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265B1 - 활어의 즉살 저온 수송 방법 - Google Patents

활어의 즉살 저온 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265B1
KR950008265B1 KR1019920017745A KR920017745A KR950008265B1 KR 950008265 B1 KR950008265 B1 KR 950008265B1 KR 1019920017745 A KR1019920017745 A KR 1019920017745A KR 920017745 A KR920017745 A KR 920017745A KR 950008265 B1 KR950008265 B1 KR 950008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ransportation
live
tast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455A (ko
Inventor
조영제
Original Assignee
조영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제 filed Critical 조영제
Priority to KR1019920017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265B1/ko
Publication of KR94000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활어의 즉살 저온 수송 방벌
본 발명은 주로 횟감으로 공급되는 양식 어종을 즉살한 상태로 운송함에 있어서 저온 수송 방법을 채용하여 신선도 및 맛의 저하없이 최소의 운반 용기로서 최대의 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국내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서, 최근 활어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의 수입량도 매년 증가 일로에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도 그 소비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활어 수송 방법은 주로 재래식의 활어 수송 차량을 이용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재래식 활어 수송 방법은 수송차의 환어조내의 물과 활어를 내입하고 산소공급 봄베에서 연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면서 수송하는 형태로에,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활어 수송량은 전체량(물+활어)의 약 10∼15%(어종 및 계절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음)에 불가하므로 수송비의 과다로 생산자나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활어를 물과 함께 운송할시 수온을 낮추어 활어를 동면상태에서 운송하는 방법이 PCT-WO 92/02130호에 의하여 고지된바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운송수단에 있어 상당한 기술성을 요하고 이 역시 물과 함께 활어를 운반하므로 수송비의 과다 현상을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비효율적인 수송 방법과는 달리 생산지에서 활어를 즉살(卽殺)시켜서 냉동차 또는 단열 상자(용기)에 넣고 즉살 활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송하는 방법으로서, 현재의 수송 방법에 의한 활어의 수송시에 장시간 수송 또는 흔들림등에 의하여 받는 각종 스트레스(stress)로 인하여 발생하는 어육의 맛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송시에 온도 관리에 의하여 맛의 상승효과가 있으며 또 수송 경비의 대폭적인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류는 생명이 끊어지면 호흡이 정지되면서 근육에 산소의 공급이 정지되고 혐기적인 상태로 되지만, 즉살시킨 후의 얼마동안은 생명이 끊어졌지만 근육은 살아있는 상태가 계속된다.
즉, 사후의 일정시간 동안은 생체내에서 생명의 에너지(energy)인 ATP(adenosinetriphosphate)의 합성이 계속되어서 근육은 살아있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어육의 맛의 저하가 억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생명은 끊어진 상태이지만 수송중에 어체의 온도를 조절하여 근육이 살아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서 맛의 저하없이 대량으로 수송코져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활어의 즉살 및 방혈
생산지의 처리장에서 활어의 뇌부분을 격타하여 즉살시킨 후에 방혈(防血)한다. 즉살시키지 않고 고민사(苦悶死)시키면 근육중의 ATP분해가 촉진되며, 또한 방혈시키지 않으면 선도 저하가 빨리 일어난다.
2. 수송 온도.
본 발명에서는 신선도 유지 및 맛(미각 및 촉각)의 향상을 위하여 10℃보다 낮은 0∼7℃범위의 저온으로 수송한다. 종래 10℃정도에서 즉살시킨 어류를 수송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러한 온도조건에서는 육질의 탄력성이 활어와 같은 상태로 유지되기 어렵다.
3. 수송 방법
수송시에 어체의 온도를 0∼7℃로 유지 가능한 냉동차를 이용하거나 단열 상자(스티로폴 상자)내에 한냉제 또는 얼음과 같이 넣고 상기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수송한다. 현재 국내에서도 살아 있는 양식(養殖)넙치를 물 및 산소와 함께 비닐에 내입후 단열 상자에 넣은다음, 단열 상자내의 온도를 얼음을 이용하여 9℃ 전후로 조정하면서 원거리 수송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 역시 활어 상태로 수송하므로 수송할 수 있는 양이 적어서 수송 경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 방법과 같이 즉살후에 수송을 하면 물 및 산소 공급이 필요없이 온도만 일정하게(0∼7℃) 유지해 주면 되므로 일시에 대량 수송이 가능하여 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자가 소속하고 있는 부산 수산 대학교 식품 냉동 연구실에서 실험한 즉살 어류의 저온 수송법에 관한 연구 실시예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후 경직(硬直) 및 선도 저하의 온도 의존성
어육은 사후에 근육이 단단해지는 사후 경직 현상이 일어나며 이 현상은 근육중의 ATP가 ADP(adenosinediphosphate)로 분해되는 결과이다. 지금까지는 어육의 사후경직 현상이 일어나기 직전에 회(膾)로 먹는 것이 가장 맛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이 시점에서 회로 먹고 있다.
즉살시킨 넙치를 0℃, 5℃, 7℃ 및 10℃에 저장하면서 사후 경직 개시 시간 및 치대 경직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0℃에 저장한 것이 0℃, 5℃ 및 7℃에 저장한 것보다 경직 개시 시기가 연장됨을 알 수 있다. 종래에도 즉살 어류의 사후 경직 개시 시기를 연장시키는 방법으로 10℃로 온도 관리를 하면서 수송하는 방법을 시도한 선례가 있으나,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사후경직 현상은 동일한 온도 의존성을 나타내었지만, 표 2의 어육 신선도의 지표인 K값의 온도 의존성의 관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신선도의 저하가 억제되므로(K값의 증가가 억제), 10℃보다 저온에서 저장하는 것이 신선도 유지에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2. 맛 향상의 온도 의존성
식품의 맛을 느끼는데는 시각(視覺), 후각(嗅覺), 청각(聽覺), 촉각(觸覺) 및 미각(味覺)의 오감(五感)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맛의 요소들중에서 회의 맛을 결정하는 것은 주로 혀로 느끼는 미각과 씹을 때에 느끼는 촉각이다.
(1) 미각(味覺)
어육의 성분중에서 혀로 느끼는 미각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으로는 주로 유리아미노산, 핵산 관련 물질(주로 IMP : inosinic acid)등이다. 어육은 사후에 근육중에 ATP가 분해하여 ADP-AMP-IMP등의 순서로 분해되며 이때에 생성된 IMP가 근육중에 있는 아미노산인 그루타민산(glutamic acid)와 같이 상승 작용(相乘 作用)을 하므로 혀로써 느끼는 미각이 향상된다.
즉,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후 초기의 IMP생성의 온도 의존성은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10℃보다 저온인 0℃, 5℃ 및 7℃에서 동일 저장 시간에 IMP 생성량이 많아지며, 이것이 그루타민산과 맛의 상승 작용을 하므로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혀로서 느끼는 미각이 향상된다.
(2) 촉각(觸覺)
회(膾)를 씹을 때에 잇빨로 느끼는 저작 특성(咀嚼 特性 觸覺)은 사후 경직도와 상관이 없으며, 파단 강도(破斷 强度)가 그 지표가 되며 그 값이 클수록 촉각이 좋다. 파단 강도의 온도 의존성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저장에서는 저장초기에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저장 10시간 이후에 서서히 감소된 반면에 0℃, 5℃ 및 7℃ 저장에서는 저장 10시간까지 파단 강도값이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저온 저장에 의하여 저작 특성이 향상됨을 의미하며 저장 10시간부터 그 값은 감소하였지만 저장 15시간까지는 즉살 직후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활어를 즉살후에 온도 관리(0∼7℃)를 하므로서 신선도(K값)의 저하를 억제 가능하게할 뿐만 아니라 미각(IMP) 그리고 촉각(파단 강도값)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을 근거로 하여서 수송 경비가 많이 드는 현재의 활어 수송법 대신에 활어를 즉살시켜서 적정한 온도 관리(0~7℃)를 하면서 약 15시간 정도의 유통시간 범위내에서 수송 소비하게 되면 선도 및 맛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에 대량 수송이 가능하여 수송 경비가 대폭 절감된다.
특히 이러한 유통시간은 우리나라에서 나는 회를 언제든지 유효시간내에 산지에서 소비자까지 운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우리나라 양식업자 및 유통업자의 국내 및 국제 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에게는 신선한 회(膾)를 저가로 공급할 수 있는 실익이 따른다.
[표 1]
[표 2]
[표 3]
[표 4]

Claims (1)

  1. 활어의 수송 방법에 있어서, 활어를 즉살시켜서 방혈(放血)후 0∼5℃의 온도범위내의 저온하에서 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즉살 활어의 저온 대량 수송법.
KR1019920017745A 1992-09-30 1992-09-30 활어의 즉살 저온 수송 방법 KR950008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745A KR950008265B1 (ko) 1992-09-30 1992-09-30 활어의 즉살 저온 수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745A KR950008265B1 (ko) 1992-09-30 1992-09-30 활어의 즉살 저온 수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455A KR940006455A (ko) 1994-04-25
KR950008265B1 true KR950008265B1 (ko) 1995-07-27

Family

ID=1934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745A KR950008265B1 (ko) 1992-09-30 1992-09-30 활어의 즉살 저온 수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825B1 (ko) * 1999-09-17 2002-04-25 조충환 튜브리스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용 고무조성물
KR20030094558A (ko) * 2002-06-04 2003-12-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455A (ko) 199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bb et al. Physiological limits to growth and the related effects on meat quality
Ferguson et al.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protease activity and tenderness of M. longissimus from cattle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Bos indicus content
Gogaev et al. Beef production reserves
Pogorzelski et al. Towards an integration of pre-and post-slaughter factors affecting the eating quality of beef
Amano Fish sausage manufacturing
Geldenhuys et al. Gamebirds: A sustainable food source in Southern Africa?
Miller Dark, firm and dry beef
Bosworth Effects of winter feeding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processing traits of co‐cultured Blue Catfish, Channel Catfish, and Channel Catfish× Blue Catfish hybrids
Półtorak et al. Beef tenderness improvement by dietary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the last stage of fattening of cattle
KR950008265B1 (ko) 활어의 즉살 저온 수송 방법
Du Toit et al. Calpain and Calpastatin activity post mortem and meat tenderness: are the two related
CN106912545A (zh) 一种冻虾保鲜剂
Andhikawati et al. A Review: Methods of Smoking for the Quality of Smoked Fish
Tomlinson et al. Glycogen concentration and post mortem loss of adenosine triphosphate in fish and mammalian skeletal muscle. A review
Gorlov et al. Meat productivity and interior features of the different genotypes of the rams Edilbaev breed
Aziz Manipulating pork quality through production and pre-slaughter handling.
Grigoreva et al. Influence of complex feed additives on the meat productivity of young cattle in the conditions of Yakutia
Pavlenko et al. Effectiveness of the use of a symbiotic preparation feeding broilers
Matsiuk The dependence of meat quality on the conditions of pigs preparation for slaughter
Teklu Fish post-harvest technologies as a mean of food and nutrition security
Kritzinger Meat quality parameters of the impala (Aepyceros melampus)
Johnston et al. The interaction of temperature and thiouracil feeding up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eeding characteristics of pigs
KR19980015294A (ko) 활어의 마취사 및 무탈혈 저온대량 수송방법
Suryaningrum et al.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evaluation on frozen tuna loin handling in Ambon, Indonesia
Malan Quantification of springbok (Antidorcas marsupialis) meat yield and meat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