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459Y1 -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 Google Patents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459Y1
KR950001459Y1 KR92022456U KR920022456U KR950001459Y1 KR 950001459 Y1 KR950001459 Y1 KR 950001459Y1 KR 92022456 U KR92022456 U KR 92022456U KR 920022456 U KR920022456 U KR 920022456U KR 950001459 Y1 KR950001459 Y1 KR 950001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connector
wire
groove
engag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2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702U (ko
Inventor
송명월
Original Assignee
송명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월 filed Critical 송명월
Priority to KR92022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459Y1/ko
Publication of KR940013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7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제1도는 종래의 케이블 컨넥터 사용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케이블 컨넥터 사용상태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동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컨넥터몸체 111 : 피복전선
112 : 전선삽입구 113 : 절개홈
114,124 : 걸림홈부 124a : 내측단부
115,125 : 결합돌기 125a : 결합턱부
본 고안은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CABLE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가닥의 전선을 연결할때 배선코자 하는 기기의 내부 여견에 부합되도록 원하는 형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컨넥터 외부에 결속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개선된 형태의 케이블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기기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전선 케이블은, 비교적 많은 량의 전선들이 필요한 까닭에 전선처리를 간편하게 하고 정돈감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된 별도의 클램프나 보호체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선의 피복층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한쌍의 매트형으로 구성되거나,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독립된 각각의 피복전선(11)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여러개의 전선삽입구(12)를 각기 천공한 케이블 컨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같은 컨넥터몸체(10)에는 상하 양면에 절개홈(13)이 구비되어 있어 연결코자 하는 전선의 수량에 따라 컨넥터몸체(10)를 소정의 길이로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컨넥터는, 나열식의 평면 결합에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을뿐 배열형태를 변화시킬 수 없어 좁은 관체내에 여러가닥의 전선이 연결되는 형태의 배선을 하는 경우 전선들을 모아주기 위해 부득이 별도의 클램프수단을 사용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으며, 소망의 길이로 절단된 케이블컨넥터에 전선들을 연결하여 사용하다가 전선의 증설이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컨넥터의 연결이 불가능하여 결국 컨넥터 전체를 폐기한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또다른 컨넥터를 새로이 설치하여야 하는 중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개량된 구조의 케이블컨넥터를 제공코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중인 컨넥터에 증설되는 다른 컨넥터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서 영구사용이 가능한 조립형의 케이블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조립되는 컨넥터가 적층된 상태에서 항상 정돈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컨넥터결합부에 정열 스톱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피복적선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선연결용 케이블컨넥터에 있어서 컨넥터몸체의 외부에 전선삽입구와 평행한 방향으로 절개홈을 형성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구성되는 절개홈 사이에 결합돌기를 돌설 하며, 상기 결합돌기의 반대면에는 걸림홈부를 일체로 형성시켜 구성하되, 컨넥터몸체 표면에 제공되는 상기 걸림홈부와 결합돌기가, 몸체 전체 길이보다 짧은길이를 유지한체 전방으로 부터 소정의 길이로 구성되어 내측 단턱 및 결합턱부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스톱퍼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형태의 구성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전선연결용 케이블컨넥터는, 피복전선(111)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구(112)를 천공한체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컨넥터몸체(100)와, 이러한 컨넥터몸체(100)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몸체 외부면에 전선삽입구(112)와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시킨 절개홈(113)과, 상기 절개홈(113) 사이에 돌설되며 분리된 2개 이상의 몸체를 상호 결속 시킬 수 있도록 몸체 외측에 제공되는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115) 및 걸림홈부(114)로 이루어진다.
즉, 길이방향으로 연속 성형되는 컨넥터몸체(100)의 전선삽입구(112)내에 필요한 수량만큼의 피복전선(111)을 차례로 끼워주고 나서 절개홈(113)을 이용하여 몸체의 잔여분을 절취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피복전선(111)들은 또한 상하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할 수도 있는데 그 조립순서에 따르면, 제2도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피복전(111)이 삽입된 컨넥터몸체(100)의 외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걸림홈부(114)내에 다른 컨넥터몸체(100)의 반대면에 구성되는 결합돌기(115)를 삽설하여 주는 비교적 간단한 조립과정만을 수반하게 될뿐, 몸체의 결속이나 분리를 위해 클램프등과 같은 별도의 보조장비를 사용함이 없이도 충분한 결속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성형함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컨넥터몸체(100)를 상호 결속시킬 수 있도록 몸체 외측에 제공되는 결합돌기(115)와 걸림홈부(114)는, 전선삽입구(112)와 평행한 수직선상에 반복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층되는 2이상의 몸체가 균일한 폭을 이루도록 하는데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고, 걸림홈부(114)측의 절개홈(113)을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걸림홈부(114)와 동일간격, 동일형상으로 구성시켜 2개의 조립되는 몸체가 제3도의 (b)도와 같이 다양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컨넥터몸체(100)의 상하 양면에 절개홈(113)(113)을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걸림홈부(114)와 결합돌기(115)가 각기 각을 이루는 쇄기형태로 이루어진 케이블컨넥터를 보이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b)도에서와 같이 상하부 컨넥터몸체(100)가 균일한 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컨넥터몸체(100)의 상하 양면에 구성되는 결합돌기(115) 및 걸림홈부(114)의 간격을 균일하게 형성시켜, 조립되는 양몸체중 하부체의 결합돌기(115)와, 상부체의 결합돌기(115)간 공간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또다른 결합형태를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로도서 절개홈(113)을 이용하여 소망의 폭과 길이로 절단되는 컨넥터몸체(100)의 외부에 길이방향으로 제공되는 한쌍의 결합수단을 형성시켜 주고 있어 이를 상하로 적층시켜 조립함으로 인해 활용성을 극대화시킨 개선된 구조의 전선 연결용 케이블컨넥터를 설명한바 있는데, 이같은 컨넥터상에 제공되는 한쌍의 결합수단, 즉 걸림홈부(114) 및 결합돌기(115)에 스톱퍼부를 제공하게 되면 한층 정돈된 양질의 컨넥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컨넥터몸체(100)의 외부에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제5도 및 제6도에 구체적으로 예시되고 있듯이 표면 일부에 제한적으로 구성하여, 걸림홈부((124) 및 결합돌기(125)가 각기 전방으로 부터 소정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면, 상하부로 적층 조립되는 양몸체는 하부몸체의 결합돌기(125)가 상부몸체의 걸림홈부(124)내로 안내되면서 끼워져, 결합턱부(125a)가 걸림홈부(124)의 내측 단턱(124a)에 닿는순간 더이상의 이동이 억제되면서 그 선단부가 일정한 형태로 가지런히 정열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컨넥터몸체(100)의 외부에 전선삽입구(1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절개홈(113)을 형성하고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있는 절개홈(113)의 사이에 결합돌기(115,125)를 돌설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돌기(115,125)의 반대면에는 다시 걸림홈부(114,124)를 요설하여 몸체에 한쌍의 결합수단을 구비하게 되는 본 고안은, 전선 상호간의 결합력 향상과 조립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게되는 한편, 증설되는 전선의 용이한 추가결합을 가능케 함으로서 기존 컨넥터의 재활용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다수개의 피복적선(11)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에 있어서, 컨넥터몸체(100)의 외부에 전선삽입구(1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절개홈(113)을 형성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구성되는 절개홈(113)사이에 결합돌기(115,125)를 돌설하며, 상기 결합돌기(115,125)의 반대면에는 걸림홈부(114,124)가 일체로 요설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컨넥터몸체(100)의 외부면에 상기 한쌍의 결합돌기(115,125)와 걸림홈부(114,124)는, 전선삽입구(112)와 평행한 수직선상에 반복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컨넥터몸체(100) 표면에 제공되는 상기 걸림홈부(124)와 결합돌기(125)가 몸체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유지한체 전방으로 부터 소정의 길이로 구성되어 내측 단턱(124a) 및 결합턱부(125a)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스톱퍼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KR92022456U 1992-11-14 1992-11-14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KR950001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456U KR950001459Y1 (ko) 1992-11-14 1992-11-14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456U KR950001459Y1 (ko) 1992-11-14 1992-11-14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702U KR940013702U (ko) 1994-06-25
KR950001459Y1 true KR950001459Y1 (ko) 1995-03-06

Family

ID=1934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456U KR950001459Y1 (ko) 1992-11-14 1992-11-14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4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096B1 (ko) * 2013-10-28 2016-03-03 구성모 정돈용 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702U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0125B (zh) 具改良式電纜線管理件之通信插頭
CN1129989C (zh) 通信电缆终接插塞
US6561838B1 (en) Connector plug and insert for twisted pair cables
EP0786834B1 (en) Modular plug guide plate
RU2137271C1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US6283768B1 (en) RJ-45 style modular connector
RU218967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US4444449A (en) Electrical connector
MXPA97007794A (en) Conex element
US4278314A (en) Connector assembly for flat cable conductors in multiple rows
US6319048B1 (en) Crimp locked wire manager for a communication plug
US6109954A (en) Strain relief apparatus for use in a communication plug
JPS62216185A (ja) コネクタ
US4610503A (en) Protective device for overhead wires containing optical fiber units
US4657330A (en) Field installable modular telephone connector
KR950001459Y1 (ko) 전선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US6368143B1 (en) Modular plug with two piece housing
US6027362A (en) Connection device for high-density parallel wire assemblies
US11296431B2 (en)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US5520549A (en) Connector apparatus, housing, and connecting element
US20050118857A1 (en)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or box
JPS58126681A (ja) 電気的コネクタモジユ−ル
GB1582011A (en) Connecting device for multicore cables
US5092792A (en) Connector for electric cables and a tool for assembling the connector
AU605712B2 (en) Cable conn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