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691B1 -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691B1
KR940004691B1 KR1019920009374A KR920009374A KR940004691B1 KR 940004691 B1 KR940004691 B1 KR 940004691B1 KR 1019920009374 A KR1019920009374 A KR 1019920009374A KR 920009374 A KR920009374 A KR 920009374A KR 940004691 B1 KR940004691 B1 KR 94000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hamber
polyester filament
tension
yarn
filamen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499A (ko
Inventor
유길동
이엽우
Original Assignee
제일합섬 주식회사
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합섬 주식회사, 박홍기 filed Critical 제일합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691B1/ko
Publication of KR93002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691B1/ko

Links

Landscapes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원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원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출원사 2 : 방사구금
3 : 냉각챔버(Quenching chamber) 4 : 이송로울러
5 : 오일로울러 6 : 분리로울러
7 : 가이드바(Guide Bar) 8 : 사도집속가이드
9 : 보조냉각챔버 10 : 텐션바(Tension Bar)
A : 분리로울러와 사도집속가이드의 간격
B : 가이드바와 텐션바 사이의 직선거리
본 발명은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냉각챔버 길이보다 긴 냉각챔버를 사용하며 보조냉각장치를 설치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고 분리로울러의 사도집속가이드 사이에 텐션바를 설치하여 구금과 사도집속가이드 사이의 장력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사도(絲道)관리 및 텐션(tension)조절이 중요한 기술요소이다. 특히, 태(太)데티어 필라멘트 원사 제조시에는 원사의 단면 이상, 융착 및 권취시의 권형 이상 등으로 인하여 후공정에서 작업성 및 수율이 저하되며 불량원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분섬사를 제조시에는 분사시 원사자체의 꼬임발생 및 합사로 인한 사절 및 오염, 장력 불균일 발생 및 염색 얼룩 발생, 분사시 마찰에 의한 백분 발생으로 인한 사절 및 오염, 장력 불균일 발생, 케이크 사층 불량에 기인한 사절방생으로 인한 작업성 저하 및 수율 저하, 원사의 데니어 불균일 등의 용인에 기인한 절사로 인한 분사성 저하, 장력 불균일로 인한 사균제도 불량으로 염색이상 발생으로 인한 직물의 밀도 이상등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트리코트(tricort)용으로 사용되는 분섬사는 분사 작업시 와인딩(winding)만 되면 트리코트 백(back)사로 사용되기 때문에 장력 및 데니어 불균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염색 이상 및 밀도 이상등 품질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직물용으로 사용되는 분섬사는 고도의 품질을 요하는 것으로 장력 불균일 및 데니어 이상에 의한 염색 및 밀도의 이상발생이 전혀 없어야만 직물용으로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물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사도 제직후의 합격률이 70% 정도 수준이며, 합격 원사도 위사로만 사용되고 경사로는 연사하여 유연사로만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고 품질의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분섬사를 제조 생산하기 위해서는 건조 및 용융공정에서 건조 칩 점도, 수분율, 건조시간, 용융온도 등을, 공정관리 측면에서는 구금분위기 온도, 냉각 에어 풍속 및 균일도, 방사룸 정압 바란스, 유제부착도, 사 퍼짐성 및 장력, 이물온입 등의 철저한 관리를 행하여야만 한다. 특히, 장력 이상은 곧바로 품질이상으로 나타나므로 주의깊은 관리가 요구된다.
한편, 방사구금으로부터 방사된 토출원사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냉각챔버에서 냉각풍 속도에 의하여 냉각풍의 진행방향과 일직선으로 형성된 방사공으로부터 토출된 토출원사들이 합사되어 사절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구금으로부터 방사된 토출원사의 냉각효과를 향상시켜 합사를 방지하고 구금과 사도집속가이드 사이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서 양호한 방사작업성과 우수한 물성을 갖는 분섬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뿐만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냉각챔버 길이보다 긴 냉각챔버를 사용하며 보조냉각장치를 설치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고 분리로울러와 사도집속가이드 사이에 텐션바를 설치하여 구금과 사도집속가이드 사이의 장력을 조절하므로서 우수한 물성을 갖는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사구금(2)에서 방사된 토출원사(1)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원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중의 냉각챔버 (Quenching Chamber, 3)의 길이를 길게하여 120∼200㎝로 하고, 냉각챔버(3)와 하향의 위치에서 대향되게 보조냉각챔버(9)를 설치한다. 그러나, 냉각챔버(3)의 하단부보다 보조냉각챔버(9)의 상단부가 위로 올라오는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챔버(3)와 보조냉각챔버(9)가 겹쳐지는 부분은 10∼30㎝가 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0㎝이상 겹쳐졌을 경우에는 역풍으로 인한 냉각효과가 저하되며, 10㎝이하일 경우에는 계속적인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합사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조냉각챔버(9)의 길이는 40∼80㎝가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구금(2)과 사도집속가이드(8) 사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분리로울러(6)와 사도집속가이드(8) 사이에 텐션바(10)를 설치하므로서 장력변동 부분을 원만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설비로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시 공정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방사구금(2)으로부터 방사된 토출원사(1)는 냉각챔버(3)와 보조냉각챔버(9)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면서 이송로울러(4)에 의해 이송되고 이송된 원사는 오일로울러(5)에 의해 오일이 함침된 후 분리로울러(6)와 텐션바(10)를 거쳐 사도집속가이드(8)를 따라 이송되어 권취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태데니어 폴리어스터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시에는 보조냉각챔버(9) 및 냉각챔버를 길게하므로서 통상의 방법에서 과다하게 발생되는 냉각챔버(3)에 수직으로 방사공이 겹쳐진 부분에서의 합사가 상당히 감소되며, 합사가 되더라도 분리로울러(6)를 거쳐 텐션바(10) 쪽으로 이송되는 합사가 처지는 형상이 발생하지만 텐션바(1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므로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수율이 향상되는 품질이 우수한 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제일합섬 제품 제품명 A-2070)을 용융하여 4500m/분의 방사속도로 방사하면서 온도가 21℃이고 풍속이 35m/분인 공기로 냉각하고 B(가이드바와 텐션바 사이의 직선거리)가 50㎝가 되도록 텐션바를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방법으로 용융방사, 권취하여 200데니어/10필라멘트의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고, 사도집속가이드에서의 사떨림상태와 사단면의 균일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작업성, 사균제도, 분사작업성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3]
B를 70,10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제조하고, 각각의 특성을 측정하고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실시예 1]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방법으로 섬유를 제조하고, 각각의 특성을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 : 매우양호, ○ : 양호, ▲ : 보통, × : 불량

Claims (1)

  1. 통상의 용융방사, 권치의 방법으로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길이가 120∼200㎝인 냉각챔버를 설치하고 40∼80㎝ 길이 보조냉각챔버를 설치하되 냉각챔버의 하단부보다 보조냉각챔버의 상단부가 10∼30㎝ 정도 겹쳐지도록 하향의 위치에 대향되게 설치하여 토출원사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고 분리로울러와 사도집속가이드 사이에 텐션바를 설치하여 구금과 사도집속가이드 사이의 장력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KR1019920009374A 1992-05-30 1992-05-30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KR94000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374A KR940004691B1 (ko) 1992-05-30 1992-05-30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374A KR940004691B1 (ko) 1992-05-30 1992-05-30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499A KR930023499A (ko) 1993-12-18
KR940004691B1 true KR940004691B1 (ko) 1994-05-27

Family

ID=1933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374A KR940004691B1 (ko) 1992-05-30 1992-05-30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6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499A (ko) 199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821B1 (ko) 개선된 타포린 제조방법
WO2018199397A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IE880929L (en) Producing yarns
KR940004691B1 (ko) 태(太)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KR100423481B1 (ko) 균제도와 방사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극세섬유의제조방법
US11898272B2 (en) Cellulose filament process
GB2031334A (en) Melt spinning monofilaments
US5277859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lypropylene yarn
JPS6366924B2 (ko)
CA2151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retched yarns
KR19980025671A (ko) 폴리에스터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0120016B1 (ko) 폴리에스터 극세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300915B1 (ko) 탄성사의 제조방법
KR900005995B1 (ko) 열가소성 합성 모노필라멘트사의 정경사 제조방법
KR19990030498A (ko) 균제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제조방법
KR100339998B1 (ko)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제조방법
KR100225604B1 (ko) 균제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제조방법
KR930005093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고속 방사 방법
KR0139561B1 (ko)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KR200428315Y1 (ko) 개선된 타포린 장치
KR100484119B1 (ko) 폴리에스터마이크로필라멘트사의제조방법
KR950002807B1 (ko)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일공정 고속 제조방법
KR100315506B1 (ko) 폴리우레탄탄성사의제조방법
KR840001172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100211142B1 (ko)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