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110B1 -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위한 시험 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위한 시험 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110B1
KR940009110B1 KR1019910026043A KR910026043A KR940009110B1 KR 940009110 B1 KR940009110 B1 KR 940009110B1 KR 1019910026043 A KR1019910026043 A KR 1019910026043A KR 910026043 A KR910026043 A KR 910026043A KR 940009110 B1 KR940009110 B1 KR 94000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function
management
information
tes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125A (ko
Inventor
김광수
안병호
박용범
강태운
임주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1002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110B1/ko
Publication of KR93001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위한 시험 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모듈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험시스템 2 : 시험대상시스템
3 : 통신망 4 : 시험환경관리모듈
5 : 문맥관리 부모듈 6 : 요구사항 분석부모듈
7 : 시험시스템관리 부모듈 8 : SCRT 관리 부모듈
9 : 상태관리 부모듈 10 : 도움정보 부모듈
11 : 종료 부모듈
본 발명은 개방형 시스템 상호접속(이하 OSI라 칭함) 프로토콜 혹은 다수개의 프로토콜 스택으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구현제품이 표준에 적합하게 구형되었는지를 시험하는 적합성 시험시스템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합성시험을 통하여 프로토콜 구현제품의 사용시 독립적인 구현제품간에 상호변동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토콜 구현시 드는 비용의 상당한 절감이 가능하고 표준 규격의 명확한 이해를 증진시키므로 여러 프로토콜에 대해서 다수의 시험시스템이 구현되어 시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든 시험시스템들은 크게 시험준비단계, 시험수행단계, 시험결과 생성단계라는 적합성 평가과정(CAP)을 거치게 되는데 국제표준화 기구(ISO)에서는 ISO 9646이라는 문서를 통하여 기본적인 방법 및 평가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서에는 평가과정의 흐름 및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서만 정의되어 있을뿐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더우기 수십가지의 프로토콜이 표준화 되어 이에 따른 다수의 적합성 시험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이들을 적절히 관리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프로파일 시험시스템인 경우 하나의 프로토콜만을 시험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있는 다수개의 프로토콜 스택을 시험하므로 프로파일 레벨에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로파일 시험을 하는 최근의 추세에 입각하여, ISO 9646의 기본적인 지침을 따르되, 다수의 시험시스템을 사용하는 운용자에게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시험시스템들이 각각 관리방법을 갖는 것이 아니라, 적합성 평가과정(CAP)의 절차에 따라 시험을 수해하는 공통 관리기능을 제공하여 시험시스템의 중복성을 제거하고 하나의 관리체제안에 다수의 시험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합성 평가 과정을 위한 시험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범용의 시험시스템에 대해 다음과같은 관리기능을 정의하여 효율성을 가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매 적합성 평가과정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문맥(context) 관리 기능을 두었다. 상기 문맥관리 기능을 이용하면 두가지 이상 이미 시작된 적합성 평가 과정의 수행여부를 제어할 수 없다. 또한, 프로파일 시험시에는 한번의 요구사항 분석으로 여러 관련 프로토콜의 시험시 이 정보를 공통으로 이용하므로 요구사항 분석기능을 관리기능의 한 요소로 분리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직접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시험시스템 관리기능을 두어 특정 프로토콜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시험은 동적으로 삽입, 삭제 5가 가능한 시험시스템들에 의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프로파일내에 속한 모든 프로토콜의 시험이 끝나 프로토콜 적합성시험 보고성(이하 ‘PCTR’이라 칭함)를 생성하는 경우, 이를 종합하여 시스템 적합성시험 보고서(이하 ‘SCTR’이라 칭함)를 생성하는 경우, 이를 종합하여 시스템 적합성시험 보고서(이하 ‘SCTR’이라 칭함)를 생선 관리하는 SCTR관리기능을 두었다. 만일 특정 시험시스템에서 SCRT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다시 생성하지 않고 관리기능만을 수행한다. 그 밖에 특정 시험시스템으로의 접근이 필요없이 사용자에게 적합성시험의 수행상태를 알려주는 상태관리기능과 전체시스템 및 특종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움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적합성시험을 하기 위해 시험시스템(1)과 시험대상시스템(2)이 통신망(3)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적합성시험의 일반적인 모델로서 통신망을 통해 시험시스템과 시험대상 시스템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한 하드웨어 시스템내에 시험시스템과 시험대상 시스템이 존재할 때에도 본 관리방법은 적용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모듈 구성도를 표현한 것인데, 본 발명에 의한 관리방법은 시험환경 관리모듈(4)과 이를 구성하는 일곱개의 부모듈 즉, 문맥관리 부모듈(5), 요구사항 분석 부모듈(6), 시험시스템 관리 부모듈(7), SCTR 관리 부모듈(8), 상태관리 부모듈(9), 도움정보 부모듈(10), 종료 부모듈(11)등에 의해 모형화될 수 있다.
특정 프로파일 혹은 프로토콜에 대해 적합성 시험을 하기 위한 일반적인 절차로서, 문맥관리 부모듈(5)에서는 적합성 평가과정 식별자(이하 CAP-id라 칭함)로 표현되는 새로운 문맥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해당 문맥정보 테이블의 수행 상태태그를 ‘수행중’으로 바꾼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시스템 적합성 명세(이하 SCP라 칭함)(12), 시험의뢰자 상황표(이하 Cl_chklst라 칭함)(13), 시험기관 상황표(이하 Tl_cxhklst라 칭함)(14)등을 차례로 작성하여 요구사항 분석 부모듈(16)에서 요구사항 분석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시험시스템 관리 부모듈(17)에서는 특정 시험시스템을 호출하여 시험을 수행하거나(15), 시험시스템의 구성정보를 삽입, 삭제, 열람,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16).
본 발명의 관리체제 안에 시험시스템의 동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험시스템 관리 부모듈 안에 시험시스템 구성정보의 삽입, 삭제에 따라 해당 시스템 호출 메뉴를 자동으로 삽입,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방법의 장점은 관리체계 안에 존재하는 시험시스템에 변화가 있을때마다 관리모듈 전체의 전부 재컴파일하지 않고 해당 시험시스템을 호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손쉽게 동적인 변화를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시험이 모두 끝나고 SCTR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SCTR 관리 부모듈(8)을 통해 생성, 열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시험시스템이 프로파일 전체에 대한 시험기능을 제공할 경우에는 SCTR 생성기능도 제공하므로 이 경우에는 재생성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위와 같은 일련의 적합성 평가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관리모듈에서는 종합정보 혹은 특정 CAP-id가 나타내는 적합성시험의 수행상태를 특정 시험시스템을 호출하지 않고서도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상태관리 부모듈(9)에서 제공하며, 어느때든지 특정 기능이나 세부기능에 대한 도움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움정보 부모듈(10)을 함께 고려하고 있다. 종료 부모듈(11)은 아직 저장하지 않은 관련 화일들을 저장하고 관리모듈로부터 종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a도는 메뉴방식에 기초한 본 발명의 흐름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관리모듈의 초기화면은 문맥관리(17), 요구사항분석(18), 시험시스템 관리(19), SCTR관리(20), 상태관리(21), 도움기능(11), 종료메뉴(2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b도는 문맥관리 메뉴의 흐름도로서, 이 기능이 선택되면 편집, 열람, 출력, 삭제, 삽입, 수행등의 세부기능 중에서 수행할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24). 먼저 편집기능(25)이 선택되면 특정식별 정보(CAP-id)를 입력받아(26) 현재 사용자의 접근권한을 조사하여(27) 문맥정보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입력된 식별정보(CAP-id)에 대응하는 문맥정보 테이블이 없거나, 사용자가 권한이 없는 경우(28)에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29).
편집과정중에 기존정보를 갱신한 경우(30)에는 저장여부를 정확히 확인한 후(31) 갱신된 내용으로 저장하고(32), 그렇지 않은 경우(33)에는 세부기능 선택모드로 들어간다.
열람기능(34)은 특정 식별 정보(CAP-id)에 대한 문맥정보 테이블의 내용이나 전체 문맥정보 테이블의 내용(35)을 모니터에 출력시키는 기능(36)으로서, 이 경우 문맥정보의 내용을 갱신하는 것은 불가하다.
출력기능(37)은 특정 식별정보(CAP-id)가 나타내는 정보 혹은 전체 정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으로, CAP-id 정보를 입력받은 후(38) 사용할 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39). 프린터가 결정되면 해당 프린터의 제어코드를 문맥정보 테이블에 추가한 후(40) 프린터로 출력한다(41).
삭제기능(42)은 특정 CAP-id를 입력받아(43) 해당 문맥정보 테이블을 논리적으로 제거시킨다(44, 45).
삭제된 테이블의 CAP-id는 새로운 적합성 평가 과정(CAP) 이 수행될 때 바로 할당되는 것이 아니라 관리모듈의 운영자에 의해 재사용 싯점을 결정하게 된다.
삽입기능(46)은 새로운 CAP을 시작하기 위해 CAP-id를 할당하고(47) 해당 문맥정보 테이블을 생성한 후(48) 사용자로부터 관련정보를 입력받아(49) 이의 저장여부를 결정한다(50, 51). CAP-id에 대한 문맥정보 테이블의 생성은 검색시간을 단축하고 관리의 효율성을 가하기 위해 매 CAP-id 마다 문맥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한편, 문맥정보 테이블의 내용을 삽입했으나 저장을 취소하는 경우에도 새로 시스템에 선언된 CAP-id는 유효하다.
수행기능(52)은 특정 CAP-id를 입력받아(53) 해당 문맥정보 테이블(54)의 수행상태 태그를 “수행준비”에서 “수행중”으로 변경시킨다(55). 이때 시스템 내에 정의된 앞으로 수행될 CAP-id의 루트 디렉토리 정보를 갱신하며, 해당 CAP-id가 가리키는 자료객체를 관리하게 된다(56).
종료기능(57)은 초기화면으로 복귀시킨다(58).
제3c도는 요구사항 분석메뉴의 흐름도로서, 이 기능이 선택되면 먼저 어떠한 자료객체를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59). 여기에서 제공되는 자료객체로는 시스템 적합성 멩세(SCS)(60), 시험 의뢰자 상화표(Cl_chklst)(61), 시험 기관 상황표(Tl_chklst)(62)등이 있으며, 자료객체의 결정 후에는 편집, 열람, 출력, 종료등과 같은 공통 세부기능을 입력받게 된다(63).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행상태 태그가 “수행중”으로 표시되어 있는 CAP-id가 존재하여야 한다.
편집기능(64)에서는 선택된 자료객체의 존재여부를 조사하여(85) 존재하면 사용자로부터 갱신할 정보를 입력받아(66) 저장여부를 결정하고(67, 68),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69) 자료객체의 생성의도라고 간주하여 사용자로부터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한다(70, 71).
열람기능(72)은 해당 자료객체의 내용을 모니터에 출력하는 것이다(73).
출력기능(74)은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할 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75) 해당 프린터의 제어코드를 추가한 후(76) 프린터로 출력한다(77).
종료기능(78)은 초기화면으로 복귀시킨다(79).
제3d도는 시험시스템 관리메뉴의 흐름도로서, 그 기능은 특정 시험시스템을 실행시킬 것인지, 아니면 관리모듈 안에 선언되어 있는 시험시스템의 구성정보를 관리할 것인가로 대별된다(80). 시험시스템 수행메뉴가 선택되면(81) 해당 시스템을 호출하여 제어를 넘기므로(82), 관리모듈은 후위(background) 프로세스로 되고 해당 시험시스템의 메뉴가 수행된다. 한편, 시험시스템 구성관리메뉴가 선택되면 편집, 열람, 출력, 삭제, 삽입등의 세부기능 중에서 수행할 명령을 입력받게 된다(86).
편집기능(84)이 선택되면 시험시스템 식별자 정보(이하 “TS-id”라 칭함)를 입력받아(85) 현재 사용자의 권한여부를 조사하여(86) 시험시스템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식별자 정보(TS-id)에 대응하는 시험시스템 테이블이 없거나 사용자가 권한이 없는 경우(87)에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88). 편집과정 중에 기존정보를 갱신한 경우에는(89) 저장여부를 명확히 확인한 후(91) 갱신된 내용으로 저장하고(91),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세부기능 선택모드로 돌아간다(92).
열람기능(93)은 특정 식별자 정보(TS-id)에 대한 시험시스템 테이블의 내용만을 보거나 전체 시험시스템에 대한 시험시스템 테이블의 내용(34)을 모니터에 출력시키는 기능이다(95). 단, 이 경우에도 문맥정보의 내용을 갱신하는 것은 불가하다.
출력기능(96)은 특정 식별자 정보(TS-id)가 나타내는 정보 혹은 전체 정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으로, TS-id 정보를 입력받은 후(97) 사용할 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98). 프린터가 결정되면 해당 프린터의 제어코드를 시험시스템 테이블에 추가한 후(99), 프린터로 출력한다(100).
삭제기능(101)은 특정 식별자 정보(TS-id)를 입력받아(102) 해당 시험시스템 테이블을 논리적으로 제거시킨다(103, 104). 삭제된 테이블의 TS-id는 새로운 시험시스템이 관리모듈 내에 선언될 때, 바로 할당되는 것이 아니라 관리모듈의 운영자에 의해 재사용 싯점을 결정하게 된다.
삽입기능(106)은 새로운 시험시스템을 관리모듈 안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시험시스템을 새로 선언하기 위해서는 식별자 정보(TS-id)를 할당받고(107) 해당 시험시스템 테이블을 생성한 후(108), 사용자로부터 관련정보를 입력받아(110) 이의 지정여부를 결정한다(111, 112). 시험시스템 테이블의 내용을 삽입했으나 저장을 취소하는 경우에도 새로 시스템에 선언된 상기 TS-id는 유효하다. 한편, 삽입기능과 삭제기능이 수행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 시험시스템에 대한 메뉴가 자동으로 삽입, 삭제된다(105, 106).
종료기능(113)은 초기화면으로 복귀시킨다(114).
제3e도는 시스템 적합성 시험 보고서(SCTR) 관리메뉴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기능은 시험시스템이 프로파일 시험시스템인 경우 자체적으로 SCTR 생성 기능을 갖을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임의의 프로토콜을 시험하는 시험시스템이나, 하나의 프로파일을 시험하기 위해 여러 시험시스템들이 협동적으로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시험시스템의 관리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세부기능(115)으로는 생성, 열람, 출력메뉴가 있는데, 생성 명령을 받는 경우(116) 먼저 시험시스템에 의해 이미 생성되어 있는 SCTR이 있는지 조사하게 된다(117). 이미 존재하는 경우(118)에는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119),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120)에는 시험대상 시스템에 존재하는 프로토콜들에 대한 프로토콜 적합성 시험 보고서(PCTR)을 취합하여(121) SCTR을 생성한다(122).
열람기능(123)은 SCTR의 내용을 모니터에 출력시키는 것이며(124), 출력기능(125)은 그 내용을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할 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126) 제어코드를 추가한 후(127) 프린터로 출력한다(128).
종료기능(129)은 초기화면으로 복귀시킨다(130).
제3f도는 상태관리 메뉴의 흐름도로서, 이 기능이 선택되면 전체정보, 열람, 출력등의 세부기능 중에서 수행할 명령을 입력받게 된다(131).
전체정보 기능(132)은 정보베이스(IB)의 루트 디렉토리(134)로부터 현재까지 수행되어 저장된 자료객체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이다(135). 그러나 이 기능은 보안문제와 관련하여 권한이 있는 사람에게만 제공하거나 아니면, 그 내용을 매우 단순화시켜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133).
열람기능(136)은 특정식별정보(CAP-id)를 입력받아(137) 해당 CAP-id의 루트 디렉토리(138)로 부터 현재까지 생성된 자료객체의 리스트(139)를 모니터를 통해 제공한다(140).
출력기능(141)은 열람기능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지만(142, 143) 프린터로 최종정보를 제공(144, 145, 146)하는 면에서 상이하다.
종료기능(147)은 초기화면으로 복귀시킨다(148).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여러 적합성 시험시스템에 대해 범용의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모든 시험시스템들이 독자적으로 갖고 있는 관리기능을 통합하여 관리기능의 중복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시험시스템이나 시험도구를 하나의 관리체계 안에 포함시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억공간을 감소시키고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국제표준화기구의 ISO 9646 기본지침에 의거하여 개방형 시스템 상호접속(OSI) 프로토콜 또는 다수의 프로토콜 스택으로 이루어진 프로화일 구현제품이 표준에 적합하게 구현되었는지 시험하는 적합성 시험시스템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문맥으로 구분하여 식별자를 할당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 후 프로토콜 구현제품(들)의 제공자로부터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요구사항을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2단계 ; 상기 제2단계 후 실제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험시스템을 호출하거나 시험시스템의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제3단계 ; 및 상기 제3단계 후 시스템 적합성 시험 보고서(SCTR)를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시스템 적합성 시험 보고서(SCTR)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공통관리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합성 평가과정(CAP)을 위한 시험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어느 특정 시스템으로의 접근을 요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적합성 시험의 수행상태를 알려주는 상태 변화 기능을 수행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합성 평가과정(CAP)을 위한 시험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체 시스템 및 특정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움기능을 수행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합성 평가과정(CAP)을 위한 시험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여러 적합성 평가과정을 문맥개념으로 분류 관리할 때 각각의 문맥정보를 하나의 화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합성 평가과정을 위한 시험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의 요구사항 분석 결과가 해당 식별자 정보(CAP-id)가 나타내는 문맥정보의 테이블 정보중의 일부로 자동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합성 평가과정을 위한 시험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시험시스템의 삽입, 삭제등 동적인 관리기능을 제공할 때 전체 관리시스템의 재컴파일 과정없이 해당 시험시스템에 대한 메뉴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합성 평가과정을 위한 시험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KR1019910026043A 1991-12-30 1991-12-30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위한 시험 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KR94000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6043A KR940009110B1 (ko) 1991-12-30 1991-12-30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위한 시험 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6043A KR940009110B1 (ko) 1991-12-30 1991-12-30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위한 시험 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125A KR930014125A (ko) 1993-07-22
KR940009110B1 true KR940009110B1 (ko) 1994-09-29

Family

ID=1932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6043A KR940009110B1 (ko) 1991-12-30 1991-12-30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위한 시험 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1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125A (ko) 199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738A (en) Input/output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omputers
US64874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chedule and design environments
US54187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complex entity
US8869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test cases for a software application
CN110569298A (zh) 一种数据对接、可视化方法和系统
CN113971037A (zh) 应用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617780A (zh) 数据导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587351B (zh) 一种呼叫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059002B (zh) 测试数据的生成方法、测试设备、存储介质及装置
CN111399999B (zh) 计算机资源处理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JP2000216854A (ja) 通信システム用のコンフィグレ―ションデ―タを検証するための、方法、検証モジュ―ル、サ―バ、制御モジュ―ル、および記憶手段
KR940009110B1 (ko) 적합성 평가 과정(cap)을 위한 시험 시스템들의 범용적 관리방법
CN112860538A (zh) 基于线上日志进行接口回归测试的方法和装置
CN112671567B (zh) 一种基于服务化接口的5g核心网拓扑发现方法及装置
CN112671565B (zh) 一种基于信令链路的5g核心网拓扑发现方法及装置
CN111459907B (zh) 通过模型配置主数据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010087272A (ko) 컴퓨터 작업 부하의 고속 복구 및 재배치를 가능하게 하는절차 및 자동화의 어플리케이션
CN112363700A (zh) 智能合约的协同创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8920182A (zh) 一种新型源代码统计分析方法和系统
CN117112654B (zh) 城市数据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457228B (zh) 接口返回报文的比对方法及系统
RU2375833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систем, содержащих услуги связи
CN114253731A (zh) 一种虚拟机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16027A (zh) 一种软件低代码开发系统及方法
KR100248576B1 (ko) 차세대지능망 지능형정보제공시스템 지능망응용프로토콜 시험장치에서의 메시지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