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226B1 - 케이블 스플라이스 밀봉부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블 스플라이스 밀봉부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226B1
KR940004226B1 KR1019860004823A KR860004823A KR940004226B1 KR 940004226 B1 KR940004226 B1 KR 940004226B1 KR 1019860004823 A KR1019860004823 A KR 1019860004823A KR 860004823 A KR860004823 A KR 860004823A KR 940004226 B1 KR940004226 B1 KR 94000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plice
core
tap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723A (ko
Inventor
조셉 찰레보이스 레오나르드
로널드 스콧트 제임스
레이몬드 드오스트 로널드
Original Assignee
노오던 텔레콤 리미티드
존 이.모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던 텔레콤 리미티드, 존 이.모울 filed Critical 노오던 텔레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7000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02G1/145Mou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7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multiconduct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aving lapped insulation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케이블 스플라이스 밀봉부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
제1도는 2개의 케이블을 함께 스플라이싱하기 위해 준비된 2개의 케이블의 2개의 단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상이한 접합 방법 단계를 도시한 2개의 케이블 단부들의 단면도.
제5도는 캡슐화시키기 위해 모울드내에 배치된 부분적으로 마무리 된 케이블 접합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2개의 케이블 단부들의 마무리된 캡슐화 스플라이스 영역 부분을 다른 도면들 보다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케이블 14, 16 : 도체
22, 24 : 코어 주변 물질 26 : 강성 축방향 연장 접지 장치
28, 30 : 밀봉부 32 : 기다란 강성 지지 장치
34 : 보강 물질층
36, 40, 46, 48 : 압축 변경가능한 밀봉 물질
38 : 도체 스플라이스 42, 50 : 탄성 테이프 물질층
52 : 장벽 물질 54 : 단부
60 : 플라스틱 모울딩 캡슐부 62 : 캡슐부
본 발명은 케이블 스플라이스 밀봉부(cable splice clousure)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통신 케이블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중앙 교환국으로부터의 지중 또는 공중용 통신 케이블은 개별적으로 절연된 여러 쌍의 도체들을 갖고 있는 코어를 포함한다. 코어내에는 3600쌍의 도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을 부설할 때에는, 종종 부설된 케이블의 길이가 요구하는 만큼 되게하기 위해서 케이블들의 단부를 서로 접합시켜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코어가 돌출하도록 코어 주변 물질, 즉 케이블 외피(sheath)및 재킷(jacket)의 단부를 제거시키고, 케이블 코어들을 함께 밀착시킨 다음 도체 단부들을 케이블 외피과 재킷 사이에 보유하면서 스플라이스(splice)를 형성하도록 이 도체 단부들을 접합시킴으로써 도체들이 케이블들 사이에 함께 스플라이스 된다. 이때 스플라이스는 밀봉되고 밀봉부는 외피들 사이의 캡을 연결시키고 이 외피들을 지나 연장되도록 스플라이스의 영역을 지나 배치된다.
종래 방법에서의 문제점은 습기 통로가 있게되고 스플라이스가 습기의 접촉으로 인해 고장난다는 것이다. 이것의 한가지 가능한 이유는 습기가 진입되지 못하게 하는 수단들이 취해지더라도 케이블의 내측을 따라 습기가 통과하기 때문이다. 습기가 스플라이스에 닿으며, 완전히 밀봉되지 않은 도체들 사이의 접속부가 습기를 통과시키어 스플라이스가 고장나게 된다.
엘, 제이, 찰레보이스(L.J.Charlebois)등이 "케이블 스플라이스 형성방법"이란 명칭으로 1983년 12월 12일자로 출원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60,542호(1983년 12월 6일자호 출원한 캐나다 특허출원 제442,594호)에는 2개의 케이블 단부들 사이에 캡슐화 스플라이스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출원서내에 기술된 방법에서는, 코어 주변 물질이 케이블의 단부들로부터 제거된다. 2개의 케이블의 도체들은 외향으로 회전되고 케이블 단부들은 함께 거의 축배열 관계로 밀봉하게 된다. 도체 스플라이스들은 한 케이블의 도체와 다른 케이블의 도체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의 스플라이스는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들위에 배치되며, 도체들은 단부를 지나 각각의 케이블 코어까지 연장된다. 각각의 스플라이스는 밀봉 물질내에 밀봉되고, 캡슐은 스플라이스를 덮어 유밀 밀봉하도록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를 지나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출원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는 밀봉물질로서 열 연화성 밀봉 테이프내에 봉입되고, 이 밀봉 테이프는 케이블 단부 영역의 코어 주변 물질 주위에 피복물로서 제공된다. 상술한 출원서에 기술된 방법에서는, 유밀 밀봉부가 소정 직경으로 케이블의 각각의 스플라이스 주변에 제공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큰 직경, 예를들어 3600쌍의 도체들의 케이블내에 습기가 누출되었다. 그러므로, 스플라이스 밀봉 방법을 개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습기에 의해 생긴 스플라이스 고장 문제를 제거시키는, 2개의 케이블 단부들 사이에 캡슐화 스플라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습기 누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체들의 밀봉되는 스플라이스를 형성하는 2개의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개의 케이블 단부들 사이에 캡슐화 스플라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와 이 단부를 지나 소정 거리 만큼 돌출하는 케이블 코어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케이블의 단부로 부터 코어 주변 물질을 제거시키는 단계, 코어 영역의 도체들이 케이블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이 도체들을 회전시키는 단계, 단부들 사이로부터 돌출하는 도체들과 함께 거의 축배열 관계로 밀착하게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를 배치시키는 단계, 밀봉부내에 봉입된 강성 축방향 연장 접지 수단과 함께 2개의 케이블의 차폐물을 접속시키는 단계, 도체 단부가 보강 물질을 지나 방사상으로 돌출하게 하면서, 보강 물질의 층으로 코어 주변 물질의 밀봉 단부를 둘러싸는 단계, 한 케이블로부터 다른 케이블까지 스플라이스를 형성하도록 도체 단부들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면서, 보강층을 지나 각각의 보강 층 단부에서 각각의 케이블의 외부면상으로 연장되는 압축 변형 가능한 밀봉 물질내에 각각의 스플라이스를 개별적으로 봉입시키고 스플라이스가 코어 주변 물질의 방사상 외향으로 배치되게 하는 단계, 도체들이 스플라이스로부터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를 지나 연장될 때 도체들 위의 소정 위치에서 변형가능한 밀봉 물질 주위에, 각각의 도체와 친밀한 밀봉 접촉 관계로 압축 변형가능한 밀봉 물질을 방사상으로 압축하도록 인가될 때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탄성 테이프 물질의 층을 인가하는 단계, 및 탄성 테이프 물질이 신장 상태에서 이완상태로 되지 못하게 하는 온도로 탄성 테이프 물질층 주위에 이 층의 각각의 측단부에서 케이블 단부를 지나 플라스틱 모울딩 캡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화 스플라이스 영역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공정에서, 보강물질은 변형가능한 밀봉물질과 스플라이스와 코어 영역 사이로 연장되는 도체 사이가 조금도 이동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한 케이블 단부 영역에 관련해서 다른 케이블 단부 영역이 이동할 수 없도록 2개의 케이블 단부영역들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외에도, 변형가능한 밀봉 물질과 도체들 사이에 밀봉 작용이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도체를 둘러싸고 있는 압축 변형 상태로 영구적으로 밀봉 물질을 유지시키는 탄성테이프 물질에 의해서 생긴다.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된 스플라이스 영역은 절연 도체와 밀봉 물질 사이의 상호 작용 영역을 따라 습기가 이동할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도체와 이 도체를 둘러싸고 있는 밀봉 물질 사이의 이동이 최소로 되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소정 직경의 케이블에 응용된다. 예를 들어 3600개의 도체쌍으로된 직경이 큰 케이블이 함께 스플라이스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방법은 스플라이스들을 그룹으로 분리시킨 다음, 제1스플라이스 그룹용의 도체들을 향해 밀봉 물질을 압축시키기 위해 최소한 1개의 케이블 단부 주위에 제1스플라이스 그룹을 배치시키고 변형가능한 밀봉 물질 위에 탄성테이프 물질층을 배치시키어 제1스플라이스 그룹을 밀봉함으로써 양화하게 실행된다. 제2 및 후속 스플라이스 그룹들은 제1스플라이스 그룹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들 두고 배치된 밀봉 물질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테이프 물질층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공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밀봉 물질층은 제1스플라이스 그룹을 직접 둘러 쌓도록 인가될 연속적 스플라이스 그룹을 위해 제1 및 후속 탄성 테이프 물질 층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체 스플라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케이블의 도체들을 다른 케이블의 한 도체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단부들이 배치된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2개의 케이블의 차폐물들은 밀봉부내에 봉입된 강성 축방향 연장 접지수단과, 함께 접속되고, 보강 물질 층은 도체가 보강 물질을 지나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코어 주변물질의 방사상 외향으로 스플라이스를 배치시키도록 최소한 1개의 케이블의 단부 외측에 축방향 연장부를 갖게하고, 각각의 스플라이스가 밀봉 물질에 의해 다른 스플라이스내에 개별적으로 밀착 밀봉되게하며 도체들의 축방향 연장부가 압축 변형될 수 있는 밀봉 물질내에 봉입 밀봉되게 하면서 밀봉부와 코어 주변 물질을 둘러싸며, 탄성 테이프 물질 층은 도체들의 축방향 연장부를 지나 소정 위치에서 밀봉 물질 주위에 피복되고, 밀봉 물질위에 방사상 내향 압축력을 인가하여 도체부와 밀봉 접촉 관계를 유히하도록 재킷의 주변에 신장 탄성 상태로 있으며, 주변 모울딩 플라스틱 캡슐부는 한 케이블 재킷으로부터 다른 케이블 재킷까지 연장된다.
이제부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900개의 도체쌍으로 된 2개의 케이블(10 및 12)는 2개의 케이블 코어(18 및 20)의 각각의 도체(14 및 16)을 다른 케이블의 각각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상호접속시킴으로써 함께 접합된다.
도체들 사이에 스플라이스가 형성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케이블 단부의 코어 주변물질, 즉 금속 외피 또는 차폐물(22) 및 중합체 재킷 물질(24)는 이 재킷(24)의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코어(18 또는 20)의 돌출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된다.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도체들이 스플라이스 외측 위치로 재킷(24)를 지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재킷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 도체들을 회전시켜야 한다. 이 공정을 하기 위해서, 각각의 케이블의 재킷과 외피를 지나 연장되는 도체들의 길이는 이 목적을 위해 충분히 길어야 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의 도체들은 케이블로 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고 도체 쌍들이 분리되도록 외향으로 분산된다. 이 동작은 코어들이 제1도에 도시한 상태로 있게되는 경우에서 보다 서로 더 밀접하게 케이블 단부들이 코어 주변 물질과 축 배열 관계로 배치되게 한다. 이 케이블 단부들은 실제로 재킷(24)들이 약 75mm정도 떨어지도록 이 특정한 구조에서 합쳐진다.
접지바(26)의 형태로 된 접지 수단은 금속 외피(22)들 사이의 캡을 브릿지시키도록 배치되고 이 외피들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종래 방식으로 이 외피들에 고착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바(26)은 케이블(12)의 재킷을 따라 상당한 거리로 연장되는데, 이 거리는 2개의 케이블들의 도체들 사이에 형성된 모든 스플라이스들이 케이블의 이 축방향 거리에 걸쳐 배치되게 하기에 충분하다. 접지바는 각각의 케이블 단부와 접지바 아래에 배치되는 테이프의 중첩 피복물(28)로 형성되는 에틸렌-프로필렌(ethylene-propylene)밀봉 테이프의 권선들로 형성된 밀봉 테이프 물질에 의해 접지바를 따라 통과되는 소정의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밀봉된다. 다른 피복물(30)은 피복물(28)의 상부상에 감겨지고 접지바를 완전히 밀봉시키도록 접지바 상에 감겨진다.
또한, 기다란 강성 지지 수단이 제공된다. 이 지지 수단은 접지바(26)으로부터 케이블 주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바의 축방향 거리만큼 연장되는 금속바(32)이다. 이 금속바(32)는 또한 밀봉 테이프의 피복물(28 및 30)내에 밀봉된다. 그러므로, 접지바와 지지 수단은 서로에 관련하여 2개의 케이블 단부들을 안정화시키도록 함께 작용한다. 보강 효과를 돕기 위해, 보강 물질이 첨가된다. 이 보강물질은 밀봉 테이프 및 접지바와 지지 수단(32)의 권선들을 브릿지시키도록 피복물(28 및 30)을 가로질러 완전히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닐 테이프의 중첩 권선(34)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권선(34)는 2개의 케이블 단부들 사이의 거의 모든 운동이 제거되도록 2개의 케이블 단부들 사이의 접속을 보강하는 것을 돕는다.
도체 단부들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닐층(34)를 통해 돌출되면, 도체들 사이의 스플라이스(38)은 한 케이블을 다른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단지 4개의 스플라이스만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스플라이스 그룹들이 선택된다. 제1스플라이스 그룹은 케이블(12)위에 놓여져 후속 그룹전의 위치내에서 밀봉된다. 제1스플라이스 그룹을 제위치에 밀봉시키기 위해, 변형가능한 밀봉 물질 층은 케이블들의 재키과 접촉 관계로 비닐 테이프의 권선(34)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밀봉 테이프인 이 밀봉 물질은 중첩 권선에 의해 층(36)으로서 형성되고, 도체들은 케이블(12)상의 접지바(26) 및 지지수단(32)의 단부를 향한 층 상에 제1 그룹의 스플라이스(38)을 배치시키도록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층(36)상에 놓여진다. 다른 압축 밀봉 테이프 층(40)은 중첩 권선들에 의해 형성되고, 케이블들 및 스플라이스 자체들 사이의 갭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체들을 층들 사이에 봉입시키도록 층(38)을 완전히 덮는다.
탄성 밀봉 테이프 층(42)는 국부적인 축방향 위치에서, 즉 제1스플라이스 그룹으로 통하는 도체(14 및 16)의 외향으로 놓이도록 층(40) 주위에 피복된다. 이 탄성 테이프 물질층은 에틸렌-프로필텐 테이프 물질을 영구적으로 압축시키기 위해 소정의 적합한 물질로 된다. 탄성 테이프 물질에 대한 필요조건은 이 물질이 압축력하에서 영구 변형시키도록 층(40 및 38)을 압축시키기 위해 충분히 신장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층(42)용으로 적합한 물질은 통신케이블 산업에서 "DR 테이프"라고 부르는 테이프, 또는 네오프렌(neoprene) 고무 테이프를 포함한다. 후속 스플라이스 그룹은 상술한 방식으로 케이블(12) 주위에 배치되는데, 각각의 그룹내의 각각의 스플라이스들은 그룹내의 다른 스플라이스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스플라이스 그룹은 이전의 그룹으로부터 약간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케이블 코어 주위에 놓여진다. 제2그룹내의 스플라이스(38)은 기술한 바와같이 이전의 층들 상에 감겨지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테이프 물질 층(46 및 48) 사이에 포함된다. 스플라이스(44)가 층(40)상에 직접 놓여지도록 층(46)이 필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44)가 제위치에 배치되고 주위에 밀봉 물질을 가질때, 다른 탄성 테이프 물질 층(50)은 국부 영역내에 놓여지도록 층(48)주위에 밀착하여 감겨지는데, 도체들은 스플라이스(38)로 가게된다. 층(42 및 44)의 물질은 테이프 폭이 초기 비신장된 폭의 약 0.75로 감소되도록 충분히 신장되어야 한다.
상기 도체 스플라이스 배치 공정은 모든 스플라이스들이 제위치에 놓여지고 주위에 밀봉 물질을 가질때까지 그룹내의 스플라이스에 있어서 계속된다.
모든 스플라이스의 모든 도체들이 습기가 도체를 따라 스플라이스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 테이프 층(42 및 50)에 의해 주변 밀봉 물질에 밀봉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룹당 스플라이스 수는 케이블 주위의 원주 거리에 관련되므로, 케이블 직경에 관련된다. 그룹들은 그룹당 100개의 스플라이스까지 편리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그룹들은 각각의 그룹을 밀봉하는 동안 기술한 방식대로 단일 케이블 주위에 계속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배열내에서, 스플라이스들이 접지바(26)과 강성 지지바(32) 및 비닐 테이프(34)에 의해 강화되는 캡슐화 영역내에 놓여지도록 이 스플라이스들이 모두 접지바(26) 및 강성 지지바(32)의 크기를 따라 축방향으로 놓여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플라이스들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제위치에 배치된 후, 각각의 스플라이스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테이프에 의해 제공된 자체 밀봉 물질내에 봉입되고 탄성 테이프 물질이 필요한대로 각각의 스플라이스 그룹용 층들 주위에 감겨진 다음, 스플라이스 영역이 캡슐화 공정에 의해 완성된다. 그러나, 이 캡슐화 공정은 장벽(barrier) 물질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테이프 권선 주위에 배치시킴으로써 진행된다. 이 장벽 물질은 각각의 단부에서 케이블 재킷상에 놓여지도록 이전의 권선의 단부로부터 단부가지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양호한 형태에서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벽 물질(52)가 인가될 캡슐화 물질에 의해 접촉되기 위해서 약 0.5인치(1.27cm)폭으로 될 수 있는 짧은 노출 영역을 제공하도록 이전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권선의 단부의 짧은 영역을 축방향으로 종단시킨다. 장벽 물질 자체는 비닐로 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 어셈블리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울드 절반부(54, 제5도)들을 포함하는 모울드내에 배치된다. 이 절반식들 중 한 절반부만이 모울드 분리선을취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모울드 가능한 물질은 폴리에틸렌 물질로 캡슐부를 모울드하도록 입구 게이트(56)을 통해 모울드 공동(58)내로 밀어내어진다. 폴리에틸렌은 모울드를 통해 흘러, 공동을 채우고 비닐 층(52)를 완전히 봉입시킨다. 모울드가 물질로 채워질 때,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스위치 수단(60)을 사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스위치 오프된다. 이 스위치는 앨.제이.찰레보이스등이 1982년 2월 4일자로 출원한 "플라스틱 부품 모울딩 방법"이란 명칭의 계류중인 캐나다 특허출원 제 395, 552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플라스틱은 과류(overflow) 포오트를 통해 흐르고, 중비 장비는 휠드(filed) 사용을 위해 스위치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의 필요 조건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테이프층이 이 층들을 함께 합체시키고 유독가스 발생을 최소화시키도록 충분히 연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울딩 온도는 융합에 모울딩 물질과 케이블용 재킷 사이에서 생기도록 신중하게 제어된다. 이 실시예 내에서, 재킷 물질은 기본적으로 폴리에틸렌이고, 모울딩 동작을 위해 상이한 등급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한다. 모울딩 물질에 요구된 온도는 모울딩 물질이 모울드로 들어갈때 204℃미만이고, 양호하게는 160℃ 내지 190℃이다. 용융온도가 모울딩 물질이 모울드 내로 들어가기 바로 직전에 약 190℃로 셋트되면, 이것은 약 20℃의 온도로 수냉각되는 적합하게 설계된 알루미늄 모울드내에 케이블 재킷을 접촉시킬때 약 145℃(최대)의 용융 온도를 제공한다. 이렇게 제어된 상태하에서, 플라스틱 모울딩하기 위해 사용된 2가지 상이한 폴리에틸렌 물질과 케이블 재킷 사이에서는 융합이 전혀 생기지 않는다. 열소모율에 관련되는 열 보존 정도는 중요한 요소인데, 이것은 모울드용으로 사용된 물질의 형태 및 냉각되는 온도에 따라 변한다.
모울딩 온도가 융합 접착이 캡슐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모울딩(62)와 케이블 재킷 사이에서 생기지 않게 한다는 사실 외에, 각각의 층(42 및 50)내의 탄성 물질은 연화될 정도로 가열되지 않는데, 그렇지 않으면, 신장 상태로 부터 이완될 것이다. 이와 달리, 모울딩의 열 보존성 및 온도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층들사이 및 이층들과 캡슐부의 각각의 단부에서의 영역(54)를 따라 생기는 것과 같은 공유 영역에서의 모울딩 사이에 융합 접착이 생기도록 충분히 높다. 그러므로, 밀봉부들은 영역(54)에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서로 접촉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층들은 각각의 스플라이스를 둘러싸고 층들사이를 통과하는 도체들을 둘러싸는 단일매스(mass)내로 완전히 합체된다. 그러므로, 모울딩(62)가 재킷에 접착되지 않더라도, 습기는 스플라이스(38)에 도달할 수 없다. 이외에, 밀봉 물질은 습기가 접지바 및 지지 수단(32)의 표면들을 따라 이동할 수 없도록 접지바 및 지지 수단(32)를 완전히 둘러싼다. 도체들이 케이블 단부들로부터 방출될때 습기가 도체에 도달하면, 습기는 도체상의 절연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테이프 고무 사이의 공유 영역을 따라 통과할 수 없게 되는데, 그 이유는 탄성 테이프(42 및 50)이 영구 신장 상태로 있고, 스플라이스를 향해 연장될 때 국부 축방향 영역내에서 도체와 영구 압축 밀봉 접촉 관계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유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완전히 밀봉이 각각의 도체 주위에서 각각의 테이프(42 또는 50)의 방사상 내향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캡슐화된 스플라이스 영역이 제공된 케이블의 직경이 크든지 작든지 간에, 습기가 캡슐화된 스플라이스 영역내에 제공된 소정의 스플라이스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매우 효율적인 습기 방지 밀봉부가 제공된다.

Claims (16)

  1. 2개의 케이블 단부들 사이에 캡슐화된 스플라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어 주변 물질(22,24)의 단부와 이 단부를 지나 소정 거리만큼 돌출하는 케이블 코어 영역을 제공하도록 2개의 케이블(10,12)의 단부 영역으로 부터 코어 주변 물질을 제거시키는 단계, 코어 영역의 도체(14,16)들이 케이블로 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이 도체들을 회전시키는 단계, 케이블 단부와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들 사이로 부터 돌출하는 도체들과 함께 밀착하여 거의 축 배열관계로 이 케이블 단부와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를 배치시키는 단계, 밀봉부(28,30)내에 봉입되는 강성 축방향 연장 접지 수단(26)과 함께 2개의 케이블 차폐물을 접속시키는 단계, 도체 단부들이 보강 물질이 지나 방사상으로 돌출하도록 보강 물질 층(34)로 밀봉부와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들을 둘러싸는 단계, 한 케이블로부터 다른 케이블까지 스플라이스를 형성하도록 도체 단부들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면서, 보강층을 지나 보강층의 각각의 단부에서 각각의 케이블의 외부면상으로 연장되는 압축 변형 가능한 밀봉 물질(36,40,46,48)내에 각각의 스플라이스를 개별적으로 봉입시키고 스플라이스를 코어 주변 물질의 방사상 외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도체들이 스플라이스로부터 코어 주변 물질의 단부를 지나 연장될 때 도체들 위의 소정 위치에서 변형 가능한 밀봉 물질 주위에, 각각의 도체와 친밀한 밀봉 접촉 관계로 압축 변형 가능한 밀봉 물질(36,40,46,48)을 방사상으로 압축하도록 인가될 때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탄성 테이프 물질 층(42,50)을 인가하는 단계, 및 탄성 테이프 물질 층(42,50)이 신장 상태로부터 이완 상태로 되지 못하게 하는 온도로 탄성 테이프 물질 층 주위에 이 층의 각각의 축단부에서 케이블 부분을 지나 플라스틱 모울딩 캡슐부(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스플라이스 영역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압축 변형 가능한 밀봉 물질의 피복 테이프 제1및 제2층(36,40,46,48)로서 이압축 변형 가능한 밀봉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제1층(36,46)이 테이프의 중첩 피복물로 제공되고, 스플라이스가 제1층위에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며, 제2층(40,48)이 제1층의 위에 중첩 테이프 피복물로서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밀봉 물질이 열 연화성 물질이고, 캡슐화 공정 중에 얻어진 열의 영향에 의해 일체로 합체시키도록 테이프를 연화시키기 위해 캡슐부(62)의 모울딩 열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접지 수단 아래의 케이블 단부 영역 주위의 열 연화성 물질의 중첩 피복물(28)과 접지 수단 위의 열연화성 물질의 다른 피복물(30)으로 접지 수단(26)을 둘러싸는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들 사이에 기다란 강성 지지 수단(32)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강성 지지 수단이 접지 수단(26)으로 부터 케이블 주위로 이동되어 밀봉부(28,30)으로 덮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접지 수단과 지지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케이블 축방향 길이를 따라 모든 스플라이스들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모울딩 온도에서 비-열 연화될 수 있고 연화된 후에 밀봉 테이프를 제위치에 보유하는 장벽 물질(52)로 2개의 밀봉 물질 층(36,40,46,48)을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밀봉 물질(36,40,46,48)이 장벽 물질(52)의 2개의 단부를 지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54)를 갖고 있고 캡슐 물질과 일치될 수 있으며 이 캡슐 물질이 2개의 밀봉 물질 단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재킷 물질(24)가 테이프 층(36,40,46,48)보다 높은 연화 온도를 갖고 있고, 모울딩과 재킷 물질을 접착시키기에 불충분한 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도체 스플라이스(38)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케이블 코어의 도체(14,16)이 다른 케이블의 한 도체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단부들이 배치된 2개의 통신 케이블(10,12)의 어셈블리에 있어서, 밀봉부(28,30)내에 봉입되는 강성 축방향 연장 접지 수단(26)과 함께 접속된 2개의 케이블의 차폐물(22), 도체가 보강물질을 지나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코어 주변 물질의 방사상 외향으로 스플라이스를 배치시키도록 최소한 1개의 케이블의 단부 외측에 축방향 연장부를 갖게하고 각각의 스플라이스가 밀봉 물질(36,40,46,48)에 의해 다른 스플라이스 내에 개별적으로 밀착 밀봉되게 하며 도체들의 축방향 연장부가 압축 변형될 수 있는 밀봉 물질내에 봉입 밀봉되게 하면서 밀봉부와 코어 주변 물질(22,24)를 둘러싸는 보강 물질 층(34), 도체들의 연장부를 지나 소정 위치에서 밀봉 물질 주위에 피복되고 밀봉 물질 위에 방사상 내향 압축력을 인가하여 도체부와 밀봉 접촉 관계를 유지하도록 재킷의 주변에 신장 탄성 상태로 있는 탄성 테이프 물질 층(42,50), 및 한 케이블 재킷으로 부터 다른 케이블 재킷까지 연장되는 주변 모울딩 플라스틱 캡슐부(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플라이스를 둘러싸는 밀봉 물질이 일체로 합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접지 수단을 둘러싸는 밀봉부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3. 제10항에 있어서, 케이블들 사이로 연장되고 접지 수단으로부터 케이블 주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밀봉부에 의해 덮혀지는 기다란 강성 지지 수단(32)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모든 스플라이스들이 접지 수단과 지지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케이블의 축길이를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5. 제12항에 있어서, 테이프 층(36,40,46,48)이 캡슐부에 접착되지 않는 장벽 물질(52)로 둘러 싸여지고, 테이프의 축방향 돌출 영역(54)가 장벽 물질의 각각의 단부에서 캡슐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켑슐부(62)와 케이블의 재킷 물질(24)가 접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KR1019860004823A 1985-06-19 1986-06-18 케이블 스플라이스 밀봉부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 KR940004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0484546A CA1232954A (en) 1985-06-19 1985-06-19 Forming of cable splice closures
CA484,546 1985-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723A KR870000723A (ko) 1987-02-20
KR940004226B1 true KR940004226B1 (ko) 1994-05-17

Family

ID=413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823A KR940004226B1 (ko) 1985-06-19 1986-06-18 케이블 스플라이스 밀봉부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54474A (ko)
EP (1) EP0206538A3 (ko)
JP (1) JPS61295809A (ko)
KR (1) KR940004226B1 (ko)
AU (1) AU588594B2 (ko)
CA (1) CA12329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02388A (en) * 1983-12-06 1986-03-25 Leonard J. Charlebois Forming cable splice closures
US5537742A (en) * 1995-05-22 1996-07-23 General Signal Corporation Method for joining multiple conductor cables
US6378202B1 (en) * 1999-06-29 2002-04-30 Sbc Communications Thermal shield and hermetic seal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plastic insulation in open access closures and method therefor
US7120347B2 (en) * 2004-01-27 2006-10-10 Corning Cable Systems Llc Multi-port optical connection terminal
US7013074B2 (en) * 2004-02-06 2006-03-14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connection closure having at least one connector port
EA007573B1 (ru) * 2004-07-27 2006-12-29 Тоо Казцентрэлектропровод Способ заземления кабелей в силовых муфта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7680388B2 (en) 2004-11-03 2010-03-16 Adc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s for configuring and testing fiber drop terminals
US7489849B2 (en) * 2004-11-03 2009-02-10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drop terminal
US20060153516A1 (en) * 2005-01-13 2006-07-13 Napiorkowski John J Network interface device having integral slack storage compartment
CA2604948A1 (en) * 2005-04-19 2006-10-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Loop back plug and method
US7418177B2 (en) 2005-11-10 2008-08-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able breakout system, packag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7251411B1 (en) 2006-03-09 2007-07-31 Adc Telecommunication, Inc. Fiber optic cable breakout configuration with “Y” block
US7317863B2 (en) * 2006-03-09 2008-01-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able breakout configuration with retention block
US7590321B2 (en) * 2006-03-09 2009-09-15 Adc Telecommunications, Inc. Mid-span breakout with helical fiber routing
US7422378B2 (en) 2006-03-09 2008-09-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able breakout configuration with excess fiber length
US7424189B2 (en) * 2006-03-09 2008-09-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Mid-span breakout with potted closure
US7599598B2 (en) * 2006-08-09 2009-10-06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payout systems and methods
US7840109B2 (en) * 2006-08-14 2010-11-23 Adc Telecommunications, Inc. Factory spliced cable assembly
WO2008021253A2 (en) * 2006-08-14 2008-02-21 Adc Telecommunications, Inc. Factory spliced cable assembly
US7289714B1 (en) 2006-09-26 2007-10-30 Adc Telecommunication, Inc. Tubing wrap procedure
US7480436B2 (en) * 2006-10-10 2009-01-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 tether to a distribution cable
US7403685B2 (en) * 2006-10-13 2008-07-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Overmold zip strip
US7489843B2 (en) * 2007-02-06 2009-02-10 Adc Telecommunications, Inc. Polyurethane to polyethylene adhesion process
US7558458B2 (en) * 2007-03-08 2009-07-07 Adc Telecommunications, Inc. Universal bracket for mounting a drop terminal
US7609925B2 (en) * 2007-04-12 2009-10-27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able breakout configuration with tensile reinforcement
US7532799B2 (en) * 2007-04-12 2009-05-12 Adc Telecommunications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s cable assembly
GB2449120A (en) * 2007-05-11 2008-11-12 Tyco Electronics A composite sealing tape having two layers
US7769261B2 (en) * 2007-09-05 2010-08-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distribution cable
US7740409B2 (en) * 2007-09-19 2010-06-22 Corning Cable Systems Llc Multi-port optical connection terminal
JP4350794B1 (ja) * 2008-07-01 2009-10-21 武三郎 大谷 ゴム芯入り組紐の接合方法
US9188759B2 (en) * 2008-10-14 2015-11-17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connection terminal having port mapping scheme
US8915659B2 (en) 2010-05-14 2014-12-23 Adc Telecommunications, Inc. Splice enclosure arrangement for fiber optic cables
CN103221863B (zh) 2010-10-28 2016-06-01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抗冲击光纤外壳及相关方法
US8885998B2 (en) 2010-12-09 2014-11-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Splice enclosure arrangement for fiber optic cables
US9069151B2 (en) 2011-10-26 2015-06-30 Corning Cable Systems Llc Composite cable breakout assembly
US8873926B2 (en) 2012-04-26 2014-10-2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enclosures employing clamping assemblies for strain relief of cabl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3204A (en) * 1971-12-27 1973-08-14 J Thompson Solderless connector assembly for cable shielding jacket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4092488A (en) * 1975-10-24 1978-05-3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nnection or terminal portions for cross-linked polyethylene cables
US4164621A (en) * 1977-08-08 1979-08-14 Amerace Corporation Cable shield connecting device
US4322573A (en) * 1980-03-11 1982-03-30 Northern Telecom Limited Encapsulation of telecommunications cable splices
US4490315A (en) * 1982-02-04 1984-12-25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s of moulding of plastics articles
CA1197296A (en) * 1983-06-08 1985-11-26 Leonard J. Charlebois Telecommunications cable splice closures
CA1202388A (en) * 1983-12-06 1986-03-25 Leonard J. Charlebois Forming cable splice closures
US4528419A (en) * 1983-12-12 1985-07-09 Northern Telecom Limited Forming of cable splice closures
US4496795A (en) * 1984-05-16 1985-01-29 Harvey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able splicing system
US4570032A (en) * 1984-09-07 1986-02-11 Northern Telecom Limited Sealing closure for a cable spl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6538A2 (en) 1986-12-30
EP0206538A3 (en) 1989-07-19
US4654474A (en) 1987-03-31
KR870000723A (ko) 1987-02-20
AU5806486A (en) 1986-12-24
JPS61295809A (ja) 1986-12-26
AU588594B2 (en) 1989-09-21
CA1232954A (en) 198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4226B1 (ko) 케이블 스플라이스 밀봉부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통신 케이블 어셈블리
US4528419A (en) Forming of cable splice closures
US4678866A (en) Forming of cable splice closures
US4322573A (en) Encapsulation of telecommunications cable splices
US4732628A (en) Method of sealing and repairing electrical cables
US4142592A (en) Repairable assembly for protecting a cable jun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4666537A (en) Method of sealing and repairing electrical cables
US4629597A (en) Forming of cable splice closures
US4570032A (en) Sealing closure for a cable splice
CA1236958A (en) Manufacture of sealing closures for a telecommunications cable splice
US3777048A (en) Molding process for splicing cable and product formed thereby
US4935582A (en) Splice enclosure for electrical wires
US3889047A (en) Sealing and moisture-proofing of electrical joints
WO1997027656A1 (en) Cable end seal for oil-filled cables
US4378323A (en) Method of producing plastic collar integral with a cable jacket
US4216351A (en) Plastic collar integral with a cable jacket
JPS60234415A (ja) 中間電圧用多心電力ケーブルの心線およびジョイントを絶縁する方法
US3702372A (en) Molded corona shield for a high voltage coupling
CA1202388A (en) Forming cable splice closures
CA1235195A (en) Forming of cable splice closures
GB1558657A (en) Jointing electric cables
JPS61257876A (ja) ケ−ブル端部間のスプライス領域形成方法及び組立体
JP2618489B2 (ja) プラスチック絶縁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CA1127255A (en) Encapsulation of telecommunications cable splices
JPH0251306A (ja) ゴム・プラスチック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