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442Y1 -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 Google Patents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42Y1
KR950007442Y1 KR2019930008683U KR930008683U KR950007442Y1 KR 950007442 Y1 KR950007442 Y1 KR 950007442Y1 KR 2019930008683 U KR2019930008683 U KR 2019930008683U KR 930008683 U KR930008683 U KR 930008683U KR 950007442 Y1 KR950007442 Y1 KR 950007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toy
head
skele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288U (ko
Inventor
박홍철
Original Assignee
박홍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철 filed Critical 박홍철
Priority to KR2019930008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442Y1/ko
Publication of KR940026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제1도는 본 고안 일실시 인형완구 골격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일실시의 완성된 인형 완구의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두부 골격 2 : 환체
21 : 조임홈 22 : 봉
본 고안은 인형완구의 골격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형완구를 형성하는 몸체와 두부골격사이에 연결자로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인형완구의 형상을 완성시킴에 있어 정교성을 유지하고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인형완구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함에 고안의 목적을 둔 인형완구의 골격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완구는 합성수지등으로 몰드 성형하여 이들을 조합한 구성으로 된 것과, 기본 골체로 이루도록 골격을 형성하여 이에 직물지등을 복개하여 완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형완구로 대별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중 전자의 합성수지등을 몰딩 성형해서 된 것은 인형의 형상이 비교적 정교하게 제작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그에 따라 제품이 고가로 상승되므로 구입시 경제적인 부담감을 가중시킨 반면 후자의 경우는 기본 골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골격에 솜이나 직물지등을 단순히 피복 사용하므로 제조단가와 제품가는 낮출 수 있는 반면 인형형상이 정교하지 못하여 이를 갖고 노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금방 싫증을 느끼는 문제점을 유발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는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 52-79194호의 "장식 갑주심재"와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 52-120692호의 "枓立, 나선의 각조에 의한 일본인형의 머리"가 있으나 상기 고안중 장식갑주 심재는 일본에서만 극단적 사용될 수 있는 일본 사무라이의 장식 갑주(갑옷과 투구)에 사용되는 심재에 관한 기술구성이며, 일본인형의 머리로 이루어진 형상금부는 단순하게 일본인형의 머리와 몸체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봉의 상부는 머리를 그 반대의 아래쪽 두부는 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 있으나 이는 연결핀의 두부가 삽입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동되므로 취급부주의로 인하여 인형의 머리가 몸체에서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실제 사용이 적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제반 기술 결점에 감안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인형완구의 머리를 형성하는 스티로폴로 구성된 두부골격과 상기 두부골격의 하측에 상측이 일부매입 설치되며 하측이 몸체와 연결되도록 상측중간부에 반구상으로 내곡된 조임홈을 갖는 봉과, 상기 봉 하면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인형완구의 몸체에 삽입지지되는 환체로 구성된 인형완구의 골격지지체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형완구의 골격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완성된 인형관구를 보인 개략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스티로폴로 구성된 두부골격(1)이 구비되며 상기 두부골격(1) 하측에는 후술한 몸체(3)와 끈등으로서 연결되도록 상측에 반구상으로 내곡된 조임홈(21)을 갖는 봉(22)의 하면에 일체형으로 연결 설치되며 인형완구의 몸체가 삽입 지지되는 환체(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작업순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교하게 스티로폴로 제작된 두부골격(1)의 목부위에 환체(2)의 상측에 돌출된 봉(22)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준 상태에서 인형의 몸체를 이루도록 솜 또는 직물지등을 상기 환체(2)가 몸체에 고정되도록 봉(22)의 조임홈(21) 상측까지 복개되도록 피복 한다.
봉의 환체가 복개되고 조임홈상측까지 몸체의 피복이 완료되면 끈이나 실등으로서 조임홈(21)을 묶어서 피복된 몸체를 고정한다.
몸체에 환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끈이나 실등을 이용하여 묶는것으로 몸체와 봉의 고정이 완료되면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형의 몸체와 오리등에 옷을 입히거나 이목구비가 형성된 부직포를 복개하므로서 인형완구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하여 조립구성이 완료되는 본 고안은 인형완구의 얼굴을 스티로폴로 구성하므로서 표정등을 정교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질이 스티로폴 솜 또는 직물지등으로서 인형완구를 제작하므로서 제조단가와 제품가를 낮출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스치로폴로된 인형의 두부골격(1)과 인형완구의 몸체(3)를 환체(2)를 구비한 봉(22)으로 상호 연결시켜서 되는 인형완구에 있어서, 상기 봉(22)의 중간위치에 피복된 몸체를 끈이나 실로 묶어 고정시킬 수 있는 반구상의 내곡된 조임홈(21)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KR2019930008683U 1993-05-21 1993-05-21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KR950007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683U KR950007442Y1 (ko) 1993-05-21 1993-05-21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683U KR950007442Y1 (ko) 1993-05-21 1993-05-21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288U KR940026288U (ko) 1994-12-08
KR950007442Y1 true KR950007442Y1 (ko) 1995-09-11

Family

ID=1935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8683U KR950007442Y1 (ko) 1993-05-21 1993-05-21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4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288U (ko)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3775A (en) Soft toys
US5762531A (en) Posable toy animal
US4579537A (en) Take-apart toy
US4414774A (en) Fashion and hairstyle doll play set
US6176756B1 (en) Plush construction set
US20100048088A1 (en) Stuffed animal with removably attachable tail
KR950007442Y1 (ko) 인형완구의 골격 지지체
EP0405711B1 (en) Flexible assembled articles
GB1571352A (en) Soft toys
US3500578A (en) Flat toy figure with rooted hair
US11291924B2 (en) Reversible to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30162472A1 (en) Doll
GB1566786A (en) Dill
KR200271897Y1 (ko) 복제 인형
KR200287022Y1 (ko) 조립식 인형완구
US3898764A (en) Combination doll and marionette
JPH0223348Y2 (ko)
CN213643097U (zh) 球形拼装玩具
KR200308036Y1 (ko) 봉제인형
KR200300140Y1 (ko) 완구용 브러시
JPH0223349Y2 (ko)
JPH0247995Y2 (ko)
JP2558245Y2 (ja) 指人形
KR890001440Y1 (ko) 봉제완구
KR200250880Y1 (ko) 형태가 변형 가능한 모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