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394Y1 - 이상 압력 상승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상 압력 상승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394Y1
KR950006394Y1 KR92015583U KR920015583U KR950006394Y1 KR 950006394 Y1 KR950006394 Y1 KR 950006394Y1 KR 92015583 U KR92015583 U KR 92015583U KR 920015583 U KR920015583 U KR 920015583U KR 950006394 Y1 KR950006394 Y1 KR 950006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load side
supply pip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962U (ko
Inventor
서원섭
Original Assignee
서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섭 filed Critical 서원섭
Priority to KR92015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394Y1/ko
Publication of KR940005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9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16K47/045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and the closure member being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16K17/36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the closure members being rotatable or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상 압력 상승방지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시공예를 보이고 잇는 계략적인 설치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a)도는 밸브가 열려있는 정상상태도, (b)도는 밸브가 닫힌 이상 압력 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밸브구조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용기 12 : 공급관
12a : 부하측공급관 13 : 압력강하밸브
15 : 부하측가열기 20 : 보조차단밸브
21 : 힌지축21a, 30 : 스프링
22 : 수동핸들연결부 23 : 걸림돌기
25 : 구동판 26 : 차단판
27 : 밸브몸체 28 : 다이어프램
29 : 상승원판 31 : 내압조절밸브
32, 33 : 격실 34 : 센서라인
35 : 외부공기유입홀 36 : 중심축
37 : 걸림편 38 : 내압조절실
본 고안의 이상압력상승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장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가스가 부하측에서 필요로 하는 압력 이상으로 상승함으로서 발생되는 폭발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부하측 가스유입 관상에 부설하게 되는 이상압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영업용가열기기 등에 사용되는 가스연료는, 고압으로 농축된 상태로서 저장용기(10)에 담기어 보관되는데, 저장용기에 담기어 있는 고압의 가스는 취급상 많은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10)의 가스공급관(12)상에 압력강하밸브(13)를 연설시켜 줌으로서, 저장용기(10)에서 유출된 가스가 부하측가열기(15)에 이를 때에는 소정의 압력으로 낮추어진체 가열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압력강하밸브(13)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는 대체로 일정한 압력 그리고, 안정성을 유지하기게 충분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압력 강하 밸브(13)에 예기치 못한 고장이나, 오동작 시에는 고압의 가스가 그대로 새어나와 대형의 참사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므로 안전에 대한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오히려 부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압의 저장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항상 부하측에서 요구하는 설정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압력상승시 신속히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하측이 필요로 하는 임의의 압력에 대해서도 밸브가 신속히 동작할 수 있도록 밸브몸체 상단에 내압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이상압력 상승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단판의 힌지축 연장부를 밸브몸체 외측으로 돌설시켜 밸브의 수동조작이 가능토록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배치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상세한 내부구조도로서, 본 고안의 이상압력 상승방지 장치는, 고압의 저장용기(10)와 부하측의 가열기(15)를 연결하는 공급관(12) 상에 압력강하 밸브(13)를 설치한 이상압력 차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압력강하밸브(13)의 출력측과 부하측공급관(12a) 사이에 보조차단밸브(20)를 연설하되, 보조차단밸브가 압력강하밸브(13)를 거쳐 유입되는 가스의 이상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밸브상단에 구비되고, 다이어프램(28)을 중심으로 하여 2개의 격실(32)(33)로 나누어지는 내압조절실(38)과, 내압조절실의 상하격실(32)(33)에 각기 흡인된 가스압을 비교하여 이상압력으로 판단될 때 다이어프램(28)의 상승에 의해 부하측을 신속히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몸체(27) 내면에 제공되는 차단판(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판(25)은, 밸브몸체(27)에 힌지축(21)으로 고정하고 선단에 걸림고리(23)를 돌설한 구동판(26)상에 일체로 구성하되, 이는 다이어프램(28)에 일체로 연설되는 상승원판(29) 중심축(36) 단부의 걸림편(37)에 의하여 규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내압조절실(38)의 상부격실(32) 일측에는 외부공기 유입홀(35)을 구비하고 내부에 스프링(30)을 내설하며, 다이어프램(28)에 가해지는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단에는 다시 내압조절밸브(31)를 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본 고안의 이상압력 상승방지장치는, 고압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저장용기(10)의 밸브(11)와 연결되는 공급관(12)상에, 압력강하밸브(13)를 부설하여 고압상태에 있는 가스압력을 1차 강하시켜 주게 되며, 압력강하밸브(13)의 출력측에는, 이상압력발생시 공급관(12)을 신속히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을 보호하기 위하여 감지 및 제어기능을 동시에 갖는 보조차단밸브(20)를 부설하여 이루어진다.
압력강하밸브(13)의 출력측과 부하측공급관(12a)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차단밸브(20)는, 또한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회동하며 선단에 걸림고리(23)를 돌설하는 동시에 하부에는 패킹씨이트(24)로 피복된 차단판(25)을 연설하고 있는 구동판(26)에 의하여 부하측공급관(12a)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주게되는 밸브몸체(27)와, 밸브상단에 구비되며 다이어프램(28)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2개의 격실(32)(33)로 분리되고, 상부격실(32)에는 상승원판(29)에 스프링(30)을 탄지하여 다이어프램(28)이 소정압을 견디도록 내압조절밸브(31)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부격실(33)은 센서라인(34)을 통해 부하측공급관(12a)과 연통되도록 설치한 내압조절실(38)로 이루어지는데, 밸브몸체(37)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차단판(25)은, 센서라인(34)을 통해 하부격실(33)로 유입된 공급관 내의 실질압력과, 외부공기 유입홀(35)을 따라 상부격실(32)로 유입된 외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다.
즉, 밸브몸체(27)에 유입되어 부하측공급관(12a)으로 배출되는 가스가 내압조절밸브(31)에 의해 설정되는 압력이하로 공급되는 것이라면, 센서라인(34)을 거쳐 하부격실(33)로 유도되는 공급관 내의 실질압력은 상부격실(32)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 보다 작아, 다이어프램(28)에 일체로 연설되는 상승원판(29)은 제 2a 도에서와 같이 하강하게 되며, 이때에는 구동판(26)상의 걸림고리(23)가 상승원판(29)의 중심축(36) 단부에 연설되는 걸림편(37)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정상적이고도 원활한 가스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고압의 가스를 저정하고 있는 저장용기(10)로부터 압력강하밸브(13)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부하측가열기(15)에서 요구하는 설정치 이상의 압력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내압조절실(38)내에 설치되어 있는 다이어프램(28)이 제 2b 도에서와 같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이어프램(28)의 상승으로 인해 상승원판(29)과 그 중심축(36) 및 선단의 걸림편(37)이 동시에 상향이동하게 됨으로써 걸림편(37)에 의해 규제되고 있던 구동판(26)의 걸림고리(23)가 해제되면서 차단판(25)는 부하측공급관(12a)을 밀폐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차단판(25)의 이동은, 한지축(21)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스프링(21a)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지만, 이같은 스프링(21a)은 구동판(26)을 밀어주기에 알맞은 탄성력을 보유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왜냐하면, 스프링(21a)의 탄력이 클 경우 중심축(36) 상의 걸림편(37)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구동판(26)이 오동작으로 인해 닫히게 되는 경우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며, 스프링력이 작다하더라도 중심축(36)의 상승에 의해 걸림편(37)과 걸림고리(23)의 이격이 이루어지고 나면 구동판(26) 및 차단판(25)은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내려오게 되는 동시에 공급되는 가스압에 의해 차단판(25)이 눌리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밸브몸체(27) 내에 차단판(25)을 설치함에 있어서, 차단판(25)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힌지축(21) 연장부를 밸브몸체(27)의 외부로 돌설되도록 하고, 그 단부에 수동핸들 연결부(22)를 형성시켜 주게 되면, 설정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차단된 밸브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주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경우에 따라 부하측 가열기(15)를 장시간 사용치 아니하는 때에는 밸브를 수동조작하여 임의로 차단함으로서 별도의 잠금밸브를 부설함이 없이도 밸브의 잠금 기능까지를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여러가지의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고압의 가스저장용기(10)와 부하측의 가열기(15)를 연결하는 공급관(12)상에 압력강하밸브(13)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강하밸브(13)의 출력측과 부하측공급관(12a) 사이에 보조차단밸브(20)를 연설하는 이상 압력 차단장치에 있어서; 압력강하밸브(13)를 거쳐 유입되는 가스의 이상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밸브상단에 구비되고 다이어프램(28)을 중심으로 하여 2개의 격실(32)(33)로 나누어지는 내압조절실(38)을 마련하되, 내압조절실(38)의 상부격실(32) 일측에는 외부공기 유입홀(35)을 구비하고 하부격실(33)의 일측에는 부하측공급관(12a)과 연통되게 센서라인(34)을 설치하며, 상기 내압조절실(38)의 상하격실(32)(33)에 각각 흡입된 가스압을 비교하여 이상압력으로 판단될 때 다이어프램(28)의 상승에 의해 부하측을 신속히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몸체(27) 내면에는 다시 밸브몸체(27)에 힌지축(21)으로 고정되고 선단에 걸림고리(23)를 돌설시킨 구동판(26)상에 일체로 구성하며, 다이어프램(28)에 일체로 연설되는 상승원판(29) 중심축(36) 단부의 걸림편(37)에 의하여 규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차단판(25)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압력상승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단판(25)의 회전중심축을 이루는 상기 힌지축(21) 연장부에 밸브몸체(27) 외부로 돌설되는 수동핸들 연결부(22)를 일체로 연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압력상승 방지장치.
KR92015583U 1992-08-19 1992-08-19 이상 압력 상승방지 장치 KR950006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583U KR950006394Y1 (ko) 1992-08-19 1992-08-19 이상 압력 상승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583U KR950006394Y1 (ko) 1992-08-19 1992-08-19 이상 압력 상승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962U KR940005962U (ko) 1994-03-22
KR950006394Y1 true KR950006394Y1 (ko) 1995-08-08

Family

ID=1933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583U KR950006394Y1 (ko) 1992-08-19 1992-08-19 이상 압력 상승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3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962U (ko)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3367A (en) Stop fill valve
US3589397A (en) Antirefill valve
US20200248873A1 (en) Valve assemblies and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packages comprising same
US4951701A (en) Combination air vent and overpressure valve
US20120211687A1 (en) Isolation valve with motor driven sealing mechanism
US2016278A (en) Vent
US3304952A (en) Vent control device
US3421546A (en) Pressure release valve
US2632462A (en) Fluid return valve
US4080800A (en) Cryogenic circuit
RU2054137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
GB2025577A (en) Valve arrangements
US6408869B1 (en) Safety valve
EP0059599B1 (en) Valve mechanism for low temperature applications
KR950006394Y1 (ko) 이상 압력 상승방지 장치
US4376446A (en) Vent valve for fuel tanks and the like
WO1985005430A1 (en) Valve arrangement for unloading liquid flow at a non-return valve
US2319659A (en) Combined pressure regulating and relief valve assembly
US2674829A (en) Pressure regulator
EP0768484A1 (en) A safety device for a gaseous fluid cock for cylinders and similar containers
US4510964A (en) Valve for pressurized cylinders for liquified gas
US2973779A (en) Vapor by-pass valve
US3289692A (en) Spring adjusting means for a pressure operated valve
US3021866A (en) Safety control system for fluid distribution and apparatus
KR100621868B1 (ko) 과류차단 및 복귀장치가 구비된 가스 저장용기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