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246B1 -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蘭石)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蘭石)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246B1
KR940010246B1 KR1019910023003A KR910023003A KR940010246B1 KR 940010246 B1 KR940010246 B1 KR 940010246B1 KR 1019910023003 A KR1019910023003 A KR 1019910023003A KR 910023003 A KR910023003 A KR 910023003A KR 940010246 B1 KR940010246 B1 KR 94001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arts
water
sawdust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621A (ko
Inventor
송해헌
정완희
Original Assignee
송해헌
정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해헌, 정완희 filed Critical 송해헌
Priority to KR101991002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0246B1/ko
Publication of KR93001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246B1/ko

Links

Landscapes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蘭石)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정수장 슬러지(Sludge)를 이용한 난석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의 슬러지는 일종의 산업폐기물로서 매립마저 곤란할 정도로 그 처리가 곤란하다. 이에 그 처리가 곤란한 정수장의 슬러지를 산업에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었으며, 그 연구의 기초로서 슬러지의 성분을 알아낼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정수장의 슬러지에 대한 X-선 감정결과 슬러지는 고령토, 몬모릴로나이트, 석용, 장석, 견운모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고, 또한 이를 성분 분석하여 본 결과는 정수장의 위치와 계절에 따라 다르나 대략 다음과 같음을 알았다.
산화칼륨(K2O) 1.73-2.60 (%)
산화나트륨(Na2O) 0.67-1.17 (%)
산화망간(MnO) 0.07-0.11 (%)
규산(SiO2) 40.96-55.10 (%)
산화알미늄(Al2O3) 19.01-28.14 (%)
산화철(Fe2O3) 1.86-5.28 (%)
산화칼슘(CaO) 0.51-1.02 (%)
산화마그네슘(MgO) 0.62-1.57 (%)
Igloss 14.27-19.20 (%)
아황산이온(SO2) 0.56-1.32 (%)
이산화티탄(TiO2) 0.34-0.79 (%)
인산이온(P2O5) 0.24-0.82 (%)
총탄소(T-C) 3.36-5.10 (%)
(한국동력자원연구소의 1991. 6. 10.자 성분분석성적서에 따른 것임.)
이상과 같은 성분을 가진 정수장 슬러지는 일반 토양의 성분과 유사할뿐 아니라 이에 소석회와 점토를 추가하므로서 이를 소성할 경우 쉽게 부스러지지 아니하는 소결체로 형성시키는 일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고, 또한 통기성 및 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많은 기공을 형성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가공의 형성을 위하여는 소성 이전에 유기물을 혼합할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이와 같은 전에 착안한 본 발명의 난석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공정] ; 건조 및 선별
슬러지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40%-50% 정도 이하가 되게 한다.
슬러지의 건조방법은 태양건조 방법이나 가열건조방법이 두루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건조를 필요로 하는 것은 슬러지내의 불필요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건조도가 크면 클수록 선별작업이 용이할 것이나 건조비용을 고려하면 수분함량이 40%-50%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건조하기 위하여는 태양건조의 경우 슬러지를 통상 2일 정도 건조할 것이 필요하다. 적당한 정도로 건조된 슬러지는 망목의 크기가 5×5mm인 선별망으로 선별한다. 그리하여 슬러지 분말을 얻는다.
[제 2 공정] ; 혼합
제 1 공정에 의하여 건조 선별한 슬러지 분말은 이에 톱밥, 소석회 및 점토를 혼가한다. 이때 그 혼합비율은 슬러지 60 내지 70부량(부피비 : 이하 같음), 톱밥 3 내지 5부량, 소석회 3 내지 5부량, 점토 20 내지 30부량으로 한다.
톱밥을 혼가하는 것은 후술하는 소성 공정에서 내부에 혼입된 톱밥이 연소되므로서 톱밥이 위치하던 자리에 가공이 생김과 동시에 연소가스가 빠져나가면서 기공을 형성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며, 나아가 연소된 재가 식물의 비료로서 이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톱밥은 기타의 유기물 예컨대 왕겨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소석회와 점토를 혼가하는 것은 후술하는 압출성형공정에 의하여 성형된 재료가 운반건조과정에서 부스러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며, 산성을 중화시키고 나아가 소정시킨 완제품으로서의 난석이 파손되지 아니하고 정형성을 유지하도록 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 3 공정] ; 압출 절단 성형
제 2 공정에 의해 혼합된 재료는 난석으로 적합한 정도의 크기로 성형시켜야 한다. 난석으로 성형은 물로 반죽을 한 후 일일이 손으로 빚어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반죽후 압출기로 압출시키면서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공정]
소망하는 크기로 압출성형시킨 난석은 이를 1000-1200℃의 온도로 소성시킨다. 즉, 난석을 소성로에 넣고 1000℃ 정도에 이르기까지 가열한 후 가열을 중단하고 약 5분정도 후에 소성로에서 인출한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난석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성장에 필요한 각종의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톱밥의 연소로 인하여 생긴 기공은 통기성을 양호하게 할뿐 아니라 보수력과 보비력을 높이게 되어 화초 및 채소의 분재나 묘판재배등에 적합하게 되며 소석회와 점토의 혼가로 인하여 파손의 적은 효과도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처리가 곤란한 산업폐기물인 정수장의 슬러지를 산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게 하여 자연환경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면서도 양질의 난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 특단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정수장의 슬러지(Sludge)를 수분 함량이 40-50% 정도 이하가 되게 건조한 후 망목의 크기가 5×5mm인 선별망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슬러지 분말 60-70부량(부피비)에 톱밥 3-5부량, 소석회 3-5부량 및 점토 20-30부량을 혼가하여 물로 반죽한 후 소정의 크기로 성형시키고, 1000-1200℃의 온도로 소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의 제조방법.
KR1019910023003A 1991-12-14 1991-12-14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蘭石)의 제조방법 KR940010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003A KR940010246B1 (ko) 1991-12-14 1991-12-14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蘭石)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003A KR940010246B1 (ko) 1991-12-14 1991-12-14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蘭石)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621A KR930012621A (ko) 1993-07-20
KR940010246B1 true KR940010246B1 (ko) 1994-10-22

Family

ID=1932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003A KR940010246B1 (ko) 1991-12-14 1991-12-14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蘭石)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0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14B1 (ko) * 2011-08-18 2012-06-13 백우현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 제조방법 및 난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997B1 (ko) * 1998-04-17 2002-12-28 라춘기 내부발열소결법에의한하수슬러지자원화방법
KR100415829B1 (ko) * 2000-08-25 2004-01-24 최상구 숯난석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14B1 (ko) * 2011-08-18 2012-06-13 백우현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 제조방법 및 난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621A (ko) 199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18398A (ja) 廃水スラッジの処理に対する遅延、加熱されたアルカリ減菌方法
CN103951298B (zh) 一种钛石膏基复合胶凝材料的制备方法及在干化污泥中的应用
Jonathan et al. Characterization of rice husk ash prepared by open air burning and furnace calcination
KR940010246B1 (ko)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蘭石)의 제조방법
CN102898055B (zh) 一种改性硅藻土及其制备方法以及一种含有改性硅藻土的室内装饰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275586B1 (ko) 천연무기질을 이용한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96823B1 (ko) 기능성 건축마감재 제조방법
KR0155670B1 (ko) 주조공정중 발생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 및 그제조방법
KR101870937B1 (ko) 패각 분말의 활성화 방법
KR101154914B1 (ko)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난석 제조방법 및 난석
Iya et al. Effect of Iron (111) Oxide (Fe2O3) as an Additive and substitution of quartz with POFA on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porcelain
JPH06293576A (ja) 多孔性シリカ−炭素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997168B2 (ja) 土壌改良材、水質浄化材及び植物生育用人工土壌
Saruchera et al. A study on the pozzolanic properties of Pennisetum Purpureum ash
SU1414831A1 (ru) Сырьева смесь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силикатного кирпича
KR102526773B1 (ko) 레드머드 및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Nnaneme et al. The Characterization of Local Clay from Anambra State Nigeria for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Production of Ceramic Whitewares
RU280114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рбента из биоугля и микоризы для очистки почвы от нефтезагрязнений
KR20120041488A (ko) 화강암 폐분말을 이용한 토양 개선 방법
KR20110034316A (ko)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43B1 (ko)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인공어초용 대형 세라믹패널의 제조 방법
KR100481956B1 (ko)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작물용 상토 및 그 제조 방법
KR0181655B1 (ko) 난석의 제조방법
Alias et al. Phase transformation and micro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ceramic porcelain with different ratio of treated Fgd sludge/feldspar
KR101110549B1 (ko) 화분용 인공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