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850B1 - User-function accessing method of mu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 Google Patents

User-function accessing method of mu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850B1
KR940010850B1 KR1019920005332A KR920005332A KR940010850B1 KR 940010850 B1 KR940010850 B1 KR 940010850B1 KR 1019920005332 A KR1019920005332 A KR 1019920005332A KR 920005332 A KR920005332 A KR 920005332A KR 940010850 B1 KR940010850 B1 KR 94001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essage
user
sub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20909A (en
Inventor
이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0850B1/en
Publication of KR93002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85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method for selecting the desired function sequence while identifying them through the function menu by the user includes the steps of: a) displaying the message of the basic function preset on the menu table when inputting the function selection key; b) either displaying the message of the sub-menu depending on the basic menu if there is or performing the basic function; and c) either displaying the message of the sub-sub-menu depending on the sub-menu if there is or performing the sub-function.

Description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How to Access User Functions of Multi-Function Cordless Phone

제 1 도는 종래의 사용자기능 접근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무선전화기의 핸드셋 구조도.1 is a structure diagram of a handset of a radiotelephone shown to illustrate a conventional user function approach.

제 2 도는 제 1 도에 적용된 사용자기능 접근방식의 기능 시퀀스를 보인 도면.2 shows a functional sequence of a user function approach applied to FIG.

제 3 도는 본 발명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이 적용된 일예의 핸드셋 구조도.3 is an exemplary handset structure diagram to which the user function approa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 4 도는 본 발명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의 기능 시퀀스를 보인 도면.4 is a functional sequence of the user function approach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 도는 본 발명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의 기능 시퀀스에 의거한 상태천이도와 흐름도.5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and a flowchart based on the function sequence of the user function approach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 도는 메모리에 매핑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을 보인 도면.Figure 6 shows a tab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pped to a memory.

제 7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키스캔 확장의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kisscan extens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화기에 구현된 제반기능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ccessing a user function of a multifunction wireless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ccessing a function that can be used by a user's selection among various functions implemented in a wireless telephone.

제 1 도는 종래의 사용자기능 접근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무선전화기의 핸드셋 구조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무선전화기에 적용된 사용자기능 접근방식의 기능시퀀스를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에 있어서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handset)에 구현된 키(key)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키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추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FIG. 1 is a structure diagram of a handset of a wireless telephone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user function approach,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function sequence of a user function approach applied to the wireless telephone of FIG. In the conventional radiotelephone, as shown in FIG. 1, it is difficult to add a function corresponding to key input because the number of keys implemented in the handset is limited.

즉, 종래의 무선전화기에서는 다이알 디지트(dial digit) 또는 키에 특정기능을 할당하는 방식을 채용하고있기 때문에 키의 제한된 수로 인하여 기능추가에 제한을 받는 것이다. 이러한 무선전화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기능의 기본기능을 접근하려면, 기능선택키인 기능키(function key) 또는 시프트키(shift key)를 누르고,이어 특정기능이 할당되어 정의된 해당 다이알용 디지트를 눌러야만 하였다.That is, the conventional radiotelephone adopts a method of allocating a specific function to a dial digit or a key, and thus is limited in adding a function due to a limited number of keys. To access the basic functions of a user function using such a cordless telephone, you must press a function selection key, either a function key or a shift key, and then press the corresponding digit for the dial to which the specific function is assigned. It was.

또한, 사용자기능에서의 세부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접근하려면,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시퀀스(sequence)에 따라 상기 기본기능의 수행에 따른 키의 입력후 또 한번의 해당 다이알용 디지트를 눌러야 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access to perform a detailed function in a user function, as shown in FIG. 2, after the input of a key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basic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ailed sequence, another corresponding digit for the dial is displayed. Had to press.

이와 같은 종래의 사용자기능 접근방식은 키에 특정기능을 할당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 2 도와 같이 세부기능을 수행하려면 제한된 수의 키와 연계하여 세부 시퀀스를 구성하기가 어립고, 또한 기능시퀀스를 구성하였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사용자기능을 접근하는 사용법을 모르는 경우에는 그 사용자기능을 선택할 수 없게 된다.Since the conventional user function approach requires assigning a specific function to a key,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detailed sequence in conjunction with a limited number of keys in order to perform a detailed function as in the second diagram.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how to access the user function, the user function cannot be selected.

후자의 경우에서와 같이, 사용자기능을 선택하려면, 기본기능 및 세부기능의 기능시퀸스를 사용자는 모두 암기하여야 하고 또는 기능시퀀스를 설명한 메뉴얼(menual)을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에 있어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였다.As in the latter case, selecting a user function has caused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use because the user has to memorize both the basic and detailed function sequences or carry a manual describing the function sequences.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능시퀀스를 메뉴방식으로 확인하면서 사용자기능을 선택하도록 한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ccessing a user function of a multifunction wireless telephone in which a user selects a user function while checking a function sequence by a menu method.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사용빈도수가 높은 중요한 기능을 기본기능으로 하고, 일시적 또는 중요도가 낮은기능을 세부기능으로 분리하여 구현하므로서 새로운 사용자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ess the user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 wireless telephone which can easily add new user functions by implementing the important functions with high frequency of use as basic functions and separating the temporary or low importance functions into detailed function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메뉴방식으로 기능시퀀스를 구현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용자기능의 추가가 메모리용량에 비례하여 구현할 수 있어 제한없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기본기능의 상태에서 바로 선택하고자 하는 세부기능을 접근하게 하는 퀵(Quick)접근모드와, 메뉴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기본기능 및 세부기능을 확인하면서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으로 접근하게 하는 스크롤(scroll) 접근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식을 제공함에 있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function sequence in a menu manner, so that the addition of a new user function can be implemented in proportion to the memory capacity. In providing.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quick access mode for accessing a detailed function to be selected immediately in the state of basic functions, and access to a function to be selected while sequentially checking basic functions and detailed functions by a menu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function approach of a mul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to selectively use a scroll access mode.

여기서, 메뉴방식이라 함은 기능을 순차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하면서 선택하게 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키입력에 따라 선택가능한 제반기능을 접근하여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기능의 정보가 테이블단위로 격납된 메모리를 구비한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선택키의 입력시 메뉴테이블에 설정된 기본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기능중 선택된 기본기능에 종속하는 서브메뉴의 유무에 따라 해당 기본기능의 수행 또는 서브메뉴테이블에 설정된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세부기능중 선택된 세부기능에 종속하는 서브-서브메뉴의 유무에 따라 해당 세부기능의 수행 또는 서브-서브메뉴에 설정된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각 기본기능 및 세부기능의 수행이 수행키 입력에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enu method refers to an environment that allows the user to sequentially select the functions while checking them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accessing user functions of a multifunction wireless telephone having a processor for accessing and processing various functions selectable according to key input and a memory in which information of the functions is stored in a table unit, Displaying a message of a basic function set in a menu table when a function selection key is input by a user,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basic function or setting in a submenu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menu dependent on the selected basic function among the basic functions; Displaying a message of a detailed function,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detailed function or displaying a message of a detailed function set in the sub-sub menu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sub-sub menu dependent on the selected detailed function among the detailed functions. Each basic function and detailed function is performed by inputting the execution key. And that is characterized.

상기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메뉴테이블, 서브메뉴테이블에 각기 격납된 메세지를 1단계씩 스크롤업 또는 스크롤다운되게 하는 단계를 부가할 수 있다.In the displaying of the message of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a step of scrolling up or scrolling down the messages stored in the menu table and the sub-menu table, respectively, may be added.

상기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메세지의 스크롤업/다운을 음량조절용버튼에 연계하여 제어되게 한다.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message of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the scroll up / down of the message is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the volume control button.

또한, 상기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메세지의 스크롤업/다운을 반복적 키입력 기능을 갖는 스크롤업/다운키와 연계하여 제어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olling up / down of the message may be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the scrolling up / down key having a repetitive key input funct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message of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상기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메세지의 스크롤업/다운을 기능제어용디지트와 연계하여 제어되게 할 수 있다.In the displaying of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message, the scroll up / down of the message may be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the function control digit.

그리고, 상기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수행이 해당 키입력에 의해 수행되게 하는 퀵접근모드를 부가할수 있다.In addition, a quick access mode may be added to perform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by the corresponding key inp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이 적용된 핸드셋의 구조를 일예로서 보여주고 있다.3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handset to which the user function approach of the multifunction wireless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 3 도에서, 다이알 디지트의 수는 종래의 무선전화기와 동일하고, 다만 음량조절버튼의 기능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롤업/다운 버튼(31a,31b)이 추가로 형성시키지 않은 종래의 무선전화기에 직접 적용시킬 수 있다.In FIG. 3, the number of dial digits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cordless telephone, except that the conventional cordless telephone is not additionally formed by the scroll up / down buttons 31a and 31b which can be used in common with the function of the volume control button. Can be applied directly to

예를들어, 음량조절버튼(30a,30b)을 스크롤업/다운버튼과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olume control buttons 30a and 30b can be used in common with the scroll up / down buttons.

이는 스크롤업/다운버튼으로서 기능은 무선전화기가 기능선택 모드에 있을 경우에만 필요하고, 통화중일 경우와 같이 통화모드인 경우에는 음량조절기능을 갖게 되는 이유에서이다.This is because the scroll up / down button function is necessary only when the wireless telephone is in the function selection mode, and has a volume control function in the call mode such as during a call.

또한, 다이알 디지트중*디지트(32a)와 #디지트(32b)는 기능 신택모드에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롤업/다운버튼으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s of the dial * digits (32a) and # digit (32b) can be used to scroll up / down button does not function in sintaek mode.

제 4 도는 본 발명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을 보여주는 기능시퀀스이다.4 is a functional sequence showing the user function approach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핸드셋의 다이알 디지트중 시프트키 또는 기능키를 누르면 디스플레이에는 기본기능 B1∼Bn중 첫번째로 설정된 기본기능 B1이 나타나고, 이어 스크롤업버튼을 누르면 B2→B3→B4…의 순서로 나타나고, 만일 스크롤다운버튼을 누르면 나타난 해당 기본기능(예를들어, B9)에서 B8→B7→B6…의 순서로 나타나게된다.First, when the shift key or function key is pressed among the dial digits of the handset, the basic function B1 set among the basic functions B1 to Bn appears in the display, and when the scroll up button is pressed, B2 → B3 → B4. In the order of the default functions (for example, B9), press B8 → B7 → B6…. Will appear in order.

그리고, 해당 기본기능의 상태에서 수행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하는 기본기능에 종속하는 서브기능(sub-function) 인 세부기능(S1∼Sn) 이 메뉴방식으로 디스플레 이된다.Then, when the execution key is pressed in the state of the basic function, sub-function sub-functions (S1 to Sn) that are subordinate to the corresponding basic function are displayed in a menu manner.

본 발명은 다기능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자기능을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해서 퀵접근모드와 스크롤접근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현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electively use the quick access mode and the scroll access mode in order to easily access the user function in the multi-function wireless telephone.

즉, 시프트키 또는 기능키를 누른 후 소망하는 기능에 상응하는 디지트키를 누름으로서, 그 키에 할당된기능에 상당하는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테이블(menu table)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다.That is, by pressing a shift key or a function key and then pressing a digit key corresponding to a desired function, a message of a menu tabl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6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assigned to that key. .

여기서, 상세기능이 없다면 사용자가 입력한 수행키에 의해 해당기능을 수행하고, 상세기능이 있다면 사용자가 다시 누른 디지트키에 의해 선택된 기본기능에 종속하는 서브메뉴테이블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다.Here, if there is no detailed functi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executed by the execution key input by the user, and if there is a detailed function, a message of the submenu table depending on the basic function selected by the digit key pressed by the user is displayed.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기능을 접근하는 방식이 퀵접근모드로 설정되어 있다.In this way, the user access method is set to the quick access mode.

제 6 도는 메모리에 매핑(mapping)되어 있는 기본기능과 상세기능을 보인 테이블으로서, 기본기능을 배열한 메뉴테이블과, 상세기능을 배열한 서브메뉴테이블 및 서브-서브메뉴테이블을 보여주고 있다.FIG. 6 is a table showing basic functions and detailed functions mapped to a memory, and shows a menu table in which basic functions are arranged, a submenu table and a sub-sub menu table in which detailed functions are arranged.

각 테이블은 인덱스와 메세지 및 포인트 인덱스를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Each table consists of an index, a message, and a point index.

제 5 도의 상태 천이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접근방법은 크게 키스캔모듈(51), 기능키처리상태(52), 메뉴처리상태(53), 서브메뉴처리상태(54) 및, 기능처리상태(55)로 구분된다.In the state transition diagram of FIG. 5, the appro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kisscan module 51, the function key processing state 52, the menu processing state 53, the submenu processing state 54, and the function processing state. It is divided into 55.

먼저, 키스캔(key scan)모듐(51)에서 기능키 또는 시프트키가 입력되면 기능키 처리상태(52)로 천이된다.First, when a function key or a shift key is input from the key scan medium 51,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function key processing state 52.

여기서 스크롤업/다운키가 입력되거나 또는 서브메뉴가 있는 확실한 디지트키가 입력되면, 메뉴처리상태(53)로 천이되어서 스크롤링 여부에 따라 상세기능을 처리하게 된다.If a scroll up / down key is input or a certain digit key with a submenu is input,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menu processing state 53 to process the detailed function depending on scrolling.

만일, 기능키처리상태(52)에서 서브메뉴가 없는 디지트키가 입력되면, 기능처리상태(55)로 천이되어서 해당기능을 처리하게 된다.If a digit key without a submenu is input in the function key processing state 52, the function transitions to the function processing state 55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function.

제 5a 도의 상태천이도에서, 메뉴처리상태(53)에서 기능키처리상태(52)로 되돌아가는 것은 시프트키 또는 기능키가 다시 들어오면 스크롤링을 포기하고 사용자의 새로운 기능키의 입력을 기다리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state transition diagram of FIG. 5A, returning from the menu processing state 53 to the function key processing state 52 means that when the shift key or function key comes in again, the scrolling is abandoned and the user waits for the input of a new function key. do.

메뉴처리상태(53)에서 자체 천이되는 것은 스크롤업/다운키가 입력된때, 제 6 도의 메뉴테이블에서 업(up)인 경우 포인트 인덱스값을 감소시키고 아울러 다운(down)인 경우 포인트 인덱스값을 증가시켜 그에 상응하는 기능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자신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처리를 대기한다.The self transition in the menu processing state 53 decreases the point index value when it is up in the menu table of FIG. 6 when the scroll up / down key is input, and decreases the point index value when it is down. Incrementally displays the corresponding functional message and waits for the user's processing in his state.

메뉴처리상태(53)에서 서브메뉴처리상태(54) 및 기능처리상태(55)로의 천이는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수행키를 누른 경우로서 무선전화기의 내부에서는 제 6 도의 메뉴테이블의 현재 포인터를 인덱스하여, 서브메뉴가 있는 경우에는 서브메뉴테이블로 포인터를 이동하고 서브메뉴처리상태(54)로 천이된다.The transition from the menu processing state 53 to the submenu processing state 54 and the function processing state 55 is a case where the user selects a function and presses an execution key to perform it. The current pointer is indexed, and if there is a submenu, the pointer is moved to the submenu table, and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submenu processing state 54.

서브메뉴가 없는 경우는 기능처리상태(55)에서 기능을 수행한다.If there is no sub menu, the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function processing state 55.

한편, 서브메뉴처리상태(54)의 천이과정을 보면, 자체천이는 메뉴처리상태(53)의 메뉴스크롤링과 마찬가지로 스크롤키가 입력될때 제 6 도의 서브메뉴테이블의 포인터 인덱스값을 증감시키고 이에 상응하는 서브기능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자신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처리를 기다린다. 여기에서도 상기와 같이 포인터 인덱스값을 증감시킬때, 테이블의 크기(size)를 넘어가면 증가인 경우 테이블의 맨 처음으로, 그리고 감소인 경우 테이블의 맨끝으로 포인터 인덱스값을 재조정하여 로테이트(rotate)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submenu processing state 54, as in the menu scrolling of the menu processing state 53, when the scroll key is input, the pointer index value of the submenu table of FIG. Displays the sub function message and waits for user processing in its own state. Here too, when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ointer index value, if the size of the table is exceeded, the pointer index value is rotated to the beginning of the table in the case of an increase and to the end of the table in the case of a decrease, and then rotated. .

그러나, 불확실한 디지트키가 들어오면 이를 무시한다. 상기 서브메뉴처리상태(54)에서 기능처리상태(55)로의 천이는 수행키가 입력되는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해당기능을 수행하게 된다.However, if an uncertain digit key comes in, it is ignored. The transition from the sub menu processing state 54 to the function processing state 55 is when a execution key is input, in which case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또한, 제 7 도에 도시된 키스캔확장 개념도에서와 같이, 스크롤업/다운키에 반복기능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스크롤키를 소정시간동안 계속 누르면 제 6 도의 메뉴테이블 또는 서브메뉴테이블에서 포인트를 계속 갱신(update)시키고, 그에 해당하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되게 한다.In addition, as in the concept of the kisscan extension shown in FIG. 7, the scroll up / down keys can be repeated so that the user presses the scroll key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Keeps updating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message.

상기 상태천이도에 의거한 본 발명의 동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tate transition diagram is as follows.

제 5b 도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무선전화기의 기능키 또는 시프트키(이하, 기능선택키라함)가 입력되면(스탭 S10), 제 6 도에 도시된 메뉴테이블에 설정된 기본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다(스텝 S11).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5B, when a function key or shift key (hereinafter referred to as function selection key) of the radio telephone is input by the user (step S10), a message of basic functions set in the menu table shown in FIG. Display (step S11).

만일, 기능선택키의 입력이 아니면 그에 해당하는 키의 기능을 처리한다(스탭 S16).If the function selection key is not input,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key is processed (step S16).

상기의 기본기능의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선택된 기본기능에 종속하는 서브메뉴(제 6 도 참조)가 있으면, 즉 선택된 기본기능에 속하는 세부기능이 있다면(스탭 S12) 서브메뉴테이블에 설정된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다(스탭 S13).If there is a submenu (refer to FIG. 6) dependent on the selected basic function while the message of the basic function is displayed, that is, if there are detailed functions belonging to the selected basic function (step S12), the detailed function set in the submenu table is displayed. The message is displayed (step S13).

한편, 기본기능에 종속하는 서브메뉴가 없으면 상기 선택된 기본기능을 처리한다(스탭 S17).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ubmenu dependent on the basic function, the selected basic function is processed (step S17).

또한, 세부기능이 출력된 상태에서 세부기능에 종속하는 서브-서브메뉴가 있다면(스탭 S14) 서브-서브메뉴테이블에 설정된 해당 세부기능을 수행하고, 만일 세부기능에 종속하는 서브-서브메뉴가 없다면 상기 스텝 S13에서 디스플레이된 세부기능을 처리한다.In addition, if there is a sub-sub menu subordinate to the sub-fun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ub-function is output (step S14), the sub-sub menu set in the sub-sub menu table is executed, and if there is no sub-sub menu subordinate to the sub-function. The detailed function displayed in step S13 is processed.

이와 같이 사용자기능의 접근을 메뉴방식으로 수행함에 있어, 필요하다면 퀵접근모드에 따라 기능선택키의 입력상태인 최초의 기본기능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숫자키를 입력하게 되면 이 숫자키에 상응하는 기본기능이 선택되어지고, 또한 서브메뉴의 세부기능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도 숫자키를 입력하게 되면 그 숫자키에 상응하는 세부기능이 선택되어진다.In this way, when accessing the user function in the menu method, if the numeric key is input while the initial basic function, which is the input state of the function selection key,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quick access mode, the basic value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is used. When a function is selected and a numeric key is entered while the submenu's detailed function is displayed, the detail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is selected.

또한, 기본기능이 또한 세부기능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스크롤업/다운키가 입력하게 되면 메뉴테이블 또는 서브메뉴테이블 또는 서브-서브메뉴테이블에 설정된 메세지가 1씩 증가 또는 감소되어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when the basic function is also displayed, when the scroll up / down key is input while the detailed function is displayed, the message set in the menu table or the sub menu table or the sub-sub menu table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one.

이와 같은 스크롤 접근모드는 무선전화기의 음량조절용 버튼, 별도의 스크롤업/다운키, 또는 사용않은 기능선택키(#, *키)에 연계하여 수행된다.Such scroll access mode i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a volume control button, a separate scroll up / down key, or an unused function selection key (#, * keys) of the wireless telephone.

따라서 상기 퀵접근모드와 스크롤접근모드는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설정시킬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quick access mode and the scroll access mode can be set to be used in common and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상기의 제반기능의 사용자 접근방법은 핸드셋에 구현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지만, 그 접근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테이블과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The above user functional approach is performed by a processor implemented in the handset, but the program implementing the approach is stored in memory with a ta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능접근방식을 퀵접근모드와 스크롤접근모드의 공용으로 사용하게 하므로서, 사용자의 기능접근이 빠르고, 사용자가 기능접근의 사용법을 암기하지 않더라도 언제, 어느곳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기본기능으로 하고 세부적인 것이나 일시적 또는 중요도가 낮은 기능은 서브기능(세부기능)으로 분리구현하게 하여 기능추가를 용이하게 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functional access method can be used in common between the quick access mode and the scroll access mode,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function quickly and any time, even if the user does not memorize the usage of the function access. It is easy to access from anywhere, and the important thing is the basic function, and the detailed or temporary or less important function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y to add a function by separating and implementing it as a sub function (detailed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추가에 있어서도 거의 제한받지 않고, 기능이 많아짐으로 인한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hardly limited in addition to the above functions, and can prevent the user from being confu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functions.

Claims (6)

키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제반기능을 접근하여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기능의 정보가 테이블단위로 격납된 메모리를 구비한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가능 접근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선택키의 입력시 메뉴테이블에 설정된 기본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기능중 선택된 기본기능에 종속하는 서브메뉴의 유무에 따라 해당 기본기능의 수행 또는 서브메뉴테이블에 설정된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세부기능중 선택된 세부기능에 종속하는 서브-서브메뉴의 유무에 따라 해당 세부기능의 수행 또는 서브-서브메뉴에 설정된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각 기본기능 및 세부기능의 수행이 수행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In a user-accessible method of a multifunction wireless telephone having a processor which accesses and processes various functions selectable by a user according to key input and a memory in which information of the functions is stored in a table unit, input of a function selection key by a user Displaying a message of a basic function set in the menu menu table,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basic function or displaying a message of a detailed function set in the sub-menu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menu dependent on the selected basic function among the basic functions. And displaying the message of the detailed function set in the sub-sub menu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ub menu depending on the selected detailed function among the detailed functions. Multi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mance is performed by the input of the execution key How to access user function of cordless phone. 제 1 항에 있어서,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메뉴테이블, 서브메뉴테이블에 각기 격납된 메세지를 1단계씩 스크롤업 또는 스크롤다운되게 하는 단계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2. The multi-function radio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messages of basic functions or sub-functions includes scrolling up or scrolling down the messages stored in the menu table and the sub-menu table by one step. How to access the user function of the phone. 상기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메세지의 스크롤업/다운을 음량조절용 버튼에 연계하여 제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message of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is displayed so that scrolling up / down of the message is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a volume control button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message of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A method of accessing a user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메세지의 스크롤업/다운을 반복적 키입력기능을 갖는 스크롤업/다운키와 연계하여 제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crolling up / down of the message is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a scrolling up / down key having a repetitive key input funct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of a basic function or a detailed function. How to Access User Functions of Multi-Function Cordless Pho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메세지의 스크롤업/다운을 기능제어용 디지트와 연계하여 제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crolling up / down of the message is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the function control digit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message of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본기능 또는 세부기능의 수행이 해당 키입력에 의해 수행되게 하는 퀵접근모드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quick access mode is added to perform the basic function or the detailed function by the corresponding key input.
KR1019920005332A 1992-03-31 1992-03-31 User-function accessing method of mu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KR9400108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332A KR940010850B1 (en) 1992-03-31 1992-03-31 User-function accessing method of mu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332A KR940010850B1 (en) 1992-03-31 1992-03-31 User-function accessing method of mu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909A KR930020909A (en) 1993-10-20
KR940010850B1 true KR940010850B1 (en) 1994-11-17

Family

ID=1933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332A KR940010850B1 (en) 1992-03-31 1992-03-31 User-function accessing method of mu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085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909A (en) 199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23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rotary operation key
KR100334806B1 (en) Method of hot key user assignmen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49453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option selection method using dial shuttle
JPH06133021A (en) High-speed dialing method of telephone device
GB2370192A (en) Mobile phone with electronic trash can
GB2310567A (en) Radiotelephone with user selectable default modes
WO2000010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phonebook
US7096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executing features in a personal wireless handset
WO1999029088A1 (en) Telephone for retrieving memory content through simple operaton
US6363264B1 (en) Radio telephone
KR940010850B1 (en) User-function accessing method of mutifunctional cordless telephone
JP2000112612A (en) Electronic equipment
KR20050082874A (en) Method for setting hot key of mi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64793A (en)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mobile station
JPH07297891A (en) Communication terminal
EP1677500A2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lication and mobile terminal used therefor
KR10086831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enu display method
KR20010110034A (en) A shorten key control method of the PDA by a comsumer definition
KR100272009B1 (en) Wireless handset and its method for improved memory dialing
KR19990018115A (en) How to Set Shortcut Menu of Communication Terminal
JPS61107854A (en) Display phone
KR20010000526A (en) Method for self-completing phone dialing
JP2002101181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338979B1 (en) A displaying method of multi-function information and menu information in the cellular phone
KR100806502B1 (en) Function menu search method through character input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