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747B1 - Cop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p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747B1
KR950000747B1 KR1019890004754A KR890004754A KR950000747B1 KR 950000747 B1 KR950000747 B1 KR 950000747B1 KR 1019890004754 A KR1019890004754 A KR 1019890004754A KR 890004754 A KR890004754 A KR 890004754A KR 950000747 B1 KR950000747 B1 KR 95000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mode
sensor
cov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90016433A (en
Inventor
세이시 한다
아끼라 이나다
다다시 렌부쓰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94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585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630942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98959B2/en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복사장치Copier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전자복사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copying machin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 (a),(b)는 반사형 광센서가 원고대커버에 매설된 상태 및 그 반사형 광센서를 나타내는 도해도.2 (a) and 2 (b)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flective optical sensor is embedded in the platen cover and the reflective optical sensor;

제 3 도는 복수의 반사형 광센서를 배치한 한 예를 나타내는 도해도.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flective optical sensors are arranged.

제 4 도는 본 실시예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제 5 도는 반사형 광센서에 관련하는 센서를 나타내는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nsor related to the reflective optical sensor.

제 6 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2 : 원고대1: main body 2: platen glass

3 : 원고 4 : 스토퍼3: original 4: stopper

5 : 센터마크 6 : 원고대커버5: center mark 6: platen cover

6a : 반투명필름 7, 8 : 급지카세트6a: translucent film 7, 8: paper cassette

9 : 조작패널 10 : 센서커버9: operation panel 10: sensor cover

11 : 발광다이오드 12 : 포토트랜지스터11: light emitting diode 12: phototransistor

11a, 12a : 구멍 13 : 리드선11a, 12a: hole 13: lead wire

14 : CPU 15 : ROM14: CPU 15: ROM

16 : RAM 17 : I/O 인터페이스16: RAM 17: I / O Interface

18 : 센서회로 19 : 비교기18: sensor circuit 19: comparator

20 : 트랜지스터 21 : 트랜지스터20: transistor 21: transistor

22 : 비교기 23 : 비교기22: comparator 23: comparator

24 : 저항 25 : 저항24: resistance 25: resistance

26 : 저항 27 : 가변저항기26 resistance 27 variable resistor

28 : 저항 29 : 발광다이오드28: resistance 29: light emitting diode

30 : 포토트랜지스터 31 : 선택버튼30: phototransistor 31: selection button

32 : 자동급지버튼 33 : 스타트버튼32: Auto Feed Button 33: Start Button

SN1~NS5 : 광센서SN1 ~ NS5: Optical Sensor

본 발명은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원고대커버를 가지며, 복수의 반사형 광센서가 상기 원고대커버내에 매설된 전자복사기의 복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ying apparatus of an electronic copying machine having a document cover mount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a document glass on which a document is placed, and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ive optical sensors embedded in the document cover.

종래, 이와같은 복사장치의 한 예가 일본국 특개소 54-7362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 원고대커버내에 반사형 광센서가 실제로 매설된 복사기의 한 예가 "XEROX5030"(상품명)으로서 공지이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국 특개소 54-73623호 공보에 개시된 복사기와 마찬가지로, 이 제품에서는 반사형 광센서가 원고대커버내에 매설되며, 그 반사형 광센서에 의하여 원고대위에 놓인 원고사이즈를 자동적으로 검출한다. 또 이 제품에 있어서는 원고대커버가 닫혀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원고대커버의 개폐에 따라 ON/OFF되는 검출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원고대커버를 닫았을때에 그 액튜에이티(actuator)가 원고대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검출스위치가 작동한다. 따라서 그 검출스위치에 의하여 원고대커버가 닫혀진 것을 검출할 수 있다.Conventionally, an example of such a copying apparatu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4-73623. In addition, an example of a copy machine in which a reflective optical sensor is actually embedded in a document cover is known as "XEROX5030" (trade name). However, similar to the copie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4-73623, in this product, a reflective optical sensor is embedded in the document cover, and the reflective optical sensor automatically detects the size of the original placed on the original table. do. In addition, this product is equipped with a detection switch that is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cument cover to detect whether the document cover is closed or not. Therefore, when the document cover is closed, the detection switch operates as the actuator is pressed by the document gla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document cover is closed by the detection switch.

그러나, 상술한 검출스위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switch has the following drawbacks.

즉, 원고대위에 이와 같은 두꺼운 원고가 놓일때에는 원고대커버가 완전히 닫혀지지 않으므로 검출스위치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원고대커버를 닫혔음에도 불구하고 복사동작을 개시할 수 없는 오검출이 발생한다. 게다가 상술한 검출스위치는 액튜에이터를 갖는 기계적 스위치이기 때문에 그것을 원고대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원고대커버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또 특별한 기계적 스위치를 필요로 함으로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when such a thick document is placed on the platen, the platen cover is not completely closed, so the detection switch does not operate. Therefore, a misdetection occurs in which the copy operation cannot be started even when the document cover is closed. 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switch is a mechanical switch having an actuator, the platen cover structure for attaching it to the platen cover is complica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is increased by requiring a special mechanical switch.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원고사이즈 검지용 반사형 광센서를 원고대커버내에 매설한 신규한 복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copying apparatus in which a reflection type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a document size is embedded in a document co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고사이즈 검출용 반사형 광센서에 의하여 원고대커버가 닫혀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는 복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py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ocument cover is closed by a reflection type optical sensor for document size detectio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원고대커버의 개폐를 검지하기 위해 특별한 기계적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는 복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pying apparatus that does not use a special mechanical switch to detec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cument cov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원고(3)가 놓이는 원고대(2)와, 그 원고대(2)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원고대커버(6)와, 상기 원고대커버(6)내에 매설된 복수의 광학적 원고검지수단 SN1~SN5과, 상기 복수의 광학적 원고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원고대(2)위에 놓인 원고(3)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검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광학적 원고검지수단중 소정의 것에 의하여 원고대커버(6)가 닫혀진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 2 검출수단과, 상기 광학적 원고검지수단을 포함하는 센서회로(18)와, 상기 센서회로(18)를 상기 제 1 검출수단이 동작하는 제 1 모드(스텝S1) 또는 제 2 검출수단이 동작하는 제 2 모드(스텝S4)에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광학적 원고검지수단의 응답 특성은 상기 제 1 모드와 제 2 모드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ument glass 2 on which a document 3 is placed, a document cover 6 mounted to open and close with respect to the document glass 2, and the document glass. A plurality of optical document detection means SN1 to SN5 embedded in the cover 6, and firs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document 3 placed on the document table 2 by the plurality of optical document detection means; And a sensor circuit (18) comprising the secon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document cover (6) is closed by a predetermined one of the plurality of optical document detecting means, the optical document detecting means, and the sensor circuit ( 18. A mode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18) in a first mode (step S1) in which the first detection means operates or in a second mode (step S4) in which the second detection means operates, wherein the optical document detecti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means is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A block,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de.

상기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며, 본 발명은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서회로(18)가 CPU(14)에 의하여 제 1 모드(모드신호="L") 또는 제 2 모드(모드신호="H")로 설정된다. 제 1 모드(모드신호="L")에서는 센서회로(18)에 포함된 각 광센서의 전감도가 다른 것과 동일하게 설정됨과 동시에, 각 광센서인 발광소자가 드라이브(drive)된다. 따라서 제 1 모드에서는 광센서는 원고대위에 놓인 원고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제 2 모드(모드신호="H")에서는 각 광센서인 발광소자의 드라이브가 정지됨과 동시에, 특정한 광센서의 전감도가 높아지게 된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circuit 18 including the optical sensor is provided by the CPU 14 to the first mode (mode signal = "L") or the second mode (mode signal =). H "). In the first mode (mode signal = " L "), the light sensitivity of each optical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circuit 18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other,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serving as each optical sensor is driven. Therefore, in the first mode, the optical sensor can detect the size of the original placed on the original table. In the second mode (mode signal = " H "), the driv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serving as the respective optical sensors is stopped, and the sensitivity of the specific optical sensors is increased.

제 2 모드에서 원고가 원고대위에 놓인 상태로 원고대커버⑹가 닫혀져 있지 않은때 특정의 광센서는 외부광에 응답하여 검지신호를 출력한다.In the second mode, when the document cover is not closed with the document on the document table, the specific light sensor outputs a detection signal in response to external light.

다만, 나머지 광센서 각각의 전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그대로이므로, 나머지 광센서는 그 외부광에는 응답하지 않는다. 그리고 원고대커버(6)가 닫혀져 있으면 외부광은 거의 제로(zero)가 되므로 그 특정의 광센서도 검지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However, since the sensitivity of each of the remaining light sensors remains relatively low, the remaining light sensors do not respond to the external light. When the document cover 6 is closed, the external light becomes almost zero, so that the specific optical sensor does not output the detection signal.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광센서중 특정의 것의 검지신호를 참조하여 CPU(14)는 원고대커버⑹가 닫혀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PU 14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document cover is closed by referring to a detection signal of a specific one of the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참조하여, 전자복사기는 본체(1)를 포함하며, 그 상면에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되는 원고대(2)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원고대(2)의 좌측단에는 원고⑶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4)가 고작된다. 이 스토퍼(4)의 중앙에는 센터마크⑸가 표시된다. 조작자는 센터마크(5)에 원고(3)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원고(3)를 원고대(2)위에 올려놓는다. 전자복사기의 본체(1)의 상면에는 원고대(2)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원고대커버(6)가 경첩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원고대커버(6)내에는 원고(3)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형 광센서 SN1, SN2, SN3, SN4 및 SN5가 매설되어 있다. 즉, 제 2 도(a),(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광센서 SN1~SN5의 각각은 발광다이오드(11) 및 포토트랜지스터(12)가 동일평면내에 배치된 반사형 광센서로 구성된다. 이 반사형 광센서의 발광다이오드(11) 및 포토트랜지스터(12)는 발광용 및 수광용의 구멍(1a) 및 (12a)가 각각 형성된 센서커버(10)내에 수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magnetic copying machine includes a main body 1, and a document glass 2 made of a transparent glass plate is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t the left end of the document glass 2, a stopper 4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document glass is at best. The center mark #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is stopper 4. The operator places the original 3 on the original glass 2 so that the center of the original 3 coincides with the center mark 5. The document cover 6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of the electronic copying machine by a hinge so as to be openable and openable with respect to the document table 2. In the document cover 6, a plurality of reflective optical sensors SN1, SN2, SN3, SN4, and SN5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document 3 are embedded. That is, as shown in Figs. 2A and 2B, each of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is composed of a reflective optical sensor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s 11 and the phototransistors 12 are arranged in the same plane. The light emitting diodes 11 and the phototransistors 12 of the reflective optical sensor are accommodated in the sensor cover 10 in which the holes 1a and 12a for light emission and light reception are respectively formed.

이 센서커버(10), 즉 반사형 광센서가 원고대커버⑹내에 매설되며, 이 원소대커버(6)의 원고대(2)와 접촉하는 면이 백색반투명필름(6a)에 의하여 덮혀 있다.This sensor cover 10, i.e., a reflective optical sensor, is embedded in the document cover cover, and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ocument table 2 of the element cover 6 is covered with a white semitransparent film 6a.

따라서, 반사형 광센서의 발광다이오드(11)로부터의 광은 반투명필름(6a)을 투과하여 원고대(2)위에 놓여진 원고(3)에 의하여 반사되며, 그 반사광이 포토트랜지스터(12)에 입사된다. 포토트랜지스터(12)에 의하여 광을 검지했을 때 포토트랜지스터(12)로부터 검지신호가 리드선(13)을 통해서 출력된다. 이와같은 광센서SN1~SN5는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광센서 SN1~SN5의 어느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하여 원고대(2)위에 놓인 원고사이즈 A4, B5, A4, B5R, A4R, B4 및 A3을 검지한다. 만약 광센서 SN2~SN5의 전체로부터 검지신호가 출력되면 사이즈 A3가 검지된다. 마찬가지로 사이즈 B4는 광센서 SN1~SN5에 의하여 검지되며, 사이즈 A4R는 광센서 SN2~SN4에 의하여 검지되며, 사이즈 A4 는 광센서SN3~SN5에 의하여 검지되며, 사이즈 B5R는 광센서 SN3 및 SN4에 의하여 검지되며, 사이즈 B5는 광센서 SN4 및 SN5에 의하여 검지되며, 그리고 사이즈 A5는 광센서 SN4에 의하여 검지된다. 반사형 광센서의 이와 같은 배치는 적절히 변경가능하다.Therefore,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11 of the reflective optical sensor is transmitted by the document 3 placed on the document glass 2 through the translucent film 6a, and the reflected light is incident on the phototransistor 12. do. When light is detected by the phototransistor 12, a detec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phototransistor 12 through the lead wire 13. Such optical sensors SN1 to SN5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document sizes A4, B5, A4, B5R, A4R, B4 and A3 placed on the document glass 2 are detected by one or more of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If a detection signal is output from all of the optical sensors SN2 to SN5, size A3 is detected. Similarly, size B4 is detected by light sensors SN1 to SN5, size A4R is detected by light sensors SN2 to SN4, size A4 is detected by light sensors SN3 to SN5, and size B5R is detected by light sensors SN3 and SN4. It is detected, size B5 is detected by light sensors SN4 and SN5, and size A5 is detected by light sensors SN4. This arrangement of the reflective optical sensor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다시, 제 1 도로 되돌아가서, 전자복사기의 본체(1)의 바로 앞측에는 조작패널(9)이 형성되며, 이 조작패널(9)에는 자동급지버튼(31)이 설치되어 있다.Returning to the first road again, an operation panel 9 is formed just in front of the main body 1 of the electronic copying machine, and the operation panel 9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feeding button 31.

이 자동급지버튼(32)은 복사기 본체⑴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급지카세트⑺ 또는 ⑻로부터 종이를 자동적으로 공급할 것인지 또는 수동적으로 종이를 공급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자동급지버튼(32)이 조작되었을 때 광센서 SN1~SN5에 의하여 검지된 원고사이즈와 같은 사이즈의 종이가 급지카세트⑺ 또는 ⑻로부터 자동적으로 공급된다.The automatic feeding button 32 is a button for selecting whether to automatically feed paper or to manually feed paper from the paper feed cassettes or papers detachab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copier main body. When this automatic feed button 32 is operated, paper of the same size as the original size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is automatically supplied from the paper cassettes X or Y.

상기한 조작패널(9)에는 또 급지카세트(7) 또는 (8)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31) 및 복사동작의 개시를 지령하기 위한 스타트버튼(33)가 설치되어 있다.The operation panel 9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lection button 31 for selecting the paper feed cassette 7 or 8 and a start button 33 for commanding the start of the copy operation.

제 4 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복사기는 CPU(14)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CPU⒁에 접속된 제어프로그램등을 격납해두기 위한 ROM(15)과, CPU(14)에 의한 제어 때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고 동시에 제어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플래그영역을 갖는 RAM(16) 및 I/O 인터페이스(17)를 포함한다. 상기한 I/O 인터페이스(17)의 입력포트에는 먼저 설명한 광센서 SN1~SN5을 포함하는 센서회로(18)로부터의 센서입력 및 자동급지버튼(32)로부터의 버튼압력이 접속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opying machine of this embodiment i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including a CPU 14. As shown in FIG. The microcomputer has a ROM 15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connected to the CPU ', etc., and a RAM 16 having various flag areas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and controlling at the same time during control by the CPU 14. ) And I / O interface 17. The input port of the I / O interface 17 is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from the sensor circuit 18 including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described above and the button pressure from the automatic feed button 32.

상시한 I/O 인터페이스(17)의 출력포트에는 센서회로(18)의 모드를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에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CPU⒁로부터 출력된 모드신호가 출력된다. 또 ROM(15)에는 제 3 도에 나타내는 각 원고사이즈등에 광센서 SN1~SN5로부터의 센서입력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이 미리 기억되어 있어, 센서입력을 받았을 때 CPU(14)는 그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원고사이즈를 판정한다.At the output port of the constant I / O interface 17, a mode signal output from the CPU 'is output to selectively set the mode of the sensor circuit 18 to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In the ROM 15, a data table indicating the sensor input state from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is stored in advance in each document size shown in FIG. 3, and when the sensor input is received, the CPU 14 The original size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data table.

제 5 도에는 센서회로(18)가 상세히 나타나 있다. 이 제 5 도에 있어서의 광센서 SN3~SN5에 관련하는 회로는 광센서 SN2의 회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5, the sensor circuit 18 is shown in detail. Since the circuits related to the optical sensors SN3 to SN5 in FIG. 5 are the same as the circuits of the optical sensors SN2, illustration is omitted.

따라서, 여기서는 광센서 SN1 및 SN2와 그들에 관련하는 회로만을 설명하지만, 광센서 SN3~SN5에 대하여도 광센서 SN2와 동일한 것이다.Therefore, although only th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and the circuits related thereto are described here, the optical sensors SN3 to SN5 are the same as the optical sensors SN2.

광센서 SN1 및 SN2의 포토트랜지스터(30)로부터의 출력은 각각 비교기(22) 및 (23)의 (+)단자에 접속된다.The outputs from the phototransistors 30 of th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are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s of the comparators 22 and 23, respectively.

상기한 비교기 (22) 및 (23)의 (-)단자에는 저항(24) 및 (25)에 의하여 결정되는 기준전압 약 2.5V가 인가된다.A reference voltage of about 2.5 V determined by the resistors 24 and 25 is applied to the negative terminals of the comparators 22 and 23 described above.

상기한 비교기(22) 및 (23)는 (+)단자로부터의 입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은때 "H"를 출력하고, 입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은때 "L"를 출력한다.The comparators 22 and 23 output "H" when the input voltage from the (+) termina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output "L" when the in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상기한 비교기 (22) 및 (23)의 출력은 센서입력으로서 I/O 인터페이스(17)를 통해서 CPU⒁(제 4 도)에 입력된다.The outputs of the comparators 22 and 23 described above are input to the CPU '(FIG. 4) via the I / O interface 17 as sensor inputs.

즉, 광센서 SN1 및 SN2의 포토트랜지스터(30)에 광이 입사되지 않을 때, 그 포토트랜지스트(30)는 차단(cut-off)상태가 되어 비교기(22) 및 (23)의 입력전압은 약 5V가 된다. 따라서, 센서 입력은 "H"가 된다. 또 포토트랜지스터(30)에 광이 입사되었을 때, 그 포토트랜지스터(30)는 입사된 광의 세기에 따라 도통된다. 따라서, 소정이상의 강한 광이 포토트랜지스터(30)에 입력되었을 때 비교기(22) 및 (23)의 입력전압은 기준전압보다 낮게되어 I/O 인터페이스(17)에는 "L"의 센서입력이 얻어지게 된다.That is, when light is not incident on the phototransistors 30 of th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the phototransistor 30 is cut-off and the input voltages of the comparators 22 and 23 are It is about 5V. Therefore, the sensor input becomes "H". When light is incident on the phototransistor 30, the phototransistor 30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intensity of the incident light. Therefore, when a predetermined or more strong light is input to the phototransistor 30, the input voltages of the comparators 22 and 23 are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so that the sensor input of "L" is obtained at the I / O interface 17. do.

또한, 광센서 SN1 및 SN2에 포함하는 포토트랜지스터(30)의 출력에는 각각 가변저항기(27) 및 저항(28)가 접속된다. 이 가변저항기(27)는 이 광센서 SN1 및 SN2의 전감도를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가변저항기(27)의 저항치가 큰때, 포토트랜지스터(3)와 가변저항기(27)과에 의하여 분할되는 전압이 작아지게 된다.In addition, a variable resistor 27 and a resistor 28 are connected to the outputs of the phototransistors 30 included in the photosensors SN1 and SN2, respectively. This variable resistor 27 is used to adjust the overall sensitivity of th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That is, when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27 is large, the voltage divided by the phototransistor 3 and the variable resistor 27 becomes small.

그 때문에, 포토트랜지스터(30)에 입사되는 광의 광강도가 작아져도 비교기(22) 및 (23)로부터 "L"의 검지신호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가변저항기(27)의 저항치를 크게 하면, 광센서 SN1 및 SN2의 각각의 전감도가 커지게 된다. 역으로 가변저항기(27)의 저항치를 작게 하였을 때 포토트랜지스터(30)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지게 되어 광센서 SN1 및 SN2의 전감도는 작아지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phototransistor 30 decreases, the detection signals of "L" are obtained from the comparators 22 and 23. In this way, when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27 is increased, the total sensitivity of each of th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when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27 is reduced, the voltage applied to the phototransistor 30 becomes large, and thus the overall sensitivity of th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is reduced.

상기한 I/O인터페이스(17)를 통해서 CPU⒁로부터 출력되는 모드신호가 "L"인때, 센서회로(18)은 제 1 모드에 설정된다. 이 제 1 모드는 광센서 SN1~SN5에 의하여 원고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이다. 제 1 모드에서는 비교기(19)의 출력은 "L"이 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21)가 ON된다. 이 상태에서는 광센서 SN1 및 SN2 각각의 전감도는 가변저항기(27)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모든 광센서 SN1~SN5의 전감도가 동일하게 설정된다.When the mode signal output from the CPU 'through the I / O interface 17 described above is " L ", the sensor circuit 18 is set to the first mode. This first mode is a mode for detecting the original size by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In the first mod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9 is " L ", so that the transistor 21 is turned ON. In this state, since the total sensitivity of each of th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is determined by the variable resistor 27, the total sensitivity of all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is set to be the same.

또, 모드신호가 "L"인때, 즉 제 1 모드인때 비교기(19)로부터의 출력 "L"에 의하여 트랜지스터(20)가 ON되기 때문에 각 광센서 SN1 및 SN2의 발광다이오드(29)에 대하여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광센서 SN1~SN5는 자기의 발광다이오드(29)로부터의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에 응답한다. 따라서, 원고대(2) 위의 원고(3)(제 1 도)의 사이즈를 검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mode signal is "L", that is, in the first mode, the transistor 20 is turned on by the output "L" from the comparator 19, so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s 29 of the respectiv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are turned on. Voltage is applied. The photosensors SN1 to SN5 thus respond to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original from their light emitting diodes 29. Therefore, the size of the document 3 (FIG. 1) on the document table 2 can be detected.

한편, CPU(14)로부터의 모드신호가 "H"인때 센서회로(18)는 제 2 모드에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e signal from the CPU 14 is " H ", the sensor circuit 18 is set to the second mode.

이 제 2 모드는 광센서 SN1에 의하여 원고대커버(6)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이다. 제 2 모드에서는 비교기(19)의 출력은 "H"로 되어 트랜지스터(20)가 OFF되며, 광센서 SN1 및 SN2의 발광다이오드(29)는 드라이브되지 않는다. 이때 트랜지스터(21)도 또 OFF되기 때문에 센서 SN1의 가변저항기(27)에 직렬로 저항(26)이 접속되는 것이 되며, 따라서 광센서 SN1의 전감도가 커지게 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29)는 드라이브 되어 있지 않으므로, 포토트랜지스터(30)에 입사되는 광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이 아니고 외부광이다. 통상 이 외부광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보다도 약하므로, 전감도가 커진 광센서 SN1만이 이 외부광을 검출할 수 있다.This second mode is a mode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cument cover 6 by the optical sensor SN1. In the second mod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9 is " H " so that the transistor 20 is turned off,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29 of the optical sensors SN1 and SN2 are not driven. At this time, since the transistor 21 is also turned off, the resistor 26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variable resistor 27 of the sensor SN1, so that the overall sensitivity of the optical sensor SN1 is increased. At this time, since the light emitting diodes 29 are not driven, the light incident on the phototransistor 30 is external light, not reflected light from the original. Usually, the external light is weaker than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original, so only the optical sensor SN1 having a high sensitivity can detect this external light.

따라서, 제 2 모드에서 광센서, 즉 비교기(22)로부터 "L"의 검지신호가 얻어진 때는 원고대커버(6)(제 1 도)는 열려있다. 만약 원고대커버(6)가 완전히 닫혀있으면 외부광은 제로(zero)가 되며, 따라서 광센서 SN1, 즉 비교기(22)로부터의 센서입력 "H"가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센서회로(18)를 제 2 모드를 설정했을 때, 광센서 SN1에 의하여 원고대커버(6)가 닫혀진 것을 검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L" is obtained from the optical sensor, that is, the comparator 22 in the second mode, the document cover 6 (FIG. 1) is open. If the document cover 6 is completely closed, the external light becomes zero, and thus the sensor input " H " from the optical sensor SN1, that is, the comparator 22. In this manner, when the sensor circuit 18 is set in the second mode,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document cover 6 is closed by the optical sensor SN1.

제 6 도를 참조하여, 최초의 스템 S1에 있어서, CPU⒁(제 4 도)는 모드신호를 "L"로 한다. 그것에 의하여 제 5 도에 나타내는 센서회로(18)가 원고사이즈 검지상태, 즉 제 1 모드에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first stem S1, the CPU '(Fig. 4) sets the mode signal to " L ". Thereby, the sensor circuit 18 shown in FIG. 5 is set to the original size detection state, that is, the first mode.

계속해서, 스텝 S2에 있어서, 광센서 SN3 또는 SN4가 ON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 즉, 비교기(22)로부터의 센서입력이 "L"로 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ubsequently, in step S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tical sensor SN3 or SN4 is ON or not, that is, whether or not the sensor input from the comparator 22 is " L ".

상기한 광센서 SN3 또는 SN4는 전술한 바와같이 작은 원고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원고대(2)위에 원고가 놓여져 원고대커버⑹가 닫혀지면 광센서 SN3 또는 SN4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이 반드시 ON하므로, 이 광센서 SN3 또는 SN4으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원고대⑵상에 원고⑶가 놓여진 것을 검지할 수 있다.Since the optical sensor SN3 or SN4 is arranged at a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a small document size as described above, if the original is placed on the document glass 2 and the document cover is closed, the optical sensor SN3 or SN4 Since either or both of them are always 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document is placed on the original table by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optical sensor SN3 or SN4.

스템 S2에 있어서 "YES"로 판단되었을 때, 스템 S3에 있어서 ROM(15)의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그때의 광센서 SN1~SN5로부터의 센서입력 데이터 패턴이 원고사이즈를 표시하고 있는지 아니지의 여부 즉, 그때의 센서입력 데이터 패턴과 ROM(15) 테이블의 데이터 패턴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3에 있어서 "NO"로 판단되었을 때 원고가 바르게 세트되어 있지 않은지 또는 원고대커버⑹가 완전히 닫혀있지 않는등의 상태이므로, 본 동작은 다시 스텝 S2로 되돌아 간다.When it is judged as "YES" in the stem S2, whether or not the sensor input data pattern from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at that time refers to the original size by referring to the data table of the ROM 15 in the stem S3,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nsor input data pattern at that time and the data pattern in the ROM 15 table match. When it is judged in " NO " in this step S3, the document is not set correctly or the document cover is not completely closed. This operation returns to step S2.

그리고, 스텝 S3에 있어서 "YES"로 판단되었을 때, 즉 원고사이즈를 검지했을 때 스텝 S4에 있어서 CPU(14)는 모드신호를 "H"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먼저 설명한 바와같이 센서회로(18)는 제 1 모드가 아니고 제 2 모드가 된다. 따라서 CPU(14)는 계속해서 스텝 S5에 있어서 제 5 도에 나타내는 관센서 SN1로부터의 센서입력이 "H"인지 아닌지의 여부 즉, 광센서 SN1이 OFF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원고대커버(6)(제 1 도)가 완전히 닫혀져 있으면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광센서 SN1의 검출신호는 "H"가 된다. 따라서 원고대커버(6)가 닫혀져 있지 않으면, 광센서 SN1은 ON 그대로이며, 본 동작을 다시 스텝 S1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 S5에 있어서, "YES"인때 동작은 다음의 스텝 S6으로 진행한다.When it is judged as "YES" in step S3, that is, when the document size is detected, in step S4, the CPU 14 sets the mode signal to "H". 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circuit 18 is not the first mode but the second mode. Therefore, the CPU 14 subsequent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nsor input from the tube sensor SN1 shown in FIG. 5 is "H" in step S5, that is, whether or not the optical sensor SN1 is OFF. If the document cover 6 (FIG. 1) is completely close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ptical sensor SN1 becomes "H" as described earlier. Therefore, when the document cover 6 is not closed, the optical sensor SN1 remains ON, and the operation returns to step S1 again. In step S5, the operation proceeds to the next step S6 when it is "YES".

이와 같이 스텝 S5에 있어서, 광센서 SN1의 OFF를 확인함에 따라서 스템 S2 및 S3에서 비교적 강한 외부광에 의하여 광센서 SN1~SN5가 오동작했을 때에도 실수로 원고사이즈가 판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Thus, in step S5, by confirming OFF of optical sensor SN1, even if optical sensor SN1-SN5 malfunction by the comparatively strong external light in stem S2 and S3, it can prevent that a document size is mistakenly determined.

스텝 S6에서는 스텝 S3에 있어서 검출된 원고사이즈와 같은 종이를 수납한 급지카세트(7) 또는 (8)(제 1 도)를 선택한다.In step S6, the paper feeding cassette 7 or 8 (FIG. 1) which accommodated the same paper as the original size detected in step S3 is selected.

이때 검지한 원고사이즈와 일치하는 종이가 되면 그것이 조작패널(9)(제 1 도)의 표시부(도시생략)에 표시된다.At this time, when the paper is matched with the detected document size,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not shown) of the operation panel 9 (FIG. 1).

다음 스텝 S7에서, CPU(14)는 모드신호를 "L"로 다시 전환해서 센서회로(18)를 제 1 모드에 설정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광센서 SN1~SN5로부터의 센서입력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next step S7, the CPU 14 switches the mode signal back to " L " to set the sensor circuit 18 to the first mode. In step S8,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change has occurred in the sensor inputs from the optical sensors SN1 to SN5.

만약 변화가 있으면 동작은 스텝 S2로 되돌아가 스텝 S2~S7을 반복한다.If there is a change, the operation returns to step S2 and repeats steps S2 to S7.

이것은 원고대커버(6)가 열려진 것을 검지하기 위한 트리거(trigger)가 된다. 즉, 전술한 스텝 S2~S7에 의하여 어떤 사이즈의 원고가 원고대(2) 위에 놓인 동시에 원고대커버(6)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 후, 원고대커버(6)가 열려버리면 복사동작을 개시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스텝 S8에서, 센서회로(18)로부터의 센서입력에 변화가 일어났을때는 스텝 S2~S7를 반복하도록 한 것이다. 또 원고대커버(6)를 닫았을 때 센서입력이 불안정하게 됨에 따라 만약 원고사이즈를 실수로 검출하여도 스텝 S2~S7를 반복함에 따라 바른 원고사이즈를 알수 있다.This is a trigger for detecting that the document cover 6 is open. That is, after detecting that the document cover 6 is closed at the same time that the document of any size is placed on the document glass 2 by the above-described steps S2 to S7, the copy operation is started when the document cover 6 is opened. Can't. Therefore, in step S8, when a change occurs in the sensor input from the sensor circuit 18, steps S2 to S7 are repeated. In addition, since the sensor input becomes unstable when the document cover 6 is closed, the correct document size can be known by repeating steps S2 to S7 even if the document size is accidentally detected.

광센서 S8에 있어서 센서압력에 변화가 없는 것을 판단하면, 스텝 S9에 있어서, CPU(14)는 자동급지버튼(32)가 조작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 즉 자동급지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sensor pressure in the optical sensor S8, in step S9 the CPU 1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feed button 32 is operated, that is,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feed mode is set. Judge.

자동급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스텝 S10을 지나지 않고 복사동작을 개시시켜 스텝 S11로 진행한다. 또한 자동급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0에 있어서 스타트버튼(33)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스타트버튼(33)이 조작되면 복사동작을 개시시켜 스텝 S11로 진행한다.When the automatic paper feed mode is set, the copy operation is started without passing through step S10 to proceed to step S11. If the automatic paper feed mode is not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tart button 33 has been operated in step S10. If the start button 33 is operated, a copy operation is started to proceed to step S11.

이와 같이 해서 사용자가 조작패널(9)를 조작하여 복사동작을 개시한 후에도, 급지가 시작될때까지 원고대커버(6)를 닫으면 원고사이즈와 같은 사이즈의 종이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manner, even after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panel 9 to start the copying operation, the document cover 6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by closing the document cover 6 until the feeding starts.

본 발명에 의하면, 원고대커버내에 매설한 원고사이즈 검출용 반사형 광센서에 의하여 원고대커버의 개폐여부를 검지함으로서, 원고대커버의 개폐동작중이나 두꺼운 원고인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오검지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외란광등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는 복사장치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whether the document cover is opened or closed by the original type cover reflective optical sensor embedded in the document cover, it is easy to generate an error in an unstable state that is likely to occur dur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cument cover or a thick document. It is a copy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detection and prevent the false detection by the disturbance light.

또한, 원고대커버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특별한 기계적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은 부품수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저렴한 복사장치가 얻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pecial mechanical switch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cument cover, an inexpensive copying apparatus having a simple structure with a small number of parts is obtained.

Claims (1)

원고(3)가 놓이는 원고대(2)와, 그 원고대(2)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원고대커버(6)와, 상기 원고대커버(6)내에 매설된 복수의 광학적 원고검지수단 SN1~SN5과, 상기 복수의 광학적 원고검지수단 SN1~SN5에 의하여 상기 원고대(2) 위에 놓인 원고(3)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검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광학적 원고검지수단중 소정의 것에 의하여 원고대커버(6)가 닫혀진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 2 검출수단과, 상기 광학적 원고검지수단을 포함하는 센서회로(18)와, 상기 센서회로(18)를 상기 제 1 검출수단이 동작하는 제 1 모드(스텝S1) 또는 제 2 검출수단이 동작하는 제 2 모드 (스텝S4)에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광학적 원고검지수단의 응답특성은 상기 제 1 모드와 제 2 모드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장치.The document glass 2 on which the document 3 is placed, the document cover 6 mounted on the document glass 2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d, and a plurality of optical document detecting means embedded in the document cover 6. Firs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document 3 placed on the document table 2 by SN1 to SN5 and the plurality of optical document detection means, and a plurality of optical document detection means; The secon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document cover 6 is closed by the sensor, the sensor circuit 18 including the optical document detecting means, and the first detecting means operating the sensor circuit 18. And mode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in a first mode (step S1) or a second mode (step S4) in which the second detection means operates, where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document detecting means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mode. A cop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in the second mode.
KR1019890004754A 1988-04-10 1989-04-10 Copying apparatus KR9500007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94208 1988-04-10
JP88-94208 1988-04-10
JP?63-94209 1988-04-10
JP?63-94210 1988-04-10
JP88-94210 1988-04-10
JP88-94209 1988-04-10
JP9421088 1988-04-15
JP63094209A JP2645853B2 (en) 1988-04-15 1988-04-15 Paper feed control method
JP63094208A JP2598959B2 (en) 1988-04-15 1988-04-15 Platen cover closure detection method
JP17300288 1988-07-12
JP88-173002 1988-07-12
JP?63-173002 1988-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33A KR890016433A (en) 1989-11-29
KR950000747B1 true KR950000747B1 (en) 1995-01-28

Family

ID=2746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754A KR950000747B1 (en) 1988-04-10 1989-04-10 Cop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74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33A (en) 198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840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hotosensors for detecting original size
EP0220022A2 (en) Document size detection apparatus
US510507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verlapped paper sheet feed
US4939553A (en) Original detection apparatus
KR950000747B1 (en) Copying apparatus
US496767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end of cloth-overlap on a sewing machine
JP2598959B2 (en) Platen cover closure detection method
KR930003615B1 (en) Optical apparatus for detecting document size for use in a copying apparatus
JP2645853B2 (en) Paper feed control method
JPH02132472A (en) Automatic document size detecting method and copy start controller of copying machine
JPS5895367A (en) Original sheet size detecting method in copying machine
KR10023311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aper of printer
JPS60256078A (en) Paper detection apparatus
JPH043271Y2 (en)
JP2887841B2 (en) Paper feeder for printing press
JP3570690B2 (en) Document size detector
JPH0569985A (en) Paper feeding device
JPH0714268Y2 (en) Paper cassette type detection device
JPS6273248A (en) Copying device
KR910005593B1 (en) Automatic sensing apparatus of manuscript size
JPH04274419A (en) Image forming device
KR100509463B1 (en) Paper Sensor of Printer
JPH0664304B2 (en) Document size detector
JPH0827583B2 (en) Copier equipped with document size detector
JPH03138633A (en) Image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