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96B1 - 칼라 음극 선관용 구체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 선관용 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96B1
KR950004396B1 KR1019870014691A KR870014691A KR950004396B1 KR 950004396 B1 KR950004396 B1 KR 950004396B1 KR 1019870014691 A KR1019870014691 A KR 1019870014691A KR 870014691 A KR870014691 A KR 870014691A KR 950004396 B1 KR950004396 B1 KR 95000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pening
electron gun
openings
c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995A (ko
Inventor
권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101987001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396B1/ko
Publication of KR89001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음극 선관용 구체
제1도a는 칼라 음극 선관에 대한 개략도, b는 칼라 음극 선관에 설치하는 종래의 전자총에 대한 단면도.
제2도a는 종래의 주렌즈 전극 부위 평면도, b는 제 2도a의 설치 상태 측단면도.
제3도a는 b는 종래의 전극에 형성되는 등전위선.
제4도는 본 발명에 대한 전극 구체의 사시도.
제5도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렌즈 전극부의 평면도, b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 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주렌즈 전극에 형성되는 등전위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G3전극부 14` : G4전극부
17'R,17`G,17`B,18'R,18'G,18'B : 개공 19',20 : 돌연부
E : 오목면
본 발명은 인라인형 칼라 음극 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광체 스크린 면상의 전역에 걸쳐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인라인형 칼라 음극 선관의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 선관은 제1도와 같이 판넬(1), 네크부(2) 및 이를 연결하는 판넬부(3)를 갖은 외위기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넬(1)의 내면에는 3색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고 이 형체면(4)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다공색 선택 전극인 샤도우 마스크(5)가 통상의 방법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세1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네크부(2)의 내부 중심에 종래의 인라인형 전자총(6)이 3본의 전자빔을 발생시켜 이것을 동일 평면상의 집중 경로를 따라 샤도우 마스크(5)를 통과하여 형광체 스크린(4)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네크부(2)의 둘레에는 편향 요크(7)가 부착되어 있어 이는 3본의 전자빔(8)을 자계에 의해 수평,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형광체 스크린(4)에 네모진 라스터를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그 개시점은 제1도의 P-P 선에서 시작된다.
3본의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총(6)은 제1도(b)와 제2도(a)(b)에서와 같이 각 전극을 부착하고 있는 글래스 지지체(9)를 갖고 있으나, 이 전극에는 동일 평면상 등 간격으로 배열된 3개의 음극(10)과 G1전극(11)과 G2전극(12) 및 G3전극(13), G4전극(14)이 있고, 이 순서대로 글래스 지지체(g)에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극 G1(11)에서 전극 G4(14)까지는 3본의 전자빔이 통과할 수 있도록 3개의 인라인 개공을 가지고 있고, G3전극(13)과 G4전극(14)의 사이에 전자총(6)의 주렌즈가 형성되어 있으며 G3전극(13)은 2개의 갭형 소자(13a)(13b)로 이루어져 있고, G4전극(14)로 캡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G3전극(13)과 G4전극(14)에는 3개공(17R)(17G)(17B)(18R)(18G)(18B)을 갖는 부분을 폐단부(21)(22)을 경기장의 트랙 형상으로 후퇴시켜 " ''형의 커다란 함몰 형상(15)(16)을 형성하면서 그 주변을 돌위하는 돌연부(19)(20)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이 돌연부(19)(20)는 전극(19)(20)이 설치될때 최근 점부로서 이는 돌연부가 없는 전자총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구면 수차를 감소시킨 구조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총 구체 문제점을 설명하면 돌연부가 없었던 이전의 전극 구조에서는 정전계의 최강등전위선을 대향하는 각 개공이 마주보는 데에서만 집중되나 제2도와 같은 종래의 전극 구조에서는 최근 접한 돌연부(19)(20)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펴져서 주집속 렌즈의 대부분은 전자빔 경로의 전체를 퍼지는 단일 대 렌즈가 되고 일부는 개공에 위치하는 약한 등전위선에 의해서 형성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두 전극(13)(14)의 돌연부(19)(20)의 형상이 3개공의 인라인 배열 방향과 수직 방향에서 비대칭하기 때문에 수평, 수직 방향의 집속 전압 성분은 렌즈의 크기가 전극 개공의 함몰로 증대된 주렌즈 전극(13)(14)의 내외에서 같지 않게 되어 바람직스럽지 못한 수차를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구면 위차를 갖는 전자총으로는 형광체 스크린(4)에 걸려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개공 주변을 함몰시켜 돌연부를 형성시킨 전자총에 각 개공 사이에 오목면을 형성시켜 비 점수차를 줄이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대한 전극 구체의 사시도인 것으로 G3전극(13′)과 G4전극(14′)내에 3개의 개공(17'R)(17′G)(17'B)(18'R)(18`G)(18'B)가 인라인 배열로 뚫려 있고 이 개공의 둘레가 G3 전극(13')과 G4 전극(14')의 상면을 포오밍과 같은 누름 작업으로 눌러 일정한 길이까지 움푹 내려않는 함몰 형상(15')(16^)을 형성하되 그 형태가 장방형을 유지하도록 성형하여 폐단부(21`)(22')를 형성하며 또한 G3전극(13′), G4전극(14')의 상면을 내려앉게 함에 있어서 상면과 장방형의 폐단부 측면 상단에 폐단부의 형상과 같은 경기장의 트랙 형태의 면을 갖는 돌연부(19′)(20′)가 존재하도록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의 폐단부(21')(22')에 뚫린 개공(17'R)(17'G)(17`B)(18`R)(18'G)(18'B)들의 사이면을 가공하여 오목면(E)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함몰 형상(15')(16')에 폐단부(21′)(22')와 오목면(E)을 형성할때 돌연부(19′)(20')에서 경기용 트랙형 폐단부(21')(22')까지의 거리를 h라 할때 돌연부(19')(20′)에서 오목면(E)까지의 거리는 h<h'로 가공하여 이 관계를 유지함이 종래의 전극 구조에 비해 구면 수차를 감소시켜 고해상도를 실현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우선 종래의 전자총 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등전위선의 구성은 제2도(b)와 같은 G4전극(14)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G3전극(13)에는 저전압을 인가하면 제3도(a)(b)와 주정전 렌즈가 형성된다.
제3도(a)에서 G3전극(13)과 G4전극(14)이 대향하는 함몰 형성(15)(16)내에서는 대정전 렌즈가 형성되고 각 개공(17R)(17G)(17B)(18R)(18G)(18B)내에서도 독립된 형태로 형성되며 G3전극(13)과 G4전극(14)의 내부에서도 각각의 등전위선군(23)(24)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등전위선군(23)(24)는 각 개공을 거치지 않고 공통의 등전위선군을 이루는 것으로서 중앙의 개공(17G)(18G)에서의 정전 렌즈 전계의 곡률은 양 외측 개공(17R)(UB)(18R)(18B) 보다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중앙 개공(17G)(18G)에 형성되는 정전 렌즈는 양 외측 개공(17R)(18R)(17B)(18B)에 형성되는 정전 렌즈 보다 약하게 됨으로 제3도(a)와 같은 인라인 단면내에서의 전자빔은 양 외측 개공(17R)(18R)(17B)(l8B)에서 보다 중강 개공(17G)(18G)에서 더 커진다.
또한 제3도(b)에서와 같은 수직 단면내에서의 형성되는 등전위선군(25)(26)은 각각 독립적인 정전 렌즈를 구성하여 대략 동일한 정전 렌즈계의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제3도(a)의 수평등 전위선군(23)(24)의 곡룰은 제3도(b)의 수직 등전위선군(25)(26) 보다 적어서 전자빔은 수평 방향으로는 약하게, 수직 방향으로는 강하게 집속되는 현상으로 비정수차가 커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G3전극(13′)과 G4전극(14′)의 각 개공(17`R)(17'G)(17′B)(18^R)(18′G)(18′B)사이에 형성한 오목면(E)에 의해 등전위선군(23')(24`)은 각 개공 주위를 독립적으로 형성되면서 거의 같은 강도의 정전 렌즈가 된다.
따라서 중앙의 개공(17′G)(18'G)과 양 외측의 개공(17'R)(18'R)(17'B)(18'B)을 통과한 전자빔 경은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와 종래의 구조인 제3도(a)를 비교하여 보면 제5도의 등전위선군(23')(24′)의 곡률은 제3도(a)의 등전위선군(25)(26)과 거의 일치하게 되어 본 발명의 주렌즈 전극의 각 개공(17′R)(17`G)(17′B)(18′R)(18′G)(18`B)을 통과하는 전자빔에 대한 비점수차가 극히 줄어드는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4)에서 전자빔의 세로 크기와 가로 크기가 일치하는 수차가 없는 빔 스포트가 얻어져서 보다 고해상도의 칼라 음극 선관의 실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G3전극과 G4전극내에 형성되는 등전위선군의 곡률이 중앙 개공의 것과 양외측의 것 모두가 개공사이의 오목면에 의해 대략 동일한 정전 렌즈계의 강도를 갖게 됨으로서 비정수차가극히 줄어들어 전자빔의 가로, 세로 크기가 일치하는 수차가 없는 빔 스포트를 생성시킬 수 있는 전자총의 제작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음극 선관에서는 고해상도의 화질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3본의 전자빔을 주집속하기 위해 인라인으로 배열한 주렌즈용 G3, G4전극부(13')(14')의 각 개공(17'R)(17'G)(17'B)(18′R)(18'G)(18′B) 주번에 돌연부(19`)(20`)를 형성시켜 이들이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하는 칼라 음극 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G3전극부(13')의 각 개공(17'R)(17'G)(17'B)과 G4전극부의 각 개공(18'R)(1`G)(18`B)사이의 면에 오목면(E)을 형성시켜 비점수차를 줄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 선관용 전자총 구체.
KR1019870014691A 1987-12-22 1987-12-22 칼라 음극 선관용 구체 KR95000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691A KR950004396B1 (ko) 1987-12-22 1987-12-22 칼라 음극 선관용 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691A KR950004396B1 (ko) 1987-12-22 1987-12-22 칼라 음극 선관용 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995A KR890010995A (ko) 1989-08-11
KR950004396B1 true KR950004396B1 (ko) 1995-04-28

Family

ID=1926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691A KR950004396B1 (ko) 1987-12-22 1987-12-22 칼라 음극 선관용 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3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995A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7514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inline electron gun with an expanded focus lens
US4825120A (en) Electron gun apparatus with auxiliary electrodes for a color cathode-ray tube
CA1212144A (en) Cathode-ray tube having an asymmetric slot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KR94001098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3678320A (en) Cathode ray tube having triangular gun array and curvilinear spacing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grids
JPH04269428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KR100270387B1 (ko) 컬러음극선관
KR950004396B1 (ko) 칼라 음극 선관용 구체
KR94000815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80020321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735176B2 (ja) カラー受像管
JPS6258102B2 (ko)
KR100221926B1 (ko) 해상도가 개선된 컬러음극선관
KR93000479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4285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76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1098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713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4285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EP0655763A1 (en) Electron gun for a color picture tube
KR940008098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00006148B1 (ko) 칼라 수상관의 전자총 구체
KR016600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75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