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598Y1 -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598Y1
KR950006598Y1 KR2019900005616U KR900005616U KR950006598Y1 KR 950006598 Y1 KR950006598 Y1 KR 950006598Y1 KR 2019900005616 U KR2019900005616 U KR 2019900005616U KR 900005616 U KR900005616 U KR 900005616U KR 950006598 Y1 KR950006598 Y1 KR 950006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osd
video signal
genera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189U (ko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5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598Y1/ko
Publication of KR910019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1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비디오신호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신호의 믹싱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레벨 조정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디오신호발생기 20 :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발생기
30 : 믹싱수단 40 : 레벨 설정 수단
41 : 스위칭부 42 : 안정화부
43 : 비교부 44 : 선택부
본 고안은 비디오신호발생기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SD, 이하 OSD로 약함) 문자발생기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화면상의 배경레벨과 OSD문자레벨이 구별되도록 하는 OSD문자의 레벨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 OSD는 브라운관이나 모니터등과 같은 화상표시 수단상의 일정구간에 문자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문자발생 명령을 받으면, 복합비디오신호에서 분리된 동기신호에 맞추어 문자를 발생시켜 믹싱수단으로 인가하고, 믹싱수단에서는 비디오신호 발생기에서 발생한 신호와 OSD문자 발생기에서 발생된 문자를 혼합하여 비디오출력단으로 전송함으로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현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OSD문자로는 주로 시청중인 채널이나 시간 및 볼륨의 높낮이 정도 등을 들 수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비디오신호와 OSD문자 신호의 믹싱회로도로서, OSD문자 발생기(20)에서 발생한 문자신호와 비디오신호발생기(10)에서 발생한 신호를 분할저항(R2, R3, R4, R5)을 통해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혼합한 뒤, 혼합결과 신호를 접지단에 연결된 에미터로 출력바이어스저항(R1)을 통해 비디오출력단으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OSD문자 발생기에서는 비디오신호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배경의 휘도레벨과 관계없이 문자를 발생시키므로, 배경의 휘도레벨이 문자의 휘도레벨과 동일한 경우에는 문자를 구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OSD문자 발생시, 비디오 화면상의 배경 휘도레벨과 OSD문자의 휘도레벨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OSD문자 레벨 가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비디오 신호발생기와 OSD문자 발생기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발생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OSD문자 발생기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면 혼합하여 비디오 출력단으로 보내기 위한 믹싱수단과, 상기 OSD문자 발생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발생기의 출력신호에 대한 뮤팅동작 여부를 판별하고, 뮤팅되지 않은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OSD문자 신호와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구별할 수 있도록 OSD문자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레벨설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먼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신호발생기(10)에서는 화상표시수단상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가 담긴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하고, OSD문자발생기(20)에서는 상기 화상표시수단상의 일정구간에 문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믹싱수단(30)은 트랜지스터(Q1, Q2)를 공통으로 콜렉터에 전원전압(B+)을 연결하고 에미터에 저항(R3)을 통해 접지단과 연결하며, 상기 비디오신호발생기(10)의 출력신호를 콘덴서(C1)와 바이어스 저항(R1, R2)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입하여 저항(R3)을 거쳐 비디오 출력단으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OSD문자발생기(20)의 출력신호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입하여 저항(R3)을 거쳐 비디오 출력단으로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레벨설정수단(40)은 상기 비디오신호발생기(10)와 상기 OSD문자발생기(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OSD문자발생의 유무에 뮤팅동작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1), 상기 스위칭부(41)의 출력신호를 적분하고 안정화하기 위한 안정화부(42), 상기 안정화부(42)의 출력신호를 비디오 신호레벨의 높낮이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배경휘도레벨을 체크하기 위한 비교부(43), 상기 안정화부(42)의 출력신호를 가동접점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비교부(43)의 출력신호에 따라 OSD문자의 휘도레벨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44)로 구성된다.
특히 스위칭부(41)와 안정화부(42), 비교부(43) 및 선택부(44)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위칭부(41)는 상기 비디오신호발생기(10)의 출력신호를 콜렉터에 전원전압(B+)을 연결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OSD문자발생기(20)의 출력신호를 바이어스 저항(R12, R13)을 통해 콜렉터에 전원전압(B+)을 연결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에미터에 전원전압(B+)을 연결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접지단에 연결한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사이 접속점에 콜렉터를 연결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를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5, Q6)의 에미터에 접지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안정화부(42)는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를 통해 인가되는 비디오신호를 저항(R10)과 콘덴서(C2)로 이뤄진 적분회로를 거쳐 전압폴로워(Voltage Follower)형 연산증폭기(OP1)의 (+)단에 인가되도록 하고, 연산증폭기(OP1)의 (-)단은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 비교부(43)는 전원전압(B+)을 저항(R14, R15)를 통해 (+)단에 연결하고, 상기 안정화부(42)의 출력단을 (-)단에 연결한 연산증폭기(OP2)로 구성된다.
선택부(44)는 상기 안정화부(42)의 출력단을 가동접점단자(3)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상기 OSD문자발생기(20)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R4)과 저항(R7)사이 접속점에 연결된 선택단자(1)와 상기 트랜지스터(Q2)와 접지단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R5)과 저항(R6) 사이 접속점에 연결된 선택단자(2)로 구성된다.
이어서 제 2 도의 작동을 설명한다.
믹싱수단(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신호발생기(10)에서 발생된 비디오신호를 콘덴서(C1)에서 평활하고, 저항(R1, R2)를 통해 분할된 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가하며, OSD문자 발생기(20)에서 발생된 문자신호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가하여 저항(R3)를 통해 비디오 출력단으로 혼합된 신호를 출력하여 화상표시 수단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OSD문자발생기(20)에서는 항상 일정 레벨의 문자가 출력되어 비디오신호발생기(10)에서 보내오는 비디오신호와 휘도레벨이 동일한 경우에는 화상표시 수단상에서 식별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비디오신호의 휘도레벨을 판별하여 OSD문자 신호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비디오신호를 OSD문자발생기(20) 입력단으로 피드백(Feedback)시키는데 이러한 동작은 레벨설정수단(40)에서 이루어진다.
즉 레벨설정수단(4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스위칭부(41)는 비디오신호발생기(10)에서는 계속적으로 비디오신호를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할때, OSD문자 발생기(20)에서 문자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6)은 OFF되므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는 전원전압(B+)이 인가되어 ON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로 인가된 비디오신호는 에미터를 통해 트랜지스터(Q5)로 바이패스된다. 반면 OSD문자 발생기(20)에서 문자신호를 발생하면 트랜지스터(Q6)는 ON되므로,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에는 하이논리상태의 전압이 걸려 트랜지스터(Q5)는 OFF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된 비디오신호는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안정화부(42)는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저항(10)과 콘덴서(C2)로 구성된 적분회로에서 DC화 시킨 뒤, 직류전압폴로워(OP1)의 (+)단에 인가하여 안정된 전원을 출력시킨다.
비교부(43)는 전원전압(B+)을 저항(R14, R15)를 통해 연산증폭기(OP2)의 (+)단에 인가하는데, 저항(R14, R15)은 기준전압 설정 저항으로서 동작한다.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단에는 상기 안정화부(42)의 출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안정화부(42)에서 출력된 비디오신호가 연산증폭기(OP2)의 (-)단에 인가되면, 저항(R14, R15)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단에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의 전압이 높으며 배경 휘도레벨이 높은 것으로 판별되어 하이논리상태를 출력하고, 기준전압보다 상기 비디오 신호의 전압이 낮으면 배경 휘도레벨이 낮은 것으로 판별되어 로우논리 상태를 출력한다.
선택부(44)는 가동접점단자(1)에 상기 안정화부(42)의 출력단을 연결하고, 상기 비교부(43)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면 OSD문자 레벨을 하이논리와 로우논리상태로 선택한다. 즉 상기 비교부(43)의 출력이 하이논리 상태이면 배경 휘도레벨보다 OSD문자 레벨을 낮추기 위해 선택단자(3)로 가동접점단자(1)를 ON시킨다. 반면 상기 비교부(43)의 출력이 로우논리상태이면 배경 휘도레벨보다 OSD문자 레벨을 높이기 위해 선택단자(2)로 가동접점단자(1)를 ON시킨다.
따라서 OSD문자 발생기(20)에서 문자가 발생되면, 선택부(44)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저항(R4, R5, R6, R7)을 거쳐 레벨이 설정된 신호가 믹싱수단(30)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가해지고, 트랜지스터(Q1)으로 인가된 비디오신호와 혼합되어 비디오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 수단상의 배경 레벨과 OSD문자 레벨을 낮게 하고 배경 레벨이 낮을 경우에는 OSD문자 레벨을 높게 함으로써 화상표시 수단상에서 OSD문자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비디오신호발생기(10)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문자발생기(20)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신호발생기(10)와, 상기 OSD문자발생기(2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면 혼합하여 비디오출력단으로 보내기 위한 믹싱수단(30), 상기 OSD문자발생기(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신호발생기(10)의 출력신호에 대한 뮤팅동작 여부를 판별하고, 뮤팅되지 않은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OSD문자신호와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구별할 수 있도록 OSD문자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믹싱수단(30)에 공급하기 위한 레벨설정수단(4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설정수단(40)은 상기 비디오신호발생기(10)와 상기 OSD문자발생기(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OSD문자발생의 유무에 따라 뮤팅동작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41), 상기 스위칭부(41)의 출력신호를 적분하고 안정화하기 위한 안정화부(42), 상기 안정화부(42)의 출력신호를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배경휘도레벨을 체크하기 위한 비교부(43), 상기 안정화부(42)의 출력신호를 가동접점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비교부(43)의 출력신호에 따라 OSD문자의 휘도레벨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4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KR2019900005616U 1990-04-30 1990-04-30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KR950006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616U KR950006598Y1 (ko) 1990-04-30 1990-04-30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616U KR950006598Y1 (ko) 1990-04-30 1990-04-30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189U KR910019189U (ko) 1991-11-29
KR950006598Y1 true KR950006598Y1 (ko) 1995-08-14

Family

ID=1929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616U KR950006598Y1 (ko) 1990-04-30 1990-04-30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5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189U (ko) 199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28463A (ko) 텔레비젼 수상기
KR840005642A (ko) 비데오 신호 처리 시스템
KR950006598Y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레벨 조정회로
US5245434A (en) Autopix circuit with inserted vertical blanking
KR850001692B1 (ko) 자동휘도 제한회로
US6456332B1 (en) Device for generating sync signals of composite video signal
US4831311A (en) High voltage stabilizing circuit for prevention of overheating
KR100246053B1 (ko) 모니터의 원-스위치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조절장치
KR0118645Y1 (ko) 비디오 문자 믹서회로
KR200156516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KR920004942Y1 (ko) 방송신호의 세기를 이용한 자동 샤프니스회로
KR950008281Y1 (ko) 케이블 텔레비젼용 채널 복조기의 자기 진단회로
KR850000566B1 (ko) 텔레비젼의 화상 조정 회로
KR0119566B1 (ko) 무신호 입력 상태에서 현 모드 화면상 문자 표시를 위한 제어회로
KR200172685Y1 (ko) 오에스디(osd)명암자동조정회로
KR0122115B1 (ko) 모니터의 동기신호 분리회로
KR0149581B1 (ko) 영상재생장치에서 화면상 표시 문자 흐림 방지회로
KR0147193B1 (ko) 씨알티 화면 보호 회로 및 화면 보호방법
KR960006538B1 (ko) 영상기기에 있어서 동조안정화장치
KR100214014B1 (ko) 모니터의 영상입력 처리회로
KR0164157B1 (ko) 컴퓨터 사용중 전화벨신호 표시장치
KR100246769B1 (ko) 모니터의 영상 처리 회로
KR0164527B1 (ko) 동기신호의 입력 극성 제어 회로
JPH0810917B2 (ja) Tvのパワースイッチ
KR900002697B1 (ko) 온스크린 표시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