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255Y1 - 파워코드 플러그 - Google Patents

파워코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255Y1
KR950008255Y1 KR2019910009475U KR910009475U KR950008255Y1 KR 950008255 Y1 KR950008255 Y1 KR 950008255Y1 KR 2019910009475 U KR2019910009475 U KR 2019910009475U KR 910009475 U KR910009475 U KR 910009475U KR 950008255 Y1 KR950008255 Y1 KR 950008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ower cord
cord
cord plu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556U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9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255Y1/ko
Publication of KR9300015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워코드 플러그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요부절개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파워코드 플러그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워코드 플러그 11 : 코드 절곡완화부
12 : 코드보호 공간부 20 : 전선
30 : 장애물
본 고안은 파워코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코드 플러그 후단에 경사진 나팔형상의 코드 절곡완화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선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파워코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워코드 플러그 후단에는 전선이 눌려지거나 꺽임으로 인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코드 절곡완화부(11)를 두고 있으나 이는 그 형상이 복잡하여 금형의 복잡성을 피하기 어려우면서 가구등의 장애물에 의해 전선이 눌려지거나 꺾일 경우 그 힘을 견디지 못하고 단선되어 파워코드 플러그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종종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워코드 플러그 후단에 단순히 코드절곡 완화부를 구성하여 가구등의 장애물에 파워코드 플러그가 밀착되더라도 전선이 단선되지 않도록한 파워코드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코드 플러그(10) 후단에는 나팔형상의 코드절곡완화부(11)를 형성하되 상부는 길고 하부는 짧게 형성하여 가구등의 장애물(30)이 플러그(10)에 밀착되더라도 하부로 코드 보호공간부(12)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전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그 효과를 보면 벽부에 형성된 콘덴서(미도시)에 파워코드 플러그(10)를 연결하여 기기를 설치할 경우 파워코드 플러그(10) 후단에 형성된 코드절곡 완화부(11)에 의해 장애물(30)과 파워코드 플러그(10)사이에 코드보호공간부(12)가 형성되므로 이를 통해 전선(2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파워코드 플러그(10)가 장애물(30)에 의해 눌러져서 단선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코드절곡 완화부(11)의 단부가 나팔형상이면서 경사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비록 장애물(30)에 눌러지거나 꺾여지더라도 코드절곡 완화부(11)의 경사폭만큼 코드 보호공간부(12)가 형성되어 전선(20)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전선(20)의 자중으로 전선(20)이 처지게 되어도 코드절곡 완화부(11)가 받혀주므로해서 전선(20)의 눌러짐과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파워코드 플러그(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워코드 플러그(10) 후단에는 나팔형상의 코드절곡완화부(11)를 형성하되 상부는 길고 하부는 짧게 형성하여 기구들의 장애물(30)이 파워코드 플러그(10)에 밀착되더라도 코드보호공간부(12)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파워코드 플러그.
KR2019910009475U 1991-06-24 1991-06-24 파워코드 플러그 KR950008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475U KR950008255Y1 (ko) 1991-06-24 1991-06-24 파워코드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475U KR950008255Y1 (ko) 1991-06-24 1991-06-24 파워코드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556U KR930001556U (ko) 1993-01-21
KR950008255Y1 true KR950008255Y1 (ko) 1995-10-06

Family

ID=1931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475U KR950008255Y1 (ko) 1991-06-24 1991-06-24 파워코드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2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607B1 (ko) * 2021-05-20 2023-04-05 강소영 유체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556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10115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train relief
AU684241B3 (en) Pivoting electrical plug
GB1521818A (en) Electrical coupling
US4188003A (en) Strain relief bushing
KR950008255Y1 (ko) 파워코드 플러그
US4710137A (en) Cable strain relief
JPS6341100A (ja) フレキシブルな電気ケ−ブルの保護装置
KR900001062A (ko) 선택형 측면 케이블 도입부를 갖춘 전기케이블 결합체
ATE112894T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KR880010519A (ko) 전기 접속기
KR0127880Y1 (ko) 전자렌지용 파워코드
KR200175876Y1 (ko) 진공청소기의 전원플러그
KR19990015044U (ko) 감전방지 장치를 갖는 플러그
KR100752714B1 (ko) 교육용 리드선의 연결장치
KR200198484Y1 (ko) 상하로 이동하는 플러그및 콘넥트케이블
KR200256183Y1 (ko) 110/220v 겸용 콘센트
IE63340B1 (en) A jack plug connector
KR200213240Y1 (ko) 전기 플러그
KR19980012458U (ko) 전원코드 감전 방지장치
JPS5925103Y2 (ja) L型ピンプラグ
KR0125222Y1 (ko)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속장치
KR200149666Y1 (ko) 전자렌지의 파워코드
KR19990023008U (ko) 컴퓨터용 케이블 단말장치
KR200143970Y1 (ko)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전선보호기
RU15815U1 (ru) Шнур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