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518Y1 -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518Y1
KR940006518Y1 KR92000441U KR920000441U KR940006518Y1 KR 940006518 Y1 KR940006518 Y1 KR 940006518Y1 KR 92000441 U KR92000441 U KR 92000441U KR 920000441 U KR920000441 U KR 920000441U KR 940006518 Y1 KR940006518 Y1 KR 940006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s
cover plate
shoelace
wall
insertion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0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590U (ko
Inventor
이균철
Original Assignee
이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균철 filed Critical 이균철
Priority to KR92000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518Y1/ko
Publication of KR930017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고정된 신발 일부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덮개판 2 : 몸체
3 : 래치트 4 : 핸들
5, 5' : 돌기축 6 : 관통공
7 : 삽입턱 8 : 내벽
9 : 결합공 10 : 신발끈
11 : 고정공 12 : 외벽
13 : 끈왕래공 14 : 삽입턱집
15 : 제동핀 16 : 보조덮개
17 : 발톱 17' : 스프링
18, 18' : 볼트 19, 19' : 너트
20 : 걸고리 A : 신발끈 자동조절기
본 고안은 신발끈을 한곳으로 장치하여 한번의 작동으로 조여주거나 풀어줄수 있도록 한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신발끈은 착용자가 사용할 때마다 끈을 별도로 구멍에 끼워서 묶거나 풀어 사용하는 불편함 때문에 경우에 따라 신발을 신고 벗기를 간편하기 위하여 신발에서 발과 내부에 공간을 조금 두고 끈을 묶어서 착용하나 이는 신발을 신고 벗을때의 편리함은 있으나 신발이 발과 밀착되지 않아 신발의 착용감이 떨어지며 농구화나 등산화 등 뒤부분이 높은 신발의 경우는 사용할 때마다 끈을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운동 경기도중에 신발끈이 풀어져서 운동을 중단하고 신발끈을 묶어야 하거나 어린이는 신발끈이 풀어져 더럽혀지거나 풀어진 끈이 발에 밟혀 넘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자동조절기를 사용하여 원터치식으로 핸들을 회전시켜 조여주거나 풀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둘레에 래치트(3)와 상측에 핸들(4)을 형성한 덮개판(1)에 돌기축(5)과 관통공(6) 및 삽입턱(7)을 만들고 내벽(8)의 결합공(9)에는 다수의 신발끈(10)을 삽입하여 일체로 묶은 다음 빠지지 않게 고정하고 중앙에 고정공(11)을 관통한 돌기축(5')을 형성한 몸체(2) 외벽(12)의 끈왕래공(13)에 각각 삽입하고 덮개판(1)의 삽입턱(7)을 몸체(2)의 삽입턱집(14)에 일치시키며 상단에 제동핀(15)이 있는 보조덮개(16)와 스프링(17')을 넣은 발톱(17)을 볼트(18)와 너트(19)로 결합하며, 그리고 덮개판(1)과 몸체(2) 돌기축(5) (5')의 관통공(6)과 고정공(11)에 볼트(18')를 삽입너트(19')로 결합하여 만든 신발끈 자동조절기(A)의 신발끈(10) 선단 결고리(20)를 신발의 끈고리(21)에 걸어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본 고안의 신발끈 자동조절기(A)를 신발 윗부분 상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신발을 착용 후 끈을 조여 주고저 하면 덮개판(1) 상측의 핸들(4)을 잡고 잠금지시 방향으로 돌려주면 덮개판(1)은 관통공(6)을 통해 볼트(18')와 너트(19')로 고정된 돌기축(5)을 축으로 하여 래치트(3)가 발톱(17)을 지나 한칸씩 회전하여 신발끈(10)을 당겨 조여 주면 덮개판(1) 내벽(8)의 결합공(9)에 일체로 삽입되어 묶여진 신발끈(10)은 몸체(2) 외벽(12)의 끈왕래공(13)을 지나 내벽(8)주위로 감겨지게 된다.
이때 덮개판(1) 하단의 삽입턱(7)이 몸체(2)의 삽입턱집(14)에 삽입되어 있어 이탈하지 않고 유연하게 작동 되어지고 압착 하중을 골고루 주는 역할을 하며, 래치트(3)가 발톱(17)을 지나면서 돌아가다 중지하면 제동핀(15)이 받쳐주고 있는 발톱(17)에 걸어 역회전이 방지되어 조여진 상태로서 고정된다.
이런 상태로 사용자가 계속 조여주면 신발끈(10)이 당겨짐과 동시에 신발끈(10)선단의 걸고리(20)는 신발의 끈고리(21)를 잡아당겨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장 적당히 조여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착용하다가 신발을 벗고져 할 때는 발톱(17)의 뒷부분을 눌러서 발톱(17)이 래치트(3)에서 이탈하면 덮개판(1)이 감김의 역방향으로 돌게되며 끈이 풀리게 되면 발을 앞으로 약간 굽히면 신발을 벗을 수 있거나 필요한 만큼 신발끈이 풀어지게 된다.
또한 갑피를 약간 좌우로 벌려주면 신발끈이 완전히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신발끈 자동조절기(A)가 장착된 신발을 착용하면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신발끈을 조여주거나 풀수 있어 신발끈 묶는 시간이나 풀어주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외둘레에 래치트(3)와 상측에 핸들(4)을 형성한 덮개판(1)에 돌기축(5)과 관통공(6) 및 삽입턱(7)을 만들고 내벽(8)의 결합공(9)에는 다수의 신발끈(10)을 삽입하여 일체로 묶은 다음 빠지지 않게 고정하고 중앙에 고정공(11)을 관통한 돌기축(5')을 형성한 몸체(2) 외벽(12)의 끈왕래공(13)에 끈을 각각 삽입하고 덮개판의 삽입턱을 몸체(2)의 삽입턱집(14)에 일치시키며 상단에 제동핀(15)이 있는 보조덮개(16)와 발톱 조절스프링(17')이 있는 발톱(18)을 볼트(18)와 너트(19)로 결합하며, 그리고 덮개판과 몸체를 볼트(18'), 너트(19')로 결합하여 만든 신발끈 자동조절기(A)의 신발끈 선단걸고리(20)를 신발의 끈고리에 걸어서 된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KR92000441U 1992-01-13 1992-01-13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KR940006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441U KR940006518Y1 (ko) 1992-01-13 1992-01-13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441U KR940006518Y1 (ko) 1992-01-13 1992-01-13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590U KR930017590U (ko) 1993-08-20
KR940006518Y1 true KR940006518Y1 (ko) 1994-09-26

Family

ID=1932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0441U KR940006518Y1 (ko) 1992-01-13 1992-01-13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5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74Y1 (ko) * 2008-01-24 2010-07-13 정재구 신발의 위치확인 장치
KR101047097B1 (ko) * 2010-12-08 2011-07-11 이동형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74Y1 (ko) * 2008-01-24 2010-07-13 정재구 신발의 위치확인 장치
KR101047097B1 (ko) * 2010-12-08 2011-07-11 이동형 신발
WO2012077899A2 (ko) * 2010-12-08 2012-06-14 Lee Donghyung 신발
WO2012077899A3 (ko) * 2010-12-08 2012-08-23 Lee Donghyung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590U (ko) 199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5864A (en) Cyclist's shoe and the like with separately adjustable diagonal and transverse straps for independent instep and forefoot fit control
US4081916A (en) Quick lace tightener for shoes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4513520A (en) Ski boot with inner boot tightening mechanism
US5228216A (en) Single point triangular adjustment system for sandals
US20020013983A1 (en) Shoelace tightening device
ATE53748T1 (de) Vorrichtung zum feststellen und nachstellen, insbesondere fuer skischuhe.
CA2140577C (en) Sandal fastening system
DE69918509D1 (de) Schnürverschluss für Innenschuh mit Fersenbefestigung
JPH031801A (ja) スキー靴用締めつけ調節装置
KR930007395A (ko) 운동화끈 장력 조절장치
JP2000189202A (ja) スポ―ツ靴
CA2230355A1 (en) Tandem closure system for shoes
US5347695A (en) Device for anchoring shoe laces with a quick tightening and slackening
KR940006518Y1 (ko) 신발끈 자동조절기를 부착한 신발
US5592722A (en) Closure device,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KR200232518Y1 (ko) 신발끈 자동조절장치
EP0434902B1 (en) Adjustable closure device particularly for ski boots
US4953425A (en) Bicycle pedal attachment
US20040226189A1 (en) Mountable securing mechanism for lace type footgear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920004859B1 (ko) 신발끈 조임구
KR200301577Y1 (ko) 하나의 노끈에 의해 신발에 결착되는 아이젠
KR200273526Y1 (ko) 신발끈 결속장치
KR20010008137A (ko)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301590Y1 (ko) 신발끈 조임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