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117B1 -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 - Google Patents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117B1
KR950008117B1 KR1019920021295A KR920021295A KR950008117B1 KR 950008117 B1 KR950008117 B1 KR 950008117B1 KR 1019920021295 A KR1019920021295 A KR 1019920021295A KR 920021295 A KR920021295 A KR 920021295A KR 950008117 B1 KR950008117 B1 KR 95000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idl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066A (ko
Inventor
김창욱
권현철
박주용
이창우
권병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117B1/ko
Publication of KR94001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시그날링 멀티플렉서의 구체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동작파형도.
본 발명은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처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통신선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터미널을 접속하여 동시에 전화통신을 할 수 있는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처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의 전화선로에 접속하여 전화통신을 하는 시스템은 교환기의 통신포트와 1 :1 로 접속되어 있다. 즉, 하나의 통신선로를 통하여 교환기에 접속된 통신 터미널, 예를들면 전화기는 교환기에 1 : 1 로 접속되어 전화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에서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어 훅크-오프하면 상기 전화기의 사용자가 교환기로부터 송출하는 발신음을 청취하게 된다. 이때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상대편 번호를 누르면, 교환기가 이를 수신처리한다. 즉, 상대편 전화기가 사용중이 아니면 교환기에서링을 울려 상호 통화할 수 있다. 단, 선로는 한 가입자당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방법은 교환기가 가입자를 수용할 때 반드시 두가닥으로된 하나의 선로가 필요하며, 가입자가 두 번호를 가져야만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두 선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화기가 설치된 장소, 예를들면 주택, 사무실 등에 하나 이상의 전화 단말을 증설하는 경우 반듯이 새로운 통신선로를 가설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전화단말이 설치된 장소와 교환기가 설치된 장소 예를들면 전화국간의 거리가 매우 긴 경우 선로의 가설이 큰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전화선로에 적어도 2이상의 전화단말을 접속하여 동시 통화가 가능한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기의 두 가입자 포트로 입추력되는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통신선로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선로 수신되는 2가입자의 신호를 상기 교환기의 두 가입자 포트로 역다중화 출력하는 교환기 인터페이스 터미널(Central Office Terminal)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가입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통신선로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선로로 수신되는 2가입자의 신호를 분리하여 두 가입자 포트로 역다중화 출력하는 원격터미널(Remote Terminal)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가입자의 음성신호를 "U"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2B+D로 다중화하고, 이를 2B1Q(2Binary/1Quaternary)로 코팅 출력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가입자의 시그날을 2B+D의 신로로 멀티플렉싱하는 시그날링 멀티플렉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회로도로서, 교환기(12)의 두 가입자포트(PORT1,PORT2)로부터 출력되는 두 가입자의 시그날링(예로서, 2가입자를 각각 호출하는 링신호)과, 음성신호를 2B-D채널을 통해 하나의 통신선로로 송출하고, 상기 통신선로로 입력되는 2B+D채널의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두 가입자 포트(P ORT1)(PORT2)로 전송하는 교환기 인터페이스 터미널과 ; 제1,제2 가입자(전화기)( STN1)(STN2)의 훅크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제1,2가입자(STN1)(STN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감지된 신호와 함께 2B+D채널 신호로서 하나의 통신선로로 출력하고, 이의 역동작을 수행하는 원격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다.
제1a도의 구성은, 교환기(12)의 제1,제2가입자포트(PORT1,PORT2)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각 가입자 포트(PORT1,PORT2)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1,제2링검출신호(RING1,RING2)를 출력하고, 해당 가입자의 제1,제2훅크오프신호 (O-SHD1,O-SHD2)의 입력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접속된 가입자 포트의 입출력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코팅, 디코딩하여 B1,B2채널로 각각 송수신하는 교환선로 인터페이스(20),(22)와, 상기 교환선로 인터페이스(20)(2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제2링검출신호(RING1,RING2)에 응답하여 해당 제1,제2가입자 포트의 링발생신호(OR 1)(OR2)를 출력하고, 제1, 제2가입자의 훅크오프신호(OFF-H1)(OFF-H2)를 상기 교환선로 인터페이스(20)(22)에 제공하고 제1마이컴(Micro processor ; 이하 "MC U1"이라 함)(24)와, 상기 MCU1(2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2링발생신호(OR1)( OR2)를 해당 "D"채널로 멀티플렉싱하여 직렬 스트림으로 출력하고, 직렬 스트림으로 입력되는 "D"채널의 제1,제2가입자의 훅크오프 검출 데이타를 분리하여 상기 MC U1(24)로 출력하는 시그날 멀티플렉서(Signal Multiplexer)(26)와, 하나의 통신선로 (34)와 상기 교환선로 인터페이스(20)(22)의 송수신단자 및 상기 시그날 멀티플렉서( 26)의 입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B1,B2채널 데이터 및 D채널의 데이터를 2B1Q라인 코딩/디코딩하여 송수신하는 제1송수신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a도의 구성중 상기 교환선로 인터페이스(20)(22)를 각각은 교환기(1 2)의 제1,제2가입자포트(PORT1)(PORT2)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링신호(Ring Signal)의 입력을 검출하여 제1,제2링검출신호(RING1)(RING2)를 상기 MCU1(24)로 각각 출력하는 링검출기(14a)(14b)와, 입력아나로그 신호를 8비트의 PCM 데이터로 코딩하여 해당 B1,B2채널로 출력하고, 상기 B1,B2채널로 각각 입력되는 8비트의 PCM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아나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코덱(18a)(18b)와, 상기 코덱(1 8a)(18b)의 각 아나로그 입출력단자와 상기 교환기(12)의 제1,제2가입자포트(POR T1)(PORT2)의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MCU1(24)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2가입자의 훅크오프신호(OFF-H1)(OFF-H2)의 입력에 각각 응답하여 통화전류 루프를 형성하는 교환라인 인터페이스(16a)(16b)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교환라인 인터페이스(16a)(16b)는 훅크-오프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음성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임피던스매칭 및 오프 훅크(OFF-HOOK) 조건을 발생한다.
그리고, 제1송수신부(32)는 상기 코덱(18a)(18b)의 송수신자와 상기 시그날 멀티플렉서(26)의 송수신 단자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B1,B2채널 데이터 및 D채널 데이터를 2B1Q 데이터로 라인 코딩 출력하고, 2B1Q라인 코딩 데이터를 2B+D 데이터로 디코딩하여 상기 코덱(18a)(18b) 및 시그날 멀티플렉서(26)로 각각 출력하는 U트랜시버(28)와, 상기 U트랜시보(28)의 4선 출력을 통신선로(34)의 2라인의 신호로 변환하여 에코(ECHO)를 제거하는 밸란스 망(Balance Network)(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b도의 구성은, 제2가입자(STN1)(STN2)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접속된 가입자의 오프-훅크를 검출하여 오프-훅크검출신호(H-DET)를 출력하며, 가입자 제어신호(CX1,CX2,CX3)의 입력에 응답하여 링송출 및 차단, 가입자 라인제어를 행하고, 상기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코딩/디코딩하여 B1,B2채널로 각각 송수신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42)(44)와, 상기 제1,제2가입자 인터페이스(42)(44)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훅크오프 검출신호(H-DET1)(H-DET2)의 입력에 응답하여 훅크 오프 데이터(O -OFF-H1)(O-OFF-H2)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제2가입자 인터페이스(42)( 44)로 가입자 라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1,제2가입자(STN1)(STN2)의 링인에이블신호(RINGE1)(RINGE2)의 입력에 응답하여 링송출제어신호를 상기 제1,제2가입자 인터페이스(42)(44)로 공급하는 제2마이컴(이하 "MCR2"라 함)(46)과, 상기 MCU1(24)로부터 출력되는 훅크오프 데이터(O-OFF-H1)(O-OFF-H2)를 해당 "D"채널로 멀티플렉싱하여 직렬 스트림으로 출력하고, 직렬 스트림으로 입력되는 "D"채널의 제1,제2가입자의 링인에이블 데이터(RINGE1)(RINGE2)를 분리하여 상기 MCU1(24)로 출력하는 시그날 멀티플렉서(Singal Multiplexer)(48)와, 상기 하나의 통신선로(34)와 상기 제1,제2가입자 인터페이스(42)(44)의 송수신단자 및 시그날 멀티플렉서(48)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B1,B2채널 데이터 및 D채널의 데이터를 2B1Q 라인 코딩/디코딩하여 송수신하는 제2송수신부(54)와,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신호발생기(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b도의 구성중 제1,제2가입자 인터페이스(42)(44) 각각은 제1,제2가입자(STN1)(STN2)와 링 신호발생기(56)의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발생된 링신호를 상기 제1,제2가입자(STN1)(STN2)로 공급되는 링릴레이(38a )(38b)와, 상기 링릴레이(38a)(38b)를 통하여 상기 제1,제2가입자(STN1)(STN2)에 접속되어 상기 가입자에게 통화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전류의 변화를 검출하여 해당 가입자의 오프 훅크 검출신호(H-DET1)(H-DET2)를 각각 출력하고, 입력되는 가입자제어신호(CX1,CX2,CX3)의 입력에 의해 링송출신호(RC1)(RC2)를 상기 링릴레이(38a)(38b)로 각각 제공하며 가입자 라인을 제어하는 가입자 라인 인터페이스회로(이하 "SLIC"라 함)(36a)(36b)와, 상기 SLIC(36a)(36b)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입력 아나로그 신호를 8비트의 PCM데이터로 코딩하여 해당 B1,B2채널로 출력하고, 상기 B1,B2채널로 각각 입력되는 8비트의 PCM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아나로그 신호를 상기 SLIC(36a)(36b)로 각각 출력하는 코덱(40a)(40b)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시그날링 멀티플렉서(26)(48)의 상세도로서, 프레임 동기신호(IDL SYNC)(8KHZ)에 동기된 시스템 클럭(IDL CLK)(2.04MHZ)를 2타임 슬롯 주기(2.048MHZ×16)만큼 카운팅하여 "D"채널 인에이블제어신호(RCO)를 발생하는 D채널제어기(108)와, 상기 D채널 제어기(108)로부터 출력되는 "D"채널 인에이블신호(Q1)를 상기 클럭(IDL CLK)에 의해 제1 및 제2시프트하여 D1,D2데이터 출력제어 신호(Q2)(Q3)를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114)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114)로부터 출력되는 D1,D2제어신호(Q2)(Q3)에 의해 각각 인에이블되어 제1,제2입력단자로 각각 입력되는 시그날링 데이터(D1)(D2)를 2B+D채널송신버스(IDL RX)의 "D"채널로 출력하는 전송게이트(120)와, 2B+D채널의 수신버스(IDLTX)로 입력되는 D채널의 시그날링 데이터(D1,D2)를 서로 다른 주기의 제1,제2전송제어신호(A)( B)의 입력에 응답하여 래치 출력하는 시그날링 데이터 분리회로(154)와, 상기 시스템 클럭(IDL CLK)을 반전하는 인버터(122)와, 상기 D1출력제어신호(Q2)(122)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제1전송제어신호(A)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124)와, 상기 시스템 클럭(IDL CLK)와 상기 D2출력제어신호(Q3)를 논리곱하여 제2전송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126)을 구성된 데이터 클럭발생기(128)로 구성된다.
상기 제2도의 구성중, D채널 제어기(108)는 반전된 프레임 동기신호(/IDL SYNC)에 응답하여 카운팅 인에이블신호(Q1)를 출력하는 동기회로(102)와, 상기 카운팅 인에이블신호(Q1)의 입력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IDL SYNC)에 동기된 시스템 클럭(IDL CLK)(2.04MHZ)을 2타임슬롯주기(2.048MHZ×16)를 카운터시 마다 "D"채널 인에이블신호(RCO)를 출력하는 카운터(104)로 구성된다.
그리고 시프트 레지스터(114)는 상기 카운터(104)의 출력단자에 직렬 접속되어 상기 "D"채널 인에이블신호(RCO)를 직렬 제1,제2시프트하여 D1,D2출력 제어신호(Q2)(Q3)를 각각 출력하는 2개의 플립플롭(110)(112)로 구성되어 있다.
전송게이트(120)는 제1,제2입력단자에 각각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플립플롭(110)(11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D1,D2출력제어신호(Q2)(Q3)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2B+D채널 송신버스(IDL RX)의 "D"로 출력하는 3상태버퍼(116)(11 8)로 구성된다.
시그날링 데이터 분리회로(134)는 상기 2B+D채널 수신버스(IDL TX)에 각각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의 클럭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제1, 제2전송클럭(A) (B)에 의해 상기 수신버스(IDL TX)로 입력되는 D1,D2데이터를 각각 래치 출력하는 2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제2a도 및 제2b도의 일부분의 동작파형도로서, 이는 시그날 멀티플렉서(26) 및 (48)의 입출력 및 U트랜시버(50)(28)의 송수신 데이터(2B+D)를 도시한 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교환기(12)가 제1,제2가입자포트(PORT1)(PORT2)로 링을 송출시 제1,제2가입자(STN1)(STN2)의 수신동작을 설명한다.
[가입자들이 피호출시(Called)]
지금 교환기(12)에서 제1,제2가입자 포트(PORT1)(PORT2)로 제1,제2가입자(STN1)(STN2)로 호출하기 위한 링(RING)을 공급하면 링검출기(Ring Detector )(14a)(14b)에서 링신호를 감지하여 링검출신호(RING1)(RING2)를 MCU1(24)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MCU1(24)는 이 신호를 받고 이에 대응된 링데이터(OR1)(OR2)를 출력한다.
상기 MCU1(24)로부터 출력된 링데이터(OR1)(OR2)는 시그날 멀티플렉서(Si gnal Mux)(26)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시그날 멀티플렉서(26)는 이를 제3도(a)와 같이 D1,D2채널에 실어 U트랜시버(28)로 보낸다.
이때 상기 MCU1(24)로부터 출력되는 링검출데이터(OR1)(OR2)를 2B+D채널의 "D"채널로 송출하는 동작하기와 같다.
제2도와 같은 회로에 제3도와 같은 프레임 동기신호(IDL SYNC)와 시스템 글럭(IDL CLK)이 입력되면, 플립플롭(102)는 인버터(100)에 의해 반전된 1프레임 동기신호()에 의해 제3도와 같은 카운터 인에이블신호(Q1)를 출력한다. 상기 인에이블신호(Q1)에 의해 카운터(104)는 시스템 클럭(IDL CLK)의 입력을 카운트한다. 상기 카운트의 동작이 2타임슬롯주기(2.048MHZ×16(B1과 B2채널 각각은 8비트이며, 이는 1타임슬롯임)를 카운팅 완료하면, 상기 카운터(104)는 제3도의 같은 "D"채널 인에이블신호(RCO)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D"채널 인에이블신호(RCO)가 출력되면, 직렬 접속된 플립플롭 (110)(112)가 상기 D채널 인에이블신호(RCO)를 제3도와 같이 직렬 시프트하여 제1스피트된 B1출력제어신호(Q2)는 3상태버퍼(116)의 인에이블신호로 인가된다. 그리고 제3도와 같이 제2시프트된 D2출력제어신호(Q3)는 3상태버퍼 (118)의 제어단자로 인가된다.
따라서 MCU1(24)로부터 제3도와 같이 출력된 신호(OR1)(OR2)는 상기 버퍼 (166)(118)의 시간차 게이팅 동작에 의해 제3도와 같이 2B+D채널 송신버스(IDLR X)를 통해 U트랜시버(28)로 입력된다.
제3도에서 B1,B2는 코덱(18a)(18b)로부터 각각 출력된 8비트의 음성데이터이다.
한편 U트랜시버(28)의 송신버스(IDL TX)로부터 제3도와 같이 출력된 데이터, 예를들면 2B+D채널의 D1,D2로 실린 시그날링 데이터(예 : OFF-H1,OFF-H2)는 2개의 플립플롭(130)(132)에 의해 제3도(C)(E)와 같이 분리되어 MCU1(24)로 전송되는데, 이는 하기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D1,D2출력제어신호(Q1)(Q2)가 출력되면 앤드게이트(124)와 (126)은 각각 "D"인에이블 구간에서 제3도와 같이 제1,제2전송제어신호(A)(B)를 출력한다.
따라서 플립플롭(130)(132)는 상기 제1,제2전송제어신호(A)(B)에 의해 2B+D 채널 수신버스(IDL TX)로 제3도와 같이 수신되는 D1,D2데이터를 분리 래치하여 MCU1(24)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U트랜시버(28)는 이 비트를 포함한 2B+D(8bit,2bit)신호를 2B1Q신호( Signal)로 변화시켜 밸런스망(Balance Network)(30)을 통해 리모트 터미널의 밸런스망(52)을 통해 U트랜시버(50)로 송출한다. 상기 U트랜시버(50)는 입력된 2B1Q신호를 2B+D(8bit,8bit,2bit)신호를 2B1Q신호(Signal)로 변화시켜 밸런스망(Balance Network)(30)을 통해 리모트 타미널의 밸런스망(52)을 통해 U트랜시버(50)로 송출한다. 상기 U트랜시버(50)는 입력된 2B1Q신호를 2B+D로 디코딩하여 IDL TX로 전송한다. 이때 리모트 터미널의 시그널 멀티플렉서(48)는 2B+D채널중 "D"채널의 D1,D2채널을 추출하여 링인에이블신호(RINGE1)(RINGE2)을 출력하고, MCU2(46)는 상기 추출된 신호를 받아 SLIC(36a)(36b)의 링 제어신호를 내보내 릴레이(38a )(38b)를 링발생기(56)측으로 접속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1,제2가입자(STN1)(STN2)로 링신호가 공급된다. 상기의 링신호공급에 의해 제1,제2가입자(STN1)(STN2)가 훅크 오프하면, 상기 SL IC(36a)(36b)은 이를 검출하여 오프-훅크 검출신호(H-DET1)(H-DET2)를 출력하고, MCU2(46)는 이 신호를 받아 오프훅크 데이터(O-OFF-HOOK1)(O-OFF-H OOK2)를 제3도(D)(E)와 같이 출력한다.
[표 1]
그리고 SLIC(36a)(36b)로 "010"의 제어신호들(CX1,CX2,CX3)을 출력하여 상기 SLIC(36a)(36b)들과 상기 제1,제2가입자(STN1)(STN2)간의 통화로를 접속한다.
한편 상기 MCU2(46)로부터 출력된 오프-훅크 데이터(O-OFF-H1)(O-O FF-H2)는 시그널 멀티플렉서(48)가 제2도(H)와 같이 분리하여 2B+D채널중 IDL RX의 "D"채널에 실어 보낸다.
상기의 동작에 U트랜시버(50)가 IDL RX로 입력되는 신호를 2B1Q 신호로 코딩하여 밸런스망(52)으로 출력하면, 이는 통신선로(34), 밸런스망(30), U트랜시버(2 8)의 IDL RX로 출력된다. 이때 COT의 시그널 멀티플렉서(26)에서는 상기 "D"채널의 D1,D2를 출력하여 오프훅크 데이터(OFF-H1)(OFF-H2)를 출력한다. 상기 MCU1(24)는 상기 오프훅크 데이터(OFF-H1)(OFF-H2) 신호를 받아 (O-SHD1) (O-SHD2)를 출력하면 이 신호를 받은 교환라인 인터페이스(16a)(16b)는 마치 전화기가 오프 훅크된 것 처럼 약 200mA의 전류를 싱크(Sink)하여 교환기(12)가 훅크오프(HOOK-OFF)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통화루프를 형성시킨다.
교환기 (12)에서 이 신호를 받아 통화로가 설정되면 교환기(12)측으로부터 오는 음성신호는 교환 라인 인터페이스(16a)(16b)를 각각의 코덱(18a)(18b)로 연결되고, 상기 코덱(18a)(18b)들은 입력되는 아나로그 음성신호를 8비트 PCM신호로 디지탈(Dingtal)화 하여 IDL RX로 전송한다. 상기 코덱(18a)(18b)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U트랜시버(28)를 B1,B2채널에 실려 2B1Q신호로 변화되어 통신라인(34)으로 전송된다. 상기 통신라인(34)을 통한 신호로 U트랜시버(50)로 전성되고, IDL TX의 B1,B2로 출력된다.
상기 U트랜시버(50)에서 전송된 B1채널의 8비트는 코덱(42a)로 입력되고, B2채널의 8비트는 코덱(40b)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코덱(40a)(40b)들은 각각 입력된 B1,B2채널의 8비트에 의해 다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SLIC(36a)(36b)로 입력된다. 상기 SLIC(36a)(36b)는 입력된 아나로그 신호를 제1,제2가입자(STN1)(S TN2)로 전송하여 가입자 전화기에서 듣게한다.
상기 제1,제2가입자(STN1)(STN2)로부터의 음성신호는 상기 역방향으로 교환기로 전달한다.
[호출시(Calling)]
제1,제2가입자(STN1)(STN2)가 훅크오프시 SLIC(36a)(36b)의 훅크오프 검출신호(H-DET1)(H-DET2)가 출력되고,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D"채널을 통해 COT로 전달되고, 이로인해 MCU1(24)로부터 출력되는 훅크센싱신호(O-SHD1 )(O-SHD2)에 전술한 바와 같이입력되어 교환기(12)에 훅크오프 조건을 만족시켜 주면, 교환기(12)는 이 신호를 받아 발신음을 송출한다.
이 발신음은 음성신호와 같은 경로를 통해 제1,제2가입자(STN1)(STN2)로 전달되고, 상기 제1,제2가입자(STN1)(STN2)가 리모트를 누르면 가) MFC인 경우 음성신호 경로를 통해 나) 기계식인 경우 D1(D0)을 통해 교환기(12)로 전달되어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다. 상기 D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OT(1)-RT(1)이 B1과 D1을 사용하고 COT(2)-RT(2)가 B2와 D2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므로 한 선로로서 두 가입자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통신선로를 이용하여 2전화 가입자의 음성통화 서어비스를 할 수 있어 선로없이 가입자를 증설할 수 있고, 가입자의 증설을 저가격으로 할 수 있다.

Claims (5)

  1. 교환기와, 하나의 전송선로를 통하여 상기 교환기의 제1,제2가입자의 포트와 제1,제2가입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교환기와 상기 두 가입자간의 통화 서어비스를 실행하는 통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가입자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에 있어서, 프레임 동기신호(IDL SYNC)에 동기된 시스템 클럭(IDL CLK)을 2타임 슬롯 주기만큼 카운팅하여 "D"채널 안에 인에이블제어신호(RCO)를 발생하는 D채널제어기(108)와, 상기 D채널 제어기(108)로부터 출력되는 "D"채널 인에이블신호(Q1 )를 상기 클럭(IDL CLK)에 의해 제1 및 제2시프트하여 D1,D2데이터 출력제어신호( Q2)(Q3)를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114)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14)로부터 출력되는 D1,D2제어신호(Q2)(Q3)에 의해 각각 인에이블되어 제1,제2입력단자로 각각 입력되는 시그날링 데이터(D1)(D2)를 2B+D채널 송신버스(IDL RX)의 "D"채널로 출력하는 전송게이트(120)와, 2B+D채널의 수신버스(IDL TX)로 입력되는 D채널의 시그날링 데이터(D1,D2)를 서로 다른 주기의 제1,제2전송제어신호(A)(B)의 입력에 응답하여 래치 출력하는 시그날링 데이터 분리회로(154)와, 상기 D1출력제어신호(Q 2)(122)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제1전송제어신호(A)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124)와, 상기 시스템 클럭(IDL CLK)와 상기 D2출력제어신호(Q3)를 논리곱하여 제2전송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126)을 구성된 데이터 클럭발생기(12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채널 제어기(108)는 반전된 프레임 동기신호(/IDL SYNC)에 응답하여 카운팅 인에이블신호(Q1)를 출력하는 동기회로(102)와, 상기 카운팅 인에이블신호(Q1)의 입력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IDL SYNC)에 동기된 시스템 클럭(IDL CLK)(2.048MHZ)을 2타임슬롯 주기를 카운터시 마다 "D"채널 인에이블신호(RCO)를 출력하는 카운터(10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14)는 상기 카운터(104)의 출력단자에 직렬 접속되어 상기"D"채널 인에이블신호(RCO)를 직렬 제1,제2시프트하여 D1, D2출력 제어신호(Q2)(Q3)를 각각 출력하는 2개의 플립플롭(110)(11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게이트(120)는 제1,제2입력단자에 각각의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플립플롭(110)(11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D1, D2출력제어신호(Q2)(Q3)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2B+D채널 송신버스(IDL RX)의 "D"로 출력하는 3상태버퍼(116)(11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링 데이터 분리회로(134)는 상기 2B+D채널 수신버스(IDL TX)에 각각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의 클럭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제1,제2전송클럭(A)(B)에 의해 상기 수신버스(IDL TX)로 입력되는 D1,D2데이터를 각각 래치 출력하는 2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20021295A 1992-11-13 1992-11-13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 KR95000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295A KR950008117B1 (ko) 1992-11-13 1992-11-13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295A KR950008117B1 (ko) 1992-11-13 1992-11-13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66A KR940013066A (ko) 1994-06-25
KR950008117B1 true KR950008117B1 (ko) 1995-07-25

Family

ID=1934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295A KR950008117B1 (ko) 1992-11-13 1992-11-13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1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66A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0955A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voice and digital data capability and employing a plurality of voice and data buses in main service unit and serial packetized transmission to and from telephones
US3586782A (en) Telecommunication loop system
US6240179B1 (en)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EP0245077A2 (en) T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ommon local path medium and local time slot for intraoffice calls
JPH04257199A (ja) 音声ディジタル1リンク接続方式
GB2128446A (en) Telecommunication exchange
US4394757A (en) Frame format for PCM speech data in a telephone transmission system and digital telephone apparatus for use with this frame format
US5182768A (en) Digital telephone set capable of being simultaneously used by a plurality of persons by using one transmission line
US4901344A (en) Telephone system digital channel bank interface
JPH05260046A (ja) ディジタル通信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インターフェイス適合のための装置
US4809260A (en) Telephone exchange
EP0023403B1 (en) A digital loop sharing communication system and a telephone instrument for use therein
KR950008117B1 (ko)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의 시그날링 멀티플렉서
JPS5836557B2 (ja) 時分割交換方式
WO1996041441A1 (en) Multiplexing 4-wire signals on a single twisted pair
KR950008118B1 (ko)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
GB2072464A (en) Line supplied telephone interface
Melvin Microcomputer applications in telephony
KR100292202B1 (ko) 에이디에스엘장치를 이용한 신규채널 확보 및 경보감지장치
US4987573A (en) Telephone system digital channel bank interface
KR100301295B1 (ko) 광신호 전송장비의 다이얼 펄스 신호 감지 장치
KR920003389B1 (ko) Isdn 정지화상 전화기 시스템
KR950002754B1 (ko) 디지탈 다기능 전화기 인터페이스 회로
RU150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коммутаторной емкости в абонентскую
CA201923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hook transmission for digital loop carrier channel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