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428Y1 -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428Y1
KR950002428Y1 KR92009532U KR920009532U KR950002428Y1 KR 950002428 Y1 KR950002428 Y1 KR 950002428Y1 KR 92009532 U KR92009532 U KR 92009532U KR 920009532 U KR920009532 U KR 920009532U KR 950002428 Y1 KR950002428 Y1 KR 950002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p
pin
stem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9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6016U (ko
Inventor
김광산
Original Assignee
김광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산 filed Critical 김광산
Priority to KR92009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428Y1/ko
Publication of KR930026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6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평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수평조절장치의 평형 상태를 나타낸 길이방향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수평조절장치가 작동상태로 나타낸 길이방향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수평조절장치가 해제상태로 나타낸 길이방향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버 2 : 갭
3 : 몸체 4 : 스토퍼볼트
5 : 조절바 6 : 고무홀더
7 : 조절손잡이 8 : 고무
9, 15 : 잠금넛트 10 : 레버핀
11 : 레버홀더 12 : 핀
13, 18 : 스냅링 14 : 크램프볼트
16 : 스템 17 : 견부
19 : 스프링홀더 20, 26 : 스프링
21, 22 : O-링 24 : 벤트
252 : 출구 27 : 밸브
23 : 밸브홀더 28 : 입구
본 고안은 제진대(除振坮)용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과 프레임사이의 설치되어 탑재되는 정밀 기기의 편심하중이 작용한다 해도 일정한 수평유지와 더불어 해당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기기 및 저밀기기, 부품 및 해당소자등이 급진적으로 발전됨에 따라 대량생산을 위한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생산라인에서 제조된 완제품(예컨대 반도체)이나 기타 부분품 등을 측정 및 관측하기 위해서는 해당된 정밀계측장비 등을 설치하여 활용하게 된다.
상기 정밀계측장비는 정확성, 정밀도 및 기타 기능등을 우수하게 측정 및 관측함에 따라 질 좋은 완제품이나 기타 부분품을 제조하는데에 일조를 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정밀계측장비인 현미경, 진원도측정기, 전자저울 및 광학장치등은 연구소나 시험실 등에 설치함에 있어서 측정 및 관측환경에 따른 다각적인 상황을 적절히 고려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고려사항중 정밀계측장치를 고정시킬 경우에는 수평유지와 진동차단을 위해 여러 형태로 개발된 레벨러와 진동 절연재를 설치하여 초정밀장비의 수명연장과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미경이나 전자저울등과 같은 초정밀장비를 테이블상에 탑재할 경우 편심하중의 균형을 위해 레버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입구측으로의 에어탱크압축공기와 출구측으로의 에어스프링압축공기에 대한 유입과 유출량을 적절히 조절해 줌으로 일정한 수평유지와 더불어 해당 진동차단을 기할 수 있는 제진대용 수평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조절장치는, 몸체(3)의 입구(28)측으로 에어탱크가, 출구(25)측으로 에어스프링이 각기 설치된 제진대의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진대의 테이블상으로 탑재된 정밀기기의 하중의 조절바(5)의 고무(8)로 가해져 레버핀(10)을 일축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스토퍼볼트(4)에 가해지게 되는 레버(1), 상기 레버핀(10)과 결합되는 레버홀더(11)로 일부 감싸고 내부에 스토퍼볼트(4)로 밀어주는 핀(12)이 설치되어진 캡(2), 상기 캡(2)의 일부가 끼워지고 캡(2) 내부와 자체내부에 설치되는 스템(16)을 상기 핀(12)으로 밀어 주도록 스프링(20, 26)이 각기 설치되는 상기 몸체(3) 및, 상기 캡(2)과 몸체(3)를 결합시켜 주는 잠금넛트(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수평조절장치의 평형상태를 나타낸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도면 부호중 1은 도시되지 않는 제진대의 테이블상에 초정밀장비가 탑재될 때 하중을 받게 되는 레버, 2는 캡을 나타내며, 3은 몸체로서 입구(28)측으로 에어탱크(도시되지 않음), 출구(25)측으로 에어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각기 설치된다.
상기 레버(1)에는 평형조절을 위해 조절가능한 스토퍼볼트(4)와, 고무(8)와 끼워진 고무홀더(6)를 일측에 설치되면서 잠금넛트(9)를 통해 조절손잡이(7)를 타측에 설치되는 조절바(5) 및, 캡(2)의 레버홀더(11)와 결합되는 레버핀(10)이 각기 설치된다.
상기 레버(1)에 끼워지는 조절바(5)는 고무홀더(6)의 고무(8)상에 제진대의 테이블이 놓여 있어, 상기 테이블상으로부터 정밀기기의 하중을 받게 되지만 레버핀(10)을 일측으로 하여 상기 스토퍼볼트(4)로 하중이 집중되어 밑으로 밀어준다.
그리고, 상기 조절바(5)의 조절손잡이(7)는 결합된 레버(1)의 높낮이를 고무홀더(6)와 잠금넛트(9)사이에서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버(1)는 테이블상에 탑재된 정밀기기의 하중의 조절바(5)의 고무(8)로 가해질 때 레버핀(10)을 일축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스토퍼볼트(4)에 가해지게 된다.
상기 레버(1)의 레버핀(10)에 결합된 레버홀더(11)는 캡(2)의 일부분을 감싸주고 내부에 핀(12)을 결합하여 설치하고 있음으로, 상기 스토퍼볼트(4)의 일측이 레버홀더(11)의 핀(12) 일측에 접촉되어 하중이 가해질 때 밑으로 밀어 준다.
상기 캡(2)내에서 핀(12)이 상하작동되도록 레버홀더(11)를 고정시키는 스냅링(13)을 결합하고, 상기 레버홀더(11)내에 크램프볼트(14)가 설치되는 한편 캡(2)과 몸체(3)가 결합되도록 연결하는 잠금넛트(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2)내부의 핀(12)과 몸체(3)내부에서 작동하는 스템(16)이 설치되고, 이 스템(16)은 고정된 견부(17)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스냅링(18)으로 결합하는 한편 스프링홀더(19)의 스프링(20)에 의해 상하작동하게 된다. 상기 캡(2) 내부의 스템(16) 일측이 레버홀더(11)내의 핀(12)을 매개로 레버(1)의 레버핀(10) 일측과 축으로 하여 상하작동하게 된다.
이어 상기 캡(2) 내부에 설치된 스템(16)은 O-링(21)을 통해 스프링홀더(19)에, 다른 O-링(22)을 통해 몸체(3) 내부에 각기 고정되는 한편 밸브홀더(2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O-링(21, 22)은 압축공기가 위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몸체(3)내에는 벤트(24)와 출구(25)가 설치되면서 스템(16)이 윗면의 고무에 눌러줌에 따라 작동되도록 밸브홀더(23)가 눌러주는 스프링(26)과 밸브(27)가 각각 서리된다.
이 밸브(27)를 통해 입구(28)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스템(16)의 상학동에 의해 스프링(26)이 눌러져 상기 입구(28)로 공급되는 에어탱크의 압축공기가 몸체(3)의 스템(16)내로 유입되어 출구(25)를 통해 에어스프링으로 유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평조절장치작동에 대해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구소나 실험실에 설치되는 현미경과 전자저울과 같은 초정밀 장비를 수평유지 및 진동방지를 위해 제진대의 테이블상에 탑재할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평형상태에서 본 고안의 수평조절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에 설치된 조절바(5)의 고무홀더(6)의 고무(8)로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레버(1)의 스토퍼볼트(4), 캡(2)의 핀(12), 몸체(3)의 스템(16)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먼저, 상기 고무홀더(6)의 고무(8)로 탑재된 제진대의 테이블상 초정밀장비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손잡이(7)를 통해 높낮이가 설정된 조절바(5)를 걸쳐 레버(1)로 가해지게 되고, 이때 레버핀(1)을 일측으로 하여 평형조절한 스토퍼볼트(4)의 일측으로 하중이 레버(1)와 일체로 집중되어 밑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레버(1)의 스토퍼볼트(4)로 가해진 하중은 캡(2)내의 핀(12)일측을 눌러주게 되어 상기 캡(2)과 몸체(3)에 걸쳐 장착된 스템(16)에 전달된다. 이는 소정의 압력만큼 고정된 견부(17)내에서 작동되는 상기 스템(16)이 밑으로 내려가 스프링홀더(19)의 스프링(20)을 눌러주게 된다.
이때 상기 스템(16)의 밸브홀더(23)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아주던 입구(28)로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유입시킴으로, 출구(25)의 에어스프링으로 유출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달된 압력이 상기 스템(16)이 윗면의 고무와 밸브홀더(23)를 적절히 밑으로 밀어준다.
즉, 몸체(3)내의 밸브(27)상에 놓여진 스프링(26)을 상기 스템(16)의 밸브홀더(23)가 밀어주어 입구(28)를 통해 에어탱크의 압축공기가 밸브홀더(23)의 옆으로 유출되어 출구(25)로 인가된다(여기서 O-링(22)에 의해 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
따라서, 상기 출구(25)로 인가된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는 에어스프링으로 인가됨으로 제진대의 테이블상에 놓여진 초정밀장비의 편심하중이 작용해도 일정한 수평유지와 더불어 진동을 차단할 수 있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진대의 테이블상에 안정되게 수평유지되어 놓여진 초정밀장비를 제거하게 되면, 본 고안의 수평조절장치의 구성부재들은 상기 작동과정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형상태로 복귀되도록 제3도와 같이 해제상태로 된다.
이는 레버(1)의 조절바(5)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출구(25)의 압축공기가 스템(16)을 위로 밀어 레버핀(10)을 축으로 레버(1)의 스토퍼볼트(4)가 올라가게 된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의 핀(12)을 누르고 있던 스토퍼볼트(4)가 올라 가도록 출구(25)의 압축공기가 스템(16)내의 대롱으로 유출되면서 캡(2)과 몸체(3)내의 스프링(20, 26)을 누르고 있던 것이 복귀되어 상기 스템(16)이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템(16)의 밸브홀더(23)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상태로 되도록 입구(28)로 인가되는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차단하고, 출구(25)를 통해 에어스프링으로 인가되었던 압축공기가 스템(16)내의 대롱을 통해 몸체(3)의 벤트(24)로 유출되어 평형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O-링(21)은 상기 벤트(24)로 압축공기가 유출되고 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현미경이나 전자 저울등과 같은 초정밀장비를 테이블상에 탑재할 경우 편심하중의 균형을 위해 레버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입구측으로의 에어탱크압축공기와 출구측으로의 에어스프링압축공기에 대한 유입과 유출량을 적절히 조절해 줌으로 일정한 수평유지와 더불어 해당 진동차단을 기할 수 있는 제진대용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몸체(3)의 입구(28)측으로 에어탱크가, 출구(25)측으로 에어스프링이 각기 설치된 제진대의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진대의 테이블상으로 탑재된 정밀기기의 하중이 조절바(5)의 고무(8)로 가해져 레버핀(10)을 일축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스토퍼볼트(4)에 가해지게 되는 레버(1), 상기 레버핀(10)과 결합되는 레버홀더(11)로 일부 감싸고 내부에 스토퍼볼트(4)로 밀어주는 핀(12)이 설치되어진 캡(2), 상기 캡(2)의 일부에 끼워지고 캡(2)내부와 자체내부에 설치되는 스템(16)을 상기 핀(12)으로 밀어주도록 스프링(20, 26)이 각기 설치되는 상기 몸체(3) 및, 상기 캡(2)과 몸체(3)를 결합시켜 주는 잠금넛트(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장치.
KR92009532U 1992-05-30 1992-05-30 수평조절장치 KR950002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532U KR950002428Y1 (ko) 1992-05-30 1992-05-30 수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532U KR950002428Y1 (ko) 1992-05-30 1992-05-30 수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016U KR930026016U (ko) 1993-12-24
KR950002428Y1 true KR950002428Y1 (ko) 1995-04-04

Family

ID=1933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9532U KR950002428Y1 (ko) 1992-05-30 1992-05-30 수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4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896B1 (ko) * 2007-02-01 2008-01-2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이블의 수평유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896B1 (ko) * 2007-02-01 2008-01-2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이블의 수평유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016U (ko) 199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917940U1 (de) Vorrichtung zur gravimetrischen Prüfung von Mehrkanalpipetten
ATE535469T1 (de) Vorrichtung zum einhalten eines vorgebbaren druckwertes in einem behälter
KR19980080658A (ko) 감압밸브
KR950002428Y1 (ko) 수평조절장치
WO2001009696A1 (en)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 pipeline
KR970005463A (ko) 저압 주조장치
US3760823A (en) Parts cleaning apparatus
US3019810A (en) Foot control valve device
GB2041171A (en) Safety relief valves
US3035596A (en) By-pass relief valve
US2884946A (en) Control apparatus
US2613925A (en) Pneumatic load indicating device
KR102128804B1 (ko) 안전 밸브
US2932900A (en) Axial play gauge for bearings
JP2017151571A (ja) 圧力制御弁および測定装置
US507009A (en) jackson
US4750405A (en) Vibration and shock isolation apparatus
KR20220155388A (ko) 조절기 조립체 및 테스트 방법
US3112761A (en) Detachable actuator for valves
KR20190010769A (ko) 자동수평조절장치
KR200191882Y1 (ko) 수평조절장치
US4972866A (en) Purge control module
EP1240563B1 (en) Pressure regulator
DE1005744B (de) Feintaster, insbesondere zum Messen hochempfindlicher Flaechen
KR960003882Y1 (ko) 제진(除振)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