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869Y1 -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869Y1
KR950003869Y1 KR92000476U KR920000476U KR950003869Y1 KR 950003869 Y1 KR950003869 Y1 KR 950003869Y1 KR 92000476 U KR92000476 U KR 92000476U KR 920000476 U KR920000476 U KR 920000476U KR 950003869 Y1 KR950003869 Y1 KR 950003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fixing
position adjusting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0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684U (ko
Inventor
최병진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92000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869Y1/ko
Publication of KR930017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힌지구조를 구비한 쇼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힌지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
제3도는 종래의 힌지구조가 장착된 도어와 도어지지부의 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에 따른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를 갖춘 쇼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
제6도는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의 동작도.
제8도는 본고안에 따른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가 장착된 도어와 도어지지부의 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 510 : 상단고정부
511 : 암나사부 520 : 상단힌지홀더
530 : 상부힌지이동대 531 : 관통구
532 : 미끄럼홈 540 :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
541 : 고정홈 550 : 고정링
600 :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 610 : 하단고정부
611 : 암나사부 620 : 하단힌지홀더
630 : 하부힌지이동대 631 : 관통구
632 : 미끄럼홈 640 :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
641 : 고정홈 650 : 고정링
본 고안은 쇼케이스의 도어개폐부의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식 여닫이도어의 도어힌지를 조정나사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조립 및 사용시에 발생하는 도어와 도어지지부간의 틈새를 완전밀봉하여 냉각운전시 냉각공기가 쇼케이스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하는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적용되는 기술분야인 쇼케이스는 소형 및 대형 슈퍼마켓에서 판매할 식품을 진열하고 전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저장고로, 저장고의 전면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도어를 여닫는 형식으로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설계된 저장고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쇼케이스 본체와 도어 및 도어를 여닫기위한 도어개폐부로 이루어진다. 제1도에 종래의 도어개폐부의 힌지구조를 구비한 쇼케이스(10)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는 도어프레임(21), 도어프레임(21)내에 삽입설치되는 투명유리(22), 도어프레임(21)의 일측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도어 힌지(23) 및 하부도어힌지(24), 도어프레임(21)의 타측부의 전면중앙에 부착되는 손잡이(25) 및 도어프레임(21)의 후면부에 부착되는 밀봉부재(26)로 구성된다. 쇼케이스 본체(30)의 전면에는 도어(20)가 설치되는 도어지지부(40)가 부착된다.
종래의 힌지구조가 제2도에 상세히 확대도시되어 있다. 도어지지부(40)의 일측부 상하단에는 도어의 상부도어힌지(23)와 하부도어힌지(24)가 선회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상부힌지 삽입구(41) 및 하부힌지 삽입구(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어(20)의 손잡이(25)를 전방으로 잡아 당겨서 도어(20)를 열면, 도어(20)는 상부도어힌지(23)와 하부도어힌지(24)를 회전축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쇼케이스(10)의 조립 또는 사용시 도어(20)의 개폐회수가 증가하면, 상부도어힌지(23)와 상부힌지 삽입구(41) 및 하부도어힌지(24)와 하부힌지 삽입구(42)간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격으로 인해 도어프레임(21)의 후면부에 부착된 밀봉부재(26)와 도어지지부(40)사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d)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힌지구조를 갖춘 쇼케이스(10)는 도어(20)의 개폐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또는 쇼케이스(10)의 조립시 조립방식에 따라 도어프레임(21) 후면부에 부착된 밀봉부재(26)와 도어지지부(40)간에 틈새(d)가 발생함으로써 쇼케이스(1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각성능이 저하되고 또한 도어지지부(40) 및 도어프레임(21)에 냉기가 전달되어 이들 부위에 이슬맺힘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의 후면부에 부착되는 밀봉부재와 도어지지부간에 틈새가 형성되지 못하게함으로써 쇼케이스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쇼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는 도어지지부와 도어지지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선회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도어힌지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는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와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로 구성되며,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는 도어지지부의 상부내측 일단에 부착되며 중앙에 암나부가 형성된 상단고정부와, 상단고정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각각 부착되는 상단힌지홀더와, 도어프레임의 일측부 상단에 형성된 상부도어힌지에 삽입설치되며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된 상부힌지이동대와, 상부힌지이동대에 형성된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단고정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와,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를 상부힌지이동대에 형성된 관통구내에 고정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고,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는 도어지지부의 하부내측 일단에 부착되며 중앙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하단고정부와, 하단고정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각각 부착되는 하단한지 홀더와, 도어프레임의 일측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도어힌지에 삽입설치되며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된 하부힌지이동대와, 하부힌지이동대에 형성된 관통구를 관통하여 하단고정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와,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를 하부힌지이동대에 형성된 관통구내에 고정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며, 상부힌지이동대 및 하부힌지이동대는 각각 상단힌지홀더 및 하단힌지홀더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힌지이동대의 상단중앙및 하부힌지이동대의 하단중앙에는 각각 상단고정부 및 하단고정부와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홈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힌지이동대와 상단 및 하단고정부는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에는 고정링이 끼워맞춤되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고정링은 각각 상부힌지이동대와 상단고정부사이 및 하부힌지이동대와 하단고정부사이에 설치되는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도면부호의 기재에 있어서, 본 고안을 구성하지 않는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도면부호의 끝에 0을 더하여 기재하였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가 부착된 쇼케이스(100)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는 상부 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와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600)로 구성된다.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는 쇼케이스 본체(30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지지부(400)의 상단부와 도어프레임(210)의 일측부 상단에 형성된 상부도어힌지(230)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600)는 쇼케이스 본체(300)의 전면에 설치돈 도어지지부(400)의 하단부와 도어프레임(210)의 일측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도어힌지(2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쇼케이스(100)의 그밖의 다른 구성부는 종래의 쇼케이스의 경우와 동일하며 본 고안을 구성하지 않는 바, 이들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의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와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600)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는 도어지지부(400)의 상부내측 일단에 부착되며 중앙에 암나사부(511)가 형성된 상단고정부(510)와, 상단고정부(5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각각 부착되는 상단힌지홀더(230)와, 도어프레임(210)의 일측부 상단에 형성된 상단힌지홀더(230)에 삽입설치되며 중앙에 관통구(531)가 형성된 상부힌지이동대(530)와, 상부힌지이동대(530)에 형성된 관통구(531)를 관통하여 상단고정부(510)에 형성된 암나사부(511)와 나사결합하는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와,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를 상부힌지이동대(530)에 형성된 관통구(531)내에 고정하는 고정링(550)으로 구성되고,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600)는 도어지지부(400)의 하부내측 일단에 부착되며 중앙에 암나사부(611)가 형성된 하단고정부(610)와, 하단고정부(6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각각 부착되는 하단힌지홀더(620)와, 도어프레임(210)의 일측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도어힌지(240)에 삽입설치되며 중앙에 관통구(631)가 형성된 하부힌지이동대(630)와, 하부힌지이동대(630)에 형성된 관통구(631)를 관통하여 하단고정부(610)에 형성된 암나사부(611)와 나사결합하는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640)와,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640)를 하부힌지이동대(630)에 형성된 관통구(631)내에 고정하는 고정링(650)으로 구성된다.
상부힌지이동대(530) 및 하부힌지이동대(630)는 각각 상단힌지홀더(520) 및 하단힌지홀더(620)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힌지이동대(530)의 상단중앙 및 하부힌지이동대(630)의 하단중앙에는 각각 상단고정부(510) 및 하단고정부(610)와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홈(532, 63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힌지이동대(530, 630)와 상단 및 하단고정부(510, 610)는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 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에는 고정링(550, 650)이 끼워맞춤되는 고정홈(541, 6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링(550, 650)은 각각 상부힌지이동대(530)와 상단고정부(510)사이 및 하부힌지이동대(630)와 하단고정부(610)사이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의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어프레임(210)의 일측부 상단에 설치된 상부힌지이동대(530)에 형성된 관통구(531)에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를 관통삽입한 후 고정링(550)을 위치조정나사(540)에 형성된 고정홈(541)에 끼워맞춤으로써 위치조정나사(540)에 형성된 고정홈(541)에 끼워맞춤으로써 위치조정나사(540)가 상부힌지이동대(5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 상부힌지이동대(530)를 도어지지부(400)의 상부내측 일단에 설치된 상단고정부(510) 및 상단힌지홀더(520)사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한다. 이때, 상부힌지이동대(530)의 관통구(531)와 상단고정부(510)에 형성된 암나사부(511)는 동일축선상에서 일렬로 배열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스크류 드라이버(도시안됨) 등으로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를 회전시키면 암나사부(511)와 나사결합하며 계속해서 위치조정나사(540)를 회전시키면 암나사부(511)의 안쪽으로 위치조정나사(540)가 전진하게 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600)를 동시에 조립하면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도어(200)를 쇼케이스 본체(300)에 설치할 때 또는 쇼케이스(100)의 설치 후 도어(200)의 빈번한 개폐동작으로 인해 도어(200)의 후면부에 부착된 밀봉부재(260)(제8도)와 도어프레임(210)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 상부힌지이동대(530) 및 하부힌지 이동대(630)에 각각 삽입설치한 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를 각각 조정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용이하게 도어(200)와 도어지지부(400)간의 틈새가 제거된다. 즉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드라이버(도시안됨)를 사용하여 시계방향 (m방향)으로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를 회전시키면, 위치조정나사(540)가 상단고정부(510)에 형성되어 위치조정나사(540)와 나사결합된 암나사부(511)내로 전진함에 따라 상부힌지이동대(530)가 상단힌지홀더(520)상에서 미끄럼운동하여 상단힌지홀더(52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상부힌지이동대(530)가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힌지이동대(530)에 연결된 상부도어힌지(230)가 또한 도어지지부(400)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어(200)가 도어지지부(400) 내측으로,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J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부도어힌지 위치 조정나사(540)를 시계 반대방향(n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치조정나사(540)가 암나사부(511) 내에서 밖으로 후퇴함에 따라 상부힌지이동대(530)가 상단힌지홀더(520)상에서 미끄럼운동하여 상단힌지홀더(520)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상부힌지이동대(530)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힌지이동대(530)에 연결된 상부도어힌지(230)가 또한 도어 지지부(400)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어(200)가 도어지지부(400) 외측으로,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K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되는 위치조정나사(540)의 나사방향에 따라 도어(200)의 전후진이 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7도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600) 역시 상부도어힌지 위치 조정부(5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정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600)를 조정하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10)의 후면부에 부착된 밀봉부재(260)와 도어지지부(400)간에 발생하는 틈새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는 설치시 또는 사용시 단순히 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힌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도어프레임의 후면부에 부착된 밀봉부재와 도어지지부간에 발생하는 틈새를 제거하여 쇼케이스내부의 냉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쇼케이스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어지지부 및 도어프레임에 부착된 밀봉부재가 완전밀착됨으로써 도어지지부와 도어프레임에 냉기가 전달되지 않아 이들 부위에 이슬맺힘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쇼케이스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쇼케이스 본체(300)의 전면에 부착되는 도어지지부(400)와 도어 지지부(400)에 설치되는 도어(200)를 선회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도어힌지(230, 240)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는 상기 도어지지부(400)에 부착되는 고정수단, 상기 도어(200)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수단과 미끄럼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상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와 하부도어 힌지 위치조정부(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위치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 600)의 고정수단은 상기 도어지지부(400)의 상부 및 하부내측 일단에 부착되며 중앙에 암나사부(511, 611)가 형성된 상단 및 하단 고정부(510, 610)와 상기 상단 및 하단고정부(510, 6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각각 부착되는 상단 및 하단힌지홀더(520, 620)로 각각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 600)의 이송수단은 도어프레임(210)의 일측부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230, 240)에 삽입설치되며 중앙에 관통구(531, 631)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힌지이동대(530, 630)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부(500, 600)의 조정수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이동대(530, 630)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531, 631)를 관통하여 상기 상단 및 하단 고정부(510, 610)에 형성된 암나사부(511, 611)와 나사결합하는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와 상기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를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이동대(530, 630)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531, 631)를 관통하여 상기 상단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와 상기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를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이동대(530, 630)에 형성된 관통구(531, 631)내에 고정하는 고정링(550, 650)으로 각각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힌지이동대(530) 및 하부힌지이동대(630)는 각각 상단힌지홀더(520) 및 하단힌지홀더(620)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상부힌지이동대(530)의 상단중앙 및 상기 하부힌지이동대(630)의 하단중앙에는 각각 상단고정부(510) 및 하단 고정부(610)와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홈(532, 632)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힌지이동대(530, 630)와 상단 및 하단고정부(510, 610)는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도어힌지 위치조정나사(540, 640)에는 상기 고정링(550, 650)이 끼워맞춤되는 고정홈(541, 64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550, 650)은 각각 상부힌지이동대(530)와 상단고정부(510) 사이 및 하부힌지이동대(630)와 하단고정부(610)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KR92000476U 1992-01-15 1992-01-15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KR950003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476U KR950003869Y1 (ko) 1992-01-15 1992-01-15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476U KR950003869Y1 (ko) 1992-01-15 1992-01-15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684U KR930017684U (ko) 1993-08-20
KR950003869Y1 true KR950003869Y1 (ko) 1995-05-17

Family

ID=1932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0476U KR950003869Y1 (ko) 1992-01-15 1992-01-15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684U (ko) 199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1227C (en) Product display and marketing device
US5622414A (en) Refrigerator display cabinet with thermally insulated pivotable all glass front window panel
US20150015133A1 (en) Pivoting mullion for a temperature-controlled storage device
AU8736891A (en) Refrigerator display cabinet with thermally insulated pivotable window pane
KR950003869Y1 (ko) 도어힌지 위치조정장치
US6634727B2 (en) Closet doors with integrated shelves
DE59400337D1 (de) Duschabtrennung mit einem Schwenkflügel
ES2051906T3 (es) Puertas reductoras de radiacion para el paso de las personas.
KR20070065751A (ko) 쇼케이스 도어
IT1248332B (it) Dispositivo a cursore per mantenere in posizione di apertura sportelli in particolare di frigoriferi e congelatori da esposizione e simili
EP029996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ow supports
KR101880996B1 (ko) 전후 방향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닫히는 양방향 여닫이문
JP2630873B2 (ja) 扉装置
KR0124793B1 (ko) 나이트 커버가 장착된 냉장 디스플레이 케이스
CN218881920U (zh) 一种铰链机构及曲面门空间开合结构
KR970007232A (ko) 냉장고의 도어 처짐방지 장치
KR0113756Y1 (ko) 냉장고의 도어처짐 방지장치
KR20020069982A (ko) 다 방향 도어
KR0133558Y1 (ko) 쇼케이스의 겸용 도어
CN220937481U (zh) 一体化博物馆展柜
KR200148054Y1 (ko) 쇼케이스의 도아장치
KR0133560Y1 (ko) 쇼케이스의 도어테 이중구조
KR200242459Y1 (ko) 진열장의 슬라이드 개. 폐 장치
KR200258193Y1 (ko) 진열장의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
KR900011180Y1 (ko) 문짝의 개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