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373B1 -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 Google Patents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373B1
KR940005373B1 KR1019860004142A KR860004142A KR940005373B1 KR 940005373 B1 KR940005373 B1 KR 940005373B1 KR 1019860004142 A KR1019860004142 A KR 1019860004142A KR 860004142 A KR860004142 A KR 860004142A KR 940005373 B1 KR940005373 B1 KR 94000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arrier
signal
rails
low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543A (ko
Inventor
제임스 갠즈 마이클
빅터 슈나이더 마틴
프랜시스 트람바루로 랄프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엘리 와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엘리 와이스 filed Critical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ublication of KR860009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3/00Angl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3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2도는 제1도의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의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전도 물질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의 제1측면에 대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 장치로 저조파 국부 발진기 신호를 인입시키는 전도 패턴을 포함하는 제2도의 기판의 제2측면에 대한 도면.
제4도는 제2 및 3도의 기상상의 핀-라인 장착 배열에 대한 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기판 배열에서 핀-라인 디바이더 장치에 대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3 : 저역 필터 14 : 국부 발진기
15 : 45도 위상 시프팅 수단 16, 17 : 저역필터
18, 19 : 다이오드 믹서 20, 21 : 고역필터
22 : 결합 수단
본 발명은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일 기판상에 조립된 믹서 다이오드와 저조파 국부 발진기 신호를 변조기 또는 복조기의 믹서부로 보내는 장치를 포함하는 QPSK 변조기 및 복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많은 변조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변조 기술중의 하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QPSK)로 공지되어 있다. 공지되어 있는 QPSK 변조기의 다양한 형태중 하나는 IBM 기술 명세 공보 거권 123-124페이지에 알. 제이. 자이안니니에 의해 "펄스 오프셋 QPSK 변조기"인 논문이 발표되었다. 단일 스트림 비트 패턴은 연합 I 및 Q 채널에서 선정된 파형을 발생시키는 비트 타이밍을 구비하는 조합 디멀티플렉서와 펄스 익스팬더의 입력에 인가된다. 특히, QPSK 변조기는 I 및 Q 채널이 2T초의 간격으로 0.5T초 동안 교번적으로 게이트 오프되고, 또는 2T초의 간격으로 1.5T초 동안 I 및 Q 채널에 펄스가 인가되도록 온/오프 타이밍의 제어로 동작된다.
QPSK 복조기 또는 변조기 또 다른 형태는 미합중국 특허원 제4,352,071호에 발표되었다.
복조기는 믹서 장치에서 회로가 집적 회로의 평면이 되지 않도록 포드들을 서로 근접하게 하는 결합기 장치를 구비한다. 단일 입력 신호 QPSK 변조기를 위해, 결합기를 사용하는 유사한 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 저널 25권 131-138페이지에 알. 케이. 소호등에 의해 논문의 제4도에 발표되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4,480,336호에 발표된 것과 같이 도파관 하우징내에 장착된 핀-라인을 갖고 있는 2조각 하우징을 구비하는 직각 하이브리드 핀-라인 믹서를 만드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기판의 한면은 도파관 하우징의 윗면 반쪽에 배치되어 있고, 기판의 다른 반쪽은 도파관 하우징의 밑면 반쪽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믹서 장치는 그 자체가 QPSK 변조와 연관되어 발표되어 있지 않다.
종래의 통로-길이 변조기에서 다이오드의 스위칭 타임이 인가된 반송파로부터 복조기가 발생시키는 데이터 속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은 인지되어야만 한다. 그러한 다이오드는 소수 반송파 저장 원칙에 따라 동작하기 때문에 속도가 늦는 경향이 있다. 3G비트/초의 데이터 속도에 대하여, 비트 간격은 0.3ns이며, 비트 간격의 20%는 60피코세컨드와 같으며, 그것은 스위칭 다이오드의 최대 공차 상승 시간이다. 그러한 스위칭 시간은 핀 다이오드 그중-게이트 FET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소수 저장 원칙 스위치)로 성취되기는 어렵다. 다른 원칙으로 동작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중-게이트 FET 는 상당히 느리다. 통로-길이 복조기에서 사용된 핀 다이오드가 바이어스 전압의 기능으로서 스미드 챠트상의 한 점에서부터 대응하는 점 180도까지 교차하는 임피던스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은 주목해야만 한다. 이러한 크로싱 시간의 한 부분동안 반송파는 스위칭 다이오드에 거의 매치된다. 이러한 고손실 저항 스위칭 간격은 펌프의 몇 사이클동안 지속하는 변이 동안 반송파 파워의 "노칭"결과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QPSK와 함께 사용되는 국부 발진기는 출력에서 나타나는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밀리미터 파동에서 믹싱은 고주파수 발진기를 필요로 하며, 그것은 값이 비싸며, 발진기 캐리어 주파수와 입력 신호의 믹싱 처리는 고주파수에서 많은 손실은 제공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 즉, 고주파수 믹싱 처리에서의 큰 손실 및 노칭 및 상승 시간의 상기 기술된 문제점은 가능한한 제거되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은 동위상 및
Figure kpo00001
저조파 국부 발진기 펌프 반송파 신호 플러스 분리 제1 및 제2 연합 입력 신호 데이터 스트림중 분리된 하나를 변조기 또는 복조기의 각 구형 신호 통로의 각각에 있는 믹서 다이오드에 각각 보내는 수단과 구형 신호 통로에서 단일 기판상에 조립된 믹서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에 관한 본 발명에 따라서 해결되어 왔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은 예를 들어, 캐리어 싸이클당 1회가 펌프 싸이클당 2회와 대응하는 펌프 싸이클의 몇 배에서 전도상태에서 비전도 상태로 스위치되는 믹서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이오드 동작의 이러한 모드는 핀, 바이폴라 및 FET와 비교해 보다 고속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다음 설명의 진행동안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데이타 스트림을 각각 갖고 있는 제1 및 제2위상 저조파 펌프 캐리어 주파수를 변조시키는 고속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수기가 비트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밀리미터 파동 반송파에 의해 디지털적으로 코드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연속 의사-랜덤 펄스를 전송하는데 적용 가능하다.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는 고비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위성 또는 지상 통신 시스템에 응용 가능하다. 본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 장치에 의해 나타난 장점은 변조기 또는 복조기가 본래 광대역 즉, 회로가 협대역 커플러, 짧은 스터브 또는 핀 스위칭 다이오드를 포함하지 않으며,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밀리미터-웨이브 반송파 주파수의 약수배에서 국부 발진기 소스로 인해 펌프되고, 변조기 또는 복조기가 종래의 사진 석판 패턴 발생 기술을 사용하므로써 단일 기판에 쉽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QPSK 변조기 또는 복조기의 블록 다이어그램 다음의 설명은 먼저 QPSK 변조기에 관한 것이다. 분리 제1 및 2입력 신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2비트 스트림은 QPSK 변조기를 통하여 제1 및 2레일(10 및 11)을 각각 경유하여 수신되고 전파된다. 레일(10)상의 제1신호는 구형 신호로 공지되며, 레일(11)상의 제2신호 또한 동위상으로 공지된다. 레일(10 및 11)상의 제1 및 제2신호가 서로 다른 구형이 아닌 분리 입력 신호로 수신되지만 입력 신호는 출력으로 전송되기 전에 QPSK 변조기내에서 구형 신호로 변조된다. 레일(10 및 11)상에서 전파되는 제1 및 제2입력 신호는 제2저역 필터(12 및 13)를 각각 통하여 통과한다. 저역 필터(12 및 13)는 입력 신호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지만, 레일(10 및 11)로 인입된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가 변조기에 연결된 입력 신호 소스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다. 국부 발진기(14)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밀리미터-파동 반송파 주파수의 약수인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킨다. 국부 발진기(14)로부터의 동위상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는 저역 필터(13)의 입력에서 레일(11)로 인입된다.
발진기(1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저역 필터(12)의 출력에서 레일(10)로 인입된 45도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를 얻기 위한 45도 위상 시프팅 수단(15)을 통하여 보내진다. 45도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는 믹서 출력의 구형 위상 시프트를 펌프 주파수의 두배로 발생시킨다. 제1입력 신호와 레일(10)상의 45도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의 조합은 제3저역 필터(16)를 통하여 보내진다. 비슷하게, 제2입력 신호와 레일(11)상의 동위상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의 조합은 제4저역 필터(17)를 통하여 보내진다. 저역필터(16 및 17)는 레일(10 및 11)상에서 다이오드 믹서(18 및 19)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연합 입력 신호 소스를 향해 거꾸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연합 디지틀 비트 스트림 입력 신호와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가 통과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다이오드 믹서(18)는 90도와 270도 사이의 한 추축을 따라 변조된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1디지틀 데이터 비트 스트림 입력 신호와 45도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를 믹스하는 기능을 한다. 저조파 믹싱에 알맞는 믹서 다이오드는 GaAs, InP 플래너-도우프 장벽 소자(PDB 다이오드), GaInAs구조, 또는 반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이다. 다이오드 믹서(18 및 19)에 의해 발생된 출력 신호는 고역 필터(20 및 21) 각각을 통하여 보내지며, 상기 고역 필터는 원하는 주파수를 데이터 비트 스트림 변조 반송파 신호를 통과시키며 반면에 저주파수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와 기저대 주파수 비트 스트림이 통과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90도와 270도 사이에서 변조하는 고역 필터(20)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0도와 180도 사이에서 변조하는 고역 필터(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45,135,235 또는 315도에서 벡터된 QPSK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결합 수단(22)에서 결합된다.
제2 및 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절연 물질의 기판(24)에 제1도의 QPSK 변조기 배치를 형성하는 양호한 배열을 도시한다. 특히, 제2도는 하나의 주 표면상에 배치된(어두운 형태로 도시된) 전도 물질의 제1패턴을 구비하는 절연 기판(24)의 한 주 표면 예로, 상단 표면을 도시한다. 제3도는 제2주 표면상에 배치된(어두운 형태로 도시된) 전도물질의 제2패턴을 구비하는 제2도의 똑같은 기판(24)의 반대 제2주 표면예로, 하단 표면을 도시한다. 기판(24)의 반대 측상의 전도 물질 패턴은 제1도의 성분을 형성한다. 기판(24) 각 측상의 전도 패턴이 예로, 공지된 사진 석판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은 인해되야 한다. 특히, 양 반대측에 전도 물질의 층을 갖고 있는 절연 기판(24)은 특징지역에서 전도 물질이 제거되고 바람직한 패턴이 형성되도록 화학 또는 레이저 수단에 의해 에칭된다.
제2 및 3도의 배열에서, 저역 필터(12,13,16 및 17)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판(24)의 제1측상의 교대로 크고 작은 협 지역과 제3도에 도시된 기판(24)의 대응 지역의 전도 물질 층에 의해 형성되므로써 적절한 L-C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고역 필터(20 및 21)는 간격을 둔 리버스 및 미러 스텝 패턴에 의해 기판(24)의 반대 엣지상에 형성된다. 고역 필터(20 및 21)로부터의 출력들을 결합 수단(22)에서 결합되며, 그것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점(22)에서 필터(20 및 21)로부터의 스트립 라인을 합체시키므로써 성취된다. 믹서(18 및 19)는 본 분야에 공지된 플래너 도우프 장벽 다이오드 소자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국부 발진기 발생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는 도파관을 통하여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거된 전도물질의 지역(26)으로 인입된다.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는 핀-라인(27)에서 새로운 핀-라인 디바이더에 의해 2반대 방향 핀-라인(29)으로 나누어지는 지역(38)으로 전파한다. 기판(24)의 제2측을 따라 핀-라인(29)은 기판(24)의 제1측, 상호 연결 저역 필터(12 및 16) 및 저역 필터(13 및 17)를 따라 스트립라인 아래서 통과하는 점에서, 연합 펌프 저조파 반송파 신호는 연합 저역 필터 사이의 스트립라인 상호 연결로 인입된다. 핀-라인(29) 사이에서 길이의 차이는 위상 시프트 수단(15)을 형성하며, 저역 필터(12 및 16) 사이의 연합 스트립라인 상호연결 아래서 교차하기 전에 핀 라인(29)의 더 긴 쪽으로 전파하는 펌프 반송파 신호에 45도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핀 라인(29)의 끝단(30)은 저역 필터(12-16 및 13-17) 사이에서 스트립라인 상호 연결 아래서 교차한 후 펌프 저조파 반송파 파동에 대한 쇼트를 형성한다.
제4도는 제2 및 3도의 QPSK 변조기 장치를 장착시키는 전형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도파관 하우징의 하단 반(40)과 상단 반(41)은 기판(24)을 장착시키기 위하여 기판(24)의 연합 구조를 매치시키는 대응 도파관홈을 포함한다. 도파관 하우징의 하단 반(40)에 있는 후미진 선반(42)은 기판(24)이 도파관 하우징내에 알맞게 위치되도록 한다. 기판(24)이 하단 반(40)에 위치가 정해지면 기판(24)상의 입력 단자(43 및 44)는 도파관 하우징의 하단 반(40)에 있는 각각의 홀(47 및 48)을 통하여 동축 케이블 접속자(45 및 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비슷하게 QPSK 변조기의 결합 수단(22)의 출력은 예를 들어, 동축 도파관 접속자(4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로, 버라이언 모델 VSK- 9004권 발진기와 같은 도파관 출력 펌프 발진기(50)는 국부 발진기(14)로부터 기판(24) 중앙 다리의 하단 부까지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가 인입되도록 하단 반(40)에 장착되어 있다.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를 인입시키기 위해 임의 다른 알맞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인지되어야만 한다. 도파관 사이에 알맞는 매칭을 제공하는 한 단계는 펌프 발진기(50)의 출력에서 하단 반(40)에 도시되어 있다. 기판(24)이 하단 반(40)에 있는 선반(42)에 위치가 정해지고 알맞는 입력 및 출력 접속자에 연결되면, 도파관 하우징의 상단 반(41)은 하단 반(40)에 위치가 정해지고 전송기 또는 수신기에서 연속 장착을 위해 함께 고착된다.
제5도는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를 레일(10 및 11)에 인입시키기 위하여 핀-라인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새로운 핀 라인 디바이더(28)를 도시한다. 그러한 핀 라인 디바이더가 핀-라인 장치에서 전파하는 임의 종류의 신호를 분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은 인지되야 한다. 제5도에서, 핀 라인(27)에 도달하는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는 점(60)에 도달하고, 각 분리를 통하여 핀 라인(61 및 62)의 각각으로 균등히 나뉘어진다. 통로(61 및 62)는 제3도에 도시된 핀-라인(29)상에서 연속 바깥으로 향해 각이진 통로(29a 및 28b)로 연장된다. 핀 라인(61-62 및 29a-29b) 사이의 각이진 분리의 각각은 모드 변화가 방지되고 핀 라인(27)뒤를 향해 핀 라인(29a-29b 및 61-62)으로 전파하는 파동의 알맞는 삭제가 되도록 점진 분리를 형성한다. 칩 저항(64)를 구비할 수 있는 가는 저항성 핀 라인(63)은 핀 라인(29a 및 29b)과 핀 라인(61 및 62)의 상호 교차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핀 라인(29a 및 29b)을 따라 뒤로 전파하는 파동은 저항성 핀 라인(63)으로 향해지며, 상기 파동이 서로를 향해 적당히 진행되면 상기 파동은 소멸될 것이다. 핀 라인(61 및 62)을 따라 뒤로 전파하는 나머지 파동은 점(60)에 도달할 때 적당히 방향이 정해지면 쇼트 및 소멸될 것이다.
상기 상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간단히 보여준다. 본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본 발명의 정신이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수정 및 변형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3도의 배열은 필터, 믹서, 결합 수단 및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를 믹서에 보내는 수단을 위한 다른 구도 또는 소자를 사용하므로써 수정될 수 있다. 게다가, 제4도의 도파관 하우징은 다른 유사한 장치에 의해 교체되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다. QPSK 변조기에 대한 설명은 수신기에서 QPSK 복조기의 실시예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원격 송신기로 부터의 변조된 반송파는 결합 수단(22)에서 수신되며, 국부 발진기(14)로 부터의 저조파 펌프 신호는 변조된 반송파와 동기화 된다.

Claims (10)

  1. 제1 및 제2디지탈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각각의 제1레일(12,16,18,20) 및 제2레일(13,17,19,21)을 따라 전파하는 제1 및 제2입력 단자(10,11)와, 제1 및 제2펌프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14)과, 각각 제1 및 제2레일로 제1 및 제2펌프 반송파 신호를 연결시키는 수단(30)과, 제1출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1디지틀 신호 및 제1펌프 반송파 신호를 변조시키는 제1레일에 배치된 제1믹서(18)와, 제2출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2펌프 반송파 신호와 더불어 제2디지틀 신호를 변조시키는 제2레일에 배치된 제2믹서(19)와, QPSK 출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1 및 제2출력 신호를 연결시키는 수단(22)을 구비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출력 신호가 서로 직교하고, 제1 및 제2디지틀 신호가 구상관계를 이루며, 제1 및 제2펌프 반송파 신호(14,15)가 각각 소정의 마이크로파 또는 밀리미터파 반송 주파수의 분주(
    Figure kpo00002
    )(n은 1보다 큰 정수)인 주파수를 가지며, 제1펌프 반송파 신호가 동위상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이며, 제2펌프 반송파 신호는 90°/n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입력 단자, 제1 및 제2레일, 펌프 반송파 연결 수단, 제1 및 제2믹서와 그리고 연결 수단이 절연 기판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입력 단자, 제1 및 제2레일, 제1 및 제2믹서, 및 결합 수단이 절연 기판의 제1주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펌프 반송파 연결 수단이 절연 기판의 제2주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레일로 펌프 반송파 신호를 연결시키는 수단이 펌프 반송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핀-라인 구조(30)를 포함하며, 핀-라인 구조는 수신된 펌프 반송파 파동 신호를 제1 및 제2성분으로 나누는 수단(28)과, 제1 및 제2레일에 근접한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의 제1 및 제2성분을 전파시키고 연합 레일로 연합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 성분을 연결시키는 분리 수단의 출력에 연결된 제1 및 제2파동 통로(29)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 성분이 각각의 제1 및 제2레일 가까이에 전파될 때 동위상과 90°/n차이가 지도록 상기 제2파동 통로가 제1파동 통로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핀-라인 구조의 분리 수단(28)이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고 정밀한 각으로 공통점에서 분리되는 제1 및 제2도파관을 따라 제1 및 제2성분을 진행시키는 능력이 있는 제1부분(60)과, 제1 및 제2도파관(61,62)이 서로가 평행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파동 통로로 연장되어, 있는 제2부분과, 제2끝단에서 제1 및 제2도파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저항성 파동 통로(63)를 포함하며, 제2부분의 제1 및 제2도파관이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 성분을 제2부분의 제2끝단으로부터 떨어진 정밀한 각에서 분기되는 핀-라인 구조의 제1 및 제2통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6. 제1, 2, 3, 4 또는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저역 필터 수단(12,13) 및 제2저역 필터 수단(16,17)이 제1 또는 제2믹서 앞에서 제1 및 제2레일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가 제1 및 제2레일로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점의 측상에 연합 디지틀 입력 신호는 통과시키고 연합 저조파 펌프 반송파 신호가 연합 제1 및 제2입력 단자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1저역 필터 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2저역 필터 수단이 연합 믹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연합 입력 단자로 향해 뒤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7. 제1, 2, 3, 4 또는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믹서가 제1 및 제2다이오드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8. 제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믹서가 제1 및 제2다이오드 믹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9. 제1, 2, 3, 4 또는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역 필터 수단(20,21)이 연합 믹서 다음에 제1 및 제2레일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역 필터 수단이 믹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통과시키는 반면에 연합 저조파 펌프 반송파 주파수가 결합 수단으로 통과하는 것을 막는 능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10. 제6항에 있어서, 변조기가 연합 믹서 다음에 제1 및 제2레일의 각각에 배치된 고역 필터 수단(20,21)과, 연합 믹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통과시키는 반면에 연합 저조파 펌프 반송파 주파수가 결합 수단으로 통과되는 것을 막도록 배치된 고역 필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KR1019860004142A 1985-05-28 1986-05-27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KR940005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8,441 1985-05-28
US06/738,441 US4612518A (en) 1985-05-28 1985-05-28 QPSK modulator or demodulator using subharmonic pump carrier signals
US738441 1985-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543A KR860009543A (ko) 1986-12-23
KR940005373B1 true KR940005373B1 (ko) 1994-06-17

Family

ID=2496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142A KR940005373B1 (ko) 1985-05-28 1986-05-27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12518A (ko)
EP (1) EP0204463B1 (ko)
JP (1) JPH07123258B2 (ko)
KR (1) KR940005373B1 (ko)
CA (1) CA1253929A (ko)
DE (1) DE368354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039A (en) * 1986-05-09 1988-02-16 Honeywell Inc. Constant amplitude PSK modulator
US4968956A (en) * 1989-12-04 1990-11-06 Trw Inc. Microwave phase modulator having a quadrature path with phase offset
DE4028371A1 (de) * 1990-09-07 1992-03-12 Standard Elektrik Lorenz Ag Modulator- und mischstufe
US5565930A (en) * 1993-10-26 1996-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iver with oversampling analog-to-digital conversion for digital signals accompanied by analog TV signals
US5425057A (en) * 1994-04-25 1995-06-13 Paff; Thomas M. Phase de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synchronous sampling pulses
DE69532596T2 (de) * 1994-05-09 2004-08-05 Canon K.K. Verfahren zur Steuerung der Stromversorgung in einer Mehrprozessbetriebsumgebung
US5815115A (en) * 1995-12-26 1998-09-29 Lucent Technologies Inc. High speed wireless transmitters and receivers
US6061551A (en) 1998-10-21 2000-05-09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own-converting electromagnetic signals
US6694128B1 (en) 1998-08-18 2004-02-17 Parkervision, Inc. Frequency synthesizer using universal frequency translation technology
US7515896B1 (en) 1998-10-21 2009-04-07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own-converting an electromagnetic signal, and transforms for same, and aperture relationships
US6091940A (en) 1998-10-21 2000-07-18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up-conversion
US6542722B1 (en) 1998-10-21 2003-04-01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up-conversion with variety of transmitter configurations
US6560301B1 (en) 1998-10-21 2003-05-06 Parkervision, Inc. Integrated frequency translation and selectivity with a variety of filter embodiments
US6813485B2 (en) 1998-10-21 2004-11-02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own-converting and up-converting an electromagnetic signal, and transforms for same
US7236754B2 (en) 1999-08-23 2007-06-26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up-conversion
US6049706A (en) * 1998-10-21 2000-04-11 Parkervision, Inc. Integrated frequency translation and selectivity
US7039372B1 (en) 1998-10-21 2006-05-02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up-conversion with modulation embodiments
US6370371B1 (en) 1998-10-21 2002-04-09 Parkervision, Inc. Applications of universal frequency translation
US6061555A (en) * 1998-10-21 2000-05-09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ensuring reception of a communications signal
US6704549B1 (en) 1999-03-03 2004-03-09 Parkvision, Inc. Multi-mode, multi-band communication system
US6704558B1 (en) 1999-01-22 2004-03-09 Parkervision, Inc. Image-reject down-converter and embodiments thereof, such as the family radio service
US6879817B1 (en) 1999-04-16 2005-04-12 Parkervision, Inc. DC offset, re-radiation, and I/Q solutions using universal frequency translation technology
US6853690B1 (en) 1999-04-16 2005-02-08 Parkervision,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balanced frequency up-conversion of a baseband signal and 4-phase receiver and transceiver embodiments
US7110444B1 (en) 1999-08-04 2006-09-19 Parkervision,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ing universal frequency translation technology including multi-phase embodiments and circuit implementations
US7065162B1 (en) 1999-04-16 2006-06-20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own-converting an electromagnetic signal, and transforms for same
US7693230B2 (en) 1999-04-16 2010-04-06 Parkervision, Inc. Apparatus and method of differential IQ frequency up-conversion
US8295406B1 (en) 1999-08-04 2012-10-23 Parkervision, Inc. Universal platform module f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rotocols
US7010286B2 (en) 2000-04-14 2006-03-07 Parkervision,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own-converting and up-converting electromagnetic signals
US7454453B2 (en) 2000-11-14 2008-11-18 Parkervision,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arallel correl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US7072427B2 (en) 2001-11-09 2006-07-04 Parkervi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C offse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379883B2 (en) 2002-07-18 2008-05-27 Parkervision, Inc. Networking methods and systems
US7460584B2 (en) 2002-07-18 2008-12-02 Parkervision, Inc. Networking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6521A (en) * 1978-12-18 1981-06-30 Trw Inc. Quadriphase integrated high-speed microwave modulator
US4216542A (en) * 1979-03-06 1980-08-05 Nasa Method and apparatus for quadriphase-shift-key and linear phase modulation
US4352071A (en) * 1979-06-22 1982-09-28 Communications Satellite Corporation Planar QPSK demodulator
FR2515449B1 (fr) * 1981-10-23 1986-08-14 Thomson Csf Dispositif melangeur subharmonique hyperfrequence et systeme hyperfrequence utilisant un tel dispositif
US4480336A (en) * 1982-09-20 1984-10-30 General Dynamics, Pomona Division Orthogonal hybrid fin-line mixer
US4528526A (en) * 1983-05-31 1985-07-09 Motorola, Inc. PSK modulator with noncollapsable output for use with a PLL power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12518A (en) 1986-09-16
EP0204463B1 (en) 1992-01-22
CA1253929A (en) 1989-05-09
EP0204463A3 (en) 1988-03-16
EP0204463A2 (en) 1986-12-10
KR860009543A (ko) 1986-12-23
JPS6211346A (ja) 1987-01-20
DE3683540D1 (de) 1992-03-05
JPH07123258B2 (ja) 1995-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373B1 (ko) 구형 위상 시프트 키잉 변조기
US85538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oint signal generation with phase synchronized local carriers
US4492960A (en) Switching mixer
Kuroki et al. High-speed ASK transceiver based on the NRD-guide technology at 60-GHz band
US4276521A (en) Quadriphase integrated high-speed microwave modulator
US4330868A (en) Balun coupled microwave frequency converter
US4281293A (en) Planar QPSK demodulator
US3479607A (en) Frequency discriminator with injection-locked oscillator
US5748679A (en) Modulated clock MSK modulator for high data rate applications
US3621400A (en) Alternating current signal-combining apparatus
US4371982A (en) Microwave frequency converter with economical coupling
US4352071A (en) Planar QPSK demodulator
Nosu Advanced coherent lightwave technologies
US4392250A (en) Symmetric microwave mixer
US4496918A (en) Radio frequency alternate-path phase switch
US4392251A (en) Symmetric microwave mixer with coplanar diode connection
US4399562A (en) Full balun mixer
Tarusawa et al. A new constant-resistance ASK modulator using double-sided MIC
Callsen et al. pin diode control devices in E-plane technique
US6163231A (en) Millimeter wave modulator and transmitter
US6084921A (en) Transmit method and system for Ka band transmissions
Trambarulo et al. High-speed QPSK modulator and demodulator with subharmonic pumping
US3609559A (en) Coaxial microwave modulator
JPH1174941A (ja) 位相変調回路
Menzel et al. An integrated Ka-band receiver front-e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