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211Y1 -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11Y1
KR950003211Y1 KR2019900006739U KR900006739U KR950003211Y1 KR 950003211 Y1 KR950003211 Y1 KR 950003211Y1 KR 2019900006739 U KR2019900006739 U KR 2019900006739U KR 900006739 U KR900006739 U KR 900006739U KR 950003211 Y1 KR950003211 Y1 KR 950003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ingle rail
groove
rail
moun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068U (ko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211Y1/ko
Publication of KR910021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5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for connecting electrical apparatus mounted side by side on a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제1도는 배전기기류와 종래의 단레일에 대한 결합상태 사시도.
제2a도는 종래의 단레일에 배전기기류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착대의 홀더 부분에 대한 일부 확대도, 2b도는 종래의 단레일에 부착대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단레일 착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4a, b, c도는 본 고안의 홀더가 부착대에 결합되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레일 6 : 홀더
4,4' : 부착대 61 : 고정편
62a : 가이드편 62b : 슬라이드편
72 : 홀더홈 72b : 걸림홈
본 고안은 배전기기류를 단레일(DIN RATL)에 손쉽게 설치, 분리시킴이 가능하고, 설치한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더에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단레일에 설치, 분리가 가능하며, 조립도 용이하도록 한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판넬에 부착되는 배전기기류(예로써, 노퓨즈브레이커, 마그네틱 스위치, 릴레이 등)에는 판넬(도시 생략)에 스크류로써,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도와 같이 부착대(4)에 부착용 구멍(4a)을 뚫고, 상기 구멍(4a)의 위치와 동일한 판넬의 위치에는 탭구멍을 형성하며 부착대(4)의 구멍(4a)으로 삽입한 나사를 탭구멍으로 체결시키면 배전기기는 판넬에 고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방법은 다수의 배전기기를 판넬에 부착할 때 탭가공에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정확한 위치에 가공이 되어 있지 않으면 부착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레일(1)이 제작되어 사용하고 있는 바, 도시한 바와같이 몇개의 스크류(5)로서 단레일(1)을 판넬(도시 생략)에 고정하며, 또 부착대(4)의 단레일홈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4b)과 홀더(2)에 의해 배전기기류가 단레일(1)에 부착되었다. 상기의 종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며, 배전기기류에 부착되어 형성하는 부착대(4)의 배면에는 제2a도와 같은 걸림턱(4b)이, 제2b도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대향하는 타측에는 스프링(3)이 고정되는 홀더(2)를 설치하며 제2a도의“P”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탄력적 이동이 가능하다. 홀더(2)는 그의 선단측이 걸림턱(2c)을 갖고 있다. 스크류(5)에 의해 판넬에 고정된 단레일(1)의 상단 선단부는 부착대(4)의 걸림턱(4b)과, 돌기(4b)(4e)사이에 끼워져 제2b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단레일의 하단끝에 홀더(2)의 끝의 경사진 부분(2b)이 닿아서 스프링(3)에 의해 홀더(2)가 아래쪽으로 밀리고 단레일(1) 하단끝이 홀더(2)의 걸림턱(2c)에 끼워지면 압축되었던 스프링(3)에 의해 홀더(2)가 원위치되어 단레일(1)에 견고하게 부착되었다. 배전기기 분리시에는 제2a도의“P” 화살표 방향으로 홀더(2)를 당기면 홀더(2)의 경사진 부분(2b)이 단레일(1)의 아래쪽 끝에서 벗어나므로 단레일에서 배전기기를 떼어낼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단레일 착탈장치는 홀더(2)가 작동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프링(3)을 부착대(4)와 홀더(2) 사이의 걸이용 돌기에 조립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조건이 나쁜 경우에는 스프링의 부식등이 생기면 스프링력이 상실되는 경우가 생기므로, 홀더로서 단레일을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자동조립 라인을 구성할 때 조립의 복잡성 때문에 자동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종래에 사용되던 스프링을 삭제하고 홀더(2) 자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자체의 탄력으로 단레일(1)에서 배전기기류를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부착대(40)에는 단레일홈(71)과 홀더홈(72)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홈(72)으로 단레일 록크용 홀더(6)를 삽입하도록 구성하였으며, 홀더홈(72)의 바닥엔 유도홈(72a)과 걸림홈(72b)을 홀더 삽입방향에 일체로 형성하고 걸림홈(72b)의 양측에는 가이드겸 스톱퍼를 각각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의 홀더홈(72)으로 삽입되는 홀더(6)는 삽입되는 면의 앞부분에 테두리를 남기고 파내되 끝나는 면중앙에서 훅크를 가진 고정편(61)을 홀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고정편(62)의 양측에는 가이드편(62a)과 슬라이드편(62b)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판넬에 고정된 단레일(1)의 윗쪽 끝에 배전기기류의 배면에 고정시킨 부착대(40)의 단레일(71)을 끼워 돌기(71b)(71e)의 사이에 끼워지게 한 후 단레일(71)을 제2b도의“P”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단레일(1)의 아래끝이 단레일홈(71)에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홀더(6)를 부착대(7)의 홀더홈(72)으로 삽입하면 홀더(6)의 가이드편(62a)과 고정편(61)의 훅크가 스톱퍼(72c)와 휴도홈(72a)에 따라 전진할때 가이드편(62a)과 고정편(61)은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상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후 계속적인 삽입에 의해 제4a, b도와 같이, 가이드편(62a)이 스톱퍼(72c)를 넘어 서게 되고, 고정편(61)의 훅크는 유도홈(72a)을 넘어서 걸림홈(72b)에 훅크가 끼워지고 가이드편(62a)의 슬라이드편(62b)이 스톱퍼(72c)에 접촉된다.
동시에 가이드편(62a)이 스톱퍼(72c)를 제4c도와 같이 걸게 된다.
상기의 홀더조립에 의해 홀더(6)는 부착대(40)의 홀더홈(72)에 결합되면서 선단의 턱으로 단레일(1)의 아랫쪽 끝을 걸게 되고 홀더(6)의 훅크가 부착대(40)의 걸림홈(72a)으로 끼워져 배선기기류는 단레일(1)에서 설치,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전기기를 단레일에서 분리시키고자 할때에는 홀더(6)를 제4c도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드편 (62b) 과 고정편(61)이 훅크가 스톱퍼(72c)와 걸림홈(72b)에서 벗겨져 빠지게 되므로 홀더(6)의 선단력이 단레일(1)의 아래 끝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배전기기는 단레일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홀더 자체의 구성에 의하여 단레일과의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단레일에 부착된 상태가 홀더와 부착대의 결합력에 의하여 한정되고, 설치작업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배전기기류의 부착대에 형성한 단레일홈으로 끼워지는 단레일(1)을 홀더(6)로써 고정함에 있어서, 고정편(61)과, 슬라이드편(62b)을 포함하는 가이드편(62a)을 갖는 홀더(6)와, 홀더홈(72)면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6)의 고정편(61)과 결합하는 걸림홈(72b)과, 홀더홈(72)면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6)의 가이드편(62a)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스톱퍼(72c)를 포함하는 부착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KR2019900006739U 1990-05-19 1990-05-19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KR950003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739U KR950003211Y1 (ko) 1990-05-19 1990-05-19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739U KR950003211Y1 (ko) 1990-05-19 1990-05-19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068U KR910021068U (ko) 1991-12-20
KR950003211Y1 true KR950003211Y1 (ko) 1995-04-24

Family

ID=1929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739U KR950003211Y1 (ko) 1990-05-19 1990-05-19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2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32Y1 (ko) * 2015-01-20 2017-03-28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068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6500A (en) Chassis connector and circuit board clip
US4952107A (en) Captive panel screw assembly
KR950004981B1 (ko) 리본케이블 컨넥터의 컨넥터 클립
US7030318B2 (en) Alignment plate for wiring device
KR20050014718A (ko) 안테나 장치의 장착 구조
MY101528A (en) Locking clip
KR950003211Y1 (ko)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US5057649A (en) Electrical wiring box
US5186645A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ing system
KR0163067B1 (ko) 부품의 설치구조
KR880000211Y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안테나 피더 접속단자
JPS6339995Y2 (ko)
US2839805A (en) Fastening device
JP2633483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固定構造
KR960004906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프론트그릴 장착구조
KR0128504Y1 (ko)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KR0137381Y1 (ko) Pcb의 유동방지홀더
KR910005795Y1 (ko) 콘센트 고정 장치
KR0147230B1 (ko) 수직착탈식 기판 고정장치
KR890005936Y1 (ko) 전자 제품의 인쇄회로 기판 고정 장치
KR860000790Y1 (ko) 분전반 배선용 차단기
US2849600A (en) Lighting fixture holder assembly
JPH0122264Y2 (ko)
KR900008508Y1 (ko) 체결용 브라켓트
JPS62463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9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