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273Y1 - 음극선관의 형광막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형광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73Y1
KR950003273Y1 KR92025182U KR920025182U KR950003273Y1 KR 950003273 Y1 KR950003273 Y1 KR 950003273Y1 KR 92025182 U KR92025182 U KR 92025182U KR 920025182 U KR920025182 U KR 920025182U KR 950003273 Y1 KR950003273 Y1 KR 950003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luorescent film
cathode ray
ray tub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590U (ko
Inventor
지성훈
Original Assignee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경팔
Priority to KR92025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273Y1/ko
Publication of KR940017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30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 H01J29/32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with adjacent dots or lines of different luminescent material, e.g. for colour television
    • H01J29/327Black matrix material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형광막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형광막을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음극선관의 형광막에 의한 휘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형광막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블랙매트릭스
3,30 : 형광막 4,40 : 알루미늄막
5 : 새도우마스크 31 : 경사부
41 : 경사막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형광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모아레(Moire ; 간섭무늬) 현상을 극복하므로서 바람직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한 음극선관의 형광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새도우마스크 방식의 음극선관은 적어도 패널, 펀넬, 넥크로 구성된 벨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넥크에는 전자총이, 그리고 상기 패널의 내면에는 ALT+F6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으며, 이 형광체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떨어져 섀도우마스크가 대향 배치된다.
이러한 음극선관은 패널 및 판넬의 제작공정, 섀도우마스크의 가공 및 용접공정, 패널 내면에 블랙매트릭스 및 형광막을 형성하는 스크린공정, 알루미늄막을 형성하는 중착공정, 패널 및 펀넬의 봉착공정, 전자총의 봉입공정, 배기공정 및 에이징공정 등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제작 완료된다.
한편, 상기 패널의 스크린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극선관용 패널의 내측면에 감광제를 피착하고 마스크를 조림한 다음, 노광 및 현상하여 상기 감광제의 소정 부위를 제거하고, 콜로이드상 흑연 현탁액을 도포 및 건조한 다음, 상기 잔류된 감광제를 에칭하고 세정하므로서 격자상의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블랙매트릭스를 형성된 패널의 내측면에 'G' 형광체 슬러리를 도포 및 건조한 다음, 상기 마스크를 조립하여 노광 및 세정하고, 계속해서'B', 'R' 형광체도 상기 공정에 따라 반복 실행하여 도트 또는 스트라이프상의 형광막을 형성하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블랙매트릭스와 형광막이 형성된 상층면에 금속막 즉, 알루미늄막을 평탄하게 중착 형성하므로서 패널의 스크린이 완성되는 것이다.
제3도는 종래에 공지된 음극선관용 패널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스트라이프형의 형광막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극선관의 패널(1) 내면에는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를 향상시키고 페이스 그라스의 투과율을 높임으로서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블랙매트릭스(2)가 비발광성 흡수물질로서 격자상으로 형성되고, 이 격자상 블랙매트릭스(2)의 사이에는 각각의 R,G,B형광체가 도포되어 전자빔에 의하여 발광하는 스트라이프상의 형광막(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2)와 형광막(3)으로 된 스크린상에는 반사 표면을 형성하여 보다 예리하고 선명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알루미늄말(또는 메탈백, 4)이 중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크린 및 메탈백을 포함하는 패널(1)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새도우마스크(5) 프레임에 지지되어 패널의 스터드 핀에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패널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동작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CPM과 편향요오크를 거치면서 편향되고, 섀도우마스크의 어퍼쳐를 통과하여 각각 지정된 R, G, B형광체에 충돌하므로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섀도우마스크(5)의 어퍼쳐를 통과하여 형광체에 랜딩되는 전자빔은 전체의 대략 20%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섀도우마스크에 의해 반사되어 열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섀도우마스크(5)를 통과한 전자빔은 섀도우마스크의 투영상을 스크린에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섀도우마스크의 어퍼쳐를 통과하여 형광막(3)에 랜딩되는 밝은 부분과, 섀도우마스크의 브리지(Bridge)에 반사되는 어두운 부분사이에서 명암의 차이가 생기게 되기 때문에, 화면에 모아레(간섭무늬 ; 단색 파장의 응집하는 광이 상쇄간섭과 보강간섭에 의하여 명암도가 변화하게 되어, 기하학적 공간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현상으로서, 명암의 선명도에 따라 여러 형태의 기하학적 무늬를 형성한다.)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극선관의 패널 내면에 형광막을 형성함에 있어, 형광막에 소정의 경사부를 형성하며, 이의 상측면에 일정하게 중착되는 알루미늄막의 광분산작용으로 화면의 모아레 현상을 극복함은 물론, 바람직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형광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패널 내측면에 스크린을 형성함에 있어, 블랙매트릭스의 사이에 소정의 곡률로 절곡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형광막을 형성하므로서, 그 상측면에 증착되는 알루미늄막에 전자빔의 굴절 및 분산을 위한 경사막을 형성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형광막을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형광막을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로서, 도면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3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코트라스트 및 색순도를 향상시키고 페이스 그라이스의 투과율을 높임으로서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격자상의 블랙매트릭스(2)와, 이 블랙매트릭스(2)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트라이프상의 형광막(30)과, 반사 표면을 형성하여 보다 예리하고 선명한 화상을 구현가기 위한 알루미늄막(40)이 패널(1)의 내측면에 중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널(1)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섀도우마스크(5)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형광막(30)은 하나의 형광체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와 달리 형광막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시, 광원의 길이를 설계치 보다 크게 하므로서, 섀도우마스크(5)의 브리지에 의하여 투영되는 형광막의 폭을 어퍼쳐에 의한 형광막보다 크게 형성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형광막(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로 절곡된 경사부(31)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이로 인해 블랙매트릭스(2)와 형광막(30)의 상측에 일정하게 중착되는 알루미늄(40)도 역시 상기 형광막의 폭변화의 동일한 경사막(41)를 갖게 된다.
따라서, 섀도우마스크(5)의 어퍼쳐를 통과하여 형광막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의 끝부분이 도시된 가상선(7)과 같이 형광막(30)의 폭이 변화되는 경사부(31) 즉, 알루미늄막(40)의 경사막으로 주사되고, 이 전자빔은 다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섀도우마스크의 브리지에 의하여 그림자지게 되는 어두운 부분쪽으로 굴절ㆍ분산되기 때문에, 종래에 문제시 되었던 명암도의 차에 의한 모아레 현상을 양호하게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형광막(30)의 형태 변화에 따른 알루미늄막(40)의 경사막(41)에 의하여, 전자총에서 주사된 전자빔이 어두운 부분으로 굴절 분산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휘도분포를 유도하므로 선면도에 의한 모아레 현상을 개선하는 것이다.
한편,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형광막에 의하여 개선된 효과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형광막에 의한 휘도 분포를 예로서 비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는 종래의 형광막에 의한 휘도 분포를 도시하였으며, B는 본 고안에 의한 휘도 분포를 조사한 것이다.
본 고안의 형광막에 의하면 알루미늄막(40)의 경사막(41)에 의한 반사광의 분산작용으로, 종래와 달리 섀도우마스크(5)의 브리지와 어퍼쳐에 의하여 투영된 스크린에서의 휘도 분포의 차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형광막은 패널의 내측면에 스크린을 형성함에 있어서, 형광막의 형태를 변화시켜 알루미늄막의 광 분산작용으로 화면의 명암차를 축소하여 연속적인 휘도 분포를 유도하므로서, 모아레 현상을 극복함은 물론, 바람직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를 향상시키고 페이스 그라스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블랙매트릭스(2)의 사이에 형성되며, 그 상측에 반사 표면을 형성하여 보다 예리하고 선명한 화상을 구현하는 알루미늄막(40)이 중착된 음극선관의 형성막에 있어서, 상기 형광막(30)에는 폭이 변화되는 경사부(31)가 형성되고, 그 상측면에 중착되는 알루미늄막(40)이 전자빔의 굴절 및 분산을 위한 경사막(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형광막.
KR92025182U 1992-12-11 1992-12-11 음극선관의 형광막 KR950003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182U KR950003273Y1 (ko) 1992-12-11 1992-12-11 음극선관의 형광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182U KR950003273Y1 (ko) 1992-12-11 1992-12-11 음극선관의 형광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90U KR940017590U (ko) 1994-07-28
KR950003273Y1 true KR950003273Y1 (ko) 1995-04-24

Family

ID=1934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182U KR950003273Y1 (ko) 1992-12-11 1992-12-11 음극선관의 형광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2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90U (ko) 199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3965A (en) Making shadow mask with slit-shaped apertures for CRT
US3882347A (en) Color stripe cathode ray tube having bridged strip apertures
US5877586A (en) Slot-type shadow mask
KR950003273Y1 (ko) 음극선관의 형광막
US6124668A (en) Color cathode ray tube
JP2000502504A (ja) カラーフィルタ層を具えるカラー表示装置
KR200147270Y1 (ko) 음극선관의 스크린구조
US3952225A (en) Cathode-ray tube having phosphor screen interposed between composite mesh and reflective layer
KR91000936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JPS581500B2 (ja) シヤドウマスク
JPS6349336B2 (ko)
KR100201148B1 (ko) 칼라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KR880003497Y1 (ko) 텔레비젼 칼라 수상관의 새도우 마스크
JPS6367308B2 (ko)
KR100194096B1 (ko) 모아레 개선 음극선관
KR100240493B1 (ko) 칼라브라운관의 형광면
KR100426576B1 (ko) 칼라 음극선관
KR950003647B1 (ko) 음극선관의 블랙 매트릭스 및 그 형성방법
KR920009329B1 (ko) 컬러음극선관
KR100594648B1 (ko) 칼라음극선관의 선택표시장치
KR100330149B1 (ko) 음극선관의 형광막 스크린과 이의 제조방법
KR950002005Y1 (ko) 도움형 보정렌즈
KR100240486B1 (ko) 칼라브라운관의 보정렌즈
KR910007732B1 (ko) 칼라 브라운관의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노광방법
KR100213788B1 (ko) 칼라브라운관의 형광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