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576Y1 - 반도체 발광장치를 가진 조광장치, 키시스템 및 자물쇠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장치를 가진 조광장치, 키시스템 및 자물쇠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576Y1
KR940004576Y1 KR2019940006250U KR19940006250U KR940004576Y1 KR 940004576 Y1 KR940004576 Y1 KR 940004576Y1 KR 2019940006250 U KR2019940006250 U KR 2019940006250U KR 19940006250 U KR19940006250 U KR 19940006250U KR 940004576 Y1 KR940004576 Y1 KR 940004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key
emitting mean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쥬니찌 니시자와
요시가쯔 다마오기
Original Assignee
쥬니찌 니시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5511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85185U/ja
Priority claimed from KR860009587A external-priority patent/KR870005211A/ko
Application filed by 쥬니찌 니시자와 filed Critical 쥬니찌 니시자와
Priority to KR2019940006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76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발광장치를 가진 조광장치, 키시스템 및 자물쇠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장치의 배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도.
제3(a)도, 제3(b)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 하는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다른 특징에 따른 자물쇠 개폐장치의 키부분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김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
제10(a)도 및 제10(b)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발광기를 갖는 키홀더를 도시하는 예시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된 키홀더의 단면도.
제12도는 다수의 발광요소들을 작동하기 위한 기본 전기회로의 일예를 도시하는 회로다이아그램.
제13(a)도 및 제13(b)도는 하나의 전환스위치에 의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전환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회로다이아그램.
제14도는 제13(a)도 및 제13(b)도의 실시예에서의 발광시간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
제15(a)도 및 제15(b)도는 세개의 발광요소들이 함께 성형된 경우를 도시하는 회로 다이아그램.
제16도 및 제17도는 변조펄스가 발광 요소에 가해져 신호전달을 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회로 다이아그램.
제18도는 변조 발광의 실시에 따른 풀림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
제19도는 변조 발광의 파형을 도시하는 시간 다이아그램.
본 고안은 발광장치가 소형화, 경량화되어 운반이 간편한 휴대용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들 발광장치에 키, 공구, 펜 등을 부착하도록 휴대용 조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는 도어, 금고, 자물쇠 등(본 고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자물쇠"라 칭함)이 키, 카드 등(본 고안에서는 일반적으로 "키"라 칭함)의 작용과 예정된 발광신호에 따라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열리거나 닫히는 시스템에도 역시 관계된다.
예전에는 주로 특정한 목적을 갖는 형태의 홀더만이 키홀더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종래의 키홀더는 홀더의 한예로서만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키홀더에 있어서는 홀더몸체와 키가 원통형 링이나 필요한 고정부재를 통해 체인 또는 클램프에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키 홀더는 갖고 다니기에 부피가 크고, 특히 갖고 다녀야할 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더욱 그 부피가 커진다는 결점이 있다.
더욱이, 키를 사용하여 자물쇠를 개폐할 때 시야가 좋지않은 조건인 경우, 즉 예를들면 밤이나 어두운 곳일 경우에는, 종래의 키홀더 뿐만 아니라 키에도 조광장치가 없기 때문에 한손에는 조광장치를 들고 동시에 다른 손에는 키를 소지할 필요가 있었으므로 취급이 불편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소위 플래시만이 주로 종래의 조광장치로써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플래시는 넓은 면적을 비출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키구멍과 같은 제한된 작은 지역을 비추는데는 시야가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전까지, 키 캐리어(carrier)의 경우, 키는 키홀더몸체에 연결된 체인형 부재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장착되고 물체를 키홀더의 몸체에 직접 연결하거나 일체로 고정시키지 않았다. 이 경우, 키 소지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키를 어두운 곳에서와 같은 시야가 좋지 않은 조건에서 사용할때에는, 키구멍을 감각으로 찾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키구멍에 빛 비춰줄 수 있는 키홀더가 제안되었다.
이렇게 제안된 조광용 키홀더는 키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었으나, 조명 및 키를 돌리는 두가지 작업이 필요하여 불편한 방법으로 두손을 써야 할 필요가 있었다.
산업발달 및 생활기준이 상승함에 따라 자물쇠 등의 필요성이 증진되어 다수의 키, 카드 등을 소지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따라서, 키를 가끔 떨어뜨리거나 잃어버리기도하고, 또 키자체를 도둑맞아서 그 키의 원 소유자에 대해 해를 끼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물쇠 개폐장치는 그 의도하는 안전성이라는 측면에서 조차 결점을 갖게 되었다.
현재 타인에 의해 도난당하거나 분실된 키로 자물쇠를 여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전혀 제안된바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키, 공구 등에 부착이 가능하고, 어두운 곳이나 작은 공간에서의 작업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수 있으며 소지하기도 지극히 편리한 조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야가 좋지않은 조건에서 키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조광장치는 반도체 발광장치를 키, 공구등에 연결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갖는다.
분실된 키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 개폐장치는 신호발생원과 잠김기능을 가지는 물체에 가해지는 특정광신호를 발생하는 발광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키는 발광부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다.
발광부는 광신호를 방출할 목적뿐 아니라 밤이나 또는 어두운 곳 등에 사용될 때 신호광선을 방출하는 동안 조명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홀더는 적어도 다수의 발광요소와 신호발생기, 또는 다수의 발광요소와 키를 가진다.
키 및 홀더는 연결장치를 통해 서로 부착되거나 연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용어 "홀더"는 "키 홀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마스코트, 손톱깍기, 공구등 소지가 간편한 것이 부착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이 홀더에 부착되는 물체의 수는 하나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또 홀더 등의 형상 역시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키 홀더"는 단하나의 키 또는 다수의 키를 지닐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막대, 작은 주머니 또는 지갑등 어떠한 형상도 홀더의 형태로서 가능하다. 또한, 어떠한 종류의 부착장치도 사용될수 있는데, 예를들면, 금속, 끈 등을 사용하는 부착장치 또는 키가 부착될 수 있는 끈끈한 재료를 사용하는 부착장치도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홀더"는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키"는 소위 "키"뿐만 아니라 "카드" 또는 이와 유사한 물품을 뜻한다.
첨부된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가 서술되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적어도 다수의 발광요소 및 신호발생기 또는 적어도 다수의 발광요소 및 키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다른 반도체 조광장치에 있어 그 구조의 예를 나타내며, 전원(1), 스위치(2),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요소(3) 및 연결장치(4) 등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원(1), 스위치(2) 및 전류제한 저항기(5)들은 반드시 케이싱 즉, 몸체(7)내에 일체로 구성할 필요가 없이 케이싱 몸체(7)로부터 분리 배치할 수도 있고, 여기서 전류제한 저항기(5)는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아니다.
작업수행전에, 휴대용 조광장치는 키, 공구 등에 연결장치(4)를 통해서 부착된다.
만약, 휴대용 조광장치가 단지 하나의 키(6)에만 사용되는 특별한 경우라면 키 등이 조광장치에 미리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위치(2)의 도통시에, 전류는 전원으로부터 전류제한 저항기(5)를 통하여 발광요소(3)로 흐르게 되어서 조명용 광선이 발광요소(3)에서 방출된다. 키구멍, 조작부위 등을 방출된 광선으로 비추는 동안에 조작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명은 어둠속에서의 조작을 편리하게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반도체 조광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2(a)도는 그 장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2(b)도는 그 연결장치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방사면(23)을 통해 조광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요소(3)로부터 방출되는 조명광선은 방사면(23)을 통해 전달된다. 이 방사면(53)은 투명한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방사면(23)의 면처리는 난방사형 광선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또한 렌즈를 방사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제2도에 있어서는 방사면(23)이 조광장치의 케이싱몸체(7)의 표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방사면(23)이 케이싱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신뢰성 및 수명이라는 점에서 볼 때, 발광요소(3)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2)는 순간접촉형이나 또는 쌍안정형으로 이루어질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쌍안정형이 그 작업성능면에서 더욱 편리하다. 제2(b)도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장치는 표면에 다수의 루프가 제공된 지지체(21)와 표면에 다수의 후크가 제공된 지지체(22)를 가져서 루프와 후크가 서로 접촉하게 되어있다. 즉 연결장치는 파스너(fastner)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밸크로(velcro : 상표명으로서 나일론제품)형 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지지체(22)는 조광장치의 케이싱몸체(7)에 미리 고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지지체(51)는 그 지지체(21)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 접착테이프(24)등을 통하여 키(6)나 또는 다른 공구에 고착될 수 있다. 다수의 키(6)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별개의 지지체(21)가 각각의 키(6)에 고착되므로 조광장치는 필요에 따라 키(6)등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광장치는 단일의 키나 또는 단일의 공구에만 그 사용이 한정되지 않으므로 조광장치에 연결될 물체는 그 개수에 제한없이 여러가지 종류에 적용될수 있으며, 예를들면, 조광장치는 다수의 키를 가지는 가방형 키홀더, 키 및 다른 부재의 조합체 드라이버 및 전단용 렌치의 조합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3(a)도는 정면도이고 제3(b)도는 측면도이다.
연결장치(34)는 키(6)등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판스프링 등을 사용하는 클립형으로 되어 있고, 키(6)는 연결장치(34)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조광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연결장치(3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구조에만 국한되지 않고, 이와같은 클립의 기능이 얻어질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조도 연결장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스크류 드라이버나 또는 너트 드라이버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는 공구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광장치의 케어스가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고무,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 고체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클램핑에 의해 공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34) 및 가요성 고체물질의 케이스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실시에는 조광장치가 홈의 형상에 따라 키 등에 연결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광장치는 상술된 실시예의 형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 등 어떠한 다른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연결장치도 상술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다른 실시예와는 다른 결합상태를 갖는 나사조임방식에 의한 부착부재를 가지는 구조로도 연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광장치는 키구멍이나 조직부위를 조명하기 위하여 키, 공구 등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므로 어둠속이나 정밀한 작업을 요할 때 키의 온/오프 작업 등을 양손이 아닌 한손으로 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단순화를 통해 조광장치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가 있음에 따라 산업상 이용에 있어 막대한 이점을 넣는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키홀딩장치(또는 연결장치)(4)의 일예를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참조번호 26은 발광요소로부터 방출된 조명용 광선을 전달하는 방사면을 나타내며 이 방사면(26)은 투명한 수지 등으로 제조된다. 발광다이오드를 포장하기위해 사용되는 면 처리기술이 난반사된 광선을 얻기 위하여 방사면(26)에 적용된다. 스위치(2)는 광방출을 제어하고, 키홀더와 키(6)는 키홀딩장치 즉 연결장치(4)에 의해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키(6)는 종래의 체인과 고리(8)로 장치의 케이싱몸체(7)에 가요성 있는 형태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a)도는 정면도이고 제6(b)도는 측면도이다. 이번 실시예는 제3(a)도 및 제3(b)도의 것과는 방사면(26)의 크기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다르다.
본 고안은 상술된 특정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를들면 소형화된 키홀더몸체가 키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와같은 경우의 다른 실시예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의 키홀더몸체(7)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 등 어떠한 다른 형태도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키 홀딩 장치의 구조도 특정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들면, 고정부재가 나사기능을 갖는 구조나 또는 키 홀딩장치가 홀더의 몸체(7)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키홀더와 키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또 광선은 키홀더에 결합되어 있는 발광요소에 의해서 키 구멍을 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키의 온/오프를 악조건의 어둠속에서도 한손만으로 쉽게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가져온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본구성의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는 키(13), 발광부(14) 및 신호 발생원(15)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는 적어도 이들 세요소들로 구성된다.
키(13)와 발광부(14)가 제8도의 기본 구성 다이아그램에 서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키(13)와 발광부(14)가 일체가 아닌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현재 사용하고 있는 키(13)는 그 자체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이 키(13)에 적합한 형태의 발광부(14)를 선택하여 조합할 수도 있다. 신호 발생원(15)과 발광부(14)는 키(13)와 발광부(14)사이의 관계와 유사하게 항상 일체로 형성해야 할 필요가 없이 별개의 분리된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단순한 설계상의 문제일 뿐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는 키에 의해서 작동될 뿐만 아니라 발광부(14)의 발광요소가 신호발생원(15)으로부터 발생된 예정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파장, 소정의 파형 등으로 특정 신호광선을 방출하는 조건하에서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방출된 광신호는 도어, 금고, 자물쇠 등 잠김기능을 가지는 물체의 수광장치에 기억된 신호와 일치하여야만 한다.
발광부(14)로부터의 신호가 잠김기능을 가지는 물체에 기억된 신호와 틀리는 경우에는 자물쇠가 열리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개폐장치가 어느 경보장치 등에 연결되어 있다면, 자물쇠가 그 신호간의 불일치에 따라 열려지지 않는 경우 경보신호음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조명용 신호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광선은 극히 짧은 폭의 펄스들을 소정의 형태로 조합하여 전달할 수 있으므로 광신호가 조광기간 중에 짧은 시간동안만 방출되어도 충분하다. 그러나, 조광기간중에 조명용 광선은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방출되며, 조명용 광선은 방출하는 동안 육안으로는 전혀 검출되지 않는 신호광선을 방출하는 2중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부(14)에 이용되면, 초당 107의 반복주파수를 가지는 펄스가 사용될 수 있다.
조명이 전혀 필요없는 경우에는, 신호광선이 눈에 보이지 않도록 40nm이하 또는 700nm이상의 파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형태의 파장하에서는 다른 사람의 눈에도 검출되지 않으면서 신호광선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약 키(13)와 발광부(14)들이 예를들면 막대의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었다면, 기계적 수단이 아니라 전적으로 전기적 기능의 키를 간단히 자물쇠에 삽입하여 여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잠김기능을 가지는 물체의 적절한 위치에서만 신호광선의 발생이 가능하다.
조광장치의 외형은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 할수도 있으므로 발광부(14)의 케이싱몸체(7)는 필요에 따라 키(6) 또는 키(13)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된다. 제3(a)도, 제3(b)도, 제4(a)도 및 제4(b)도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광신호는 예를들면 육안으로 감지될 수 없는 펄스 신호이거나 다시 광선의 파장을 벗어난 광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신뢰성과 수명의 견지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를 발광부(11)로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며, 스위치(2)는 순간형 또는 쌍안정형 모두가 가능하지만 그중 쌍안정형이 작동의 특성으로 보아 더욱 편리하다.
스위치(2)가 하나 이상의 버튼이 설치된 버튼형이라는 점에서 이 버튼을 사용하여 특정의 미리 기억된 신호를 발생할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특정번호가 눌려질 때에만 바른 신호가 발생하도록 스위치(2)를 번호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9도는 시스템의 잠김부의 실시예로서 수광요소(40)는 실리콘으로 된 핀형이 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지며, 신호 판독기(41)는 키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정확할 때 출력신호(42)를 발생한다. 자물쇠가동기(43)는 출력신호(42)에 반응하여 자물쇠를 연다. 신호판독기(41)는 발광부(14)로부터 발생되는 광신호가 올바르다고 판단하면, 자물쇠 가동기(43)의 출력신호(42)를 발생하여 자물쇠를 열게 된다.
제9도에 도시된 요소들의 배치는 공지의 전자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수광요소(40)의 재질은 핀형 광다이오드로만 제한되지 않고 예를들면 애벌랜치(avalanche) 다이오드, 광트랜지스터 등으로도 가능하며 또는 광펄스의 속도가 낮은 때에는 카드뮴 설파이드 셀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이런 종류의 수광요소도 발광부로부터의 광신호에 대해 감응성을 갖는 한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고안의 개폐장치는 일부의 실시예로만 설명되었을 뿐, 이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용도로서 그 변형이 가능함은 몰론이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신호 발생원이 배치된 개폐장치에 있어 그 연결되는 물체는 단지 한개의 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키, 키와 다른 물체를 조합한 작은 주머니와 같은 키홀더일 수도 있는 것이다. 개폐장치는 상기 어떤 것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또 물품의 수와 연결될 부분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다수의 키부착부분을 가지는 키홀더에 있어서, 사용자는 개폐장치를 어떠한 부분에도 요망하는대로 부착할 수 있는데, 예를들며 하나의 키 또는 다수의 키 모두 또는 그 일부에 부착시키는 방법, 키홀더의 몸체 내측 또는 외측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부착시키는 방법, 키홀더 몸체의 일부 또는 각각의 부분에 부착시키는 방법 또는 키홀더 몸체일측 또는 그 반대쪽에 부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예정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원을 가지는 개폐장치는 키, 키홀더 몸체 등에 착탈가능하게 부과되며 만약 키, 키홀더 등을 떨어뜨리거나, 잃어버리거나 또는 도난당했을지라도, 자물쇠는 타인에 의해서 절대로 열리지 않게 되어 안정성을 보장하게 된다. 더욱이, 만약에 발광요소도 제공되어 있다면, 그 키는 비록 어둠속에서 어떠한 타인도 알 수 없도록 조광하면서 정확, 신속, 안전하게 개폐 할 수 있게되며, 또 개폐장치가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는 현저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발광요소들은 다색 또는 단색의 발광요소를 여러가지 형태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발광다이오드가 발광요소로 사용될 경우는 성능, 신뢰성, 가격 및 수명에 있어 탁월한 이점이 있다.
이하, 신호발생기를 통해 다수의 발광요소의 조광조건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수의 발광요소 및 신호발생기, 또는 다수의 발광요소 및 키는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형성 될 수 있다.
"키 홀더"의 예를 이제부터 기술한다. 다수의 발광요소 및 키는 홀더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고, 발광요소 또는 키중 하나가 홀더와 단일체로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양자 모두 홀더와 단일체로 될 수도 있다. 모든 발광요소들이 항상 홀더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각각 빨강, 황녹색 및 청색인 세개의 다색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다수의 그룹들이 발광요소로 사용될 때 그중 한그룹이 홀더와 단일체로 되고 또 다른 그룹들은 홀더와 분리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신호발생기와 다수의 발광요소들 사이의 관계는 키와 다수의 발광요소들 사이의 관계와 유사하다. 그것들이 단일체로 되거나 분리되거나 하는 것은 단순한 설계상의 문제로서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신호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특정파장의 광선, 깜빡거리는 광선 등의 신호광선을 요하는 발광요소 또는 일부의 발광요소들을 조합하여 방사하게 된다.
"키 홀더"의 경우를 예로하여면, 풀림작용은 홀더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신호광선이 도어, 금고 또는 자물쇠 등 잠김 물체의 수광장치에 기억된 신호와 일치할 때에만 키, 카드등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발광요소로부터의 신호와 잠김물체의 기억신호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자물쇠는 열리지 않으며, 더욱이, 이 경우에 경보장치 등과 조합하여 경보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키와 발광요소가 단일체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자물쇠는 단지 삽입작용에 의해서만 열릴 수 있게되나 그 열림 작용은 기계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홀더가 막대 또는 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되는 한 전기적작용으로 수행된다. 즉, 키부분의 신호광선이 잠김기능을 가지는 물체의 적절한 위치에 놓이지 않을 때는 그러한 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키 홀더"가 한 예로써 기술되었지만, 상술된 발광요소 등의 작용은 키 홀더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홀더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다색발광요소들을 조합하여 방출 광선의 색변환을 이룰 수 있으며, 또 광신호로 되는 착색거신호들 또한 여러가지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위해 사용 될 수 있다.
제10(a)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한 실시예로서 다수의 광 방출기를 가지는 키홀더를 도시하고 있다. 키(101)는 지지체(110)에 고정된 구조를 이루므로 개폐작용은 한손 만으로 지지체(110)를 쥐고서 행하게 되며, 이 때 광 방출을 위한 스위칭조작 또한 한손으로 행할 수 있다. 발광요소(102, 103, 104)들은 서로 다른색의 광선을 방출한다. 예를들면, 발광요소(102)는 Gar×Al×As로 구성되어 빨간색광선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발광요소(103)는 Gap : N으로 구성되어 황녹색 광선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로, 발광요소(104)는 ZnSe로 구성되어 청색광선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로 각각 구성할수 있다. 즉, 발광요소들의 그룹은 다수의 발광물질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4개의 조광스위치(105, 106, 107, 108)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조광스위치(105)는 빨간색광선용, 조광스위치(106)는 황녹색광선용, 조광스위치(107)는 청색광선용이고 조광스위치(108)는 모든 발광요소를 전환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전원은 배터리실에 저장되는 건전지 등으로 구성되거나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전소켓(214)을 통해서 언제라도 전기충전이 가능한 재충전용 축전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를 저정하기 위한 배터리실이 지지체(110)내에 형성될 때, 배터리 케이스 등의 외부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중에 접속선 등이 끊어지는 돌발사고나 또는 별도의 배터리 케이스를 소지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제10(a)도에 있어서, 커버(109)는 배터리실을 기밀하게 폐쇄하며, 배터리를 삽입한후 커버(109)는 나사조임으로 고착된다. 체인(111)은 다른 키, 마스코트 등을 연결하거나 신체 등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10(b)도는 발광다이오드(제11(a)도 참조, 전술함)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성형체(112)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착색된 각 광선, 예를들어 빨간색 광선(102-L), 황녹색광선(103-L) 및 청색광선(104-L)이 하나의 성형체(112)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만약 성형체(112)가 지지체(110)속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거나 전극이 지지체에 있는 측면배선에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필요에 따라 즉시 교체가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발광 요소가 다른 것으로 교체되는 경우 또는 불량부분이 검출되는 경우에 유용하게 된다.
제11(a)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키(201)는 지지체(210)에 고정되고, 다수의 발광요소(202-204)들은 제10(a)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서로 다른 재료들로 구성되며, 광선스위치(205-207)는 상술한 바와같이 각 색깔의 광선방출을 제어하고, 광선스위치(208)는 모든 발광요소(202-204)로부터의 광선방출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205-208)들은 지지체(210)내에 위치하고, 또 전기부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처리된다. 전술한 바와같은 배터리(212)는 커버(209)로 밀폐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충전소켓(214)을 통하여 재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212)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축전지는 교체하지 않고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신호제어부(213)는 발광요소(202-204)에 신호전류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주로 펄스변조 전류를 발광요소에 연결하거나 각 발광요소에 대해 전류를 통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제11(b)도는 다수의 발광요소들(202-204 및 202'-204')이 키(20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치되어 이 양측으로부터 광선이 방사되는 경우를 도시하며, 이러한 구성의 결과 조명광선에 의해 키의 그림자를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같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일체로 성형한 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
제12도는 제10(a)도 내지 제11(b)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발광요소를 도통시키기 위한 기본 전기회로도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발광다이오드 패키지(301)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302-304)를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되며 세개의 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될 때, 4개의 배선전극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배선으로 사용되며, 후술하는 바와같이, 단지 세개의 배선 전극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원 배터리(309)는 상술한 바와같이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배터리(309)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301)용 공통전극(310)에 연결되고, 각 발광다이오드(302-304)는 각 전극(311-313)을 통하여 각 조광 스위치(305-307)로 연결된다. 단극 쌍두형 스위치(single-pole double throw type switch)들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광 스위치(305-307)로 사용되며, 이러한 개별 스위치(305-307)들은 공통의 전체 조광 스위치(308)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모든 발광 다이오드(302-304)가 동시에 켜질 수 있게 된다. 발광 다이오드(302-304)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는 조광 스위치(305-307)중 하나를 푸시버튼를 통해 연결하여 개별조광을 행할 수 있다. 제12도의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302)는 스위치(305)의 작동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303)는 스위치(306)의 작동에 의해, 또 발광 다이오드(304)는 스위치(307)의 작동에 의해 각각 도통 또는 비도통 상태가 되며 또한 모든 발광 다이오드는 공통 스위치(308)의 작동에 의해서도 동시에 도통 또는 비도통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3(a)도는 상술한 바와같이 발광다이오드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들이 스위칭제어회로(41)에 의해 단일의 스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전원스위치 SW2는 스위칭 제어회로(341)의 전류소비가 낮을 경우에는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할 수 있다. 제13(a)도에서, 발광다이오드 LED1-LED3은 스위칭 제어회로(341)에 각각 분리연결되며 다이오드의 스위칭 조작은 스위칭 SW1을 통해 스위치 제어회로(341)의 전기회로를 작동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선을 방출하는 시간의 다이아그램이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스위치 SW1이 ON-1 상태에 있을 때, 즉 스위치가 한번 작동될때는 LED1이 켜진다. 스위치가 ON-2의 상태로 한번더 작동될때 LED1은 꺼지고 LED2은 켜진다. 이와 유사하게 ON-3의 상태에서는, LED2는 꺼지고 LED3은 켜진다. ON-4의 상태에서는, LED3은 꺼지고 ON-5의 상태에서는 모든 LED가 켜진다.
상술한 과정이 반복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필요한 색의 광선이 단일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15(a)도는 세개의 발광요소를 성형한 패키지(64)의 배선다이아그램이며 스위칭제어회로(66)에 연결되는 외부배선용으로 세개의 전극을 가진다.
전류펄스나 교류 위상 변환 전류를 각각 세점에 적용시키는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61-63)의 다이오드 특성에 따라 개별조광이나 또는 전체조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SW1-SW3은 개별색광선의 선택용이고 스위치 SW4는 전체조광용이다. 제15(b)도는 제13(a)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단일스위치에 의해서 발광다이오드가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어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어회로(67)는 발광다이오드(61-63)와 이를 발광다이오드가 성형된 패키지(64)의 조광을 제어하게 된다.
제16도는 펄스변조 등이 발광요소에 가해져 신호 전달을 수행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성형된 패키지(74)는 내부 배선,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및 신호 발생회로(71-73)에 연결되는 전극을 가진다. 신호발생회로(71-73)는 제12도의 실시예에 상술한 바와같은 각 변환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별 조광 및 전체조광이 가능하다. 한 스위치가 켜졌을 때, 발광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예를들어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호발생회로(71, 72, 73)에 의해서 변조 전류로 전환되므로 방출된 광선은 변조 광선으로 전환된다. 제1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신호발생회로(71-73)는 단지 하나의 LED에만 연결된다. 즉, 신호발생회로(71-73)는 방출되는 각 색광선과 관련하여 연결되므로 개별적으로 변조 광선을 발생시킨다. 변조 신호가 한종류인 경우에는,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호발생회로(81)가 하나만 연결되며, 예를들어 펄스변조의 경우, 변조광선은 제19도의 신호부분 T가 초당 20싸이클 이상의 속도로, 바람직하게는 초당 30 싸이클 이상의 속도로 반복되는 한 깜박거리는 느낌이 없는 조명광선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변조 신호는 정보전달용으로 특히 자물쇠를 열기위한 풀림신호로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제18도는 변조된 광신호 전달을 위한 풀림시스템의 특정실시예를 도시하며, 도면에서, 지지체(91)는 변조된 색광선을 발생시키는 요소를 포함한다. 지지체(91)은 IC 칩 형태로된 신호 발생회로(92)로 구성되며, 패키지(93)는 단일 또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스위치 SW등을 성형하여 형성된다.
키구멍이나 자물쇠 근처에 배치되는 수광요소(55)로 들어가는 변조 출력광선은 변조된 전기신호로 되어서 IC 칩형태의 신호 판단부(95)로 전달된다. 만약 변조 신호가 미리 기억된 개인신호와 동일한 신호이면, 일치 신호가 풀림제어회로(96)에 전달되어 풀림기구(97)를 구동하므로 자물쇠가 열리게된다. 스위칭조작은 한손으로 기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조명광선은 키구멍이나 자물쇠부근을 비출 수 있게 되어 풀림조작이 수행된다. 신호발생부에 기억된 변조 신호와 신호판단에 기억된 코드가 통일한 형태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한 쌍의 IC칩을 교체함으로써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IC칩을 교체할 수가 있으므로 타인이 개인코드를 복사하여 범죄등을 저지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홀더 부분을 잃어버렸을 경우에도, 새로운 홀더부분의 신호발생부에서의 IC칩을 신호판단부에서의 IC칩과 일치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이에따라 종래와는 달리 자물쇠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홀더의 특정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발광다이드를 성형하여 형성한 다수의 패키지를 여러가지 형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온-오프 스위칭조작에 대해 예를들어 설명하였지만, 방출되는 광선의 세기는 스위치의 가압에 따른 저항의 변경으로도 조절이 가능하며, 조명도의 세기, 색상 등을 이러한 원리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요소의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요소들을 사용하여 본 고안을 실현시킬 수 있으며, 방출광선에서의 색상의 조합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색의 광선이 사용될 수도 있고, 단색광선에 다수의 색상을 부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른 본 고안의 홀더는 다수의 발광요소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배치되는 신호발생기를 가지거나 또는 다수의 발광요소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배치되는 키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홀더는 소형화되어 경량이면서 휴대가 간편한 장점을 가지며 또 여러종류의 신호 전달에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홀더가 키홀더로서 사용될 때, 그 홀더는 시야가 좋지 않은 조건하에서의 개페조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또 기억된 신호에 의해 자물쇠를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하는 2중의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특히 발광다이오가 발광요소로 사용되는 경우 홀더는 성능, 신뢰성, 가격 및 수명이 탁월한 장점이 있다.

Claims (23)

  1. 그 제1말단에 조작부가 배치되는 도구 및 제1방향으로 광선을 방출시키는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조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말단으로 부터 이와 반대편의 제2말단으로 연장되는 상기 도구의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상기 발광수단을 부착시키기 위해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수단의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말단을 향하고, 상기 연결 장치는 착탈이 가능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도구에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구에 부과된 제1면부재와 상기 발광수단에 부착된 제2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면 부재 및 제2면부재는 상호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키에 부착된 제1면부재와 상기 발광수단에 부착된 제2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면부재 및 제2면부재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도구와 상기 발광수단을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키와 상기 발광수단을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발광수단에 한쪽말단이 부착되고 상기 도구에 클립형으로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발광수단에 한쪽말단이 부착되고 상기 도구에 클립형으로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광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전원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전원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복수개의 발광요소 및 이 발광 요소로부터 나온 빛에 신호를 가하는 신호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복수개의 발광요소 및 이 발광요소로 부터 나온 빛에 신호를 가하는 신호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요소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요소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하는 최소한 3개이상의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발광다이오드는 함께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18. 제1말단에 조작부가 배치되는 키 및 제1방향으로 광선을 방출시키는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키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연결장치와,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나온 빛에 특정의 신호를 가하는 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상기 방출된 빛을 검출하는 수광부와, 상기 검출된 빛에 포함된 상기 신호에 반응하여 열릴 수 있는 자물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시스템.
  22. 키, 상기 키에 부착되는 발광수단, 잠김장치를 구비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선에 특정신호를 가하는 신호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잠김장치는 상기 특정 신호가 가해진 상기 방출광선에 반응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장치는 상기 방출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해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수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KR2019940006250U 1985-11-13 1994-03-28 반도체 발광장치를 가진 조광장치, 키시스템 및 자물쇠 개폐장치 KR940004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250U KR940004576Y1 (ko) 1985-11-13 1994-03-28 반도체 발광장치를 가진 조광장치, 키시스템 및 자물쇠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551185U JPS6285185U (ko) 1985-11-13 1985-11-13
JP85-175511 1985-11-13
JP86-66154 1986-03-25
JP86-113237 1986-05-15
JP86-161720 1986-07-08
KR860009587A KR870005211A (ko) 1985-11-13 1986-11-13 반도체 조광장치를 가진홀더
KR2019940006250U KR940004576Y1 (ko) 1985-11-13 1994-03-28 반도체 발광장치를 가진 조광장치, 키시스템 및 자물쇠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60009587A Division KR870005211A (ko) 1985-11-13 1986-11-13 반도체 조광장치를 가진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76Y1 true KR940004576Y1 (ko) 1994-07-11

Family

ID=2732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250U KR940004576Y1 (ko) 1985-11-13 1994-03-28 반도체 발광장치를 가진 조광장치, 키시스템 및 자물쇠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5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1504A (en) Holder with semiconductor lighting device
US7482712B2 (en) DC power supply with input voltage polarity indication
US5894201A (en) Light flashing system
US5709464A (en) Vibrating switch controlled flashing light circuit structure
US6890086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multi-light flashlight
US6722771B1 (en) Hand held traffic control light
US4062371A (en) Walking cane
CA1253832A (en) Footwear
KR100728449B1 (ko) 스위치 및 부하 제어 시스템
US7549766B2 (en) Light including an electro-optical “photonic” selector switch
US5303133A (en) Miniature electrical lighting device
KR950000364B1 (ko) 야간겸용스틱
TW232743B (ko)
US20090189547A1 (en)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Based on Chemistry Composition of Power Source
GB2276713A (en) Improvements to torches
KR940004576Y1 (ko) 반도체 발광장치를 가진 조광장치, 키시스템 및 자물쇠 개폐장치
GB2201454A (en) Holder with semiconductor lighting device
US5632549A (en) Fastener frame with button switch
EP0683476B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US20020067246A1 (en) Signaling device
JPH0692708B2 (ja) ホルダ−
JP2000083722A (ja) 歩行者安全表示装置
WO1999060302A2 (en) Illumination assembly
CN86107717A (zh) 带半导体照明器的夹具
JP3158424U (ja) Ledアクセサ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