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38Y1 - Power control apparatus for peripheral equipments - Google Patents

Power control apparatus for peripheral equip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38Y1
KR950000438Y1 KR92015238U KR920015238U KR950000438Y1 KR 950000438 Y1 KR950000438 Y1 KR 950000438Y1 KR 92015238 U KR92015238 U KR 92015238U KR 920015238 U KR920015238 U KR 920015238U KR 950000438 Y1 KR950000438 Y1 KR 950000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power
terminal
p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2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06222U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김영수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92015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438Y1/en
Priority to US08/104,202 priority patent/US5486726A/en
Publication of KR940006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22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38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Power Control of Computer Peripherals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1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고안은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말하자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한동안 작업을 중지할 경우에 자동으로 주변기기로 인가되는 교류 입력전원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작업을 다시 시작하는 경우에 교류 입력전원을 주변기기로 다시 공급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stops working for a while using a computer, the AC input power applied to the peripheral device is automatically cut off and the user does not 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device of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which supplies AC input power back to a peripheral device when restarting.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니터(monitor)나 프린터(printer) 등과 같은 주변기기의 수요도 함께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As the spread of personal computers spreads, the demand for peripheral devices such as monitors and printers, which are almost essential for the proper use of personal computers, is also increasing.

상기한 모니터나 프린터 등과 같은 종래이 주변기기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한동안 작업을 중지할 경우에, 사용자가 주변기기로 인가되는 교류 입력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을 잊게 되면 주변기기로 계속해서 교류 입력전원이 인가되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peripherals such as a monitor or a printer may be used as peripheral devices if the user forgets to turn off the power switch to cut off the AC input power applied to the peripheral device when the user stops working for a while while working with the comput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C input power is continuously applied.

이러한 단점은 사용자가 주변기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변기기에 의해서 공연히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This disadvantage causes a problem in that power is wasted by the peripheral device even though the user is not using the peripheral device.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신호가 모니터에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모니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는 회로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번호 제91-3424호(출원일자 : 서기 1987년 12월 31일)의 "TV의 전원 자동 제어회로"나, 동 공고번호 제91-3423호(출원일자 : 서기 1987년 12월 31일)의 "모니터의 전원 자동 오프회로"나, 동 공고번호 제90-8961호(출원일자 : 서기 1985년 11월 29일)의 "모니터 전원 자동 차단회로"에서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a technique for preventing a waste of power by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monitor when a video signal is not input to the monitor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91-3424 ( Filed Date: December 31, 1987 AD "Automatic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of TV" or Publication No. 91-3423 (Application date: December 31, 1987 AD) Automatic power off circuit of monitor "B, Automatically Power Off Circuits for Monitors" of Publication No. 90-8961 (filed date: November 29, 1985 AD).

상기한 "TV의 전원 자동 제어회로"는 모니터의 영상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유무에 따라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Swiching Mode Power Supply, SMPS)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동작특성을 가지며, 또한 상기한 "모니터의 전원 자동 오프회로"는 모니터와 연결된 컴퓨터에서 영상신호가 나오지 않을때 모니터의 전원을 자동 오프시키도록 하는동작특성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한 "모니터 전원 자동 차단회로"는 시스템 사용중 일정시간 이상 키보드의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모니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고 키보드의 입력이 다시 가해지면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공급시켜주는 동작특성을 갖는다.The " TV power control circuit "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ing transistor of th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ideo signal applied to the video input terminal of the monitor. Has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monitor, and the "automatic power off circuit of the monitor" has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monitor when no image signal is output from a computer connected to the monitor. An automatic monitor power cut-off circuit automatically shuts off power to the monitor when the keyboard input is not appli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system is in use, and provides power to the monitor when the keyboard input is applied again. Has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TV의 전원 자동 제어회로"는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TV와는 달리, 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고 있지는 않더라도 영상신호는 계속 모니터로 입력되고 있는 특성을 가진 컴퓨터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또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가 아닌 모니터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of the TV" cuts off the power of the monitor provided by th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hen the video signal is not input, unlike the TV, and inputs data through the input device Although not, the video signal is difficult to apply to a computer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monitor, and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monitor that is not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또한 상기한 "모니터의 전원 자동 오프회로"역시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TV와는 달리, 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고 있지는 않더라도 영상신호가 계속 모니터로 입력되고 있는 특성을 가진 컴퓨터에 적용하는 것이 무의미한 점이 있고, 또한 모니터와 같이 데이터의 전송이 직렬로 이루어지는 장치에만 적용이 가능해 프린터와 같이 데이터의 전송이 병렬로 이루어지는 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TV, the " monitor auto-off circuit " also cuts off the power when the video signal is not input. Therefore, the video signal is continuously inputted to the monitor even though data is not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It is pointless to apply to a computer having a characteristic, and it is also difficult to apply to a device in which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parallel, such as a printer, because it can be applied only to a device in which data transmission is serial, such as a monitor.

그리고 상기한 "모니터 전원 자동 차단회로"는, 시스템에서 키보드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회로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있으나, 이와 같이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구체적인 수단에 대한 언급이 되어 있지를 않은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scription of the " monitor automatic power off circuit " describes a configuration of a circuit that detects when data is not input from the keyboar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ystem, the power of the monitor using the detected signal is turned on. There is a drawback not to mention specific means of blocking.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한동안 작업을 중지할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나 프린터와 같은 주변기기로 인가되는 교류 입력전원을 차단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주변기기로 인가되는 교류 입력전원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다시 시작하기 위하여 입력장치를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입력시킬 경우에 교류 입력전원을 주변기기로 다시 공급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when the user stops working for a while while using a computer, the user directly cuts off AC input power applied to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or a printer. Computer that supplies AC input power back to peripheral device automatically when AC input power to peripheral device is cut off and user inputs data to computer system through input device in order to restart work by using 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a peripheral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오랜동안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나 사용자가 작업을 다시 시작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데이터 신호선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시스템과; 상기한 시스템과 데이터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의 출력신호에 따라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교류 입력전원의 차단을 제어하는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로 이루어진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detects this when data is not input from the user for a long time through the input device or when the user resumes work and outputs the data to the outside through the data signal line. and; The peripher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data signal line and the peripheral device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terruption of the AC input power supplied to the periphera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system.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be described in detail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면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Figure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ntrol device of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구성은, 시스템 전원 플러그(10)에 연결된 시스템 전원 스위치(20)와, 시스템 전원 스위치(20)에 연결된 시스템 소케트(20)와, 시스템 전원 스위치(20)에 입력단이 연결된 시스템 정류 평활부(40)와, 시스템 정류 평활부(4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 시스템(50)과, 주변기기 전원 플러그(60)에 연결된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와, 시스템(50)과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와,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 주변기기 정류 평활부(9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control device of the computer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power switch 20 connected to the system power plug 10, and a system socket connected to the system power switch 20 ( 20), a system rectification smoothing unit 40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the system power switch 20, a system 50 having an inpu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ystem rectifying smoothing unit 40, and a peripheral power plug 60 connected thereto. Peripheral device power switch 70, a peripheral device power control unit 80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ystem 50 and the peripheral device power switch 70, and a peripheral device rectification smoothing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eripheral device power control unit 80 ( 90).

상기한 시스템(50)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직렬포트 감지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 선택 신호선과 어드레스 신호와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로부터 입출력 장치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해내는 입출력 감지 PAL(Programmable Array Logic)과; 입출력 감지 PAL의 칩선택 신호와 데이터 신호와 자연시간 신호와 상태 신호로부터 내부의 상태와 동작을 감지하여 지연시간 신호와 하드웨어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내부동작 감지 PAL과; 입출력 감지 PAL의 입출력장치 사용감지 신호와 내부동작 감지 PAL의 지연시간 신호 및 하드웨어 디스에이블 신호와 리세트 신호와 입출력장치 독출 신호로부터 입출력장치가 일정시간 사용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외부 입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어 PAL과; 제어 PAL로부터 카운터 클리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클리어되면서 카운팅 동작을 계속하고 현재의 카운팅값 신호를 제어 PAL로 전송하는 카운터(counter)로 이루어진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50 is not shown in the figure, an input / output detection PAL that detects whether an input / output device is currently used from a serial port detection enable signal, an address selection signal line, an address signal, and an address enable signal. Programmable Array Logic; An internal operation detection PAL for detecting internal states and operations from chip select signals, data signals, natural time signals, and state signals of the input / output detection PAL and outputting a delay time signal and a hardware disable signal; I / O detection PAL I / O device usage detection signal and internal operation detection PAL delay time signal, hardware disable signal, reset signal and I / O device read signal are detected when the I / O device is not in use for a certain time to external I / O device. A control PAL to output; When the counter clear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PAL, the counter is cleared and the counting operation is continued, and a counter is provided to transmit the current count value signal to the control PAL.

상기한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의 구성은,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의 출력단자에 스위치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전원전압(Vcc)에 코일 입력단자가 연결된 릴레이(RL81)와, 릴레이(RL81)의 코일 출력단자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전원전압(Vcc)에 캐소드가 연결된 다이오드(D81)와, 릴레이(RL81)의 코일 출력단자에 한쪽단자가 연결된 저항(R81)과, 시스템(50)의 출력단자에 한쪽단자가 연결된 저항(R82)과, 저항(R81)의 다른 한쪽단자에 수광 트랜지스터의 컬렉터가 연결되고 저항(R82)의 다른 한쪽단자에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가 연결되고 나머지 단자는 접지된 광결합 소자(PC81)로 이루어진다.The configuration of the peripheral power supply control unit 80 includes a relay RL81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eripheral power switch 70 and a coil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a relay RL81. A diode D81 having an anode connected to the coil output terminal and a cathod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 resistor R81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il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RL81,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system 50. An optical coupling element in which a resistor R82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hereto, a collector of a light receiving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resistor R81, an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resistor R82, and the other terminal being grounded (PC81).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trol device of the computer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시스템 전원 플러그(10)로부터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상기한 입력 교류전원이 입력 커패시터(C1, C2)를 거쳐 시스템 전원 스위치(20)로 인가된다.When AC power is input from the system power plug 10, the input AC power is applied to the system power switch 20 via the input capacitors C1 and C2.

이 경우에 사용자가 시스템 전원 스위치(20)를 온시키면 시스템 전원 스위치(20)를 통과한 교류전원이 시스템 소케트(30)와 시스템 정류 평활부(40)로 인가되고, 시스템 정류 평활부(40)에 의해 정류 평활된 직류전원(DC)이 시스템(50)에 인가됨으로써 시스템이 동작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turns on the system power switch 20, the AC power passing through the system power switch 20 is applied to the system socket 30 and the system rectification smoothing unit 40, and the system rectifying smoothing unit 40. The system operates by applying the rectified smooth DC power source DC to the system 50.

그러나 사용자가 시스템 전원 스위치(20)를 오프시키면, 시스템 전원 스위치(20)를 통해 시스템 소케트(30)와 시스템 정류 평활부(40)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이 차단된다.However, when the user turns off the system power switch 20,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socket 30 and the system rectification smoothing unit 40 through the system power switch 20 is cut off.

주변기기 전원 플러그(60)는 시스템 소케트(3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독립된 별도의 소케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주변기기 전원 플러그(60)가 시스템 소케트(30)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스템 전원 스위치(30)를 온시킨 뒤에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를 온시키면 주변기기 전원 플러그(60)를 통해 교류전원이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로 인가되고, 주변기기 전원 플러그(60)가 독립된 별도의 소케트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를 온시키면 주변기기 전원 플러그(60)를 통해 교류전원이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로 인가된다.The peripheral power plug 60 may be connected to the system socket 30, or may be connected to an independent separate socket (not shown). When the peripheral power plug 60 is connected to the system socket 30, when the user turns on the system power switch 30 and then turns on the peripheral power switch 70, AC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eripheral power plug 60. When the peripheral device power control unit 80 is applied, and the peripheral device power plug 60 is connected to a separate separate socket, when the user turns on the peripheral device power switch 70, AC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power plug 60. This peripheral device is applied to the power control unit 80.

따라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한동안 작업이 중지되었을 경우에 사용자가 시스템 전원 스위치(20)나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를 오프시키는 것을 잊게 되면, 주변기기 전원 플러그(60)를 통해 교류전원이 계속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로 인가된다.Therefore, if the user forgets to turn off the system power switch 20 or the peripheral power switch 70 when the user is working while using the computer for a while, AC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eripheral power plug 60. The peripheral device is supplied to the power control unit 80.

이때 시스템(50)과 주변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선을 통해, 시스템(50)으로 입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데이터가 오랜동안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시스템(50)으로부터 하이상태의 신호가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로 입력된다.In this case, when data is not input for a long time through an input device (not shown) to the system 50 through a data signal line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50 and the peripheral device, a high state signal from the system 50 is obtained. Is input to the peripheral power control unit 80.

상기한 시스템(50)은, 직렬포트 감지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 선택신호선과 어드레스 신호와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로부터 입출력 장치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해내는 입출력 감지 PAL과, 입출력 감지 PAL의 칩선택 신호와 데이터 신호와 지연시간 신호와 상태 신호로부터 내부의 상태와 동작을 감지하여 지연시간 신호와 하드웨어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내부동작 감지 PAL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일정시간 이상동안 사용되지 않음을 감지한다.The system 50 includes an input / output detection PAL for detecting whether an input / output device is currently used from the serial port detection enable signal, an address selection signal line, an address signal, and an address enable signal, and a chip selection signal of the input / output detection PAL. The internal motion detection PAL detects the internal state and operation from the data signal, the delay time signal, and the status signal, and outputs the delay time signal and the hardware disable signal.

따라서 시스템(50)에서, 입출력 감지 PAL의 입출력장치 사용감지 신호와 내부동작 감지 PAL의 지연시간 신호 및 하드웨어 디스에이블 신호와 리세트 신호와 입출력장치 독출 신호로부터 입출력장치 일정시간 사용되고 있지않을 경우에는 제어 PAL은 이를 감지하여 하이상태의 신호를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 PAL은 카운터로 카운터 클리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카운터가 클리어된 뒤에 현재의 카운팅값 신호를 제어 PAL로 전송하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system 50, when the input / output device use detection signal of the input / output detection PAL, the delay time signal of the internal operation detection PAL, the hardware disable signal, the reset signal, and the input / output device read signal are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is performed. The PAL detects this and outputs a high state signal to the peripheral power controller 80. In addition, the control PAL outputs a counter clear signal to the counter to transmit the current counting value signal to the control PAL after the counter is cleared.

시스템(50)으로부터 하이상태의 신호가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의 광결합 소자(PC81)로 입력되면 광결합 소자(PC81)내의 발광 다이오드가 턴온됨으로써 발광하게 된다.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이 수광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입력되면 수광 트랜지스터가 턴온됨으로써 릴레이(RL81)의 코일로 전원전압(Vcc)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에 광결합 소자(PC81)의 코일로 전원전압(Vcc)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에 광결합 소자(PC81)에 의해 신호가 전송됨으로써 시스템(5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전기적인 노이즈 신호가 상당히 감쇄되는 효과를 갖는다.When a high state signal is input from the system 50 to the optical coupling element PC81 of the peripheral power control unit 80, the light emitting diode in the optical coupling element PC81 is turned on to emit light. Whe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is input to the base of the light receiving transistor, the light receiving transistor is turned on so that a current by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flows to the coil of the relay RL81. In this case, a current by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flows to the coil of the optical coupling element PC81. In this case, the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optical coupling element PC81, so that the electrical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from the system 50 is significantly attenuated.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의 릴레이(RL81)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코일로부터 자기장이 발생되어 릴레이(RL81) 내의 스위치가 오프된다. 따라서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를 통해 주변기기 정류 평활부(90)로 인가되는 교류 입력전원이 차단된다.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of the relay RL81 of the peripheral device power control unit 80,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coil to turn off the switch in the relay RL81. Therefore, the AC input power applied to the peripheral rectifier smoothing unit 90 through the peripheral power switch 70 is cut off.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다시 시작하기 위하여 입력장치를 통하야 시스템(50)으로 데이터를 입력시킬 경우에는, 시스템(50)과 주변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선을 통해 시스템(50)으로부터 로우상태의 신호가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로 입력된다.When a user inputs data to the system 50 through an input device in order to resume work using a computer, the user can pull the data from the system 50 through a data signal line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50 and the peripheral device. The state signal is input to the peripheral power control unit 80.

시스템(50)으로부터 로우상태의 신호가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의 광결합 소자(PC81)로 입력되면 광결합 소자(PC81) 내의 발광 다이오드가 턴오프되고 따라서 수광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된다.When the low state signal is input from the system 50 to the optical coupling element PC81 of the peripheral power supply control unit 80, the light emitting diode in the optical coupling element PC81 is turned off and thus the light receiving transistor is turned off.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의 광결합 소자(PC81)내의 수광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면 릴레이(RL81)의 코일로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고 따라서 릴레이(RL81) 내의 스위치가 다시 온됨으로써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를 통해 주변기기 정류 평활부(90)로 교류전원이 다시 인가된다.When the light receiving transistor in the optical coupling element PC81 of the peripheral power control unit 80 is turned off, the current flowing to the coil of the relay RL81 is cut off, and thus, the switch in the relay RL81 is turned on again to close the peripheral power switch 70. AC power is again applied to the peripheral rectifier smoothing unit 90 through.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한동안 작업을 중지할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주변기기로 인가되는 교류 입력전원을 차단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주변기기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다시 시작하기 입력전원을 주변기기로 다시 공급함으로써 주변기기에 의한 전력의 낭비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 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공급장치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tops working for a while while using the computer, the user does not automatically cut of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peripheral device even if the user does not cut of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peripheral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having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waste of power by the peripheral device by supplying the input power back to the peripheral device to cut off and resume work using the computer. This effect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ield of power supply of computer peripherals.

Claims (2)

직렬포트 감지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 선택 신호선과 어드레스 신호와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로부터 입출력 장치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해내는 입출력 감지 PAL과, 입출력 감지 PAL의 칩선택 신호와 데이터 신호와 지연시간 신호와 상태 신호로부터 내부의 상태와 동작을 감지하여 지연시간 신호와 하드웨어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내부동작 감지 PAL과, 입출력 감지 PAL의 입출력장치 사용감지 신호와 내부동작 감지 PAL의 지연시간 신호 및 하드웨어 디스에이블 신호와 입출력장치 독출 신호로부터 입출력장치가 일정시간 사용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외부 입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어 PAL과, 제어 PAL로부터 카운터 클리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클리어되면서 카운팅 동작을 계속하고 현재의 카운팅값 신호를 제어 PAL로 전송하는 카운터로 구성되어,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오랜동안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나 사용자가 작업을 다시 시작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데이터 신호선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시스템(50)과; 상기한 시스템(50)과 데이터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시스템(50)의 출력신호에 따른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이 차단을 제어하는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I / O detection PAL that detects whether the I / O device is currently used from the serial port detection enable signal, address selection signal line, address signal and address enable signal, chip select signal, data signal and delay time signal of I / O detection PAL. Internal motion detection PAL that detects internal state and operation from status signal and outputs delay time signal and hardware disable signal, and I / O device use detection signal of I / O detection PAL and delay time signal and hardware disable of internal motion detection PAL The control PAL detects when the I / O device is not used for a certain time from the signal and the I / O device read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external I / O device, and when the counter clear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PAL, the counting operation is continued and the current Count value signal control PA A system 50 configured to transmit a counter to L and to detect when data is not input for a long tim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device or when the user restarts a job and output the data to the outside through a data signal line; Power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system 50 and the data signal line i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ystem 50, the peripheral power supply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blockin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변기기 전원 제어부(80)는, 주변기기 전원 스위치(70)의 출력단자에 스위치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전원전압(Vcc)의 코일 입력단자가 연결된 릴레이(RL81)와; 릴레이(RL81)의 코일 출력단자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전원전압(Vcc)에 캐소드가 연결된 다이오드(D81)와; 릴레이(RL81)의 코일 출력단자에 한쪽단자가 연결된 저항(R81)과; 시스템(50)의 출력단자에 한쪽단자가 연결된 저항(R82)과; 저항(R81)의 다른 한쪽단자에 수광 트랜지스터의 컬렉터가 연결되고 저항(R82)의 다른 한쪽단자에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가 연결되고 나머지 단자는 접지된 광결합 소자(PC8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제어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ipheral power control unit 80 includes: a relay (RL81) connected to a switch input terminal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eripheral power switch 70 and the coil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 diode D81 having an anode connected to the coil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RL81 and a cathod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 resistor R81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il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RL81; A resistor R82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ystem 50; A computer comprising a collector of a light receiving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resistor R81, an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resistor R82, and the other terminal consisting of a grounded optical coupling element PC81. Power control of peripherals.
KR92015238U 1992-08-13 1992-08-13 Power control apparatus for peripheral equipments KR9500004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238U KR950000438Y1 (en) 1992-08-13 1992-08-13 Power control apparatus for peripheral equipments
US08/104,202 US5486726A (en) 1992-08-13 1993-08-11 Power-supply control system of peripheral equipment of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238U KR950000438Y1 (en) 1992-08-13 1992-08-13 Power control apparatus for peripheral equip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222U KR940006222U (en) 1994-03-22
KR950000438Y1 true KR950000438Y1 (en) 1995-01-27

Family

ID=1933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238U KR950000438Y1 (en) 1992-08-13 1992-08-13 Power control apparatus for peripheral equip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43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222U (en)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831B1 (en) Power saving control circuit of a image displayer
KR0141217B1 (en) Power reduction circuits
US20020125867A1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1821190B1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1420332B1 (en) Power controlling system
MXPA99010360A (en)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monitor.
KR950000438Y1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peripheral equipments
JP3294020B2 (en) Power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system
KR100298305B1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mode
KR0182927B1 (en) Energy-saving circuit of monitor built-in type computer and method thereof
KR100414900B1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of multi-tab
KR0114761Y1 (en) The power fail detection circuit
JP2000324421A (en) Stand-by power source circuit of electronic appliance
KR0150419B1 (en) Power saving circuit
JP3392250B2 (en) Power supply circuit standby power reduction circuit
KR970001899Y1 (en) Power reduction circuit
KR970073046A (en) TV (TV) power consumption reduction circuit in standby state
KR20000039206A (en) Electricity saving method of an electric appliance
KR200157653Y1 (en) Power-saving circuit of a monitor
KR1008054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device
KR100326792B1 (en) Apparatus for retrenching power dissipation using halt mode
JPS63288309A (en) Power source switching control circuit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0376973B1 (en) Power Saving Circuit of power Supply and adapter
KR100786077B1 (en) The display device for reducing the consumed wattage of Display Power Manegement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970002217Y1 (en) Transferring circuit between main power circuit and subsidiary pow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