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258Y1 - 조립이 용이한 잭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258Y1
KR950008258Y1 KR2019930004521U KR930004521U KR950008258Y1 KR 950008258 Y1 KR950008258 Y1 KR 950008258Y1 KR 2019930004521 U KR2019930004521 U KR 2019930004521U KR 930004521 U KR930004521 U KR 930004521U KR 950008258 Y1 KR950008258 Y1 KR 950008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jack
narrow portion
inclined surfac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610U (ko
Inventor
변재중
Original Assignee
변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중 filed Critical 변재중
Priority to KR2019930004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258Y1/ko
Publication of KR940023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6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258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잭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접속단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4도는 종래 잭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추형 단자 11 : 절연체
12 : 고정봉 13, 16 : 경사면
14 : 돌출부 15, 17 : 협소부
18 : 단자링 19 : 코일
20 : 절곡부 21 : 접속단자
22 : 돌기
본 고안은 기기 본체에 부착되어 플러그에 전원을 도통시키는데 사용하는 잭의 내부 접속단자를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속단자를 봉상으로 하고 고정 부위를 코일 형태로 권회한 다음 단자 고정구와 중간의 단자봉에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자의 정확한 접지를 위하여 접속 단자봉의 양단을 절곡하여 플러그와 탄력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잭은 첨부된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스테레오용으로 설명함) 'H'자형 접속단자(1)와 'Y'형 접속단자(2)를 고정관(3)의 내측벽에 형성한 홈(4)에 끼워서 고정하고 'Y'형 접속단자(2)의 중앙 단자(5)를 원추형의 단자(6)의 중앙공(7)에 끼워서 고정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잭은 단자를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관(3)의 홈에 단자를 끼우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결함이 있는 것이며 그 외에도 'Y'형 접속단자(2)의 중앙단자(5)를 원추형의 단자(6)에 별도 조리하여야 하는 등의 결함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잭은 플러그를 착탈하는 작업을 반복할 경우 고정관(3)의 홈(4)에서 접속단자(1)(2)가 유동되거나 이탈되어 잡음이 발생하거나 잘 접지되지 못하는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인은 상기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단자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조립을 간편히 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원추형단자(10)의 중앙에 접속단자(2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12)을 일체로 형성하고 고정봉(12)의 선부에는 경사면(13)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부(14)를 형성하여 경사면(13) 끝단과 돌출부(14)사이에 협소부(15)를 형성하며 고정봉(12)의 외주에는 상측에 경사면(16)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협소부(17)를 형성한 단자링(18)을 끼우되 단자링(18)과 고정봉(12) 사이에 절연체(11)를 끼워 서로 전류가 차단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봉(12)의 협소부(15)와 단자링(18)의 협소부(17)에는 중앙을 코일(19)의 형태로 권회하고 양단에 절곡부(20)를 형성한 접속단자(21)를 끼워서 결합하여서 된 조립이 용이한 잭으로서 상기 접속단자(21)의 절곡부(20)는 플러그를 탄력지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 제1도와 같이 내측만곡 돌기(22)를 형성하거나 끝단을 내측으로 절곡(23)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속단자(21)의 코일(19) 부위를 고정봉(12) 또는 단자링(18)의 경사면(13) 또는 (16)에 대고 내측으로 강하게 밀면 코일(19)부위의 내경이 커지면서 고정봉(12) 또는 단자링(18)의 외경으로 껴지는 것이며 협소부(15)(17)의 위치에 도달하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내경이 오므라 들면서 협소부(15)(17)에 접속단자(21)를 각각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접속단자(21)는 플러그를 반복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접속단자가 이탈되거나 하는 결함이 없는 것이며 접속단자(21)가 탄력적으로 플러그의 단자와 접속하여 사용 도중 플러그가 잭에서 이탈되는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원추형 단자(10)의 중앙에 접속단자(2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12)을 일체로 형성하고 고정봉(12)의 선부에는 경사면(13)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부(14)를 형성하여 경사면(13) 끝단과 돌출부(14) 사이에 협소부(15)를 형성하며 고정봉(12)의 외주에는 상측에 경사면(16)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협소부(17)를 형성한 단자링(18)을 끼우되 단자링(18)과 고정봉(12) 사이에 절연체(11)를 끼워 서로 전류가 차단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봉(12)의 협소부(15)와 단자링(18)의 협소부(17)에는 중앙을 코일(19)의 형태로 권회하고 양단에 내측 만곡 돌기(22)나 끝단을 내측으로 절곡(23)한 절곡부(20)로 이루어진 접속단자(21)를 끼워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잭.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중앙을 코일(19)의 형태로 권회하고 양단에 절곡부(20)를 형성한 접속단자(21)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잭.
KR2019930004521U 1993-03-25 1993-03-25 조립이 용이한 잭 KR950008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521U KR950008258Y1 (ko) 1993-03-25 1993-03-25 조립이 용이한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521U KR950008258Y1 (ko) 1993-03-25 1993-03-25 조립이 용이한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610U KR940023610U (ko) 1994-10-22
KR950008258Y1 true KR950008258Y1 (ko) 1995-10-06

Family

ID=1935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521U KR950008258Y1 (ko) 1993-03-25 1993-03-25 조립이 용이한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2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610U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192A (ko) 자동정렬식 무선주파수 푸쉬온 커넥터
EP1115177A3 (en) Electrical plug connectors
US2896186A (en) Hermetically sealed electric cable connector
US4904195A (en) Twist-lock female-male plug adapter
US5702198A (en) Umbrella rod structure of multiple tubes
US6247943B1 (en) Electrical connection for a spark plug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950008258Y1 (ko) 조립이 용이한 잭
US4460231A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057841A1 (en) Easily assembled connector
US6176736B1 (en) Connection between a ceiling fan and a lamp
US4339630A (en) Bushing design with crimped adapter for retaining conductor
EP0760543A4 (en) COAXIAL CABLE CONNECTOR
KR200357975Y1 (ko)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KR0134431Y1 (ko) 형광등 및 이를 위한 소켓
US2426552A (en) Means for securing terminals to plates
JP3148019B2 (ja) 電気融着継手
US4912363A (en) Tubular electric incandescent lamp
SU636721A1 (ru) Соединитель
KR200190332Y1 (ko) 전원플러그용 인서트(connecter)
KR960008416Y1 (ko) 커넥터의 단자이탈방지장치.
KR960032524A (ko) 플라이백 변성기
KR200196195Y1 (ko) 전선연결구
KR200162753Y1 (ko) 전구와 소켓의 단자구조
KR910002751Y1 (ko) 폰 플럭
KR870001298Y1 (ko) 리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