
51 : 고정밴드 56 : 걸림턱
57 : 지지턱
본 고안은 미용용구 세트대에 관한 것으로, 미용에 필요한 용구를 하나의 본체내에 형성할수 있도록 하여, 필요의 미용용구를 손쉽게 찾아 사용할수 있도록 하므로써, 미용의 작업 능률을 높일수 있는 미용용구 세트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고안은 세트대의 본체내에서 미용용구를 얹어 사용할수 있는 원형선반이 지지기둥에 지지되어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하여, 머리를 손질하는 오퍼레이터가 자신의 작업 위치에 따라서 원하는 위치로 변형시키어 사용할수 있는 미용용구 세트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용용구의 보관 및 사용에 있어서는 전면에 부착된 거울앞쪽의 선반에 보관함을 설치하여 미용용구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였으며, 또한 미용용구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이동시킬수 있도록 된 다단식 작업대의 경우에 있어서는, 하나의 작업대에 여러개의 용구를 얹어 사용할수 있다는 점과, 또한 오퍼레이터의 작업 위치에 따라서 작업대를 이동시킬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의 보관함에 넣어 사용하는 것 보다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오퍼레이터의 작업 위치에 따라서 일일이 작업대를 끌어서 위치를 변형 시키어야 하는 불편으로 작업 효율을 높일수 없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며, 미용의자의 수에 따라서 작업대를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 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대의 선반을 다단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또한 상기의 선반이 지지기둥을 중심을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오퍼레이터의 작업반경에 따라서 선반을 작업대의 본체 밖으로 노출 시킬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 위치를 보상 할수 있는 미용용구 세트대의 제공에 있다.
본 고안의 주요지는 고데기 가열홈 및 용기고정홈들이 형성된 윗판과 아래판사이의 본체내에, 평면이 간막이로 구획되어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원형 선반들의 일측이 지지기둥에 지지되어, 지지기둥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원형선반은, 지지기둥에 일정각도로 회전 제어되는 회동지지구에 얹혀 회동가능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원형선반일측에 형성한 지지턱이, 상기의 회동지지구의 걸림턱에 유지 될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미용용구 세트대의 본체(10)는 윗판(20), 아래판(30) 및 다수의 원형선반(40)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윗판(20)과 아래판(30)은 지지기둥(11)과 지지벽(12)으로 일정의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윗판(20)과 아래판(30)의 사이에 복수개의 원형선반(40)이 형성된다.
윗판(2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데기 가열홈(13)이 형성되고 그의 주위에는 스프레이 용기(도시생략)등을 얹어 놓을수 있는 용기 고정홈(14)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고데기 가열홈(13) 및 후술하는 콤퓨레샤(15)등을 "온, 오프"할수 있는 스위치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래판(30)에는 스프레이용기 등에 에어를 공급할수 있는 콤퓨레샤(15)가 형성되어 있고, 그의 저면에는 바퀴(17)가 사방에 형성되어 미용용구 세트의 본체(10)를 이동 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기둥(11)에는 회동지지구(50)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동지지구(50)에는 고정밴드(51)가 나사못(52)등으로 일측이 고정되어 고정밴드(51)위에 원형선반(40)이 얹혀질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11)과 회동지지구(50)와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기둥(11)의 안내홈(53)에 베어링등의 구슬(54)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5)에 의하여 탄성력 있게 유지되도록 되어, 지지기둥(11)을 중심으로 회동지지구(5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있으며, 상기의 반구형상의 안내홈(53)의 양쪽 끝단의 마구리 부위에는 구슬(54)이 안정되게 위치 고정될수 있도록 안내홈(53)의 깊이 보다 다소 깊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지지기둥(11)의 안내홈(53)의 형상에 있어서의 반구형상으로 형성 하였으나, 그의 외형의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형성하여 원형선반(40)의 지지기둥(11)으로 부터의 회동반경을 넓게 형성 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 구슬 및 안내홈의 형성으로 형성하지 않고 탄성편으로 하여, 이 탄성편이 어떤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 되도록 하여서 상기의 회동지지구(50)의 회동 반경을 제한 할수 있는 것이므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기둥(11)으로 부터 회동지지구(50)가 회동되면서 한정적으로 구속될수 있도록 형성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지지구(50)에 걸림턱(56)을 나란히 형성하고, 원형선반(40)에 지지턱(57)을 나란히 형성하여, 상기의 걸림턱(56)과 지지턱(57)이 서로 지지되어 유지될수 있도록 되어, 원형선반(40)을 회동지지구(50)의 고정밴드(51)에 얹혀 놓았을 때, 회동지지구(50)로 부터 원형선반(40)이 회동되는 일이 없이 안정되게 유지 고정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지지구(50)의 고정밴드(51)위에 원형선반(40)을 얹게 되면 원형선반(40)의 바깥 테두리의 턱이 고정밴드(51)에 걸쳐지게 하고, 또한 원형선반(40)의 지지턱(57)이 회동지지구(50)의 걸림턱(56)사이에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하게 되면, 원형선반(40)은 회동지지구(5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5도의 평면도에서 본체(10)내에서 원형선반(40)을 바깥으로 노출 시키게 되면, 가상선 상태에서 실선의 상태로 위치를 변결 시킬수 있는 것이어서, 오퍼레이터가 작업 위치에 따라서 직접 본체를 이동 시키는 일이 없이, 필요의 원형선반(40)만을 회동 시키어 미용용구를 추출 시키어 적절히 사용 할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의 회동지지구(50)의 구슬(54)은 스프링(55)에 의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기둥(11)의 안내홈(53)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의 구슬(54)이 안내홈(53)의 끝단 마구리부에 위치하게 되면, 끝단 마구리부의 홈의 깊이가 다소 깊기 때문에 안정되게 본체(10)내에 또는 본체의 바깥부위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 고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세트대의 본체내에서 미용용구를 얹어 사용할수 있는 원형선반이 지지기둥에 지지되어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하여, 머리를 손질하는 오퍼레이터가 자신의 작업 위치에 따라서 원하는 위치로 변형 시키어 사용할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Claims (3)

  1. 고데기 가열홈(13) 및 용기고정홈(14)들이 형성된 윗판(20)과 아래판(30)사이의 본체(10)내에, 평면이 간막이로 구획되어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원형 선반(40)들의 일측이 지지기둥(11)에 지지되어, 지지기둥(11)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구 세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원형선반(40)은, 지지기둥(11)에 일정 각도로 회전 제어되는 회동지지구(50)에 얹혀 회동가능하게 형성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구 세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원형선반(40)일측에 형성한 지지턱(57)이, 상기의 회동지지구(50)의 걸림턱(56)에 유지 될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구 세트대.
KR2019930007173U 1993-04-30 1993-04-30 미용용구 세트대 KR950009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173U KR950009991Y1 (ko) 1993-04-30 1993-04-30 미용용구 세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173U KR950009991Y1 (ko) 1993-04-30 1993-04-30 미용용구 세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006U KR940024006U (ko) 1994-11-16
KR950009991Y1 true KR950009991Y1 (ko) 1995-11-25

Family

ID=1935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173U KR950009991Y1 (ko) 1993-04-30 1993-04-30 미용용구 세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9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006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9446A (en) Portable tool box
US6976744B2 (en) Tool storage project center with power strip
US4654762A (en) Light table
CA2075691C (en) Bit storage means for drill press
US4717024A (en) Home and travel organizer
US4317606A (en) Complete studio
AU2019257359A1 (en) Charging Stand with Swivel Jack
US5261556A (en) Modular tool and hardgoods organizer and storage unit for a bucket
KR950009991Y1 (ko) 미용용구 세트대
US3665867A (en) Collapsible utility table
US6170680B1 (en) Rack for holding hairdressing tools
US5643059A (en) Reciprocating grinder
USD334998S (en) Combined electric nail polish remover and holder for manicure items
US10327546B2 (en) Rotatable and configurable storage tree
US20030188804A1 (en) Four-position machine carousel
US20110043085A1 (en) Portable container and workstation
JP2861272B2 (ja) 化粧台
USD392814S (en) Power tool stand/workbench
CN218084917U (zh) 一种便捷式美术工具箱
KR200155213Y1 (ko) 반짇고리 보관함
USD345313S (en) Portable motion detector
USD364960S (en) Tool caddy
USD334811S (en) Foldable sawhorse
KR102596226B1 (ko) 다단식 원통형 보관함
KR200262408Y1 (ko) 이동식 미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