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57Y1 - 자외선 차광모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광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57Y1
KR950004957Y1 KR2019930010017U KR930010017U KR950004957Y1 KR 950004957 Y1 KR950004957 Y1 KR 950004957Y1 KR 2019930010017 U KR2019930010017 U KR 2019930010017U KR 930010017 U KR930010017 U KR 930010017U KR 950004957 Y1 KR950004957 Y1 KR 950004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ultraviolet light
filter
cover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172U (ko
Inventor
윤인서
Original Assignee
윤인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서 filed Critical 윤인서
Priority to KR2019930010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957Y1/ko
Publication of KR950000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1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외선 차광모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전면부에 대한 분해도.
제3도는 코마개의 사용 상태도.
제4도는 코마개에 끼워지는 필터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자테 2 : 덮개
3 : 측커버 5 : 코마개
11 : 돌출부 14 : 측부재
15 : 돌출측 16 : 선회편
17 : 선회창 18 : 전면부
19 : 끼움부 20 : 개부
22 : 통풍구 51 : 집게
52 : 필터 54 : 끼움부
55 : 안내편 56 : 고정부재
100 : 걸림편
본 고안은 자외선 차광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수욕장, 모래밭 등에서 사용시 얼굴 부위를 포함한 머리부위의 피부 노출부위를 전면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외선 차광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의 오존층의 파괴로 인해 피부의 과대한 자외선 노출시 각종 질병이 야기되어 오고 있다. 그 예로써 피부의 잔주름, 기미, 주근깨, 검은 머리의 변색, 녹내장, 백내장들을 들 수 있는 바 가급적 야외에서 장기간 활동시에는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피부보호 특히 노출이 심한 안면부위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는 차광모를 들 수 있는데, 그 차광모의 대표적인 예로는 본 출원의 동일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인 "차광모자"(1988년 10월 12일 출원)가 91-1378호로 공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차광모는 얼굴안면의 아래쪽에 대하여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지 못하며, 또한 호흡시 안면 앞쪽에 입김에 의한 시야가 가릴 염려가 있고 안면부위의 공기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 착용감이 좋지 못하는 등의 착용상 많은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더욱 개량된 차광모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광모에 대한 개략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모자테(1) 주위에 개략 4개 이상의 돌출부(11)를 형성시키고, 돌출부(11)의 상단에는 체결구(12)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이 체결구(12)와 결합되는 것은, 머리 상부를 덮는 덮게(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시킨 결합구(21)이다. 그리하여 체결구(12) 상부에서 결합구(21)를 맞추어 결합구(21)를 누르면 덮게(2)가 모자테(1)에 장착된다.
또한, 모자테(1) 상측엔 체결구(1A)를 대칭으로 형성시키고 지지체(31)를 결합토록 한다. 지지체(31)는 두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한쪽 지지체의 선단부에 다른 지지체의 선단부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이 지지체(31)는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천부재로 이루어지는 덮게(2)가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여 머리가 시원한 느낌을 주게 한다.
모자테(1) 앞쪽에는 모자창(13)이 형성되어 있는 바, 본 고안에서는 이 모자창(13)의 측부로 전개되는 측부재(14)를 형성시킨다.
측부재(14)의 앞쪽 즉, 모자창(13)쪽 방향으로는 돌출부(15)을 좌우양측에 형성시키고, 돌출부(15)의 중간엔 경사홈(15B)을 형성시키고, 그 상단에 회전부(15A)를 형성시켜 경사돌기(16A)를 갖는 선회편(16)과 동일축으로 결합시킨다. 또 모자창(13)면에는 다수의 돌기(13A)를 형성시킨다. 그리하여 선회창(17)이 그 위를 덮을 때에도 일정간격 틈을 유지하게 되므로 무더위감이 해소되도록 하였다. 좌우의 두 선회편(16,16) 사이에는 개략 편평한 선회창(17)을 연결하여 선회창(17)을 포함한 전면부(18)가 회전부(15A)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구성시킨다. 이때, 회전부(15A)의 좌우측으로는 나사홈을 갖는 걸림턱(100)을 긴밀하게 체결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면 접촉하는 통공 외주면에도 방사형 나사홈(도시생략)을 형성시켜 선회창(17)을 포함한 전면부(18)를 회전시켰을 때 일정의 높이로 선회시킨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하였다. 선회창(17)의 선단에는 전면부(18)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선회창(17)과 전면부(18)는 얇은 투명 또는 반투명부재로 이루어지며 굽힘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시킨다.
전면부(18)의 좌우단에는 레일홈 형태로 가공된 끼움부(19)를 취부한다. 그 이외의 전면부(18)에 대한 상세도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중심 하단부위에 개구(20)를 형성시켰다. 개구(20)의 내벽 두께에는 톱니부(20A)를 형성시킨다.
전면부(18)의 하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접착부(18A)를 형성시켜, 이 접착부(18A)에 천으로 이루어진 전면커버(도시생략)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목을 비롯한 앞 가슴 일부까지 자외선 차단이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전면부(18)의 좌우측에도 접촉부(18A)를 형성시켜 측커버(3)를 양측에서 붙일 수 있게 하였다. 또, 전면부(18)의 끼움부(19)에는 걸림턱(4A)을 갖는 필터(4)를 하나 이상 끼울 수 있게 구성시킨다. 이 필터(4)를 사용하는 이유는 야외의 햇빛이 지나치게 강렬한 경우에 필요에 따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1도에서 머리 상부를 뒤집어 씌우는 덮개(2)의 상부면에는 고깔형식의 통풍구(22)를 설치한다. 통풍구(22)는 상판(22A)을 지지부(22B)가 지지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덮개(2)의 좌,우 및 후단에도 역시 접착부를 동일하게 형성시킴과 동시에 측커버(3)를 별도로 만들어 접착부(3A)로써 착탈가능케 하였다. 측커버(3)의 자외선 차단 천부재는 머리 뒷부분에서 절개된 형태 또는 2부분으로 나누어져 겹쳐지게 하며 머리뒷부분의 통풍이 양호하도록 하였다. 또 측커버(3)를 필요에 따라 덮개의 상측에 형성시킨 접착부(22C)에 붙여 올릴 수 있게 하였다. 덮개의 상단, 중간 및 측커버(3) 각각에 다수의 통공(23)을 형성시킨다. 통공(23)에는 통공(23)을 통해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공창(23A)을 각각 형성시킨다. 측커버(3)의 통공(23)은 청각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하는 경우엔 귀부분에 다소 큰 형상으로 하나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3도는 제1도 구조외에 코와 전면부(18) 사이에 설치되는 코마개(5)에 대한 구조이다. 코 주위를 감아싸는 코마개의 재질은 피부와의 접착력이 강한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시킨다. 코마개(5)의 선단부에는 필터(52)가 내장되어 개스, 먼지, 세균 등이 길러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필터(52)는 교체가능토록 되어 있다.
필터(52)의 전방으로는 주름부(53)를 형성시켜 신축가능토록 하였으며, 주름부(53)의 선단에는 끼움부(54)를 형성시켰다. 끼움부(54)는 원형 외주에 톱니형상을 이루고 있어 전면부(18)의 개구(20)의 톱니부(20A)와 상호 끼워지게 구성된다.
제4도는 코마개(5)에 대한 상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필터(52)의 체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필터 삽입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구(55)의 내부로는 오목홈부를 형성하고 있어 이 홈으로 필터(52) 두께만큼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 한편 주름부(53)의 선단에는 링(56)을 외주에 끼워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56)에 의해 주름부(53)가 전면부(18)의 개구(20)에 걸리도록 한다. 필터(52)의 후방, 즉 콧구멍 방향쪽에는 미세한 그물형의 천재질로 이루어지고 필터(52)는 거친 그물형 필터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필터체는 필요에 따라 교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사용관계를 이하 상술한다.
먼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차광모를 착용할 때 덮개(2)를 모자테(1)의 돌출부(11)의 체결구(12)에 결합시켜 착용한다.
그러면 머리부위를 덮는 덮개(2)는 종래와 달리 돌출부(11) 및 지지체(31)에 의해 머리 상부와 어느 정도 간격을 지게 착용되므로 머리상부 부위가 답답하거나 하는 무더위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머리 꼭대기의 통풍구(22)와 덮개(2)에 형성시킨 통공(23)에 의해 두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18)와 함께 선회창(17)이 위로 제껴질때 회전부(15A)가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어 있어 선회창(17)이 모자창(13)에 걸려 선회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측커버(3) 또는 머리뒷쪽의 커버는 각각 덮개(2)의 접착부(22C)에 붙임이 가능하므로 사용에 있어 더욱 편리함을 준다.
한편 야외의 광량 정도에 따라 필터(4)를 하나이상 사용하여 전면부(18)의 끼움부(19)에 끼워 넣으므로써, 야외의 광의 세기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면부(18) 및 측커버(3)의 하단에는 접착부를 형성시켜 필요에 따라서 이 접착부에 천부재를 연속적으로 접착시키면 신체의 안면부의 아래의 목, 어깨 등의 부위까지 자외선 차단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도에서와 같이 휴대용으로 필요에 따라 착용 가능한 코마개(5)를 사용하여 코의 잔등부위에 고정시켜 놓으면 특히 코에서 발생되는 김이 전면부(18)에 영향을 미쳐 전면부에 김이 서려 시야가 흐려지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 코마개(5)의 주름부(53)는 수축 신장 가능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누구든 상관없이 널리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코마개(5)의 내부엔 필터(52)가 착탈 및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어 외부환경에 따른 먼지, 이물질, 세균 등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본 고안의 거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착탈가능한 구조이어서 필요에 따라 필요 구성요소들만 부착 및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의 범위도 매우 넓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자외선 차광모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장되는 필터(52)와, 신축 가능한 주름부(53), 그리고 전면부(18)에 끼워지는 끼움부(54)를 갖는 코마개(5)와, 모자테(1)에서 상부로 돌출시킨 돌출부(11)와, 상기 모자테(1)의 돌출부(11)에 결합되며 통풍구(22)를 갖춘 덮개(2)와, 모자창(13) 측부에 돌출 형성시켜 전면부(18) 및 선회창(17)이 선회가능토록한 돌출부(15)를 형성시킨 측부재(14)와, 돌출측(15)과 선회편(16)의 결합으로 회전부(15A)를 구성하며, 절곡형성되는 전면부(18)와 함께 상부하는 선회하는 선회창(1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광모.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덮개(2)에는 좌,우 및 후방으로 착탈 가능한 측커버(3)를 형성함과 동시에 통공(23)을 형성시키고, 덮개(2)의 상측에는 접착부(22C)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광모.
  3. 제1항에 있어서, 전면부(18)의 좌우측에는 끼움부(19)를 형성하여 필터(4)를 끼울 수 있게 하고, 전면부의 하단부에는 개구(20)를 형성시켜 코마개(5)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광모.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코마개(5)에는 링(56)을 설치하여, 전면부(18) 밖으로 코마개(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필터(4)에는 걸림턱(4A)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광모.
  5. (정정)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15)에는 경사홈(15B)을 형성시키고, 선회편(16)에는 경사돌기(16A)를 형성시켜, 경사돌기(16A)가 경사홈(15B)에 경사지게 끼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선회편(16)의 선회시 선회편(16)이 일정 선회각도에서 유지되도록 걸림편(10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광모.
KR2019930010017U 1993-06-09 1993-06-09 자외선 차광모 KR950004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017U KR950004957Y1 (ko) 1993-06-09 1993-06-09 자외선 차광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017U KR950004957Y1 (ko) 1993-06-09 1993-06-09 자외선 차광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172U KR950000172U (ko) 1995-01-03
KR950004957Y1 true KR950004957Y1 (ko) 1995-06-20

Family

ID=1935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017U KR950004957Y1 (ko) 1993-06-09 1993-06-09 자외선 차광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9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172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7868A (en) Facial shield, particularly for protection from the sun
US5379463A (en) Facial shield, particularly for protection from the sun
US6381750B1 (en) Headgear mountable shield and method of use
US5924129A (en) Sunguard for use with headgear
US7278733B2 (en) Sunglasses with removable sealing member
US6154881A (en) Face protector
KR102392117B1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WO2003036366A1 (en) Eyewear with filtered ventilation
WO1994002089A9 (en) Facial shield, particularly for protection from the sun
US7020901B2 (en) Eye and ear protection apparatus
US5956760A (en) Facial sunshield with hinged visor/cap
US20070113322A1 (en) Face shield
US20050132461A1 (en) Hat with shade panel
AU699974B2 (en) Antiphotoaging face mask
KR950004957Y1 (ko) 자외선 차광모
US20030172444A1 (en) Eye protection
KR200484799Y1 (ko) 안면 그늘막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200234825Y1 (ko) 방진 및 방풍 마스크
KR101482881B1 (ko) 회전가능한 차양막을 갖는 머리띠형 썬캡
KR20010079484A (ko) 선글래스가 설치된 모자
KR20050060944A (ko) 마스크
KR200239194Y1 (ko) 다기능 모자
KR101885965B1 (ko) 유해광 차단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