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383Y1 -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383Y1
KR950007383Y1 KR92022527U KR920022527U KR950007383Y1 KR 950007383 Y1 KR950007383 Y1 KR 950007383Y1 KR 92022527 U KR92022527 U KR 92022527U KR 920022527 U KR920022527 U KR 920022527U KR 950007383 Y1 KR950007383 Y1 KR 950007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er
tank
layer
san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2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993U (ko
Inventor
지재식
Original Assignee
지재식
유성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재식, 유성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재식
Priority to KR92022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383Y1/ko
Publication of KR940011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9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05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downward filtration without specifications about the filter material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2Filtering elements having a conical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압력식 여과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여과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구관 20 : 여과사층
30 : 굵은 모래층 40 : 자갈층
50 : 집수관 60 : 자갈층
70 : 여과탱크
본 고안은 공업용수처리 및 정수처리 뿐만 아니라, 산업용 폐수의 고도처리(회수처리)에 사용되는 압력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탁수의 여과효율 및 원활한 역세정을 통해 오염된 여과사층을 회복되도록 하는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과장치를 살펴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향식 여과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에 입구관(1)과 상기 입구관(1)에 체결된 상부살수기(2)와, 상기 상부살구기(2)의 아래쪽으로 여과사층(3), 왕사층(4), 자갈층(5) 및 하부집수판(6)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하부에 출구관(7)이 구성되어있으며 상기 구성을 둘러쌓고 있는 여과탱크(8)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상기 여과탱크(8)의 구성에 따라 정상운전을 설명한다. 입구관(1)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은 상부살수기(2)를 통과하여 여과사층(3)을 지나 왕사층(4), 자갈층(5)을 거쳐 하부집수관(6)을 통해 배수되는 여과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정상운전에 있어서 여과기의 통과 유속은 9~10m/HR로 입구관(1)으로 부터 공급되는 유량이 갑자기 넓은 공간으로 유출 확산될때와 상부살구기(2)는 통과하여 탱크 면적 0㎡로 골고루 확산되는 여과사층(3)을 통과할 때 그리고 하부집수관(6)을 통과할때 많은 여과저항을 받았다.
즉, 여과기의 여과탱크(8)가 원통형으로 되어 상기와같이 여러곳에서 많은 여과저항을 받음에 따라 여과효율은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역세정의 경우 출구관(7)으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정상운전의 역순으로 진행되는데 여과사층(3)에 쌓인 오염물질(부유물질)이 터널(tunnel)현상으로 부분적 역세행정을 초래하여 전량배출되지 못하여 여과사층이 오염되거나 미생물이 형성되어 처리수에 나쁜영향을 주기도 하고, 여과사층의 막힘 현상으로 발전되어 여과효율의 불능까지도 초래되었다.
또한, 역세행정시 여과탱크의 상부 프리보드(free board)에 유효공간이 생기므로 오염물질이 전량배출되지 못하였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여과기의 탱크의 구조가 원통형을 이루어 있어 발생됨에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업용수 또는 폐수의 부유물질(Suspende Solid)또는 현탁 물질들을 여과하는 여과탱크를 단면이 마름꼴을 갖는 원추형으로 하여 여과저항을 최소화 함으로서 여과효율 및 역세행정이 증대 되도록 하는 입력식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공업용수의 정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를 위해 내부에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사층, 굵은 모래층, 자갈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하부집속관이 위치하고 상부에 입구관과 하부에 출구관이 형성된 여과탱크를 갖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의 단면이 마름모꼴을 갖는 원추형으로 구성하여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에 있어서, 여과탱크(70)의 형성을 상부와 하부가 좁아지는 마름모꼴의 원추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여과탱크(70)의 상부에 구비되는 입구관(10)의 내측으로는 걸름판(50)을 구성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여과탱크(70)의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사층(20)과, 굵은 모래층(30), 자갈층(40), 걸름판(50), 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단면이 마름모꼴을 갖는 원추형의 여과탱크(70)를 이용하여 공업용수 또는 폐수를 여과하는 정상운전을 설명하면, 상기 여과탱크(70)의 상부에 설치된 입구관(10)을 통해 여과하고자 하는 폐수 또는 공업용수가 유입된다.
이렇게 여과탱크(70)에 공급된 폐수 또는 공업용수는 여과사층(20)을 통과하여 굵은 모래층(30), 자갈층(40)을 거쳐 집수관(50)을 통과하여 출구관(60)을 통해 여과탱크(70)에서 배수된다.
이러한 여과과정에 따라 정상운전이 진행되는 동안 여과사층(20)에는 폐수 또는 공업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질(Suspended Solid) 또는 현탁물질이 쌓이게 되어 여과사층(20)을 오염시킨 상태에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운전을 중지하고 여과탱크(70)의 출구관(6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면 여과층을 역세정하면서 여과사층(20)의 상면에 있는 부유물질 또는 현탁물질이 집수판(50)과 입구관(10)을 통과하여 배수관(90)을 통해 배수시킨다.
이러한, 공업용수의 정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를 여과하는 정상운전 또는 부유물질 및 현탁물질을 제거하는 역세정하는 일련의 과정시에 발생되는 여과저항을 최대한 적게 걸리도록 여과탱크(70)의 형상을 단면이 마름모꼴을 갖는 원추형으로 한것이다.
즉, 상ㆍ하부가 좁아지는 원추형의 여과탱크(70)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를 이하에서 기술한다.
첫째, 정상운전시에 입구관(10)으로 공급되는 공업용수 및 폐수가 갑자기 넓은 공간으로 유출확산되어 여과저항을 받지 않도록 여과탱크(70)의 상부를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여과저항을 최소화한다.
둘째, 여과탱크(70)의 출구관(60)으로 여과층이 점차적 좁아짐에 따라 기존의 여과탱크에 비해 불필요한 여과층에 들어가는 굵은모래, 자갈등을 줄일 수 있고 출구관(60)으로 여과수가 집중되어 여과수의 원활한 배수를 행할 수 있다.
셋째, 역세정시에 하부의 출구관(60)을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어 여과층을 거쳐 상의 입구관(10)을 통해 부유물질 또는 현탁물질이 배수되는 시간이 단축을 꾀할 수 있다.
상기의 사항들은 여과탱크가 마름모꼴의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여과저항이 상대적으로 최소화 됨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여과장치는 공업용수처리를 비롯하여 하수처리, 폐수의 3차처리 재이용등 비교적 고농도의 오탁원수 처리가 가능하고 모래의 이용으로 볼때 모래여과기, 카본휠타, 이온교환수지장치 등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압력식 여과기(Pressure filter)나, 중력식 여과기(Gravity filter)등에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여과사층, 굵은 모래층, 자갈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향식 여과탱크를 가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70)를 상ㆍ하의 단면이 좁아지는 마름모꼴의 원추형을 갖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KR92022527U 1992-11-16 1992-11-16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KR950007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527U KR950007383Y1 (ko) 1992-11-16 1992-11-16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527U KR950007383Y1 (ko) 1992-11-16 1992-11-16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993U KR940011993U (ko) 1994-06-15
KR950007383Y1 true KR950007383Y1 (ko) 1995-09-11

Family

ID=1934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527U KR950007383Y1 (ko) 1992-11-16 1992-11-16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3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798A (ko) * 2000-02-21 2001-08-31 이승목 역층상 점감형 흡착탑의 구조
KR100477217B1 (ko) * 2002-11-25 2005-03-22 김성택 축산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993U (ko) 199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488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20010087229A (ko) 고체 액체 분리장치
US345930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filtering solids from a liquid effluent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950007383Y1 (ko)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KR20130033738A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JPS6216125B2 (ko)
USRE28458E (en) Apparatus and method of filtering solids from a liquid effluent
JPH04215808A (ja) 砂濾過装置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KR940005474B1 (ko) 복합층 고도 여과방법 및 장치
KR200220279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0206446Y1 (ko) 오수정화장치
DE2225682B2 (de) Verfahren zum Abtrennen von Feststoffen aus Flüssigkeiten, insbesondere Wasser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KR200188537Y1 (ko)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KR100606602B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KR200159128Y1 (ko) 고도처리용 상향류 복합층 여과장치
KR101699031B1 (ko) 수처리 장치
US3991781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leaning an obstructed valve
KR102444336B1 (ko) 스크린 타입 여과장치를 갖는 비점오염 역세 자동화 시스템
JP3106859B2 (ja) 沈澱池のろ過装置
KR101516726B1 (ko) 상향 중력식 연속 여과장치
JP2004188265A (ja) 繊維ろ材を用いた高速ろ過装置
JPH0728886Y2 (ja) 重力式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