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589Y1 - 오버 플로우(over flow)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seal pot) - Google Patents

오버 플로우(over flow)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seal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589Y1
KR940003589Y1 KR2019910023358U KR910023358U KR940003589Y1 KR 940003589 Y1 KR940003589 Y1 KR 940003589Y1 KR 2019910023358 U KR2019910023358 U KR 2019910023358U KR 910023358 U KR910023358 U KR 910023358U KR 940003589 Y1 KR940003589 Y1 KR 940003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pipe
overflow
body portion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3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346U (ko
Inventor
최인만
조재천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정명식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3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589Y1/ko
Publication of KR930014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5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버 플로우(over flow)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seal pot)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 상세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응축수 배관 20 : 몸체부
30 : 오버 플로우 외관 40 : 오버 플로우 내관
50 : 단관부재 60 : 결합부재
170 : 청소구 P : 그랜드 패킹(Gland packing)
본 고안은 제철소 조업중에 발생되는 부생가스(코크스, 고로, 전로 GAS)를 각 소요공장에 공급하는 가스 배관에서 응축수를 부생가스의 누출없이 또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오버 플로우 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응축수 배출장치(10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주배관(110)의 하부면으로 부터 연장되는 응축수 배관(120)이 다수개의 밸브(125a)(125b)를 갖추고, 하단부가 원통형 몸체부(130)의 일측 상부면(130a)에 연결되며, 일정길이의 오버 플로우 외관(140)이 상기 상부면(130a)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하단부(140a)가 몸체부(130)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오버 플로우 외관(140)의 상단부(140b)에는 캡(Cap)(141)이 씌워지고, 내측에는 오버 플로우 내관(150)이 위치되며, 상기 오버 플로우내관(150)은 몸체부(130)의 하단면(130b)에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로 배수관(160)에 의해 연장되는 한편, 몸체부(130)의 일측면(130c) 하부에는 청소기(170)가 다수개의 보울트(미도시)로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180)는 오버 플로우 외관(140)과 오버 플로우 내관(150)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스페이서(spacer)이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응축수 배출 장치(100)는 오버 플로우 외관(140)과 오버 플로우 내관(150)의 높이가 가스주배관(110)의 압력(P1)보다 1.5배의 수두압력(=reh)을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부생가스의 누출없이 가스주배관(11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응축수 배관(120)의 하부 밸브(125b)를 잠근 상태에서 오버 플로우 외관(140)가 오버 플로우 내관(150)사이로 밀봉수(Sealing water)를 공급하고, 밀봉수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125b)를 열어 배출창지(100)를 가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오보 플로우 외관(140)은 몸체부(130)의 중심부까지 하단부(140a)가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부(130)의 내부 상부면(130a) 부근에는 공기(미도시)가 빠지지 않은 채로 남아 있게 되어 충분한 밀봉수가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125b)를 열을 경우 가스주배관(110)의 압력(P1)보다 공급된 밀봉수의 수두(水頭)가 낮게 되면, 밀봉수가 넘치면서 외부로 부생가스가 누출되는 위험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정상적인 가동중에도 상기 응축수 배관(120)으로 배출되는 응축수에는 다량(多量)의 기름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름성분을 오버플로우 외관(140)을 통해 흐르지 못하게 되고, 상부면(130a)내부부근에 모여서 누적되며, 응축수와 기름성분의 비중 차이로 인하여 응축수 배출장치(100)의 설게허용치(1.5배)보다 현저히 낮은 설계치에서 응축수 배출장치(100)의 설계허용치(1.5배)보다 현저히 낮은 설계치에서 응축수 배출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시로 청소구(170)를 통하여 기름성분을 제거시키도록 밀봉수를 교환하여야만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오버 플로우 내관(150)이 몸체부(130)의 하부면(130b)을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또한, 오버 플로우 내관(150)이 스테인레스 304(sus 304)의 재질로 되기 때문에, 응축수중에 함유된 유리철(Fe++)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O2)와 결합하여 산화철을 형성하고 오버 플로우 내관(150)에 부착되어 응축수의 배출을 막는 것이었다.
따라서,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오버 플로우 내관(150)을 점검하고, 내부에 산화철이 부착된 경우 스케일 제거용 공구(미도시)를 삽입하여 타격을 가함으로서 산화철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이때, 응축수 배출장치(100)는 그 충격으로 응축수 배관(120)과 가스주배관(110)이 결합된 부위에 갈라짐(crack)이 발생하여 돌발설비 사고를 초래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오버 플로우 내관(150)이 오버 플로우 외관(140)내측에서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생가스의 공급배관에서 몸체부의 내부 상부면에 누적되는 공기와 기름성분을 제거하여 부생가스 누출없이 응축수를 배출토록 함으로써 항상 안전한 상태로 작동가능하도록 한, 오버 플로우 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응축수 배관의 하단부를 몸체부의 중앙부까지 연장 형성하고, 오버 플로우 외관의 하단부는 몸체부의 상부면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장치(1)는 가스 주배관(110)으로 부터 연장되는 응축수배관(10)의 하단부(10a)가 몸체부(20)의 상부면(20a)을 관통하여 내부 중앙부까지 연장형성되고, 오버 플로우 외관(30)의 하단부(30a)는 몸체부(20)의 상부면(20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오버 플로우 외관(30)내측에 위치되는 오버플로우 내관(40)은 하단부(40a)가 몸체부(20)의 하부면(20b)에 형성된 원통형 단관부재(50)사이로 삽입되고, 그랜드 패킹(P)이 상기 하단부(40a)와 단관부재(5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단관부재(50)는 제2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 파이프(51)의 상부에, 관통구멍(52a)이 형성된 격판(52)이 마련되고, 상기 오버 플로우 내관(40)의 하단부(40a)가 상기 관통구멍(52a)으로 삽입되어 진다. 또한 파이프(51)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보울트 구멍(미도시)이 갖춰진 플랜지부(5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53)와 대응하는 플랜지부(61)가 갖춰지고, 원통형 연결관(62)의 외측면(62a)이 상기 파이프(51)의 내측하부면(51a)으로 삽입가능한 결합부재(60)가 배수관(160)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관부재(50)와 겹합부재(60)의 플랜지부(53)(61)가 서로 다수개의 보울트(70)에 의해 결합되면 연결관(62)의 상부면이 그랜드 패킹(P)을 단관부재(51)의 격판(52)측으로 압압(壓壓)시켜주기 때문에 오버 플로우 내관(40)의 하단부(40a)는 격판(52)의 구멍(52a)에 끼워진채로, 응축수가 그랜드 페킹(P)에 의해 하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부밸브(125b)를 잠금 상태에서 오버 플로우 외관(30)과 오버 플로우 내관(40)사이로 밀봉수를 공급하면, 오버 플로우 외관(30)의 하단부(30a)가 몸체부(20)의 상부면(20a)에 연결되기 때문에 공기가 몸체부(20)내부에 남아있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응축수 배출장치(1)의 가동중에는 응축수 내부에 함유된 기름성분이 몸체부(20)의 상부면(20a)에 퇴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응축수와 함께 배출된다. 한편, 응축수 배관(10)의 하단부(10a)는 몸체부(20)의 중심부까지 연장형성되어 별도롤 오버 플로우 외관(30)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수두압(水頭壓)을 유지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배출작용과 기름성분의 배출작용으로 인하여 부생가스의 누출 위험성을 감소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설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오버 플로우 내관(40)을 종래의 스테인레스 304의 재질에서 산화철과의 친화력이 적은 P.V.C배관으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경우 오버 플로우 내관(40)이 막히는 경우 작업자는 하부 밸프(125b)를 잠그고, 청소구(170)를 통해 몸체부(20)내부의 밀봉수를 배출시킨 다음, 결합부재(60)와 단관부재(50)를 고정하고 잇는 다수개의 보울트(70)를 풀고, 그랜드 패킹(P)을 제거한 다음, 오버 플로우 내관(40)을 몸체부(20)로부터 빼어낸 상태에서 내부의 스케일(Scale)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케일 제거작업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응축수 배관(10)등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설비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버 플로우 내관(40)의 스케일 제거작업이 직립된 상태가 아닌 평지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손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소제된 오버 플로우 내관(40)을 해체와는 반대의 순서로 결합시켜 다시 응축수 배출장치(1)를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밀봉수 공급시나 장치의 가동시에 몸체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및 기름성분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수두압이 안정하게 유지되어 부생가스의 누출 위험성이 없으며 설비가동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가스주배관(110)으로 부터 부생가스의 외부누출 없이 응축수를 제거하는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응축수배관(10)의 하단부(10a)가 몸체부(20)의 중앙까지 연장형성되고 ; 오버 플로우 외관(30)의 하단부(30a)는 몸체부(20)의 상부면(20a)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
KR2019910023358U 1991-12-21 1991-12-21 오버 플로우(over flow)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seal pot) KR940003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358U KR940003589Y1 (ko) 1991-12-21 1991-12-21 오버 플로우(over flow)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seal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358U KR940003589Y1 (ko) 1991-12-21 1991-12-21 오버 플로우(over flow)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seal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346U KR930014346U (ko) 1993-07-27
KR940003589Y1 true KR940003589Y1 (ko) 1994-06-02

Family

ID=1932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3358U KR940003589Y1 (ko) 1991-12-21 1991-12-21 오버 플로우(over flow)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seal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5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346U (ko)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32686A1 (zh) 一种增加环刚度和抗拉强度的管道接头
KR20090126758A (ko) 통합형 관로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P0084303B1 (en) Hydraulic device for the drainage of waste water
US4365646A (en) Valve assembly
US5656766A (en) Underground drain tank
KR940003589Y1 (ko) 오버 플로우(over flow)배관 분리형 응축수 배출장치(seal pot)
JP4380600B2 (ja) ガス遮断水封弁
CN208703582U (zh) 一种自动防煤气泄漏的煤气管道排水器
US2497645A (en) Floating tank roof drain
US7213622B2 (en) Venting device, particularly for fluid-storing reservoirs such as tanks
CN107327704A (zh) 一种煤气排水器
US2024579A (en) Joint for standpipes and the like
CN209130315U (zh) 一种双层密封的入口密封套
US2482468A (en) Drainage system for tanks
CN207161173U (zh) 一种油田水泥、压裂泵车柴油机油底放油装置
CN210485296U (zh) 防泄漏煤气疏水器
CN215715545U (zh) 地下深埋管道阀门结构装置
CN207246658U (zh) 一种密闭吹扫排凝导淋
RU19133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жидкости из фланцевого стыка трубопровода
CN209601280U (zh) 一种便于更换内衬的防腐储罐
US1846677A (en) Extractor fitting
CN218494781U (zh) 一种工艺处理舱脱硫剂加注辅助密封装置
KR200347630Y1 (ko) 핫오일 열교환기의 벤트 비산 방지장치
CN220168879U (zh) 一种管道防漏水装置
JPH02122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