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84B1 -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84B1
KR950006884B1 KR1019920012883A KR920012883A KR950006884B1 KR 950006884 B1 KR950006884 B1 KR 950006884B1 KR 1019920012883 A KR1019920012883 A KR 1019920012883A KR 920012883 A KR920012883 A KR 920012883A KR 950006884 B1 KR950006884 B1 KR 95000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grinding
grinding roller
battl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942A (ko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101992001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884B1/ko
Publication of KR94000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정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평단면도.
제5도는 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배수밸브를 발췌한 확대단면도.
제7도는 작업통의 하부를 발췌한 평단면도.
제8도는 제4도의 “C”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10a도, 제10b도는 분쇄롤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20 : 분쇄통
30a,30b : 한쌍의 분쇄롤러 40 : 믹서부
50 : 구동부 60 : 배수밸브
70 : 임의의 처리장치
본 발명은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버려지는 생활쓰레기 중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유기폐기물(有機廢棄物)을 가정과 음식점에서 직접 효과적으로 처리하여주는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각국에서는 많은 환경오염과 공해문제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연파괴에 대하여 심각한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자연파괴의 원인은 주로 생활쓰레기, 산업폐기물, 핵폐기물 등 에 의하여 발생된다. 한편, 이러한 자연파괴의 원인 중 산업폐기물과 핵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데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막대한 예산과 비용 및 기간이 소요되므로 일반인들이 참여하기에는 역부족인 어려움이 있으나, 상기 자연파괴의 원인 중 일반인들이 조금만 신경을 쓰면 자연환경을 보호하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생활쓰레기의 문제이다.
즉, 일반적으로 쓰레기의 대부분은 생활쓰레기이며, 이러한 생활쓰레기는 크게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와, 재활용이 불가능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유기폐기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재활용쓰레기와 유기폐기물을 분리수거하여 따로 따로 처리하면 환경오염도 예방하고,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소비단체와 정부에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생활쓰레기의 분리 수거를 통한 자원 재활용 및 쓰레기줄이기 등 각종 방법을 동원하여 실행하고 있지만, 일반인들에게 종래보다 이중으로 청소비용이 부담되어 참여도 미약하고, 기대효과도 낮게 나타나고있어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재활용쓰레기와 유기폐기물을 별도로 분리수거 하였을 경우에도, 별도로 유기폐기물을 단시간내에 처리할 수 없으므로 일정 시간동안 유기폐기물을 자연적으로 부패시켜서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패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기술적 어려움과 유기폐기물 매립지 공간확보 및 각 가정과 음식점에서 버려지는 유기폐기물을 모아서 매립지까지 운반하여야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버려지는 생활쓰레기 중에서 음식점 찌꺼기 등의 유기폐기물을 가정과 음식점에서 바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첫째, 별도로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도 재활용쓰레기만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전체 쓰레기의 양을 감소시켜 주며, 셋째, 재활용쓰레기만을 수거하여 매립지에서 악취 등이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내장되어 내측 상부와 중앙부에 제1, 제2집배틀(21)(22)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각각 형성되며, 제1집배틀(21)의 상부에는 급수호스(11)가 연결되는 분쇄통(20)과 ; 분쇄통(20)의 제1집배틀(21)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집배틀(21)을 통하여 투입되는 유기폐기물을 분쇄시켜 주는 한쌍의 분쇄롤러(30a)(30b)와 ; 제2집배틀(22)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분쇄롤러(30a)(30b)에서 분쇄된 유기폐기물을 물과 함께 분쇄 및 혼합시켜주는 믹서부(40)와 ; 분쇄롤러(30a)(30b) 및 믹서부(40)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부(50)와 ; 분쇄통(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과 혼합분쇄된 유기폐기물을 배수시켜주는 배수밸브(60) 및 ; 배수밸브(60)와 연결되어 배수되는 유기폐기물을 정화시켜주는 임의의 처리장치(70)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그 높이는 대략 일반가정의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와 같은 높이로 제작하여, 본 발명의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은 그 싱크대 옆에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분쇄통(20)은 상부가 개구되는 입구부(23)를 형성하며, 그 입구부(23)에는 입구부(23)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24)를 설치한다. 또, 분쇄통(20)의 상부는 사각형상의 평단면을 가지고, 하부는 제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 분쇄통(20)의 제1집배틀(21)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호스(11)는 분쇄통(20)과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외부에서 수도꼭지와 연결하며, 급수호스(11)의 선단부에는 노즐을 장착하여 급수되는 물이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요구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순간적으로 많은량의 물이 요구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제1집배틀(21)의 양측에 각각 급수호스(11)를 설치할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제1집배틀(21)의 상부에 부패촉진용 효소가 투입되는 효소투입호스(12)를 별도로 설치하여, 유기폐기물의 부패과정을 촉진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이와같은 부패촉진용 효소를 사용할 경우에는 임의의 처리장치(70)에서 유기폐기물이 보다 빨리 부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분쇄통(20)의 제2집배틀(22)의 하부에는 제7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다수개의 와류편(25)을 돌출형성하여 믹서부(40)의 분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쇄통(20)의 제2집배틀(22)의 하부에는 상기 급수호스(11)와 연결되는 수위감지센서(13)를 설치하여, 분쇄통(20)에 적정수위만큼이 물이 차게 되면 수위감지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급수호스(11)에서의 물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한쌍의 분쇄롤러(30a)(30b)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쇄통(20)의 양측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31)을 케이스(10)와 분쇄통(20)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지지틀(1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이때 회전축(31)의 양측단부에는 베어링(32)을 각각 축설하여 회전축(31)이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하고, 분쇄롤러(30a)(30b)의 회전축(31)에는 상호 치합되는 기어부(33)를 각각 축설하되, 그 일측기어부(33)에는 후술하는 감속기(54)와 벨트(15)로서 연결되는 폴리(16)를 축설한다.
한쌍의 분쇄롤러(30a)(30b)중 일측 분쇄롤러(30b)는 제8도와 제9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34)의 탄발력을 받으면서 타측 분쇄롤러(30a)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되, 분쇄롤러(30a)(30b) 사이에 분쇄하기 어려운 이물질이 끼게되면 일측롤러(30b)가 스프링(34)을 밀면서 타측롤러(30a)와 일정간격 이격된 후 분쇄롤러(30a)(30b)가 역으로 구동되어 분쇄롤러(30a)(30b) 사이에 낀 이물질이 상부로 빠져 나오도록 한다. 즉, 제8도와 제9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롤러지지틀(14)에는 장공(14a)을 형성하고, 그 장공(14a)에는 상기 일측 분쇄롤러(30b)의 회전축(31)에 끼워진 베어링(32)이 스프링(34)의 탄발력을 받으면서도 회동되도록 장착하되, 베어링(3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롤러지지틀(14)의 장공(14a)에는 롤러이격감지센서(17)를 설치한다.
분쇄롤러(30a)(30b)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외주연에 톱니가 각각 형성되어 그 톱니가 서로 치합되어 구동하면서 유기폐기물을 분쇄시키도록 하며, 톱니가 나선형으로 형성시킨다. 따라서, 한쌍의 분쇄롤러(30a)(30b)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됨은 당연하다. 또, 분쇄롤러(30a)(30b)의 다른 실시예에서 분쇄롤러(30a)(30b)는 그 외주연의 일정간격으로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갈퀴날들과 그 끝이 날카로운 톱니들을 형성하여, 유기폐기물 중에서 그 부피가 크고 둥글면서 연한(예로써, 수박, 참외 등의 과일) 유기폐기물의 분쇄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믹서부(40)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분쇄통(20)의 하부중앙에 그 회전축(41)을 수직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하며,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가볍고 연한 유기폐기물을 잘게 분쇄시켜주는 제1분쇄날(42)이, 하부에는 무겁고 단단한 유기폐기물을 분쇄시켜주는 제2분쇄날(43)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구동부(50)는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구동모터(51)와, 구동모터(51)과 연결되는 동력단속기(52)와, 동력단속기(52)와 연결되어 믹서부(40)를 구동시켜주는 변속기(53) 및 동력단속기(52)와 연결되어 풀리(55)(16)와 벨트(15)를 통하여 분쇄롤러(30a)(30b)를 구동시켜주는 감속기(54)로 이루어진다. 이때, 변속기(53)는 상기 믹서부(40)의 회전축(41)과 일체로 연결시키며, 감속기(54)의 일측에는 상기 기어부(33)에 축설된 풀리(16)와 벨트(15)로서 연결되는 풀리(55)를 축설한다.
배수밸브(60)는 평상시에는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분쇄통(2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26)에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져 배수구(26)를 개폐시켜주는 패킹(61)과, 패킹(61)의 하부에 연결되어 패킹(61)을 상, 하강시켜주는 패킹승, 하강수단(62)으로 이루어진다. 즉, 배수구(26)의 하부에 밸브통(63)을 부착하고, 배수구(26)에 끼워지는 패킹(61)의 하부에는 상기 패킹승, 하강수단(62)과 패킹로드(64)로 연결하며, 밸브통(63)의 일측하부에는 상기 임의의 처리장치(70)와 호스(65)를 연결시킨다. 이때, 패킹승, 하강수단(62)은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바이메탈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패킹을 승,하강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임의의 처리장치(70)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밸브통(63)과 호스(65)로 연결되며, 일측에는 하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71)이 형성된다. 이러한 임의의 처리장치(70)는 일반적으로 화장실과 연결된 기존의 정화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유기 폐기물만 전용으로 처리하여 주는 정화조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0)의 상부에 콘트롤스위치(80)와 백업스위치(81)를 각각 설치함과 동시에 케이스(10)의 일측벽에는 콘트롤박스(82)를 설치한 후, 상기 콘트롤스위치(80) 백업스위치(81), 콘트롤박스(83), 구동부(50), 수위감지센서(13), 롤러이격감지센서(1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뚜껑(24)을 열고 주방에서 버려지는 생활쓰레기 중에서 음식찌꺼기 등의 유기폐기물을 입구부(23)를 통하여 분쇄통(20)에 투입시키면 유기폐기물은 제1집배틀(21)을 통해서 한쌍의 분쇄롤러(30a)(30b)의 상부에 모아진다. 이 상태에서 뚜껑(24)을 닫고 콘트롤스위치(80)를 온시키면, 배수밸브(60)가 하강하여 배수구(26)를 차단시켜주며, 급수호스(11)에서는 물이 분사되는 동시에 구동모터(51)가 구동되고 이에 의해서 한쌍의 분쇄롤러(30a)(30b)가 구동되므로 유기폐기물의 1차분쇄가 이루어진다. 이때, 1차분쇄되는 유기폐기물은 제2집배틀(22)을 통하여 분쇄통(20)의 하부로 모아진다. 한편, 상기에서 필요에 따라서는, 효소투입호스(12)를 통하여 부패촉진용효소를 함께 투입시킬 수도 있다.
둘째, 분쇄롤러(30a)(30b)를 통하여 1차분쇄가 끝나면 분쇄롤러(30a)(30b)는 정지함과 동시에 변속기(53)에 의해서 믹서부(50)가 구동된다. 따라서, 1차분쇄된 유기폐기물은 제2집배틀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짐과 동시에 구동되는 믹서부(40)의 제1, 2분쇄날(42)(43)에 의하여 유기폐기물은 물과 함께 2차로 잘게 분쇄 및 혼합된다.
셋째, 믹서부(40)에 의해서 2차분쇄가 끝나면 믹서부(40)는 잠시동안 정지하고 이때, 분쇄롤러(30a)(30b)가 잠시 구동되면서 급수호스(11)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서 분쇄롤러(30a)(30b)가 세척되고, 세척이 완료되면 분쇄롤러(30a)(30b)는 다시 정지됨과 동시에 급수되는 물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면 수위감지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급수호스(11)를 차단하여 물공급을 중지되고, 물공급이 중지되면 믹서부(40)가 다시 구동되어 한번 더 물과 유기 폐기물을 혼합시켜준다.
넷째, 분쇄가 완료되면 믹서부(40)가 서서히 구동됨과 동시에 배수밸브(60)의 패킹(61)이 패킹승, 하강수단(62)에 의해서 제6도의 가상선과 같이 상부로 상승되어 분쇄되어 혼합된 유기폐기물과 물은 배수구(26)를 통하여 임의의 처리장치(70)로 유입되어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한번 더 물을 공급하여 분쇄롤러(30a)(30b)아 믹서부(40)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다섯째, 임의의 처리장치(70)로 유입된 유기폐기물은 정화처리된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에서 분쇄롤러(30a)(30b)에 분쇄하게 어려운 이물질이 끼게되면, 제10도의 (b)에서와 같이 일측의 분쇄롤러(30b)가 스프링(34)를 밀면서 타측의 분쇄롤러(30a)에서 이격되고. 이때 제9도에서의 가상선과 같이 베어링(32)이 롤러이격감지센서(17)에 접촉되면서 분쇄롤러(30a)(30b)는 정지한다. 이때, 백업스위치(81)를 온시키면 분쇄 롤러(30a)(30b)가 역으로 구동하여 분쇄롤러(30a)(30b)사이에 낀 이물질이 상부로 빠져나온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뚜껑(24)을 열고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롤러이격감지센서(17)에는 경보기를 연결하여 분쇄롤러(30a)(30b)가 정지하면 경보가 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이를 알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식찌꺼기가 많이 수거되는 대규모식당에서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분쇄된 유기폐기물을 유기퇴비 및 사료로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버려지는 생활쓰레기 중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유기폐기물을 가정과 음식점에서 바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첫째, 별도로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도 재활용쓰레기 만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전체 쓰레기의 양을 감소시켜주며, 셋째, 재활용쓰레기만을 수거하여 매립지에서 악취 등이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케이스에서 내장되어 내측 상부와 중앙부에 제1, 제2집배틀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각각 형성되며, 제1집배틀의 상부에는 급수호스가 연결되는 분쇄통과 ; 상기 분쇄통의 제1집배틀 하부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집배틀을 통하여 투입되는 유기폐기물을 분쇄시켜 주는 한쌍의 분쇄롤러와 ; 상기 제2집배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분쇄롤러에서 분쇄된 유기폐기물을 물과 함께 분쇄 및 혼합시켜주는 믹서부와 ; 상기 분쇄롤러 및 믹서부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부와 ; 상기 분쇄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과 혼합분쇄된 유기폐기물을 배수시켜주는 배수밸브 및 ; 상기 배수밸브와 배수되는 유기폐기물을 정화시켜주는 임의의 처리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의 제2집배틀 하부에는 다수개의 와류편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믹서부의 분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분쇄롤러 중 일측 분쇄롤러는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으면서 타측 분쇄롤러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되, 분쇄롤러사이에 분쇄하기 어려운 이물질이 끼게 되면 일측 분쇄롤러가 스프링을 밀면서 타측 분쇄롤러와 일정간격 이격된 후 분쇄롤러가 역으로 구동되어 분쇄롤러 사이에 낀 이물질이 상부로 빠지면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배틀의 상부에는 그 내부로 부패촉진용 효소가 투입되는 효소투입호스를 설치하여, 유기폐기물의 부패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9920012883A 1992-07-20 1992-07-20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KR95000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883A KR950006884B1 (ko) 1992-07-20 1992-07-20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883A KR950006884B1 (ko) 1992-07-20 1992-07-20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942A KR940001942A (ko) 1994-02-16
KR950006884B1 true KR950006884B1 (ko) 1995-06-26

Family

ID=1933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883A KR950006884B1 (ko) 1992-07-20 1992-07-20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8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942A (ko) 199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20070059033A (ko) 2단 칼날 구조와 자체 정화 구조를 가진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60609A (ko) 3차 감량기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50206B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950006884B1 (ko) 유기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5093Y1 (ko) 음식물쓰레기분쇄장치
JPH06246180A (ja) 厨芥処理装置
KR200356326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120069347A (ko) 음식물 처리 감량장치
KR102628053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
CN215694621U (zh) 一种高效垃圾处理研磨刀盘
KR20050099423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50047887A (ko)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54727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CN108941160A (zh) 一种带清洗功能的厨房用环保设备
KR0115012Y1 (ko) 오물처리장치
KR10229978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2659252B1 (ko) 음식물류폐기물 파쇄 및 감량 배출 장치
KR101376302B1 (ko) 비회수용 음식물처리기
KR0183534B1 (ko) 주방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