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140B1 - No data detecting circuit of digital data repeating circuit - Google Patents

No data detecting circuit of digital data repeat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140B1
KR950005140B1 KR1019910021134A KR910021134A KR950005140B1 KR 950005140 B1 KR950005140 B1 KR 950005140B1 KR 1019910021134 A KR1019910021134 A KR 1019910021134A KR 910021134 A KR910021134 A KR 910021134A KR 950005140 B1 KR950005140 B1 KR 95000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output
input
it1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11487A (en
Inventor
현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140B1/en
Publication of KR93001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4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1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This repeater implements the functions that are suitable for the Bell standard and KT MX13 standards. This no-data detecting circuit detects input signal and generates alarm signal and satisfies the alarm recovery condition. This repeater consists of the first interval clock IT1V(1), a data detecting block(24), an alarm signal generator(36), an alarm output and condition releasing block(44) that cuts off alarm signal to indicate signal(AIS) and out-of-frame signal(MS).

Description

디지탈 데이터 중계장치의 노데이터 검출회로No data detection circuit of digital data relay

제1도는 종래의 디지탈 데이타 중계장치에 사용된 노데이터 검출회로도,1 is a no data detection circuit diagram used in a conventional digital data relay,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데이터 중계장치의 노데이터 검출회로도,2 is a no data detection circuit diagram of a digital data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먹스드래치(12)와 래치(38, 40)의 상세 결선도,3 is a detailed connection diagram of the mux draw 12 and the latches 38 and 40 shown in FIG.

제4도 및 제5도는 제2도의 동작 타이밍도.4 and 5 are operation timing diagrams of FIG.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의 노데이터(No Data) 검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신호의 손실을 검출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복귀조건을 만족하는 노데이터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 data detection circuit of a digital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 data detection circuit that detects a loss of an input signal and generates an alarm signal and satisfies a return condition.

일반적으로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의 PCM 다중화 장치에는 전송선로의 단선, 단락 혹은 상대국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의 노데이터(No Data)를 검출하는 노데이터 감시회로(No Data Detection circuit)를 필요로 한다.In general, PCM multiplexing devices in digital data transmission devices require a no data detection circuit that detects no data when a data line is disconnected, short-circuited, or not transmitted from the other station. .

상기와 같은 노데이터 감시회로는 PCM 전송로의 단선, 단락등에 기인하여 바이폴라 혹은 유니폴라의 데이터 신호가 일정기간 동안 입력되지 않을때 이를 검출하여 선로경보 혹은 노데이터 경보를 발생하는데 중요하게 쓰인다. 일예를 들면, KT MX13규격 및 벨(Bell) 규격에서는 입력신호 손실시의 경보발령 조건과 복귀조건을 하기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Such a no data monitoring circuit detects when a bipolar or unipolar data signal is not input for a certain period due to disconnection or short circuit in the PCM transmission line, and is important for generating a line alarm or a no data alarm. For example, the KT MX13 standard and the Bell standard define the alarm issuing conditions and return conditions when an input signal is lost as follows.

1) 입력신호 손실시 경보발령 조건 : 북미방식(NAS)DS1, 유럽방식(CEPT)의 DS1, DS3 입력신호에 175±75비트 이상 또는 그에 상당하는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0"이 수신되거나 펄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입력신호 손실 경보가 선언되어야 하고 이는 입력신호의 AMI 또는 B8ZS(NAS BS1) HDB3(CEPT DS1), B3ZS(DS3) 코드의 복조화 이전에, 그리고 입력신호의 250비트에 해당하는 시간내에 검출되어야 한다.1) Alarm output condition when input signal is lost: "0" is continuously received or pulse is generated for more than 175 ± 75 bits or equivalent time to North America (NAS) DS1, European (CEPT) DS1, DS3 input signal. If not present, an input loss alarm should be declared before the demodulation of the AMI or B8ZS (NAS BS1) HDB3 (CEPT DS1), B3ZS (DS3) codes of the input signal, and corresponding to 250 bits of the input signal. Should be detected in time.

2) 입력신호 손실시 복귀조건 : 입력되는 DS3 신호는 프레임 비트와 페리티 비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펄스밀도가 33%이상이며, 스터핑 제어비트(C)가 모두 "1"이 아닌 경우에 대해서 정상적인 상태로 선언되어야 한다.2) Return condition when the input signal is lost: The input DS3 signal is normal when the frame bit and the parity bit are normally received, the pulse density is 33% or more, and the stuffing control bits (C) are not all "1". Should be declared as

즉, 입력신호 복귀조건은 입력되는 DS3 신호의 프레임(PEFRAMEC 2ms 이내)완료되고 스터핑 제어비트가 모두 "1"이 아닌 경우이며, 이는 DS3 입력신호가 정상적인 상태로써 안정되어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입력신호 경보발령 조건은 신호의 수가 175±75비트 이상 "0"가 유지될 경우 손실 경보를 발령하며, 입력신호 복귀조건은 입력되는 신호중 "0"가 175±75비트 이내가 된다 하더라도 정상적인 신호가 아닐경우는 입력신호 손실 경보(No Signal)를 해제해서는 안된다.That is, the input signal return condition is when the frame of the input DS3 signal (within PEFRAMEC 2ms) is completed and the stuffing control bits are not all "1", which means that the DS3 input signal is stable as normal. Therefore, the input signal alarm trigger condition issues a loss alarm when the number of signals is maintained at "0" over 175 ± 75 bits, and the input signal return condition is a normal signal even if "0" within the input signal is within 175 ± 75 bits. If not, the input signal loss alarm (No Signal) shall not be released.

상기와 같은 경보 발령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의 입력 손실 검출회로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과 캐패시터를 이용한 RC 시정수를 이용한 것으로, 저항(R1)과 캐패시터(C1)의 RC시정수 값을 입력되는 신호중에 175±75EA의 연속되는 "0"(ZERO)만큼의 6시간을 맞추어, 이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경보를 발생도록 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input loss detection circuit for achieving the alarm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uses a RC time constant using a resistor and a capacitor as shown in FIG. 1, and RC of 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1. The time constant value is input for 6 hours as long as "0" (ZERO) of 175 ± 75EA, and it is converted into a voltage to generate an alarm.

상기 제1도와 같은 회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다이오드, 저항, 캐패시터(D1, R1, C1)로 구성되는 피이크(peak) 검출부에서 일정한 "하이(high)"신호를 비교기(CP)로 입력 시킨다.When there is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 the circuit as shown in FIG. 1, a peak detection unit composed of diodes, resistors, and capacitors D1, R1, and C1 provides a constant "high" signal to a comparator (CP). Enter

이때 비교기(CP)는 저항(R2, VR1)으로 구성된 회뢰의 기준 레벨(level)과 상기 피이크 검출부의 출력을 비교하는데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출력은 "하이"를 유지하여 비경보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comparator CP compares the reference level of the lightning circuit formed with the resistors R2 and VR1 with the output of the peak detector, and when the input signal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 the output is kept "high" and the alarm is not alarmed. Maintain state.

그러나, 입력되는 신호가 저항(R1) 및 캐패시터(C1)로 이루어진 시정수값보다 레벨이 낮게(No SIGNAL의 상태) 수신되는 경우 비교기(CP)의 반전단자(-)는 "로우"로 변환된다. 이때 비교기(CP)는 이를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낮을 경우 "로우"로써 노데이터 경보를 발생시킨다.However, when the input signal is received at a lower level (state of No SIGNAL) than the time constant value composed of 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1, the inverting terminal (-) of the comparator CP is converted to "low". In this case, the comparator CP generates a no data alarm as "low" when it is low compared with the reference level.

그러나 상기 제1도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로 저항과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입력신호의 조건(175±75개의 펄스신호가 연속적으로 "0"(ZERO)의 상태로 입력시에 경보발생)에 맞는 경보를 발생기 저항과 캐패시터의 오차로 인하여 정확한 값을 얻기가 어려우며, 둘째로 경보 해제 조건(DS3급 MX13규격)에 맞추어 설계되어야 하나 종래의 회로는 경보발생 조건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KKT MX13규격과 Bell규격 적용시 회로구성이 불가능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circuit as shown in FIG. 1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use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to generate an alarm that meets the input signal conditions (175 ± 75 pulse signals are continuously generated when the signal is input at the state of "0" (ZERO)) due to the error of the generator resistance and the capacitor.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value, and secondly, it must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alarm release condition (DS3 class MX13 standard), but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impossible when applying KKT MX13 standard and Bell standard because the conventional circuit is configured as the alarm condi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신호의 손실을 검출함으로서 벨규격 및 KT MX13규격에 적합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다. 즉, 입력신호의 손실을 검출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경보복귀 조건을 만족하는 노데이터 검출회로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function suitable for the bell standard and KT MX13 standard by detecting the loss of the input signal using a digital circuit.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 data detection circuit that detects a loss of an input signal and generates an alarm signal and satisfies an alarm return condi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데이터 검출회로도로서, 이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2 is a no data detection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s follows.

소정의 주기를 갖는 제1인터발클럭(Interval clock) IT1V(1)의 입력 주기내에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열(Data stream) 중의 제1로직, 예를들면, 로직 "0"를 검출하여 검출된 제1로직이 상기 제1인터발주기동안 지속시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검출부(24)와, 상기 데이터 검출부(24)로부터 출력되는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상기 제1인터발클럭 IT1V(1)보다 지연된 제2인터발클럭 IT1V(0)에 의해 지연하고, 상기 지연된 노데이터 검출신호와 상기 데이터 검출부(24)의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논리조합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발생부(36)와, 상기 경보신호 발생부(36)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를 게이팅하여 출력하고, 복귀를 표시하는 정상상태의 알람표시신호(Alarm Indicate signal)(AIS)와 정상상태의 아웃오프 프레임 신호(out-of-frame)(MS)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경보출력 및 조건해제부(44)로 구성된다.The first logic in the data stream input from the outside within the input period of the first Interval clock IT1V (1)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is detected by detecting a logic "0". The data detection unit 24 outputs a no data detection signal when a first logic is maintained for the first interval period, and the no dat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data detection unit 24 is compared with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An alarm signal generator 36 for delaying by the delayed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by logically combining the delayed no data detection signal and the no data detection signal of the data detection unit 24; The alarm signal output from the alarm signal generator 36 is gated and output, and a normal alarm indication signal (AIS) indicating a return and an out-of-frame signal of a normal state are output.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frame (MS) It consists of an alarm output, and condition release portion (44) to block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상기와 같은 제2도의 구성중, 미설명된 참조번호 52는 게이트회로로서 이는 프레임 리세트신호(RSTF)와 아웃 오프 프레임 신호(MS) 및 알람표시신호(AIS)를 논리 조합하여 상기 리세트신호(RSTF)가 "하이", 아웃 오프 프레임신호(MS)가 "로우", 알람표시신호(AIS)가 "하이"일때 경보를 해제하기 위한 경보리세트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of FIG. 2, reference numeral 52,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is a gate circuit, which is a logic combination of a frame reset signal RSTF, an out-off frame signal MS, and an alarm display signal AIS to reset the reset signal. This circuit generates an alarm reset signal for releasing an alarm when the RSTF is "high", the out-off frame signal MS is "low", and the alarm display signal AIS is "high".

상기 제1도의 구성중 데이터 검출부(24)는 제1인터발클럭 IT1V(1)의 입력에 의해 리세트되며, 수신클럭(RCLK)의 입력에 의해 단자(D)로 입력되는 데이터(DATA)를 래치 출력하는 먹스드래치(Multiplexed Latch)(10)와, 상기 먹스드래치(10)의 출력을 단자(T1)로 입력하고 자신의 출력단자(Q1)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출력상태 신호를 단자(D1)로 입력하며 상기 현재의 출력 상태의 반전신호에 의해 상기 두 단자(D1)(T1)로 입력되는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클럭(RCLK)의 반전논리에 의해 상기 선택된 신호를 래치하는 먹스드래치(12)와, 상기 먹스드래치(12)의 출력단자(Q1)에 단자(D2)가 접속되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인터발 클럭 IT1V(0)에 의해 래치하여 노데이터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래치(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먹스드래치(10)(12)들 각각은 두개의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와 D형 플립플롭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3도의 설명에 의해 자명하여 질 것이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the data detector 24 is reset by the input of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and latches the data DATA input to the terminal D by the input of the reception clock RCLK. A multiplexed latch 10 to be output and an output of the mux latch 10 are input to the terminal T1, and a current output state signal output from its output terminal Q1 is output to the terminal D1. Mux draw which selects one of the signals input to the two terminals D1 and T1 by the inversion signal of the current output state and latches the selected signal by the inversion logic of the clock RCLK. (12) and the terminal D2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1 of the mux draw 12, and the input signal is latched by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and output as a no data detection signal. It consists of a latch 18. Here, each of the mux draw (10, 12) is composed of a multiplexer and a D-type flip-flop for selecting one of the signals input to the two input terminals by the input of the selection signal,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elucidated by the explanation of FIG.

그리고 경보신호 발생부(36)는 상기 래치(18)로부터 출력되는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상기 제2인터발클럭 IT1V(0)에 의해 쉬프트하여 지연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출력과 상기 래치(18)로부터 출력되는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부논리곱하여 두신호가 노데이터 검출 로직 일때 이를 반전 게이팅 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32) 및 상기 낸드게이트(32)의 출력을 상기 제2인터발클럭 IT1V(0)에 의해 래치하는 래치(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쉬프트레지스터는 3개의 D형 래치(26, 28, 30)가 직렬접속 구성되며, 상기 리세트신호(RSTF)와 전술한 먹스드래치(12)의 출력단자(Q2)의 신호를 부논리합하여 상기 D형 래치(26, 28, 30)를 리세트하는 노아게이트(34)를 포함한다.The alarm signal generator 36 shifts and delays the no dat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latch 18 by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the output of the shift register and the latch ( 18) outputs the NAND gate 32 and the output of the NAND gate 32 by negatively multiplying the no-data detection signal outputted from 18) and inverting the gate signal when the two signals are the no-data detection logic to output an alarm signal. It consists of a latch 33 latched by IT1V (0). In this shift register, three D-type latches 26, 28, and 3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eset signal RSTF and the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Q2 of the above-described mux draw 12 are negatively summed. To reset the D-type latches 26, 28, and 30.

제2도에 도시된 경보신호 및 조건 해제부(44)는 상기 래치(33)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를 지연하여 경보조건신호를 발생하는 두개의 래치 (38, 40)와, 상기 래치(38, 40)으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조건신호와 상기 래치(33)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를 논리곱하여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게이트(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두개의 래치(38, 40)는 하기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래치(38)의 클럭단자(CP5)는 래치(33)의 출력단자(Q4)에 접속되며, 래치(40)의 클럭단자(CP6)는 상기 래치(38)의 출력단자(Q5)에 접속 구성된다.The alarm signal and condition release unit 44 shown in FIG. 2 includes two latches 38 and 40 for delaying the alarm signal output from the latch 33 and generating an alarm condition signal. And a gate 42 which multiplies the alarm condition signal outputted from 40 and the alarm signal outputted from the latch 33 and outputs the alarm signal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two latches 38 and 40 are connected as follows. The clock terminal CP5 of the latch 38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4 of the latch 33, and the clock terminal CP6 of the latch 4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5 of the latch 38. It is composed.

그리고, 게이트 회로(52)는 아웃 오프 프레임 신호(MS) 및 리세트신호(RSTF)를 각각 반전하는 반전하는 인버터(46) (48)와, 상기 인버터(46, 48)의 출력과 알람표시신호(AIS)를 논리곱하여 상기 래치(38, 40)을 세트하여 경보조건을 설정하는 앤드게이트(50)로 구성되어 있다.The gate circuit 52 inverts the inverters 46 and 48 which inverts the out-off frame signal MS and the reset signal RSTF, respectively, and the outputs of the inverters 46 and 48 and the alarm display signal. It consists of the AND gate 50 which logically multiplies (AIS) and sets the latches 38 and 40 to set an alarm condition.

제3도는 제2도중 먹스드래치(10)(12)와 2분주기로 결선된 분주기인 래치(38)(4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A)도가 먹스드래치(12)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2×1 멀티플렉서(Multiplexer)(MUX)와 래치(D F/F)으로 구성된다. 상기 멀티플렉서(MUX)는 단자(SE)로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일때 단자(D)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하이"일때에는 단자(T)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FIG.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atches 38 and 40, which are dividers connected to the mux draws 10 and 12 in the second diagram. (A)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mux draw 12, and is composed of a 2x1 multiplexer (MUX) and a latch (D F / F). The multiplexer MUX selects and outputs a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D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SE is “low”, and selects and outputs a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T when the signal is “high”. do.

(B)도는 D형 플립플롭을 2분주기 형태로 결선한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래치(38)과 (40)은 클럭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2분주하여 출력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럭단자로 입력되는 클럭신호(CLK)가 "로우"로 변화되면 반전출력단자의 출력을 애치하여 출력함으로써 "로우"의 입력이 있을때 마다 출력이 변환된다.(B) shows an example of connecting the D flip-flop in the form of a divider.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latches 38 and 40 divide the signal input to the clock terminal into two divisions and output the divided signals. For example, when the clock signal CLK inputted to the clock terminal is changed to "low", the output is converted by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inverted output terminal so that there is an input of "low".

제4도와 제5도는 제2도의 동작 파형도로서, 제4도는 데이타 검출부(24)의 동작 파형도이고, 제5도는 경보신호 발생부(35)의 동작 파형도이다.4 and 5 are operational waveform diagrams of FIG. 2, FIG. 4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of the data detector 24, and FIG. 5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of the alarm signal generator 35. A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동작예를 제3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n operation example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4, and 5.

지금 제4도(C)와 같이 "하이"상태의 리세트신호(RETF)가 입력되면 제2도의 모든 회로들은 리세트되어 초기화 된다. 초기화되면, 경보신호 및 조건해제부(44)내의 래치(38, 40)들은 인버터(48)에 의해 반전되어 앤드게이트(50)으로부터 출력되는 "로우"의 신호에 의해 "하이" 상태의 신호를 앤드게이트(42)로 각각 공급한다.When the reset signal RETF in the "high" state is input as shown in FIG. 4C, all circuits of FIG. 2 are reset and initialized. When initialized, the latches 38 and 40 in the alarm signal and condition release section 44 are inverted by the inverter 48 and signaled "high" by the signal "low" output from the AND gate 50. It supplies to the AND gate 42, respectively.

이와 같은 리세트 상태에서 제4도(A)와 (B)와 같은 클럭(RCLK)과 데이터(DATA)가 입력되면, 먹스드래치(10)는 입력 데이터(DATA)를 상기 클럭(RCLK)로 래치하여 먹스드래치(12)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한 먹스드래치(10) 및 먹스드래치(12)의 리세트단자(R)에는 제4도와 같은 제1인터발클럭 IT1V(1)이 노아게이트(16)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제1인터발클럭 IT1V(1)은 입력클럭을 기준으로 34비트 주기로 입력된다. 따라서 먹스드래치(10)와 먹스드래치(12)는 상기 제1인터발클럭 IT1V(1)에 의해 제4도(A)와 같은 입력 데이터(DATA)를 34비트(bit) 단위로 체크하여 입력되는 데이터(DATA)의 34비트중에 하나라도 "하이"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먹스드래치(12)는 "하이"로 출력된다. 그러나 34비트의 입력데이터가 모두 "0"이면 먹스드래치(12)의 출력은 제4도(G)와 같이 "로우"로 된다. 따라서 상기 먹스드래치(10)(12)는 입력 데이터(DATA)의 유무를 34비트 단위로 체크하여 래치(18)로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In this reset state, when the clock RCLK and the data DATA as shown in FIGS. 4A and 4B are input, the mux draw 10 converts the input data DATA to the clock RCLK. The latch is input to the mux draw 12. At this time,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as shown in FIG. 4 is input to the reset terminal R of the mux draw 10 and the mux draw 12 through the NOA gate 16.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is input in a 34-bit period based on the input clock. Accordingly, the mux draw 10 and the mux draw 12 check the input data DATA as shown in FIG. 4 (A) by 34 bits by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If any of the 34 bits of the data DATA is " high " is input, the mux draw 12 is output as " high ". However, if all 34-bit input data is "0", the output of the mux draw 12 is "low"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mux draw 10 and 12 have a function of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ata DATA in a 34-bit unit and sending the result to the latch 18.

이때 상기 래치(18)는 먹스드래치(16)으로 부터 제4도(G)와 같이 출력되는 신호를 제1인터발클럭 IT1V(1)에 의해 래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데이터 검출부(24)는 입력 데이터(DATA)를 34비트 주기로 체크하여 제1로직, 예를들면 "0"가 연속 입력되면 제4도(H)와 같이 "하이"로 되는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경보신호 발생부(36)의 낸드게이트(32)와 래치(26)의 입력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미설명 번호 20은 디지탈 논리의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이다.At this time, the latch 18 latches and outpu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mux draw 16 as shown in FIG. 4 (G) by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Accordingly, the data detector 24 checks the input data DATA in a 34-bit period, and when the first logic, for example, "0" is continuously input, outputs a no data detection signal that becomes "high" as shown in FIG. It is provided as an input of the NAND gate 32 and the latch 26 of the alarm signal generator 36. Here,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buffer that buffers a signal of digital logic.

한편, 경보신호 발생부(36)내 래치들(36~30)들은 제4도(H) 또는 제5도(d)와 같은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제5도(b)의 제2인터발클럭 IT1V(0)의 입력에 의해 제5도(e,f,g)와 같이 3단 쉬프트 지연하여 낸드게이트(32)에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중 먹스드래치(10)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논리 "1"의 값을 가지게 되면, 먹스드래치(12)의 출력이 "하이"로 되고, 이는 노아게이트(34)에 반전됨으로써 로직 "1"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한 쉬프트레지스터들은 리세트 된다. 즉, 데이터 검출부(24)로 부터 노데이터가 연속적으로 34비트× 4=136비트가 연속적으로 지속 되는지를 체크하여, 중도에 1비트라도 "1"이 검출될 경우에는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먹스드래치(12)와 노아게이트(34)에 의해 자동해제 된다. 따라서 초기에 34비트를 체크하는 데이터 검출부(24)는 34비트를 연속적으로 4번 체크함에 따라 총 비트수는 34+136비트=170비트를 기준으로 체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atches 36 to 30 in the alarm signal generator 36 transmit a no-data detection signal as shown in FIG. 4 (H) or FIG. 5 (d) to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of FIG. 5 (b). By input of (0), it inputs to the NAND gate 32 by 3-step delay delay like FIG. 5 (e, f, g). When the data input to the mux draw 10 dur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value of logic "1", the output of the mux draw 12 is "high", which is inverted by the noah gate 34 When the data of logic "1" is input, the shift registers are reset. That is, it is checked from the data detector 24 whether the 34-bit × 4 = 136-bit consecutively continues the no data, and when the shift register detects “1” even in the case of 1 bit, the shift register muxdraws. It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12 and the noah gate 34. Therefore, the data detection unit 24 that checks 34 bits initially checks 34 bits four times in succession so that the total number of bits is checked based on 34 + 136 bits = 170 bits.

한편, 낸드게이트(32)는 상기 데이터 검출부(24)의 래치(18)에서 제5도(d))와 같이 출력되는 노데이터 검출신호와 쉬프트레지스터로 부터 지연 출력되는 제5도(g)의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부논리곱하여 두신호가 "하이"일때 제5도(h)와 같은 경보신호를 래치(33)에 입력 시킨다. 상기 래치(33)는 제5도(h)와 같은 경보신호를 제5도(b)와 같은 제2인터발클럭 IT1V(0)에 의해 제5도(i)와 같이 래치 출력한다. 따라서, 입력데이터 열이 클럭의 175주기동안 계속 "로우"로 유지되면 제5도(k)와 같은 "로우"의 경보신호가 앤드 게이트(42)를 통해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NAND gate 32 has a fifth data (g) delayed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and the no data detection signal output as shown in FIG. 5 (d) in the latch 18 of the data detector 24. The non-data detection signal is negatively multiplied so that when the two signals are " high " The latch 33 latches the alarm signal as shown in FIG. 5 (h) by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as shown in FIG. 5 (b) as shown in FIG. 5 (i). Therefore, if the input data string is kept " low " for 175 cycles of the clock, an alarm signal of " low " such as FIG. 5 (k) is output through the AND gate 42. FIG.

상기한 바와같이 래치(33)가 "로우" 상태의 경보신호를 발생하면 제3도(b)와 같이 구성된 래치(38)(40)의 출력은 "하이"에서 "로우"로 천이되어 경보 해제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보상태에서 입력데이터의 손실이 복귀되면 래치(33)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로 복귀된다. 그러나 앤드 게이트(42)는 계속해서 "로우"의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이는 경보해제 조건 즉, 래치(38)(40)의 출력이 "하이"로 세트될 때까지 유지된다. 즉, 입력되는 신호가 175±75개의 펄스가 입력되는 주기내에 "1"인 신호가 검출되었다 해도 복귀해제 조건인 F.FRAME이 존재하고 유효한 패리트 비트, C-비트가 동일값(AIS가 "1"이 아닌)이 아니기 때문에 노데이터 경보가 해제 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atch 33 generates an alarm signal in the "low" state, the output of the latches 38 and 40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b) transitions from "high" to "low" to cancel the alarm. Will be prevented. When the loss of the input data is returned in the above alarm state, the output of the latch 33 returns from "low" to "high". However, the AND gate 42 continues to output an alarm signal of "low", which is maintained until the alarm release condition, that is, the output of the latches 38 and 40 is set to "high". That is, even if a signal of "1" is detected within a period of inputting 175 ± 75 pulses, the signal to be input is F.FRAME, which is a release cancel condition, and the valid parit bits and C-bits have the same value. No data alarm cannot be cleared because it is not 1 ").

상기와 같은 노데이터 경보상태에서 이때 위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웃 오프 프레임(MS)의 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변경되면 인버터(46)의 출력과 앤드게이트(50)의 출력이 "로우"로 되어 래치(38, 40)들이 세트된다. 상기 래치(38, 40)들이 세트되면 출력단자(Q5, Q6)로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로 변환되어 노데이터의 경보가 해제된다.In the no data alarm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bove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signal of the neighboring off frame MS is changed from "low" to "high", the output of the inverter 46 and the output of the AND gate 50 are " Low ", and the latches 38 and 40 are set. When the latches 38 and 40 are set, the signal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s Q5 and Q6 is converted to " high " so that the alarm of the no data is released.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디지탈의 회로를 이용하여 노데이터 경보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벨 규격 및 KT의 MX13규격에 만족하는 정확한 노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어 경보처리의 정확도 및 장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no-data alarm circuit using a digital circuit, it is possible to detect accurate no-data satisfying the bell standard and the MX13 standard of KT,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alarm processing and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

Claims (5)

디지탈 데이터 중계장치의 노데이터 검출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를 갖는 제1인터발클럭 IT1V(1)의 입력 주기내에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열중의 제1로직을 검출하여 검출된 제1로직이 상기 제1인터발 주기동안 지속시 상기 제1인터발클럭 IT1V(1) 보다 지연된 제2인터발클럭 IT1V(0)의 입력에 의해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검출부(24)와, 상기 데이터 검출부(24)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되는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상기 제2인터발클럭 IT1V(0)의 입력에 의해 지연하고, 상기 지연된 노데이터 검출신호와 상기 데이터 검출부(24)의 노데이터 검출 신호를 논리조합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발생부(36)와, 상기 경보신호 발생부(36)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발생된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데이터의 복귀를 표시하는 아웃 오프 프레임신호(MS)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경보출력 및 조건해제부(4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데이터의 노데이터 검출회로.In a no data detection circuit of a digital data relay, the first logic detected by detecting a first logic in a data string input from the outside within the input period of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is the above-mentioned. A data detector 24 for outputting a no-data detection signal by an input of a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delayed from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during a first interval period; and the data detector 24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elayed output no data detection signal by the input of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and the delayed no data detection signal and the no data detection signal of the data detection unit 24 are delayed. An alarm signal generator 36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 logical combination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alarm signal generator 36 for outputting the generated alarm signal, and indicating the return of data. Smiling off frame signal (MS) in response to the input digital data, no-data dete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alarm output and condition release portion (44) to block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부(24)는, 상기 제1인터발클럭 IT1V(1)의 입력에 의해 리세트되며 수신클럭(RCLK)의 입력에 의해 단자(D)로 입력되는 데이터(DATA)를 래치 출력하는 먹스드래치(10)와, 상기 먹스드래치(10)의 출력을 단자(T1)로 입력하고 자신의 출력단자(Q1)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출력상태 신호를 단자(D1)로 입력하며 상기 현재의 출력 상태의 반전신호에 의해 상기 두 단자(D1)(T1)로 입력되는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클럭(RCLK)의 반전논리에 의해 상기 선택된 신호를 래치하는 먹스드래치(12)와, 상기 먹스드래치(12)의 출력단자(Q1)에 단자(D2)가 접속되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인터발 클럭 IT1V(0)에 의해 래치하여 노데이터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래치(1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터 중계장치의 노데이터 검출회로.2. The data DATA of claim 1, wherein the data detector 24 is reset by the input of the first interlock clock IT1V (1) and is input to the terminal D by the input of the reception clock RCLK. Mux latch 10 for latch output and the output of the mux draw 10 to terminal T1, and the current output state signal output from its output terminal Q1 to terminal D1. A mux draw 12 for selecting one of the signals input to the two terminals D1 and T1 by the inversion signal of the current output state and latching the selected signal by the inversion logic of the clock RCLK. ) And a latch for connecting the terminal D2 to the output terminal Q1 of the mux draw 12 and latching the input signal by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and outputting it as a no data detection signal ( 18) a no data detection circuit of a digital data re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 발생부(36)는, 상기 래치(18)로부터 출력되는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상기 제2인터발클럭 IT1V(0)에 의해 쉬프트하여 지연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출력과 상기 래치(18)로부터 출력되는 노데이터 검출신호를 부논리곱하여 두신호가 노데이터 검출 로직 일때 이를 반전 게이팅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32)와, 상기 낸드게이트(32)의 출력을 상기 제2인터발클럭 IT1V(0)에 의해 래치하여 경보신호로서 출력하는 래치(3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데이터 중계장치의 노데이터 검출회로.The shift regist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larm signal generator (36) comprises: a shift register for shifting and delaying the no dat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latch (18) by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A NAND gate 32 which negatively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register and the no dat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latch 18 and inverts the gate signal when the two signals are the no data detection logic to output an alarm signal, and the NAND gate 32. And a latch (33) for latching the output of the output by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and outputting the alarm signal as an alarm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쉬프트레지스터는, 3개의 플립플롭이 직렬 접속 구성되며, 상기 제2인터발클럭 IT1V(0)에 의해 입력을 지연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터 중계장치의 노데이터 검출회로.4. The no-data detection circu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hift register has three flip-flops connected in series and delays the input by the second interlock clock IT1V (0).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인터발클럭 IT1V(1), IT1V(0)들 각각은, 입력 데이터 34비트 주기를 가지는 클럭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의 노데이터 검출회로.4. The digital data transmission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 clocks IT1V (1) and IT1V (0) is a clock having a 34-bit period of input data. No data detection circuit of the device.
KR1019910021134A 1991-11-25 1991-11-25 No data detecting circuit of digital data repeating circuit KR9500051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134A KR950005140B1 (en) 1991-11-25 1991-11-25 No data detecting circuit of digital data repeat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134A KR950005140B1 (en) 1991-11-25 1991-11-25 No data detecting circuit of digital data repeating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487A KR930011487A (en) 1993-06-24
KR950005140B1 true KR950005140B1 (en) 1995-05-18

Family

ID=1932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134A KR950005140B1 (en) 1991-11-25 1991-11-25 No data detecting circuit of digital data repeating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14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487A (en)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6555B2 (en) Prevention of metastability in bistable circuits
US5233617A (en) Asynchronous latch circuit and register
US5220581A (en) Digital data link performance monitor
KR9100132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comparison difference between two asynchronous pointers and a measurement difference between program values
US3626307A (en) Counting system for measuring a difference between frequencies of two signals
US4392226A (en) Multiple source clock encoded communications error detection circuit
US5479420A (en) Clock fault monitoring circuit
EP0081750A1 (en) Self-clocking serial decoder
US4347617A (en) Asynchronous transmission system for binary-coded information
US5157673A (en) Comparison circuit for masking transient differences
US3418631A (en) Error detection in paired selected ternary code trains
US3156893A (en) Self-referenced digital pm receiving system
US4328583A (en) Data bus fault detector
US4247936A (en)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with automatic frame synchronization and detector circuitry
EP0084644B1 (en) Apparatus for testing dynamical noise immunity of digital integrated circuits
US4385383A (en) Error rate detector
EP0276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ransient errors
KR950005140B1 (en) No data detecting circuit of digital data repeating circuit
US4538286A (en) Data rate conversion and supervisory bit insertion in a data system
US4975594A (en) Frequency detector circuit
US3893617A (en) Failure detecting system for devices employing digital parallel-to-series converters
US5867041A (en) Clock signal testing apparatus for use in a synchronous transmission system
US4313103A (en) Digital demodulator
US4598412A (en) Binary digital data signal reproducing circuit in digital data transmission system
US6195784B1 (en) Circuit for detecting reception errors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