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111B1 - Cordless switching system - Google Patents

Cordless switch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111B1
KR940008111B1 KR1019910013504A KR910013504A KR940008111B1 KR 940008111 B1 KR940008111 B1 KR 940008111B1 KR 1019910013504 A KR1019910013504 A KR 1019910013504A KR 910013504 A KR910013504 A KR 910013504A KR 940008111 B1 KR940008111 B1 KR 94000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microprocessor
sensing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5392A (en
Inventor
안병윤
한기석
유종현
Original Assignee
나우정밀 주식회사
이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정밀 주식회사, 이용운 filed Critical 나우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111B1/en
Publication of KR93000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11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automatic talking and automatic standby converting system includes: a portable unit having a first charge sensing circuit for sensing a charge terminal voltage, a first microprocessor for sensing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charge sensing circuit, an output signal of a first receiving data waveform shaper and talking and standby button operation signals and controlling a first phase fixing loop and a first transmitting amplifier; and a base unit having a second charge sensing circuit for sensing a charge terminal voltage, a second microprocessor for sensing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charge sensing circuit and output signals of a bell signal receiver and a second receiving data waveform shaper and controlling a second phase fixing loop, a second transmitting amplifier, a dial circuit and a transmitting data transmitter, thereby preventing conversion to a talking state by mistake.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자동통화 및 자도통화 대기 전환 시스템Wireless Call and Auto Call Standby Switching System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코드없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부의 전체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rdless portable teleph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코드없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부의 전체구성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rdless telephone set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1도 휴대장치부의 본 발명의 자동통화 및 자동통화 대기기능 회로이 제어부 상세도.3 is a detailed view of a control unit of the automatic call and automatic call standby function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제4도는 제2도 고정장치부의 본 발명의 자동통화 및 자동통화 대기 기능 회로의 제어부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of the control part of the automatic call and automatic call waiting function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제5도는 본 발명에서 충전중일때의 자동 통화 데이타 입출력 파형도.Figure 5 is an automatic call data input and output waveform diagram when charging in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에서 벨 수신후 자동통화 데이타 입출력 파형도.Figure 6 is an automatic call data input and output waveform diagram after receiving the bell in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의 (a), (b)는 본 발명의 자동통화 및 자동통화 대기 전환 처리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A) and (b) of FIG. 7 are flowcharts showing the automatic call and automatic call waiting switch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고주차증폭 및 중간주파 증폭 및 검파부 2 : 수화 전력증폭부1: high-frequency amplification and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ion unit 2: hydration power amplifier

3 : 수신데이타 파형정형부 4 : 위상고정루프(P.L.L)3: Receive data waveform shaping section 4: Phase locked loop (P.L.L)

5 :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 6 : 송화증폭부5: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modulation section 6: transmission amplifier

7 : 마이크로 프로세서 8 : 키보드부7: microprocessor 8: keyboard portion

9 : 리세트 회로부 10 : 충전감지회로부9 reset circuit portion 10 charge detection circuit portion

11 : 송신데이타 송출부 12 : 전화극선 콘트롤부11: transmission data transmission unit 12: telephone pole control unit

13 : 중간주파 증폭 및 검파부 14 : 고주파증폭 및 변환부13: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ion unit 14: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conversion unit

15 : 위상고정루프(P.L.L) 16 : 수신데이타 파형정형부15: Phase fix loop (P.L.L) 16: Receive data waveform shaping unit

17 : 송화증폭부 18 : 고주파증폭 및 변조부17: call amplifier 18: high frequency amplifier and modulator

19 : 송신데이타 송출부 20 : 전원회로부19: Transmission data sending section 20: Power supply circuit section

21 : 마이크로 프로세서 22 : 벨수신회로부21 microprocessor 22 bell receiver circuit

23 : 충전감지 회로부 24 : 다이얼회로부23: charge detection circuit portion 24: dial circuit portion

본 발명은 주파수 공용방식(MCA) 코드없는 전화기에서의 자동통화(AUTO-talk) 및 자동통화대기(AUTO-stand BY)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중에 전화를 걸때나 또는 받을 경우에 휴대장치를 들고 임의의 스위치 버튼을 동작시키지 않고 즉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상태에서 일정시간내 다이얼을 하지 않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통화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시스템인 자동통화 및 자동통화 대기 전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talk and auto-stand by switch system in a MCA codeless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evice when making or receiving a call during charg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ll waiting mode and an automatic call waiting switching system, which is a system in which a user can make a call immediately without operating any switch button and automatically switches to a call waiting state when the user does not dial in a certain time.

종래에는 전화를 걸때나 받을때 휴대장치를 들고 임의의 스위치버튼을 조작하여야만 통화상태로 전환되는데 이때 통화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불편함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사용 목적 이외의 부주의로 인하여 전화가 통화중(사용중)인 상태로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전화국 교환대에 많은 부작용 및 오동작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자신은 착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남게 되는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when making a call or receiving a call, the user must pick up a mobile device and operate an arbitrary switch button to switch to a call state. The inconvenience of being in a busy state occurs, which causes not only a lot of side effects and malfunctions in the telephone exchange, but also the user himself.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코자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주파수 공용방식 코드없는 전화기에서 자동통화와 부주의로 인하여 통화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정정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such a problem of the prior art, and aims to correct a transition to a call state due to an automatic call and carelessness in a frequency common codeless telepho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장치는 고주파 증폭 및 중간주파 증폭 및 검파부(1)와 수화전력 증폭부(2)를 거쳐 수화기를 구동하고, 상기 고주파 증폭 및 중간주파 증폭 및 검파부(1)의 출력을 파형 정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입력시키는 수신데이타 파형정형부(3)와,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서 출력되는 채널을 입력 받아 송신데이타 송출부(11)에서 통화, 대기 버튼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하는 위상 고정 루프(4)와, 송화기를 통한 음성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에 (5)에 출력하는 송화증폭부(6)와, 상기 송화증폭부(6)에서 증폭된 음성 오디오신호가 안테나로 출력되도록 하는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5)가 구비된 휴대장치에서, 충전단자(+)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감지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입력시키는 충전감지 회로부(10)와, 상기 충전감지 회로부(1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와 상기 수신 데이타 파형정형부(3)의 출력신호 및 통화, 대기 버튼조작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위상고정루프(4)와 송화증폭부(6) 및 송신데이타 송출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를 구비하여 휴대장치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handset through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ion unit 1 and the hydration power amplifier 2, and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ion. Receiving data waveform shaping section 3 for inputting the output of section 1 to the microprocessor 7 and a channe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7, receiving a call from the transmission data sending section 11, A phase-locked loop (4) for 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button, a song amplifier (6) for amplifying a voice audio signal through a transmitter and outputting the same to a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modulation unit (5); In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modulator (5) for outputting the audio audio signal amplified in (6) to the antenna, the corresponding sensing signal is input to the microprocessor (7) by sensing the voltage of the charging terminal (+). Letting The phase lock loop 4 recognizes a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front sensing circuit unit 10 and the charging sensing circuit unit 10, an output signal of the received data waveform shaping unit 3, and a call and standby button operation signal. And a microprocessor (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talk amplifier (6) and the transmission data transmitter (11).

제1도에서 미설명 부로 8은 키보드부, 9는 리세트회로부이다.In FIG. 1, 8 is a keyboard part and 9 is a reset circuit part.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는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증폭 및 변환하여 중간 주파증폭 및 검파부(13)를 통해 전화국선 콘트롤부(12)에 가해주는 고주파 증폭 및 변환부(14)와, 상기 고주파 증폭 및 변환부(14)에 의해 휴대장치로부터 송신된 고주파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을 고정하는 위상 고정루프(15)와, 상기 중간주파 증폭 및 검파부(13)의 출력을 파형정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입력시키는 수신 데이타 파형정형부(16)와, 전화국선 콘트롤부(12)를 통한 음성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고주파 증폭 및 변환부(18)에 출력하는 송화증폭부(17)와, 송화증폭부(17)에서 증폭된 음성오디오 신호가 안테나로 출력되도록 하는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18)가 구비된 고정장치에서, 충전단자(+)(-)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입력시키는 충전 감지 회로부(23)와, 상기 충전감지 회로부(23)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와 벨신호수신부(22) 출력신호 및 상기 수신데이타 파형정형부(16)의 출력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위상고정루프(15)와 송화증폭부(17) 및 다이얼 회로부(24)와 송신데이타 송출부(19)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를 구비하여 고정장치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 2,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plifies and converts a signal received by an antenna and applies a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conversion unit to the telephone line controller 12 through an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ion unit 13. 14, a phase locked loop 15 for fixing a channel corresponding to a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device by the high frequency amplifying and converting unit 14, and an output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ying and detecting unit 13; To amplify the received data waveform shaping unit 16 for inputting the waveform to the microprocessor 21 and the audio / audio signal through the telephone line control unit 12 and outputting the amplification and output to the high frequency amplifying and converting unit 18. In a fixed device having a unit 17 and a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modulator 18 for outputting the audio audio signal amplified by the talk amplifier 17 to an antenna, the charging terminal (+) (-) voltage is sensed. To detect the corresponding signal A charge sensing circuit unit 23 input to the parser 21, a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charge sensing circuit unit 23, an output signal of the bell signal receiver 22, and an output signal of the received data waveform shaping unit 16; The fixed device includes a microprocessor 21 which recognizes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phase-locked loop 15, the transmission amplifier 17, the dial circuit 24, and the transmission data transmitter 19.

제2도에서 미설명부호 20은 전화 회로부이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telephone circuit par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제1도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부의 전체구성 개략도로서, 통화대기 버튼이 "온(ON)"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로우(LOW)"신호가 입력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7)는 이 신호를 인식하여 통화모드(TALK MODE)로 제어하게 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of a wireless telephone. When the call waiting button is " ON ", a " LOW " signal is input to the microprocessor 7, so that the microprocessor 7 receives this signal. It recognizes and controls to call mode (TALK MODE).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서는 그 로우(LOW)신호를 받아서 위상고정루프(4)로 임의의 한 채널값을 보내주며 또한 토크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송신데이타 송출부(11)를 통해 출력하고 음성 오디오신호는 송화증폭부(6) 및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5)를 거쳐 안테나(ANT)를 통해 송출된다.That is, the microprocessor 7 receives the low signal and sends an arbitrary channel value to the phase locked loop 4, and also outputs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torque through the transmission data transmitting unit 11 and generates a voice.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ANT through the call amplifier 6 and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modulation unit 5.

제2도의 고정장치부에서는 안테나에 수신된 고주파 신호가 고주파 증폭 및 변환부(14)에 입력되며, 위상 고정루프(15)에서는 휴대장치에서 송신된 임의의 채널로 고정한다.In the fixing unit of FIG. 2, the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is input to the high frequency amplifying and converting unit 14, and the phase fixing loop 15 fixes to any channe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apparatus.

한편 수신된 데이타 펄스와 오디오신호는 중간주파 증폭 및 검파부(13)를 통해 오디오 신호 및 데이타 펄스가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ed data pulses and audio signals are output through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or 13 and the audio signals and data pulses.

이 데이타 펄스는 수신데이타 파형정형부(16)를 통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입력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1)는 그 데이타를 분석하여 그 값에 따라 통화 모드로 전환시킨다.The data pulse is input to the microprocessor 21 through the reception data waveform shaping unit 16, and the microprocessor unit 21 analyzes the data and converts the data into the call mode according to the value.

마이크로 프로세서(21)는 전화국선 콘트롤러(12)에 출력신호를 보내어 전화국선과 휴대장치간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The microprocessor 21 sends an output signal to the telephone line controller 12 to enable a call between the telephone line and the portable device.

음성 오디오신호는 중간주파증폭 및 검파부(13)에서 출력되어 전화국선 콘트롤부(12)를 거쳐 전화국선으로 송출된다.The audio /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and detector 13 and sent to the telephone line via the telephone line controller 12.

전화국선으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전화국선 콘트롤부(12) 및 송화증폭부(17)를 거쳐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18)를 통해서 안테나로 송출된다.The audio signal inputted to the telephone line is transmitted to the antenna through the high frequency amplifier and modulator 18 via the telephone line control unit 12 and the talk amplifier 17.

휴대장치의 응답경로도 고정장치의 응답경로와 같이 동작된다.The response path of the portable device also operates in the same way as the response path of the fixed device.

또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올 경우에는 전화국선으로 부터 벨신호가 벨수신회로부(22)를 거쳐 로직으로 검출된다.In addition,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 bell signal is detected from the telephone line through logic through the bell receiving circuit unit 22.

이 로직으로 검출된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벨이 울리는 것을 감지하여 송신데이타 송출부(19) 및 안테나를 통해 벨 신호를 휴대장치로 보내준다.The signal detected by this logic detects the ringing by the microprocessor 21 and transmits the bell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transmission data transmitter 19 and the antenna.

이때 휴대장치는 고정장치와 같은 채널로 고정하여 데이타를 주고 받는다.At this time, the portable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fixing the same channel as the fixed device.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휴대장치부의 충전시 자동통화(Auto Talk) 기능 회로 및 자동통화 대기 전환 기능회로의 제어회로이 세부회로 구성도로서,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ircuit of the auto talk function circuit and the auto call standby switching function circuit during charging of the portable unit shown in FIG. 1.

충전상태에서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분리되면서 그 기능이 동작된다.The function is operated whe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are separated from the charging state.

충전중일 경우에 제4도의 충전단자에 전원(B+)이 저항(R12)을 통해 가해지면 제3도의 충전단자에 전원(B+)이 가해지고 다이오드(D1)를 통해서 충전밧데리 3.6볼트로 충전시키며 저항(R3)과 저항(R4)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주어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단자(Ao)전압을 "0"볼트상태(즉 "LOW")로 만들어(평상시 5V)준다.(제5도(a) 참조)When charging, the power B + is a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FIG. 4 through the resistor R12. The power supply B + is a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FIG. 3 and charged with 3.6 volts of the charging battery through the diode D1. A bias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via R3 and resistor R4 to bring the terminal Ao voltage of the microprocessor 7 into a "0" volt state (that is, "LOW") (normally 5V). (See Fig. 5 (a)).

마이크로 프로세서(7)는 단자(Ao) 전압을 감지하여 "LOW"이면 충전상태로 인식한다.The microprocessor 7 senses the terminal Ao voltage and recognizes the state of charge if it is "LOW".

이와 동시에 제4도에서도 전원(B+)이 저항(R12)를 통해 충전단자를 거치고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2)를 도통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o)전압 "0"볼트 상태로 만들어 준다(제5도(a) 참조).At the same time, in FIG. 4, the power supply B + passes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through the resistor R12 and supplies a bias voltage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through the resistor R11 to conduct the transistor Q2 to conduct the microprocessor 21. ), Make terminal (Ao) voltage "0" volt state (see Fig. 5 (a)).

이와 같이 하여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모두 동시에 충전상태가 된다.In this way, both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are charged at the same time.

여기서 저항(R4)(R10), 콘덴서(C1)(C4)는 충전단자의 채터링 방지용으로 사용된다.Here, the resistors R4, R10, and capacitors C1, C4 are used to prevent chattering of the charging terminals.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동시에 충전상태가 되면 먼저 고정장치에서 휴대장치로 충전데이타를 송신하게 된다.Whe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are charged at the same time, the charging data is first transmitted from the fixed device to the portable device.

즉, 제4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1)로 충전데이타를 송출(제5도(c) 참조), 저항(R7)(R8), 콘덴서(C3)를 거쳐 제2도의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18)를 지나 안테나로 송출된다.That is, the charging data is sent to the terminal A1 of the microprocessor 21 of FIG. 4 (see FIG. 5C), the resistor R7 (R8), the capacitor C3, and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of FIG. Passed through the modulator 18 is sent to the antenna.

휴대장치는 그 데이타 신호를 안테나로 수신하여 고주파 증폭 및 검파부(1)를 통해 수신 데이타 파형 정형회로(3)를 거쳐 제3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 단자(A2)로 데이타가 입력된다.The portable device receives the data signal through an antenna and inputs data to the terminal A2 of the microprocessor 7 of FIG. 3 via the received data waveform shaping circuit 3 through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ion unit 1.

마이크로 프로세서(7)는 그 신호를 받아 다시 충전데이타를 제5도(b)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단자(A1)로 보내 저항(R5)(R6), 콘덴서(C2)를 거쳐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5)를 통해 안테나로 송신한다.The microprocessor 7 receive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charging data to the terminal A1 of the microprocessor 7 as shown in FIG. 5 (b), through the resistors R5 and R6 and the capacitor C2. And transmits to the antenna via the modulator 5.

고정장치에서 안테나로 수신된 충전데이타는 고주파증폭 및 변환부(14)를 거쳐 중간주파증폭 및 검파부(13)를 통하고 수신데이타 파형 정형부(16)를 거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3)로 충전데이타 입력된다.(제5도(d) 참조)The charging data received by the antenna from the fixed device is passed through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conversion unit 14, through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ion unit 13, and through the receiving data waveform shaping unit 16, to the terminals of the microprocessor 21 ( The charging data is inputted to A3) (see FIG. 5 (d)).

마이크로 프로세서(21)는 그 데이타 값을 확인한 다음 그에 해당하는 확인 데이타를 단자(A1)로 송출시킨다.The microprocessor 21 checks the data value and then sends the corresponding confirmation data to the terminal A1.

그러면 휴대장치는 수신된 확인데이타를 확인한 다음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동시에 충전상태로 된다.Then, the portable device checks the received confirmation data, and the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are simultaneously charged.

이 상태에서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분리되면서 즉 자동통화 모드에 전환되는데 2가지 경로로 마이크로 프로세서(7, 21)는 동작을 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are separated, that is, the automatic call mode is switched, and the microprocessors 7 and 21 operate in two paths.

즉, 제7도의 (a)는 고정장치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제어동작 흐름도를 나타내고, (b)는 휴대장치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제어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That is, Fig. 7A shows a flow chart of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21 in the fixed device, and (b) shows the flow chart of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7 in the portable device.

또한 제5도는 충전중일때의 자동통화 데이타 송출신호 파형도로서, (a)는 휴대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단자(Ao) 입력 상태 및 고정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o) 입력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단자(A1) 출력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c)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1) 출력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d)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3) 출력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5 is a waveform diagram of an automatic call data transmission signal during charging, in which (a) shows the input state of the terminal Ao of the microprocessor 7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terminal Ao of the microprocessor 21 of the fixed device. (B) shows the output state of the terminal A1 of the microprocessor 7, (c) shows the output state of the terminal A1 of the microprocessor 21, and (d) The output state of the terminal A3 of the microprocessor 21 is shown, respectively.

그리고 제6도는 벨 수신후 자동 통화 데이타 송출신호 파형도로서, (a)는 휴대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단자(Ao) 입력 상태 및 고정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o) 입력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4) 입력단자를 나타낸 것이고, (c)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1) 출력 상태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단자(A2) 입력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d)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단자(A1) 출력상태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2) 입력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e)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단자(A3) 출력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6 is a waveform diagram of an automatic call data transmission signal after receiving a bell, and (a) shows a terminal Ao input state of the microprocessor 7 of the portable apparatus and a terminal Ao input of the microprocessor 21 of the fixed apparatus. (B) shows the input terminal A4 of the microprocessor 21, (c) shows the output state of the terminal A1 of the microprocessor 21 and the terminal ( A2) shows the input state, (d) shows the output state of the terminal A1 of the microprocessor 7 and the input state of the terminal A2 of the microprocessor 21, and (e) shows the microprocessor 21. Each output of terminal A3 is show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상태에서의 주파수 공용 방식(MCA) 코드없는 전화기에서의 자동통화(Auto Talk) 및 자동으로 통화대기 전환되는 기능으로서, 부주의로 인한 통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통화 상태로 전환시에 시간이 길어지는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talking and automatically switching to call waiting in a MCA cordless telephone in a state of charge, and preventing a call from being inadvertently switched to a call state.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olve the uncomfortable problem of long time when switching to the call state.

Claims (1)

고주파 증폭 및 중간 주파 증폭 및 검파부(1)와 수화전력 증폭부(2)를 거쳐 수화기를 구동하고, 상기 고주파 증폭 및 주파 증폭 검파부(1)의 출력을 파형 정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입력시키는 수신데이타 파형정형부(3)와,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서 출력되는 채널을 입력 받아 송신 데이타 송출부(11)에서 통화, 대기 버튼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하는 위상 고정 루프(4)와, 송화기를 통한 음성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5)에 출력하는 송화증폭부(6)와, 상기 송화증폭부(6)에서 증폭된 음성 오디오 신호가 안테나로 출력되도록 하는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5)가 구비된 휴대장치와,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증폭 및 변환하여 중간주파 증폭기 및 검파부(13)를 통해 전화국선 콘트롤부(12)에 가해주는 고주파 증폭 및 변환부(14)와, 상기 고주파 증폭 및 변환부(14)에 의해 휴대장치로부터 송신된 고주파신호에 해당하는 채널을 고정하는 위상 고정 루프(15)와, 상기 중간주파증폭기 및 검파부(13)의 출력을 파형정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입력시키는 수신 데이타 파형 정형부(16)와, 전화국선 콘트롤부(12)를 통한 음성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고주파증폭 및 변환부(18)에 출력하는 송화증폭부(17)와, 송화증폭부(17)에서 증폭된 음성오디오 신호가 안테나로 출력되도록 하는 고주파 증폭 및 변조부(18)가 구비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충전단자(+)전압을 감지하여 해당감지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입력시키는 충전감지회로부(10)와, 상기 충전감지 회로부(1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와 상기 수신데이타 파형정형부(3)의 출력신호 및 통화, 대기 버튼 조작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위상고정루프(4)와 송화증폭부(6) 및 송신데이타송출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충전단자(+)(-)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입력시키는 충전감지 회로부(23)와, 상기 충전감지회로부(23)로 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와 벨신호수신부(22) 출력신호 및 상기 수신데이타 파형정형부(16)의 출력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위상 고정루프(15)와 송화증폭부(17) 및 다이얼 회로부(24)와 송신 데이타 송출부(19)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를 구비하여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자동통화 및 자동통화 대기 전환시스템.The receiver is driven through a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and detection unit 1 and a hydration power amplification unit 2, and the output of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frequency amplification detection unit 1 is waveform-formed to the microprocessor 7. A phase locked loop 4 for receiving the received data waveform shaping unit 3, the channe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7, and 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a call or standby button from the transmission data sending unit 11; Amplifying the audio signal through the transmitter, and outputting it to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modulator 5, and a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audio signal to the antenna. And a high frequency amplifying and converting unit for amplifying and converting a signal received by an antenna and applying it to the telephone line controller 12 through an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and a detector 13. 14) with, award A phase processor loop 15 for fixing a channel corresponding to a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device by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converting unit 14, and the output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and the detector 13 are subjected to waveform shaping. A reception data waveform shaping unit 16 to be input to the 21, a talk amplifier 17 for amplifying a voice audio signal through the telephone line control unit 12 and outputting it to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conversion unit 18; In a radiotelephone comprising a fixed device having a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and modulator 18 for outputting a voice audio signal amplified by the talk amplifier 17 to the antenna,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 voltage. A charge sensing circuit unit 10 for sensing and inputting a corresponding sensing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7, a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charging sensing circuit unit 10, an output signal and a call of the received data waveform shaping unit 3, versus And a microprocessor (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hase fixing loop (4), the transmitting amplifier (6) and the transmitting data transmitting unit (11) by recognizing a button operation signal. Charge sensing circuit unit 23 for sensing a positive voltage and inputting a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21, and a sensing signal and a bell signal receiving unit 22 input from the charging sensing circuit unit 23. Recognizing the out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received data waveform shaping section 16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hase locked loop 15, the talk amplifier 17, the dial circuit 24 and the transmission data sending section 19 The automatic call and the automatic call standby switching system of a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processor (21).
KR1019910013504A 1991-08-05 1991-08-05 Cordless switching system KR9400081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504A KR940008111B1 (en) 1991-08-05 1991-08-05 Cordless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504A KR940008111B1 (en) 1991-08-05 1991-08-05 Cordless switch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92A KR930005392A (en) 1993-03-23
KR940008111B1 true KR940008111B1 (en) 1994-09-02

Family

ID=1931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504A KR940008111B1 (en) 1991-08-05 1991-08-05 Cordless switch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11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92A (en)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676B1 (en) Automatic channel selection system for a cordless telephone
EP0272068B1 (en) Microphone circuit
KR940008111B1 (en) Cordless switching system
JPH03108931A (en) Radio telephone system
KR100304531B1 (en) Automatic answering unit in handsfree phone
KR100656653B1 (en) ??? telephone for solving emergency sta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28908B1 (en) Guide apparatus and method for reservation of auto answering telephone
KR0127529Y1 (en) Call holding-sound draw-off equipment using external acoustic apparatus
JPH04234254A (en) Automatic call method of wireless telephone
KR0153844B1 (en) Continuous communication method after finishing communication in a portable apparatus of wirelss telephone
KR970011415B1 (en) Ring sound generating method
KR100447644B1 (e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d / wireless telephone
KR940008775B1 (en) Light dial control system
JP2674645B2 (en) Cordless telephone with interphone
JPH0416519Y2 (en)
JPH0638511Y2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KR0120014B1 (en) Free dial device & method of wireless phone
KR100200342B1 (en) Automatic converting device for telephone hook
KR0156458B1 (en) Cordless telephone
KR100385336B1 (en) Hands free kit for mobile phone
KR100217737B1 (en) Traffic loop making method by detecting dial tone
KR920006207Y1 (en) Telephone automatic stand-by switching circuit
KR970006780B1 (en) Radio telephone
KR950009563B1 (en) Hand-free cellular phone
JPH0621879A (en) Cordless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