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694Y1 -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694Y1
KR950002694Y1 KR2019890021273U KR890021273U KR950002694Y1 KR 950002694 Y1 KR950002694 Y1 KR 950002694Y1 KR 2019890021273 U KR2019890021273 U KR 2019890021273U KR 890021273 U KR890021273 U KR 890021273U KR 950002694 Y1 KR950002694 Y1 KR 950002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ocus
dynamic
electron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1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991U (ko
Inventor
오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1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694Y1/ko
Publication of KR910012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1Focu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50Plurality of guns or beams
    • H01J2229/502Three beam guns, e.g. for colour CRT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제1도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의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 전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있어서, 포커스 전극의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있어서,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비교되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커스 전극이 빔 출사평면과 다이나믹전극의 빔입사 평면도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K : 캐소오드 G1 : 제어 그리드
G2 : 스크린 그리드 G3 : 포커스 전극
G31 : 보조 전극 VB1, VB2 : 수직 블래이드
G4 : 다이나믹 전극 HB1, HB2 : 수평 블래이드
G5 : 애노드 전극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면 주변부에서의 비점수차가 개선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의 해상도는 스크린면에 형성되는 빔 스포트의 크기 및 형상에 의존하는데, 특히 빔스포트의 형상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즉 전자빔의 스포트가 가능한 작고 그 형상이 정상원에 가까운 형태를 가질때에 높은 해상도의 화상실현이 가능케 된다.
그러나 실제의 음극선관에서는 편향자계에 의한 전자빔의 왜곡이 야기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최근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전자총이 개발되었는 바, 이는 동적인 전계로서 전자빔을 편향위치에 따라서 종장형화하는 것으로서 이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K)와, 제어 그리드(G1)와, 스크린 그리드(G2)가 그 순서대로 배열되며, 이에 뒤이어서 메인 렌즈를 이루는 포커스 전극(G3)와, 다이나믹 전극(G4)와, 애노드 전극(G5)이 그 순서대로 배열된다. 이때에 포커스 전극(G3)의 빔출사 평면(3P)과 다이나믹 포커스 전극(G4)의 빔입사 평면(4P)에 형성된 빔통과공(3H) (3H) (3H), (4H) (4H) (4H)들의 상하 가장자리에는 수직, 수평의 블래이드(HB1), (VB1)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은 상기한 수직, 수평의 블래이드(HB1), (VB1)로 R, G, B 전자빔의 진행 경로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함으로써 정적인 전위를 유지하는 한쌍의 수직 블래이드(HB1)와 동적인 전위를 유지하는 한 쌍의 수평 블래이드(VB1)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동적인 4극 전계에 의해 전자빔이 적절히 종장형화 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다이나믹 전자총에 의해서는 만족할 만한 비점수차 개선이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동적전계로서 전자빔을 적당히 종장형화하여 편향 수차에 의한 전자빔의 비점수차를 개선 함에 있어서 미세하고 보다 바람직한 전자빔의 제어가 이루어 지고 있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전자빔의 제어가 가능토록 개량되어 음극선관의 화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은,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와, 제어 그리드와, 스크린 그리드와, 메인 렌즈를 이루는 것으로서 빔 출사평면에 수직 블래이드가 형성된 포커스 전극과, 빔 입사평면에 수평 블래이드가 형성된 포커스 전극 다이나믹 전극을 갖춘 것으로서, 특히 상기 포커스 전극의 내측에는 종장형의 빔통과공이 형성된 보조전극이 설치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삼극부(三極部)를 이루는 캐소오드(K)와, 제어 그리드(G1)과, 스크린 그리드(G2)가 전자빔 진행 방향으로 순차 배열되며, 이에 뒤이어서 메인 렌즈부를 이루는 요소들로서 정적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포커스 전극(Static focus electrode ; G3)과, 수평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는 포물선형 동적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극(Dynamic focus electrode ; G4)과, 최고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애노드 전극(G5)이 그 순서대로 배열된다. 이때에 상기 포커스 전극(G3)의 빔출사 평면(3P)에는 원형의 빔통과공(3H)이 형성되며, 이 빔통과공(3H)의 양측가장 자리에는 수직블래이드(HB2)가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이나믹 전극(G4)의 빔입사 평면(4P)에 형성된 빔통과공(4H)의 상하에는 L형단면을 갖는 수평 블래이드(VB2), (VB2)가 형성된다. 상기한 포커스 전극에는 사각의 종장형 빔통과공이 형성된 보조전극이 마련된다.
이때에 상기한 빔통과공과 블래이드간의 관계를 살펴 보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전극(G3)의 빔통과공(3H)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보조전극(G31)의 종장형 빔통과공(31H)은 그 수직폭이 상기 빔통과공(3H)의 직경 크고, 그 수평폭은 이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다이나믹 전극(G4)에 마련된 수평 블래이드(HB2), (HB2)간의 수직간격은 상기 빔통과공(3H)의 직경과 대략 같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 전극(G3)에 형성된 수직 블래이드의 수직 폭은 상기한 수평블래이드(HB2), (HB2)간의 수직 간격보다 좁다. 이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지는 전자빔에 대한 진행경로의 단면이 가능한한 정방형 또는 정원형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종장형화 하기 위한 동전계를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포커스 전극의 수직 블래이드는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나믹 전극으로 돌출되게 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수직 블래이드(HB2)가 포커스 전극의 내측에 마련되어 캐소오드쪽을 향하게 하여도 무방할 것 인 바, 이러한 블래이드들에 의하면 R, G, B 3개의 전자빔의 진행경로가 에워싸이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전자총에 의한 전자빔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빔의 포커스 상태를 살펴 보면 제3,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 3개의 전자빔의 진행경로를 에워싸는 수직 수평의 블래이드(VB2), (HB2)들에 의해 전자빔들의 진행 공간에 동적으로 그 강도가 변화되는 4극 렌즈가 형성되게 되는 바, 포커스 전극에 마련된 수직 블래이드(VB2)는 정적으로 저전위를 유지하며, 다이나믹 전극(G4)에 마련된 상하의 수평 블래이드(HB2)는 최저 전위가 상기 수직 블래이드(VB2)에 인가되는 정적 포커스 전압과 동일한 파라볼라형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과하는 전자빔은 수평 방향으로는 집속되고 수직방향으로는 발산되어 종장형화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한 포커스 전극의 빔통과공의 양측가장자리에는 소폭의 수직 블레이트(VB2)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내장된 보조전극(G31)에는 종장형 빔통과공(31H)이 형성되어 전자빔은 두단계에 걸쳐서 점차 종장형화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자총에 있어서는 전자빔에 대한 동전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전계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된바, 이는 전자빔을 종장형화하는 전계의 강도가 다단으로 분담되기 때문인 것으로서 전자빔이 스크린에 도달될 때에 정상원에 은 빔스포트를 형성함과 아울러 빔스포트에 있어서의 스포트할로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다이나믹 전자총은 전자빔을 단순히 종장형화하는 형태가 아닌 것으로서 종래의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비해 고화질의 음극선관의 실현을 가능케 한다.

Claims (2)

  1.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캐소오드와 각 캐소오드에 대응하는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을 가지는 제어 그리드 및 스크린 그리드와, 메인 렌즈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캐소오드에 대응하는 3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빔 출사 평면의 각 전자빔 통과공의 각 양측에 수직 블래이드가 형성된 포커스 전극, 상기 캐소오드에 대응하는 3개 빔통과공이 마련된 빔 입사평면의 전자빔 통과공들의 상하에 수직의 블래이드가 형성된 다이나믹 전극을 갖춘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전자빔 출사평면의 내측에, 상기 포커스 전극의 전자빔 출사평면의 각 빔통과공들에 대응하는 종장형 빔통과공들이 형성된 보조 전극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의 종장형 빔통과공의 수직폭은 상기 포커스 전극의 빔 출사측의 전자빔 통과공의 직경보다 크며, 그 수평폭은 상기 빔 통과공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2019890021273U 1989-12-31 1989-12-31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950002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273U KR950002694Y1 (ko) 1989-12-31 1989-12-31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273U KR950002694Y1 (ko) 1989-12-31 1989-12-31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991U KR910012991U (ko) 1991-07-30
KR950002694Y1 true KR950002694Y1 (ko) 1995-04-13

Family

ID=1929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1273U KR950002694Y1 (ko) 1989-12-31 1989-12-31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6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652A (ko) * 1998-08-22 2000-03-15 구자홍 칼라 브라운관용 전자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991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8518A (en) Electron gun with astigmatic flare-reducing beam forming region
KR950006601B1 (ko) 개선된 다이나믹 포커싱 전자총
KR910007800B1 (ko)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US5300854A (en) Electrode structure for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KR0124038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864151A (ja) ビームスポット歪み防止用電子銃
KR950002694Y1 (ko)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US5864203A (en) Dynamic focusing electron gun
KR97000856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2그리드
KR940000302B1 (ko) 전자총을 구비한 음극선관
JPH0131259B2 (ko)
JPH021341B2 (ko)
KR100331538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조립체
US5013963A (en) In-line type electron gun
KR950002693Y1 (ko)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19980020321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9635B1 (ko)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JP3672390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US6800992B2 (en) In-line type electron gun an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357864Y1 (ko) 인라인 전자총을 포함하는 컬러 표시관
KR94000876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1570Y1 (ko)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610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4285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