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239Y1 -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 Google Patents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239Y1
KR940004239Y1 KR2019910016215U KR910016215U KR940004239Y1 KR 940004239 Y1 KR940004239 Y1 KR 940004239Y1 KR 2019910016215 U KR2019910016215 U KR 2019910016215U KR 910016215 U KR910016215 U KR 910016215U KR 940004239 Y1 KR940004239 Y1 KR 940004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rod
conductive rod
terminal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397U (ko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이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2019910016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239Y1/ko
Publication of KR930009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3/00Clocks with attached or built-in means operating any device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intervals
    • G04C23/02Constructional details
    • G04C23/06Driving or regul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제1도는 본 고안의 준비상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Key) 2 : 손잡이부
3 : 삽입부 4 : 홈
5 : 부전도막대 6 : 막대고정체
7 : 걸림쇠복귀스프링 8 : 막대복귀스프링
9 : 전도체 10 : 걸림쇠
11 : 막대걸림돌기 12 : 피니온기어
13 : 무브먼트 17 : 모터
18 : 알람장치 19 : 시계케이스
20 : 알람작동스위치 21 : 알람작동스위치 복귀스프링
22 : 전도판 23 : 콘덴서
24 : 삽입구멍 26 : 스프링지지돌기
27 : 걸림쇠구동톱니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알람기능을 가진 시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시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키를 잠자리에 들기전 시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시키고 기상시간에 시계의 알람이 울리면 잠자리에서 일어나서 시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키를 가져와서 시계의 알림을 정지시키게 시계를 구성시킴으로서 반드시 잠을 깨게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인구증가와 산업화의 결과, 핵가족화가 가속화되어서, 그 결과 독신가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만혼현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독신기간도 연장되어 왔다. 이와 함께 산업화는 학교·기업·공공업무·사회활동에 있어서 시간엄수요구를 증대시켰고, 취미생활·레저·스포츠·사회교육 등 개인의 자기실현을 위한 여가선용의 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시간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등교·출근·약속·계획에 차질이 없게끔 특히 아침기상의 부담이 커졌다. 특히 독신생활자의 시간엄수부담이 커졌고, 그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여 종래에는 알람멈춤단추를 누른후 5분씩마다 계속 알람이 울리는 시계가 제작되어져 나왔으나, 종래의 시계는 전원스위치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어서 기상을 하지 않고도 알람을 멈추게 할 수 있어 그 효과가 의심스러운 실정이다.
본 고안의 타종식·전자음향식 공히, 일단 알람기능이 작동하게 되면 시계와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도구 즉 키(Key)에 의해서만 알람을 정지시킬 수 있는 시계 즉 자명종으로서, 알람시각을 조정한 후 취침전에 키를 실외나 실내의 특정한 곳에 위치시켜두면 알람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체적활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계획한 시각에 차질없이 기상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의 목적은 시계와 분리되어 있는 키에 의해서만 알람을 정지시킬 수 있게 하여 계획한 시각이 반드시 기상할 수 있게 되는 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알람동작회로 ; 모터구동회로 ; 알람회로가 동작중일때 모터구동회로를 개방시키고 모터구동회로가 동작중일때는 알람회로를 개방시키는 작용을 하며 부전도막대, 막대복귀스프링, 피니온기어, 모터, 걸림쇠구동톱니, 걸림쇠, 걸림쇠복귀스프링, 및 막대고정체로 구성된 스위칭부 ; 및 알람기능을 정지시키고 재차 모터구동회로를 동작준비상태로 복귀시키는 키로 구성된다.
[고안의 구체예에 대한 설명]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알람회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양의 전원단자(30) 및 음의 전원단자(31)는 부전도막대(5)상부에 부착된 단자(39) 및 (40)에 각각 연결된다. 알람장치(18)의 상부에 부착된 단자(41) 및 (42)는 각각 단자(37) 및 (38)에 연결된다. 부전도막대(5)가 상부로 움직이면 단자(37) 및 (38)이 각각 단자(39) 및 (40)과 접촉하여 알람회로가 전원과 폐회로를 이루어 알람경보가 울리며 부전도막대(5)가 하부로 움직이면 단자(39) 및 (40)이 단자(37) 및 (38)과 떨어져 알람회로는 개방되어 알람경보가 그치게 된다.
모터구동회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전원의 양의단자(30)는 무브먼트(movement)의 단자(32)에 연결되고 음의단자(31)는 무브먼트의 단자(33)와 연결된다. 무브먼트의 단자(32)는 알람작동스위치(20)의 단자(35)에 연결되고 단자(35)는 전도판(22)을 거쳐서 단자(35)와 연결된다. 알람작동스위치(20)가 ON상태에 있으면 전도판(22)에 의해 단자(35) 및 단자(36)는 단락되고 OFF상태에 있으면 개방된다. 단자(36)는 부전도탄성체(50)위에 부착된 단자(46)와 연결된다. 단자(46)는 부전도막대(5)하부에 부착된 전도체(9)에 의해 단자(45)와 연결된다. 부전도막대(5)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단자(45) 및 (46)은 단락되며 상방으로 이동하면 개방된다. 단자(46)는 모터의 단자(44)와 연결된다. 무브먼트의 단자(33)와 (34)는 알람시각 조정꼭지(14)에 의해 정해진 시간과 시계의 시간이 일치되면 서로 연결된다. 단자(34)는 모터의 단자(43)와 연결된다. 모터의 단자(43)와 (44)사이에는 콘덴서(24)가 연결되어 있다.
알람회로가 동작중일때는 모터구동회로를 개방시키고 모터구동회로가 동작중일때는 알람회로를 개방시키는 스위칭부는 막대걸림돌기(11)와 스프링지지돌기(26)가 일체로 형성된 부전도막대(5), 피니온기어(12), 걸림쇠(10), 걸림쇠구동톱니(27)와 막대고정체(6)로 구성되어 있다.
부전도막대(5)는 상부면에 단자(39) 및 (40)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단자사이의 상부면에 결합돌기(5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막대걸림돌기(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막대걸림돌기(11)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돌기(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전도체(9)가 부착되어 있다.
피니온기어(12)는 모터(17)의 축과 직결되어 걸림쇠구동톱니(27)를 구동시킨다.
걸림쇠(10)는 하부면이 수평이고 상부면이 라운드지게되고 막대걸림돌기(11)의 상부면과 결합하여 부전도막대(5)를 하부방향으로 있도록 한다.
걸림쇠구동톱니(27)는 걸림쇠(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피니온기어(12)과 맞물려 피니온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쇠(10)를 막대걸림돌기(11)로부터 벗겨낸다.
막대고정쇠(6)는 부전도막대(5)가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키(1)는 삽입구멍(24)으로 삽입되어 부전도막대(5)를 하부로 이동시켜 단자(39) 및 (40)과 단자(37) 및 (38)을 각각 분리시켜 알람동작을 중지시키며 손잡이부분 중앙에서 한쪽끝까지 길이는 알람작동스위치(20)의 1/2 지점까지 오도록 제작된다.
막대복귀스프링(8)은 스프링지지돌기(26)와 막대고정체(6)의 하부바닥사이의 부전도막대(5)에 끼워져 상기 부전도막대(5)를 항상 상부방향으로 가도록 힘을 가한다.
걸림쇠복귀스프링(7)은 걸림쇠구동톱니(27)와 막대고정체(6) 사이에 위치하며 모터(17)가 정지시 걸림쇠(10) 및 걸림쇠구동톱니(27)를 원위치시킨다.
모터(17)는 피니온기어(12)를 구동시킨다.
본 고안의 준비상태는 다음과 같다. 알람작동스위치는 ON상태에 있으며 전원의 음의단자는 무브먼트의 단자(33)와 (34)를 통하여 모터의 한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양의단자는 무브먼트의 단자(32)를 거쳐서 알람작동스위치의 단자를 통하여 전도체(9)를 통하여 모터의 다른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부전도막대(5)위의 단자(39) 및 (40)은 직접 전원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해진 알람시각이 되면 무브먼트의 단자(33) 및 (34)가 서로 연결되면서 모터가 우회전하면 걸림쇠가 좌회전하면서 막대걸림돌기로부터 벗겨진다. 그러면 막대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부전도막대가 위로 밀려올라가서 단자(39) 및 (40)과 단자(37) 및 (38)이 각각 접속되고 전원과 연결된 알람장치가 작동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동시에 전도체(9)가 막대(5)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단자(45) 및 (46)은 개방되고 모터는 정지하게 된다. 모터가 정지한 후 걸림쇠복귀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쇠(10)는 원위치한다. 일단 알람장치가 작동하면 알람작동스위치를 OFF시키거나 알람시각조정 꼭지를 조정해도 알람장치는 전원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하지 않는다. 알람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려면 단자(37) 및 (38)이 각각 (39) 및 (40)과 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키를 삽입구멍(24)에 집어넣고 부전도막대를 아래로 눌러야만 한다. 삽입구멍과 키의 삽입부는 여타 다른 도구로 대신 작동시킬 수 없게 하기 위해서, 단순한 원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형성하지 않고 별모양 등의 독특한 모양을 취한다. 키로 부전도막대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막대와 일체로 형성된 막대걸림돌기도 하부로 이동하고 막대걸림돌기와 걸림쇠의 접촉부가 둥글게되어 있으므로 막대걸림돌기가 걸림쇠를 밀어내면서 아래로 내려가고, 다시 원위치된 걸림쇠에 막대걸림돌기가 걸려서 다시 준비상태로 된다. 키의 손잡이부분의 길이는 중앙에서 한쪽 끝까지가 알람작동스위치의 상부폭의 1/2되는 지점까지 오게하여 키를 누를때 알람작동스위치까지 동시에 눌러주면 전기는 완전히 차단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키를 실외, 곧 욕실이나, 세면대, 수돗가 등에 잠들기 전(알람시각을 맞춘 후)에 비치해두거나, 실내라도 자리에서 일어나서 조금이라도 움직여서 꺼내야하는 곳에 비치해두면, 알람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활동을 해야하므로, 일어나고자 원하는 시각에 확실하게 기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상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키를 삽입공에 삽입해두고 알림신호가 울릴시 즉시 신호를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3)

  1. 알람장치(18)와 무브먼트(13)를 포함한 알람기능이 있는 시계에 있어서, 시계케이스안에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단자(37) 및 (38)과 접촉 또는 분리하여 알람장치를 동작 또는 정지시키는 단자(39) 및 (40)이 부착되어 있고 단자(39) 및 (40)사이에 결합돌기(5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막대걸림돌기(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막대걸림돌기(11)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돌기(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단자(45) 및 (46)과 접촉 또는 분리하여 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전도체(9)가 부착되어 있는 부전도막대(5) ; 스프링지지돌기(26)와 막대고정체(6)의 하부바닥 사이의 부전도막대(5)에 끼워져 상기 부전도막대(5)를 항상 상부방향으로 가도록 힘을 가하는 막대복귀스프링(8) ; 상기 부전도막대(5)가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막대고정체(6) ; 막대고정체(6)의 상부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막대걸림돌기(11)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부전도막대(5)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한정하는 걸림쇠(10)가 일체로 형성되고 피니온기어(12)와 맞물려 피니온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쇠(10)를 막대걸림돌기(11)로부터 벗겨내는 걸림쇠구동톱니(27) ; 걸림쇠구동톱니(27)와 막대고정체(6)사이에 위치하면 모터(17)가 정지시 걸림쇠(10) 및 걸림쇠구동톱니(27)를 원위치시키는 걸림쇠복귀스프링(7) ; 및 모터(17)의 축과 직결되어 걸림쇠구동톱니(27)를 구동시키는 피니온기어(12) ; 및 상기 피니온기어(12)를 구동시키는 모터(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도막대(5)에 외부로부터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시계케이스에 삽입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전도막대(5)가 키(1)이외의 다른 도구와 접촉되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삽입구멍(24)으로 삽입되어 결합돌기(51)와 결합하여 부전도막대(5)를 하부로 이동시켜 단자(39) 및 (40)과 단자(37) 및 (38)을 각각 분리시켜 알람동작을 중지시키도록 하부에 홈(4)이 형성된 삽입부(3)와 손잡이부(2) 중앙에서 한쪽단까지의 길이가 알람작동스위치(20)의 1/2지점까지 오는 손잡이부(2)가 일체로 형성된 키(1)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KR2019910016215U 1991-10-02 1991-10-02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KR940004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215U KR940004239Y1 (ko) 1991-10-02 1991-10-02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215U KR940004239Y1 (ko) 1991-10-02 1991-10-02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397U KR930009397U (ko) 1993-05-26
KR940004239Y1 true KR940004239Y1 (ko) 1994-06-22

Family

ID=1932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6215U KR940004239Y1 (ko) 1991-10-02 1991-10-02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2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24B1 (ko) * 2008-06-03 2010-03-23 김태훈 열쇠를 사용해서 알람을 멈추게 하는 알람시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24B1 (ko) * 2008-06-03 2010-03-23 김태훈 열쇠를 사용해서 알람을 멈추게 하는 알람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397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5982A (en) Light switch actuating device
US5089998A (en) Vibrating and audible alarm clock
US4573804A (en) Scent-awake electronic clock
KR940004239Y1 (ko)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US8263883B2 (en) Mechanical delay timer
KR940004241Y1 (ko) 독립된 키에 의해서만 알람이 정지되는 시계
WO1986004776A1 (en) Low-power intermittent hanging planter rotator
US2657283A (en) Control device
US3984700A (en) Light switch timer system for power circuit having manual and electrical controllers
KR200189644Y1 (ko) 알람시계
KR200308882Y1 (ko) 알람시계
KR200286500Y1 (ko) 자명종시계
CN2806993Y (zh) 定时延时灯
CN213954491U (zh) 一种电磁阀控制装置
CN101361691A (zh) 一种婴儿生活护理器
US3854104A (en) Circuit for controlling sound generator for alarm clocks
CN2442296Y (zh) 时控器
GB2260624A (en) An alarm bell controller for use in an alarm clock
JP3080360U (ja) 電子式タイマー
KR200164415Y1 (ko) 괘종시계의 타종을 위한 동력전달장치
KR890007671Y1 (ko) 애완동물용 자동급이기
JPS583139Y2 (ja) キ−制御式デイジタル演算装置
JPS6110233Y2 (ko)
JPS5824231Y2 (ja) 時計の報知回路
CN2131127Y (zh) 一种通电定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