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064Y1 - Gas range - Google Patents

Gas r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064Y1
KR940003064Y1 KR2019910009648U KR910009648U KR940003064Y1 KR 940003064 Y1 KR940003064 Y1 KR 940003064Y1 KR 2019910009648 U KR2019910009648 U KR 2019910009648U KR 910009648 U KR910009648 U KR 910009648U KR 940003064 Y1 KR940003064 Y1 KR 940003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ir
exhaust
burner
roas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64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04804U (en
Inventor
류우지 기무라
히데유키 도미우라
시즈오 하도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20004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0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64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가스 조리기Gas cooker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 절단 정면도.1 is a front view c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위 2-2선 절단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2.

제3도는 위 요부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ain portion.

제4도는 열전대 취부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ocouple mounting.

제5도는 위 취부기구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ounting mechanism.

제6도는 제2도의 일부확대도.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제7도는 기타 실시예시 절단 정면도.7 is a cutaway front view of another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 구이실 9 : 2차 공기를 필요로하는 버너3: roasting chamber 9: burner requiring secondary air

10 : 공기 공급구멍 11 : 측벽10 air supply hole 11 side wall

12 : 정류판12: rectification plate

본 고안은 주로 후방 배기식 구이실내에 설치한 2차 공기를 필요로 하는 버너로 조리물을 구이 조리하는 가스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 gas cooker for roasting food with a burner that requires secondary air installed in a rear exhaust type roasting chamber.

종래의 가스 조리기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54-143775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구이실내의 상부에 2차공기를 필요로 하는 버너를 구비하고, 또 이 구이실의 측벽이 공기 공급구멍을 형성한 가스 조리기는 알려져 있다.As a conventional gas cooker, as described in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No. 54-143775, a gas having a burner requiring secondary air in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hamber, and the side wall of the roasting chamber having an air supply hole Cookers are known.

이런류의 가스조리기, 특히 후방배기식 구이실에는 중앙 배기식에 비하여 배기가 스무스하게 이루어지기 힘들뿐만 아니라, 그릴팬으로 부터의 수증기가 이 구이실내에 둘러 쌓이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공기 공급구멍을 버너의 측방에 가로로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2차공기의 공급이 부족할 수 밖에 없다.This type of gas cooker, especially the rear exhaust type roasting chamber, is not only smoother than the central exhaust type, but also the air supply which is generally performed because the steam from the grill pan is enclosed in the roasting chamber. Forming a hole horizontally on the side of the burner is insufficient for supply of secondary air.

본 고안은 이러한 2차공기의 공급부족을 해소한 가스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이실내의 상부에 2차공기를 필요로 하는 버너를 구비하고, 또 이 구이실의 측벽에 공기 공급구멍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이 구이실의 측벽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정류판을 형성하고, 이 측벽과 정류판과의 사이에 상단이 이공기 공급구멍과 연통하고 하단에 공기 취입구를 구비한 상하방향의 2차공기 통로를 형성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s cooker that eliminates the supply shortage of secondary air, and has a burner that requires secondary air in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hamber in order to achieve this. In the air supply hole formed in the side wall, a rectifying plate is formed at intervals between the side wall of this roasting chamber, and an upper end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hole between this side wall and the rectifying plate, The secondary air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provided with the inlet is formed.

상기 구성을 구비한 가스 조리기에 있어서는, 이 측벽과 정류판과의 사이에 상단이 이 공기공급구멍과 연통하고 하단을 공기 취입구로 한 상하방향의 2차공기 통로를 형성한 결과, 공기공급구멍과 공기취입구 사이의 고저차에 의해서 또, 구이실의 승온에 의해서 이 2차공기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통풍력을 발생시키므로서 공기 공급량이 그만큼 증가되기 때문에 버너에 공기 공급이 충분해진다.In the gas cook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upper and lower secondary air passages are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rectifying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air supply hole and the lower end as the air inlet. The supply of air to the burner is sufficient because the amount of air is increased by generating a ventilation force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ary air passage by the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air inlets and the temperature of the roasting chamber.

더우기, 이 2차공기 통로 정류판은 구이실로 부터의 열을 차단하는 작용도 한다.Moreover, the secondary air passage rectifier also serves to block heat from the roasting chamber.

본 고안의 실시예를 곤로에 설치한 구이실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A case whe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oasting chamber installed in a stove is described.

도면에서 (1)은, 좌우 상부에 곤로(2), (2)를 구비하고 중앙에 구이실(3)를 설치한 곤로본체를 표시하며, 이 구이실(3)는 전면에 조리물이 출입하는 출입구(4)를, 후방 상면에 트인 배기구멍(5)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drawing, (1) shows the main body of the furnace which has the furnaces (2) and (2) at the upper left and right, and the roasting chamber (3) is installed in the center. The exhaust opening 5 which opens the entrance 4 to the rear upper surface is provided.

이 배기구멍(5)은 곤로본체(1)의 상판(6)에 형성한 투시창(7)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8)은 상기 구이실(3)의 출입구(4)를 개폐하는 문이다.This exhaust hole 5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e-through window 7 formed in the upper plate 6 of the main body 1, and 8 is a do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4 of the roasting chamber 3. .

또, (2a)는 곤로부(2)의 가스코크등의 제어부재를 표시한다.In addition, (2a) displays a control member such as gas scouring of the working section 2.

이 구이실(3)내의 상부에는 2차공기를 필요로하며 이것을 연소시키는 분젠식 버너(9)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버너(9) 뒤쪽에 설치되어 있는 구이실(3) 측벽(11)에 공기공급구멍(10)을 형성했다.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hamber 3 is equipped with a Bunsen type burner 9 which needs secondary air and burns it, and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1 of the roasting chamber 3 provided behind the burner 9. The air supply hole 10 was formed.

12는 이 구이실(3)의 측벽(11)외측에, 이것과 간격 L을 두고 형성한 정류판을 표시하며, 이 측벽(11)과 바닥면의 위치까지 근접되게 연장된 정류판(12)과의 사이에 상단이 이 공기 공급구멍(10)과 연통하고 하단에는 공기 취입구(13)가 트여지는 상하방향의 2차공기 통로(14)를 형성하였다.12 shows a rectifying plat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1 of this roasting chamber 3 with a space | interval L from this, and the rectifying plate 12 extended close to the position of this side wall 11 and a bottom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ides communicate with the air supply hole 10 and the secondary air passage 14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to open the air inlet 13.

이것을 다시 설명하면, 이 버너(9)는 제3도에서와 같이 후단측에 화염이동용 화염구멍부(9a)를 구비한 말굽형을 이루며, 이 주화염구멍부(9b)와, 이것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뻗은 주화염 구멍부(9a)를 이 구이실(3)의 양측벽(11) 내면 상부에 형성하고, 이 주화염구멍부(9a) 뒷쪽에 설치되어 있는 측벽(11)에 상기 공기공급구멍(10)을 형성하였다.In other words, this burner 9 has a horseshoe shape having a flame movement flame hole portion 9a at its rear end as shown in FIG. 3, and the main flame hole portion 9b and both sides thereof. The main flame hole portion 9a extending forwar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 walls 11 of the roasting chamber 3, and the air is supplied to the side wall 11 provided behind the main flame hole portion 9a. The hole 10 was formed.

그리고, 이 버너(9)는 제2도,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금속판을 상하로 걸쳐서 구성한 것으로, 이 주화염 구멍부(9a)는 그 윗가장리에 비하여 아래 가장자리를 약 1㎜ 길게 하므로서, 이 주화염구멍부(9a)에 형성되는 화염 불꽂이 유동하지 못하게 했다.The burner 9 is configured by spreading the metal plate up and down as shown in FIG. 2 and FIG. 3, and the main flame hole 9a extends the lower edge by about 1 mm compared with the upper edge thereof. The flame flames formed in the main flame hole 9a were prevented from flowing.

또, 도면에서 15는 이 구이실(3)내에 형성한 그릴팬, 16은 이 구이실(3)의 천정면에 설치한 버너(9)에 의하여 가열될 때 붉어지는 적열판, 17은 이 주화염구멍부(9a) 하면을 따라 설치된 공기공급구멍(10)으로 부터의 2차공기를 효율적으로 주화염구멍(9a-1)에 유도하는 유도판을 표시하며, 이 유도판(17)은 주화염구멍(9a-1)의 전방까지 돌출되어 있으며, 조리물에서 튀는 기름등이 주화염구멍(9a-1)까지 튀여서 화염구멍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릴팬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영향을 받아 주화염구멍(9a-1)의 화염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drawing, 15 is a grill pan formed in the roasting chamber 3, 16 is a red glowing plate when heated by the burner 9 provid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3, and 17 is a main plate. The guide plate which guides the secondary air from the air supply hole 10 provid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flame hole part 9a to the main flame hole 9a-1 efficiently is shown, and this guide plate 17 is a main part. It protrudes to the front of the flame hole 9a-1, and oil splashing from the food splashes up to the main flame hole 9a-1 to prevent the flame hole from filling up and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f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grill pan. This is to prevent the flame of the main flame hole (9a-1) flows.

또, 화염이동용 화염구멍부(9b)의 하측에서도 돌출되어 있어 기름등에 의한 화염구멍의 메워짐을 방지하고 있다.Moreover, it protrudes also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ame hole flame hole 9b, and prevents the flame hole from filling by oil or the like.

구이실(3) 및 이에 이어진 배기통로(18) 및 배기구멍(5)은 제3도에서와 같이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그릴박스(19)와 뒤쪽에 상기 배기구멍(5)을 구비한 배기카버(20)와, 이 그릴박스(19)와 배기카버(20)의 사이에 개재시킨 배기통로 구성부재(21)등으로 구성되며, 이 배기통로 구성부재(21)는 수평한 배기통로저판(21a)과 이 후단에서 입상한 후부파열판(21b)과 배기통로저판(21a)의 전단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유동판(17), (17)을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The roasting chamber 3, the exhaust passage 18 and the exhaust holes 5 connected thereto are provided with a grill box 19 having an open front and an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3 and an exhaust having the exhaust holes 5 at the rear. And an exhaust passage constituting member 21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20 and the grill box 19 and the exhaust cover 20. The exhaust passage constituting member 21 has a horizontal exhaust passage bottom plate ( 21a), the rear bursting plate 21b which was granulated at this rear end, and the flow plates 17 and 17 extended forward from both front ends of the exhaust passage bottom plate 21a are integrally comprised.

이와 같이, 후부 차열판(21b)을 배기통로저판(21a)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부품수가 줄고 또 유된(17), (17)을 이들과 일체화 할때는 다시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후부 차열판(21b)과 배기통로저판(1a)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차열 효과도 높아진다.Thus, since the rear heat shield plate 21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haust passage bottom plate 21a,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when the oiled 17 and 17 are integrated with these parts,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gain, and assemblability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no gap is formed between the rear heat shield plate 21b and the exhaust passage bottom plate 1a, the heat shield effect is also increased.

또한, 후부 차열판(21b)과 곤로본체(1)의 후부판(1a) 사이에 틈(A)을 형성하여 이 사이에 공기류를 형성하면 차열효과는 더욱 높아진다.In addition, when the gap A is formed between the rear heat shield plate 21b and the rear plate 1a of the main body 1 to form an air flow therebetween, the heat shielding effect is further enhanced.

상기 공기공급구멍(10)은 이 그릴박스(19)의 양측벽을 도려내서 도려냄부(19a)를 형성하고, 이 상단에 놓여지는 배기카버(20)와의 사이에서 구성된다.The air supply hole 10 cuts out both side walls of the grill box 19 to form a cutout portion 19a, and is formed between the exhaust cover 20 placed on the upper end thereof.

그리고, 상기 버너(9)는 그 버너보디(9c)가 이 배기구멍(5)의 하측에 놓이도록 배기통로저판(21a) 상면에 부착한다.The burner 9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passage bottom plate 21a so that the burner body 9c is placed below the exhaust hole 5.

이때, 상기 배기구멍(5)을 통하여 떨어지는 국물이 이 버너보디(9c)에 떨어지고, 이것이 버너(9)의 화염이동용 화염구멍부(9b)에 흐르게 되면, 이 화염이동용 화염구멍부(9b)에서의 연소가 불량해지거나 점화시에 화염이동이 되지 않는 문제를 일으킨다.At this time, when the broth falling through the exhaust hole 5 falls into the burner body 9c, and this flows into the flame moving flame hole 9b of the burner 9, the flame moving flame hole 9b May cause poor combustion or flame movement during ignition.

그래서, 이 버너보디(9c)위에 국물받이 카버(22)를 설치한 것이다.Thus, the soup tray carber 22 is installed on the burner body 9c.

이 국물받이 카버(22)는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이 버너(9)의 화염이동용 화염구멍부(9b)측 및 가스급기구멍측에 입상벽(22a)을 구비하는 판편을 구성하여 이것에 의하여 이 화염이동용 화염구멍부(9b) 뿐아니라, 가스급기구멍에 형성한 댐퍼(도시없음)에도 국물이 흘러들지 않도록 한 것이다.This broth carburetor 22 constitutes a plate piece having a granular wall 22a on the flame movement flame hole portion 9b side and the gas supply air hole side of the burner 9 as shown in FIGS. 2 and 3. This prevents the soup from flowing not only into the flame movement hole hole 9b but also into the damper (not shown) formed in the gas supply hole.

23은 이 배기통로저판(21a) 하측에 형성한 점화 파이롯트 버너, 24는 이 배기통로저판(21a)에 형성한 점화파이롯트 화염 통과구멍, 25는 이 점화 파이롯트 화염통과구멍(24)내에 돌출시킨 점화 파이롯트 화염 유도판을 표시하며, 점화 파이롯트 버너(23)로 부터의 점화 파이롯트 불꽂이 이 점화 파이롯트 화염유도판(25)에 의해서 점화 파이롯트 화염통과구멍(24)을 통하여 주화염구멍(9a-1)에 적절히 유도되므로 점화를 확실하게 한다.23 is an ignition pilot burner formed below the exhaust passage bottom plate 21a, 24 is an ignition pilot flame passage hole formed in the exhaust passage bottom plate 21a, and 25 is an ignition projecting in the ignition pilot flame passage hole 24. A pilot flame guide plate is shown, and the ignition pilot flame ignition from the ignition pilot burner 23 is ignited by the pilot flame guide plate 25 and through the ignition pilot flame passage hole 24, the main flame hole 9a-1. It is properly guided to to ensure ignition.

26은 배기카버(20)에 형성한 투과구멍(27)을 통하여 이 버너(9)의 주화염구멍부(9a)를 향해 설치된 연소검지용 열전대를 표시하며, 이 열전대(26)는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취부구(28)에 의해서 배기카버(20) 외측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이 취부구(28)는 이 열전대(26)를 끼워 지지하는 투과구멍(29) 및 고정편(30a)을 구비한 " ]"자형으로 구부러진 1쌍의 판편(30), (30)과, 이 판편(30), (30)의 연결부에서 돌출한 다리편(3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다리편(31)에는 이것을 배기카버(20)에 나사로 조일 조임대(32)와, 이 조임대(32)의 선단에서 돌출한 돌기(33)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판편(30)의 선단에 이 배기카버(20)의 외측에 맞닿는 돌편(34)과 이 돌편(34)의 선단에 돌편(35)을 구비한다.26 denotes a combustion detection thermocouple installed toward the main flame hole portion 9a of the burner 9 through the through hole 27 formed in the exhaust cover 20. The thermocouple 26 is shown in FIG. And as shown in Figure 5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exhaust cover 20 by the mounting hole 28, which will be described in the mounting hole 28 is a transmission hole 29 for supporting the thermocouple 26 and It consists of a pair of plate pieces 30 and 30 bent in a "]" shape having a fixing piece 30a, and a leg piece 31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late pieces 30 and 30. The leg piece 3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table 32 which is screwed to the exhaust cover 20 with a screw, and a protrusion 33 which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fastening table 32. The front end is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piece 34 which abuts on the outer side of this exhaust cover 20, and the projection piece 35 i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of this projection piece 34. As shown in FIG.

따라서, 열전대(26)를 투과구멍(29)에 끼워 넣은 다음 고정편(30a)으로 열전대(26)을 취부구(287)에 고정하고, 돌편(35)을 이 배기키버(20)에 형성한 투과공(37)에 끼워 넣고, 이어서 돌편(33)을 이 배기카버(20)에 형성한 투과공(36)에 끼운다음, 비스로 조임대(32)를 배기카버(20)에 조여 붙이면 취부구(28)의 고정후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2개의 돌편(33), (35)의 걸어 맞춤으로 취부구(28)의 위치 결정이 확실해져서 이 비스에 의한 조임작업이 간단해진다.Therefore, the thermocouple 26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9, and then the thermocouple 26 is fixed to the mounting hole 287 by the fixing piece 30a, and the protrusion pieces 35 are formed on the exhaust key 20. It fits in the permeation hole 37, and then the protrusion piece 33 is inserted in the permeation hole 36 formed in this exhaust cover 20, and it attaches when it tightens and attaches the screw | bar clamp 32 to the exhaust cover 20. The flow after fixing the sphere 28 is prevented, and the positioning of the mounting hole 28 is ensured by the engagement of the two protrusions 33 and 35, thereby simplifying the tightening operation by this screw.

특히, 2개의 돌편(33), (35)의 꾸부러짐 방향을 90°로 달리 할때는 유동의 방지 및 취부구(28)의 강성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varying the wrapping direction of the two pieces 33, 35 to 90 °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flow and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mounting holes (28).

또, 도면에서 (38)은 배기가스 카버(20)인 구이실(3)의 상면과 대향한 위치에서 상면을 씌우도록 형성한 차열판을 표시한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38 denotes a heat shield plate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3 that is the exhaust gas cover 20.

상기 실시예에서는 버너(9)를 공기공급구멍(10)보다 내측으로 형성했으나, 이것은 이 주화염구(9a-1)가 이 공기공급구멍(10)보다 내측에 있으면 되므로, 버너(9) 전체가 이 공기공급구멍(10)보다 내측에 있을 필요는 없다.Although the burner 9 is formed inward from the air supply hole 10 in the above embodiment, this is because the main flame port 9a-1 needs to be inward of the air supply hole 10, so that the burner 9 as a whole is It is not necessary to be inside the air supply hole 10.

또, 도시한 것에서는 상기 적열판(16)은 이것에서 부터 돌출한 돌편(39)을 배기카버(20)에 형성한 취부구멍(40)에 끼워서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igure, the said heat exchanger plate 16 is made to attach and attach the protrusion piece 39 which protruded from this to the mounting hole 40 formed in the exhaust cover 20. As shown in FIG.

이때, 배기카버(20)에 형성한 취부구멍(40) 부분에 상기 투시창(7)을 통하여 국물이 스며들면 이 취부구멍(40) 부분을 통하여 구이실(3)내의 버너(9)에 이것이 흘러들어서 연소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배기카버(20)상면의 배기구멍(5) 앞에 즉, 투시창(7)에서 낙하하는 국물이 이 취부구멍(40)측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이를 저지하는 위치에 비이드(bead)(41)를 형성하여, 이 비이드(41)에 의하여 국물이 취부구멍(40)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when soup is permeated into the mounting hole 40 formed in the exhaust cover 20 through the viewing window 7, it flows into the burner 9 in the baking chamber 3 through the mounting hole 40.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of poor combus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a bead is placed in front of the exhaust hole 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cover 20, i.e., in a position that prevents the broth falling from the viewing window 7 from flowing into the mounting hole 40 side. (41) is formed so that the broth does not flow to the mounting hole (40) by the beads (41).

또, 이 비이드(41)는 중앙 배기식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beads 41 can also be applied to a central exhaust type.

이 경우, 비이드(41)은 제6, 7도에서와 같이 배기카버(20)의 투시창(7)을 대향한 부분과, 이 취부구멍(40)부분과의 사이에 길게 형성해도 무방하며, 혹은 상기 배기카버(20)의 투시창(7)의 둘레 바로 아래에서 외측을 둘러싸는 둥근모양으로 형성해도 된다.In this case, the bead 41 may be formed long between the portion facing the viewing window 7 of the exhaust cover 20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the mounting hole 40. Or you may form in the round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just under the periphery of the see-through window 7 of the said exhaust cover 20.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고안은 측벽(11)과 정류판(12)과의 사이에 상단이 공기 공급구멍(10)과 연통하고, 하단에 바닥면에 근접되는 위치로 공기 취입구(13)가 트여지게 형성된 상하방향의 2차공기 통로(14)를 형성한 결과로, 공기공급구멍(10)과 공기 취입구(13) 사이의 고저차에 의해서 공기의 흐름이 증가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11 and the rectifying plate 12, the upp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hole 10, the air inlet 13 is formed to open to the position close to the bottom surface at the lower end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the secondary air passage 14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flow of air is increased by the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air supply hole 10 and the air intake opening 13.

이는 대기중에 높이 차이가 형성될 경우 기압차이에 의해 높은 위치에서의 압력이 낮아, 낮은 쪽으로 공기가 상승하려는 현상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증대됨을 볼 수 있는 것이다.This means that when the height difference is formed in the atmosphere, the pressure at the high position is low due to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and the flow of air is increased due to the phenomenon of air rising to the lower side.

또, 구이실(3)이 가열되는 것에 구이실(3)의 내부에 대류현상이 나타나므로, 가열된 공기가 상부로 이동되려는 것에 의해 2차공기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통풍력을 발생시키므로서, 공기 공급량이 그 만큼 증가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ction phenomenon appears in the interior of the roasting chamber 3 when the roasting chamber 3 is heated, air is generated while the air flows through the secondary air passage by causing the heated air to move upward. The supply is increased by that amount.

따라서, 버너에의 2차공기의 공급이 충분해지는 것이다.Therefore, supply of secondary air to a burner becomes sufficient.

그리고, 이 2차공기 통로(14) 및 정류판(12)이 구이실(3)의 외측에 위치되어, 구이실(3)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결과로, 차열작용을 하여, 구이실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재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ary air passage 14 and the rectifying plate 12 are located outside the roasting chamber 3 to block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roasting chamber 3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move upwards. As a result of inducing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mber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roasting chamber from being heated by the heat shielding action.

Claims (1)

구이실(3)내의 상부에 2차공기를 필요로 하는 버너(9)를 구비하고, 이 구이실(3)측벽에 공기공급구멍(10)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구이실(3)의 측벽(11)과의 사이에 틈(L)을 두고 정류판(12)을 형성하고, 이 측벽(11)과 정류판(12) 사이에 상단이 상기 공기공급구멍(10)과 연통하며, 하단 바닥면에 근접된 위치로 공기취입구(13)가 형성되는 상하방향의 2차공기통로(1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조리기.The burner 9 which needs secondary air in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hamber 3 is provided, The air supply hole 10 was formed in this roasting chamber 3 side wall, A rectifying plate 12 is formed with a gap L between the side wall 11, and an upper end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hole 10 between the side wall 11 and the rectifying plate 12, and a lower end thereof. Gas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air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air inlet (13) is form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bottom surface.
KR2019910009648U 1990-08-24 1991-06-26 Gas range KR940003064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8996 1990-08-24
JP1990088996U JPH0449734U (en) 1990-08-24 1990-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804U KR920004804U (en) 1992-03-26
KR940003064Y1 true KR940003064Y1 (en) 1994-05-12

Family

ID=1395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648U KR940003064Y1 (en) 1990-08-24 1991-06-26 Gas ran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49734U (en)
KR (1) KR940003064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804U (en) 1992-03-26
JPH0449734U (en) 199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781A (en) Thermally efficient barbecue grill
WO2008030225A1 (en) A deep fat tube fryer burner assembly
KR940003064Y1 (en) Gas range
US6131561A (en) Burner with secondary air stability ring
JP4985971B2 (en) grill
US2164079A (en) Gaseous fuel stove
US5261388A (en) Cooking grill
JP2019033957A (en) Heating cooker
KR0154299B1 (en) Exhaust structure of grill apparatus
JPH0248752Y2 (en)
US2141808A (en) Combination solid and gaseous fuel cooking range
JP3442956B2 (en) Exhaust structure of grill storage
JPH0228325Y2 (en)
KR100303288B1 (en) Cooking stove burner
CN214891365U (en) Furnace end convenient to arrange sediment drainage and contain its cooking utensils
CN220735193U (en) Outdoor cooking utensil
JPS598093Y2 (en) grill equipment
JP2019050947A (en) Heating cooker
KR100415289B1 (en) grill
KR100378394B1 (en) grill
US2060627A (en) Combination heater-range
JP2022165487A (en) Gas cooking stove
US2149075A (en) Stove or range
KR0123679Y1 (en) A structure for fixing a pipe burner
JPH08312922A (en) Grill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