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472Y1 -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472Y1
KR950001472Y1 KR92006102U KR920006102U KR950001472Y1 KR 950001472 Y1 KR950001472 Y1 KR 950001472Y1 KR 92006102 U KR92006102 U KR 92006102U KR 920006102 U KR920006102 U KR 920006102U KR 950001472 Y1 KR950001472 Y1 KR 950001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urrent
auxiliary battery
auxiliar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439U (ko
Inventor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조래승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래승,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래승
Priority to KR92006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472Y1/ko
Publication of KR930024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보조배터리 적용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도시한 전기배선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전류, 전압 측정기 G : 발전기
본 고안은 자동차에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에 있어서, 기존의 배터리에 부가하여 설치한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중이거나, 오지나 자동차 통행이 드문 도로상에서 운전자의 부주의나 자동차 고장등으로 인하여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운전자는 난감한 지경에 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주배터리에 전류증폭수단 및 스위칭수단을 통해 보조배터리를 연결한 보조배터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지만 이 종래의 장치는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한 데다가 주배터리에 보조배터리가 직렬로 연결되고 주기적으로 주배터리의 전류가 보조배터리로 이송되는 관계로 주배터리의 기능이 약화될 우려가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배터리 방전시에 대한 예비대책으로 배터리에 병렬로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배터리가 발전기로 부터 충전된 후 보조 배터리까지 전류를 충전하게 취부함으로써 배터리가 방전이 되더라도 보조 배터리를 예비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운전자의 부주의에도 보완적인 대책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보조 배터리를 떼내어 랜턴이나 텔레비젼등의 전원 공급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발전기(G)의 구동으로 발생된 전류가 충전되는 기존배터리에 보조 배터리를 취부하여 발전기(G)를 통해 보조 배터리에 전류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보조배터리에 공지의 전류개폐기를 구비하여 전류의 개폐시기를 조절하는 컨트롤 유닛트(CONTROLUNIT)를 부착하여 보조 배터리에 전류의 충방전시를 조절하며, 보조 배터리에 전류의 충방전 여부를 지시하는 전류, 전압측정기(M)를 컨트롤 유닛트에 부설하여 보조 배터리에 전류 충전 정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발전기(G)를 통해 기존의 주배터리 및 그에 부설된 보조배터리의 충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하 그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자동차의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발전기(G)로부터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어 있는데 기존의 배터리에 병렬로 보조 배터리를 부설하여 배터리가 어느정도 충전이 완료되면 발전기(G)의 전류는 보조 배터리로 전류를 공급하여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데, 보조 배터리로 전류의 공급을 개폐하는 컨트롤 유닛트에 부착된 전류, 전압측정기(M)로 보조 배터리의 전류 충전전도를 지시하게 된다.
또한,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류가 방전되면 컨트롤 유닛트가 발전기(G)로 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재공급 받아 방전된 보조 배터리를 재충전하게 되어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고장으로 부터 2차적 보조 배터리를 적용함으로써 이중적인 자동차 전원공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배터리가 운전자의 부주의나 자동차의 고장으로 인하여 방전되었을시에 기존의 배터리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를 이중적으로 활용할수 있게 한 것으로 자동차 운전자에게 더 높은 신뢰를 줄 수 있으며, 야외에서나 레저 활동중에도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여 랜턴이나 텔레비젼등의 전원공급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므로 신규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발전기(G)로부터 전류를 충전하는 기존의 배터리에 보조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기존의 배터리에 병렬로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고, 이 보조배터리에 전류개폐기를 구비하는 컨트롤 유닛트와 전류의 충전여부를 지시하는 전류, 전압측정기(M)를 설치하여 기존의 배터리가 충전이 완료되면 컨트롤 유닛트를 거쳐 보조 배터리에 전류를 충전할수 있게 하고, 전류, 전압측정기(M)를 통해 보조 배터리에 전류의 충전여부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충전된 보조 배터리를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으로 하여 자동차외에 타 전기기구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KR92006102U 1992-04-14 1992-04-14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950001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102U KR950001472Y1 (ko) 1992-04-14 1992-04-14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102U KR950001472Y1 (ko) 1992-04-14 1992-04-14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439U KR930024439U (ko) 1993-11-27
KR950001472Y1 true KR950001472Y1 (ko) 1995-03-06

Family

ID=1933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102U KR950001472Y1 (ko) 1992-04-14 1992-04-14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4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004B1 (ko) * 2006-05-09 2007-06-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004B1 (ko) * 2006-05-09 2007-06-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439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862A (en) Power supply system for hybrid vehicles
US7049789B2 (en) Automotive power supply system designed to ensure stability in charging storage batteries
NO985420L (no) Elektrisk kj°ret°y med batteritilstandsavhengig lading
GB2136224A (en) Vehicle electrical system
KR101887748B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U854285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электрическойэНЕРгиЕй АВТОМОбил
KR950001472Y1 (ko) 자동차용 보조 배터리 장치
JP2003095039A (ja) 自動車用電源システム
JP5598216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KR100357575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점프장치
KR20020044297A (ko) 전기 자동차의 보조축전지 과방전 방지장치
KR200182212Y1 (ko)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KR200147895Y1 (ko) 자동차용 축전지의 과다 방전 방지장치
KR100197495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충전시스템
KR100273534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JPH03293934A (ja) 車両搭載用電源装置
KR0178576B1 (ko) 자동차용 밧데리
KR0134318Y1 (ko)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고장시 자동 경고 장치
US20120032630A1 (en) Self-powered battery jump system and method
KR960043414A (ko) 자동차용 배터리 과방전 보상 제어장치
KR0184546B1 (ko) 자동차용 보조 전원장치
JPS6316293Y2 (ko)
KR100223617B1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80064312U (ko) 자동차의 비상용 전력 공급 장치
JPS629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