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821Y1 - 자동 폐쇄 경첩 - Google Patents

자동 폐쇄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821Y1
KR940004821Y1 KR2019910012937U KR910012937U KR940004821Y1 KR 940004821 Y1 KR940004821 Y1 KR 940004821Y1 KR 2019910012937 U KR2019910012937 U KR 2019910012937U KR 910012937 U KR910012937 U KR 910012937U KR 940004821 Y1 KR940004821 Y1 KR 940004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side plate
lower seat
fixe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000U (ko
Inventor
표철수
Original Assignee
표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철수 filed Critical 표철수
Priority to KR2019910012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821Y1/ko
Priority to JP060555U priority patent/JPH0540564U/ja
Publication of KR930005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E05D3/183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with at least one of the hinge part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폐쇄 경첩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상·하부 좌금의 배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4a,b도는 본 고안의 하부좌금 체결위치를 가구문에 따라 변경시키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6a,b도는 본 고안의 조절나사 조절로 문짝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제3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캡
3 : 아암 4 : 통공
5 : 상부좌금 5' : 하부좌금
6 : 요홈 7 : 결합공
8 : 돌편 9 : 삽입홈
10,10' : 거리조절부 11,11' : 삽입돌기
12 : 너트 13 : 고정부
14 : 돌설부 15 : 장공
16 : 너트요홈 17 : 조절볼트
18 : 결합구 19 : 가구문
20 : 가구측판
본 고안은 가구문에 사용되는 자동 폐쇄 경첩에 관한 것으로 가구 측판에 천공된 구멍의 위치에 따라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상부좌금의 상·하 이동을 조절볼트 하나로 조절하여 가구문의 높이를 상·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폐쇄 경첩은 하나로 된 좌금을 가구측판에 고정시키고 캡을 가구문에 고정시켜 캡과 아암으로 연결된 몸체를 좌금과 결합구로 결합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좌금을 가구측판에 고정시키는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 여기에 맞는 다른 좌금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두가지 규격의 좌금이 제작되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가구측판에 고정시키는 거리가 다른 두가지 규격의 좌금을 사용하게 되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좌금제작에도 경제적이지 못하며, 또한 가구문의 위치가 상·하로 어긋났을 경우 가구측판에 체결된 좌금의 고정부 나사 2개를 풀어서 가구문의 위치를 교정한 후 다시 고정부 나사 2개를 조여서 체결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가구측판에 고정되는 좌금을 상·하 좌금으로 분리하되 하부 좌금의 거리조절부를 +형으로 일측은 길고 타측은 짧게 형성하고 중앙에 장공이 천공된 돌설부를 돌설하며 돌설부 배면에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 요홈을 형성하며 거리조절부 양단에 삽입돌기를 돌출시키고 중앙 요홈에 결합공이 천공된 상부 좌금에 결합시키되 가구측판에 고정시키는 위치에 따라 하부 좌금의 좌·우 거리조절부의 위치가 바꿔지게 결합하면 가구측판 끝단에서 고정부 중심까지의 거리를 2가지 종류 즉 거리조절부의 길이차이로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치상의 오차나 제작상의 오차등에 의하여 가구문과 가구측판이 상·하로 어긋날 경우 하부좌금에 고정되는 상부좌금의 위치를 조절볼트 하나로 상·하 조절하여 몸체와 결합하므로서 가구문과 가구측판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어 설치나 제작상의 오차가 발생하여 가구문의 위치가 상·하로 어긋나도 정품과 같이 설치에 어려움이 없도록 한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가 탄설된 캡(2)을 가구문(19)에 고정시키고 가구측판(20)에 고정되는 통상의 좌금에 몸체(1)를 연결시켜서 된 공지의 자동폐쇄 경첩에 있어서, 상부좌금(5)의 중앙요홈(6)에 결합공(7)을 천공하고 일측단에 돌편(8)을 돌출시켜 내측에 삽입홈(9)을 형성하며 하부좌금(5')은 +형으로 되게 좌·우 양측의 길이가 다른 거리조절부(10)(10')로 하여 끝단에 삽입돌기(11)(11')를 돌출시키고 중앙에는 배면이 너트요홈(16)으로 형성된 돌설부(14)를 돌설시켜 장공(15)을 천공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하부좌금(5')의 장공(15)과 상부좌금(5)의 결합공(7)을 관통하는 조절볼트(17)가 돌설부(14) 배면의 너트요홈(16)에 끼워진 너트(12)로 체결되게 상·하부 좌금(5)(5')을 체결하여 가구측판(20)에 고정부(13)로 고정시키게 되는데 하부좌금(5')이 가구측판(20)에 체결되는 위치가 좌·우로 이동 변경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요홈(6)의 조절볼트(17)를 풀어 상·하부 좌금(5)(5')을 분해하고 하부좌금(5')의 거리조절부(10)(10')가 서로 바뀌도록 하면 하부좌금(5')의 거리조절부(10)(10')는 서로 길이가 다르므로 가구측판(20) 끝단에서 고정부(13) 중심까지의 거리가 서로 달라 필요에 따라 거리조절부(10)(10')의 좌·우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부(13)를 나사로 가구측판(20)에 고정시키고 삽입돌기(11)(11')를 돌편(8)에 형성된 삽입홈(9)에 삽입시켜 상부좌금(5)을 결합한다.
예를들어 제4a도와 같이 짧은 거리조절부(10)를 가구문(19)쪽으로 향하게 하여 하부좌금(5')을 가구측판(20)에 고정시키게 되면 가구측판(20) 끝단과 하부좌금(5')의 고정부(13) 중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제4b도와 같이 길이가 긴 거리조절부(10')를 가구문(19) 쪽으로 향하게 하여 하부 좌금(5')을 가구측판(20)에 고정시키게 되면 가구측판(20) 끝단과 하부좌금(5')의 고정부(13) 중심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적절히 거리조절부(10)(10')를 좌·우 선택하여 고정시키면 별도의 규격을 가진 하부좌금(5')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호환성을 높일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거리조절부(10)(10')의 조절로 가구측판(20) 끝단에서 고정부(13) 중심까지의 변동되는 거리(L1)(L2)는 28mm, 37mm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와 같이 거리조절부(10)(10')를 좌·우 선택하여 위치를 바꿔 하부좌금(5')을 가구측판(20)에 고정시켜도 하부좌금(5')의 장공(15)의 위치는 거리조절부(10)(10')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상부좌금(5)의 결합공(7)과 하부좌금(5')의 장공(15)의 위치는 항상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거리조절부(10)(10')의 위치변동에 영향을 받지않게 된다.
또한 자동 개폐 경첩을 설치할때 발생하는 오차나 제작시 발생되는 오차등에 의하여 가구문(19)과 가구측판(20)의 위치가 상·하로 어긋나게된 경우에는 상부좌금(5)의 결합공(7)과 하부좌금(5')의 장공(15)을 관통하여 너트요홈(16)의 너트(12)에 체결된 조절볼트(17)를 몸체(1)의 통공(4)을 통해 드라이버로 느슨하게 풀어 장공(15)에서 조절볼트(17)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좌금(5)의 위치를 몸체(1)와의 결합위치에 맞게 상·하 조절한 후 조절볼트(17)를 다시 조여 고정시킴으로서 가구측판(20)에 하부좌금(5')을 고정시켜주는 나사를 풀어내지 않고도 상부좌금(5)의 위치를 상·하 조절할 수 있어 가구문(19)과 가구측판(20)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가구문(19)에 따라 하부좌금(5')의 거리조절부(10)(10')를 좌·우 선택하여 가구측판(20)에 고정시키므로서 가구측판(20) 끝단에서 고정부(13) 중심까지의 거리(L1)(L2)를 선택할 수 있게하여 길이가 다른 별도의 하부좌금(5')이 필요없어 제품의 호환성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하부좌금(5')과 체결된 상부좌금(5)의 상·하 조절을 조절볼트(17) 하나만을 풀러 간편하게 상부좌금(5)을 상·하로 이동시켜 가구문(19)과 가구측판(20)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고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몸체(1)가 탄설된 캡(2)을 가구문(19)에 고정시키고 가구측판(20)에 고정되는 통상의 좌금에 몸체(1)를 연결시켜서 된 공지의 자동폐쇄 경첩에 있어서, 상부좌금(5)의 중앙요홈(6)에 결합공(7)을 천공하고 일측단에 돌편(8)을 돌출시켜 내측에 삽입홈(9)을 형성하며 하부좌금(5')은 +형으로 되게 좌·우의 길이가 다른 거리조절부(10)(10')로 하여 끝단에 삽입돌기(11)(11')를 돌출시키고 중앙에는 배면이 너트요홈(16)으로 형성된 돌설부(14)를 돌설시켜 장공(15)을 천공시켜서 된 자동 폐쇄 경첩.
KR2019910012937U 1991-08-16 1991-08-16 자동 폐쇄 경첩 KR940004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937U KR940004821Y1 (ko) 1991-08-16 1991-08-16 자동 폐쇄 경첩
JP060555U JPH0540564U (ja) 1991-08-16 1992-08-05 自動閉鎖蝶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937U KR940004821Y1 (ko) 1991-08-16 1991-08-16 자동 폐쇄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000U KR930005000U (ko) 1993-03-20
KR940004821Y1 true KR940004821Y1 (ko) 1994-07-21

Family

ID=1931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937U KR940004821Y1 (ko) 1991-08-16 1991-08-16 자동 폐쇄 경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40564U (ko)
KR (1) KR9400048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715Y2 (ja) * 1989-12-15 1996-06-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非可逆回路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000U (ko) 1993-03-20
JPH0540564U (ja) 199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1408A (en) Furniture hinge having a resilient catch and spacer mechanism
US4750238A (en) Hinge
KR100301158B1 (ko) 바람직하게는 가구의 지지벽에 힌지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고정수단용 조임판
US3977041A (en) Hinge device
US3952366A (en) Hinge device
US4011627A (en) Adjustable hinge coupling or the like
US20010016967A1 (en) Hinge
KR940004821Y1 (ko) 자동 폐쇄 경첩
US5412841A (en) Furniture hinge
KR20010107664A (ko) 가구용 힌지의 힌지 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
US5458429A (en) Securing structure for a stand of keyed instrument
US5664288A (en) Furniture hinge
US5088155A (en) Door hinge with resiliently biased retaining means
KR200275899Y1 (ko) 방화문용힌지
KR200163738Y1 (ko) 엔드리스시스템을이용한가구조립구조
US4131968A (en) Reinforced hinge with adjustable tightening means
KR0122016Y1 (ko) 문짝설치용 경첩
JP3023968U (ja) 壁埋込用筐体固定ブラケット
KR950004389Y1 (ko) 가스레인지의 노즐 고정구조
KR200201691Y1 (ko) 높이조절 호차
JPH0522646Y2 (ko)
KR200206775Y1 (ko) 서랍의 정면마감재 고정쇠
KR200149276Y1 (ko) 가구용 힌지
KR910004242Y1 (ko) 앰프케이스의 조립체결구
KR890005984Y1 (ko)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