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876Y1 - 예금 통장 - Google Patents

예금 통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876Y1
KR940002876Y1 KR92008179U KR920008179U KR940002876Y1 KR 940002876 Y1 KR940002876 Y1 KR 940002876Y1 KR 92008179 U KR92008179 U KR 92008179U KR 920008179 U KR920008179 U KR 920008179U KR 940002876 Y1 KR940002876 Y1 KR 940002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limited
period
amount
w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284U (ko
Inventor
문기창
Original Assignee
문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창 filed Critical 문기창
Priority to KR92008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876Y1/ko
Publication of KR930025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2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33Owner certificates, insurance policies, guarant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06Paper provided with guiding marks, e.g. ruled, squared or scaled paper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예금 통장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원장기재 사항의 실시예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중 잔액전액 출금 불가능을 선택했을 때의 원장기재의 실시예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의한 조건을 실제 통장에서 저축금의 출금을 실시했을 경우의 통장출금의 실시예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중 "잔액전액 출금 가능"을 선택했을 때의 원장기재의 실시예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의한 조건을 실제 통장에서 저축금의 출금을 실시했을 경우의 통장출금의 실시예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중 "이자별도 출금 가능"을 선택했을 때의 원장기재의 실시예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에 의한 조건을 실제 통장에서 저축금의 출금을 실시했을 경우의 통장출금의 실시예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중 "이자별도 출금 불가능"을 선택했을 경우의 원장기재의 실시예시도.
제 9 도는 제 8 도에 의한 조건을 실제 통장에서 저축금의 출금을 실시했을 경우의 통장출금의 실시예시도.
제 10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중 "다음 기간 합산 가능"을 선택했을 때의 원장기재의 실시예시도.
제 11 도는 제 10 도에 의한 조건을 실제 통장에서 저축금의 출금을 실시했을 경우의 통장출금의 실시예시도.
제 1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중 "다음 기간 합산 불가능"을 선택했을 때의 원장기재의 실시예시도.
제 13 도는 제 12 도에 의한 조건을 실제 통장에서 저축금의 출금을 실시했을 경우의 통장출금의 실시예시도.
제 1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에서 제한 출금기간 내에서 제한 출금액을 나누어서 출금한 경우의 실시예시도.
제 15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부대조건중 "잔액전액출금 불가능", "이자별도출금 불가능", "다음기간 합산 불가능"을 선택하여 총괄실시를 한 경우의 원장 기재의 실시예시도.
제 16 도는 제 15 도에 의한 총괄실시를 실제통장에서 저축금의 출금을 실시했을 경우의 통장출금의 실시예시도.
제 17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과 적금을 혼합하여 실시했을 경우의 예금통장의 실시예시도.
제 18, 19도는 제 17 도에 의한 예금 통장과 적금의 혼합실시를 실제통장에서 입, 출금을 실시했을 경우의 예금통장의 실시예시도.
제 20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입금자와 제한출금자가 동일한 실시예에 의한 원장기재의 실시예시도.
제 21 도는 입금자가 명기되지 아니한 원장기재의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예금통장 2 : 입금자
3 : 제한 출금자 4 : 제한 출금기간
5 : 제한 출금액 5a : 잔액 전액 출금액
5b : 이자 별도 출금액 5c : 다음기간 합산 출금액
5d : 당해 미달 출금액 5e : 분할 출금액
6 : 제한 출금의 부대조건
6a :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잔액전액 출금 여부중 가능
6b :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잔액전액 출금 여부중 불가능
6c :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이자별도 출금 여부중 가능
6d :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이자별도 출금 여부중 불가능
6e :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다음기간 하산 여부중 가능
6f :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다음기간 합산 여부중 불가능
7 : 적금기간 7a : 적금 기간 만료일
8 : 입금액 9 : 출금액
10 : 잔액 11 : 이자
12 : 원금 총액
본 고안은 예금통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금통장에 예금되어 있는 저축금에 대하여 일정기간에 일정한 금액의 범위내에서 본인 또는 본인 이외의 자에 의해서 출금을 제한할 수 있는 예금통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예금통장은 일정금액의 입금제한 및 기한의 제한에 의한 정기 적금과 수시로 금액과 기한을 정하지 아니한 정기적금, 원금을 일정 기간 정하여 이자와 함께 찾는 정기예금, 저축예금, 보통예금, 연금 신탁, 상호 부금등 많은 저축상품이 있었다. 본시 예금이라 함은 소비를 절약하여 돈을 모으든지, 또는 저축금을 안전하게 금융기관에 보관하는 의미도 있었고, 이 돈을 금융기관에서는 큰 규모의 자금을 조성하여 국가 산업경제 발전, 기업 및 가계에 대출을 하여왔다.
종래의 저축상품을 살펴보면 일반국민의 소비절약은 반드시 자신 스스로의 절약에 의존하여 왔다. 예컨대, 자신의 용돈이 200,000원이 있다면 스스로 1주일에 약 50,000원을 소비해서 1달을 쓸 예정이라면 주머니에 넣고 다니거나, 보통예금 정도로 통장을 개설하여 소비한다. 이 경우에 자신이 스스로 소비절약을 잘하면 될 것이나, 대부분은 얼마 안가서 200,000원은 금방 소비되고 만다. 즉, 계획했던 기간에 훨씬 못미쳐서 다 소비하고 마는 것이며, 과소비의 주원인이며 소비 습관을 나쁘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용돈을 주는 사람이 각 기간에 고루 배분하여 소비하는 사람에게 그때마다 지급하면 될 것이나, 항상 그 기간이 되면 돈을 지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 경우 또한 번거로와서 얼마 못가서 약속을 이행키 어려워서 몫돈을 주고 알아서 쓰라고 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이 경우의 실생활에서는 남편의 용돈, 중소규모의 기업체, 아내의 살립비용, 자녀의 용돈, 멀리 유학한 자녀의 생활비용, 자녀의 정기 적인 양육비용등 정기적으로 비용을 쓸 사람에게는 이러한 소비절약 문제가 야기되었으며, 본시 저축은 가계나 기업에서는 소자금을 은행에 안전하게 보관시키면서 그 이자를 지급 받거나, 큰 자금을 모으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은행에서는 소규모 자금을 모아서 가계나 기업에 대출을 하여왔다.
국가에서는 은행에서 형성된 큰 자금으로 국가기간산업 및 산업경제 발전을 도모하였다.
이에 그간에 가계소비용 자금과 개인의 용돈은 항상 개개인의 주머니속이나 보통예금 통장등 소비하기 쉬운 곳에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소비를 자제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스스로 밖에 절제를 하지 못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해서 출금자가 아닌 입금자인 제3자에 의해서도 절제가 가능해져 이 경우에 있어서 소비의 적정화, 규모화, 합리화로 인한 과소비 억제에 있으며, 또한 시중에 나돌며 은행에 유입되지 아니한 돈에 대한 은행유입화, 은행통장에의 저축기간의 장기화에 있다.
이에 대한 예를 들면, 국민 개개인이 4천만명인바 본 예금통장을 통하여 월 10,000원씩만 소비절약이 가능해진다고 해도 월 4천억원의 큰 자금이 조성되며, 또한 매월 지급함의 불편해소로 인한 간소화 및 번거로움이 해소가 될 것이며, 종래에는 은행에 유입되지 아니하고 자녀나 남편 용돈, 아내생활비를 집에 두고 지급하던 돈을 본 고안에 의한 통장을 개선해 주고 쓰라고 하면, 시중에 있는 조그마한 돈이라도 은행에 유입이 가능한 것이다.
즉, 국가 산업경제에 있어서는 반드시 큰 자금이 소요되므로 국민 개개인의 적은 용돈이 은행에 유입됨으로서 보다 큰 산업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큰 자금이 조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4천억원은 소비절약에 의해 조성된 자금이라면, 후술한 내용은 소액의 유동자금을 은행에 유입함으로서 큰 자본을 형성시킬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본 고안에 따른 예금통장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은 종래의 예금통장과는 그 내용을 혁신적으로 달리함에 기술되는 용어를 부호순으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예금통장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
2. 입금자
입금자는 종래의 통장입금자와 입금방법이 동일하며, 즉, 불특정 다수인이며 제한출금자 자신도 포함된 자임. 또한, 예금통장의 부대조건중 "잔액 전액 출금 가능"을 선택했을 경우 잔액 전액을 출금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이다.
3. 제한 출금자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용어이며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1)에서 저축금을 제한출금 기간내에서 제한출금액의 범위내에서 저축금을 출금하여 소비를 하는 자를 말하며 입금자 자신도 포함한다.
또한, 예금통장의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잔액 전액 출금 여부중 가능"을 선택한 경우에라도 예금통장상의 잔액을 단독으로 전액 출금할 수 없는 자이며, 이 경우 잔액 전액을 출금하려면 입금자(2)와 동시에 청구하여야 한다. 즉, "잔액 전액 출금가능"공동 권리자인 것이다.
제한출금자가 잔액 전액을 출금할 수 있다면, 본 고안에 의한 통장의 실시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4. 제한출금기간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용어이며 통장의 개설시 미리 약정한 기간이다. 제한출금자는 이 기간내에서 제한출금액을 자유로이 출금 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기간은 통장개설시 입금자, 입금자와 제한출금자 상호간 협의하여 일(日), 주(週), 월(月), 분기(分期), 년(年), 5일, 10일, 2주, 2월등 상황에 막게 적정히 선택하는 것이다.
5. 제한출금액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용어이며, 통장개설시 미리 금액을 약정함으로서 제한출금자가 제한출금기간내에서 제한출금액으로 정한 금액만을 출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6. 제한출금의 부대조건
본 항은 본 고안에 의한 통장을 실시함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설정한 항목이다. 이에 잔액 전액 출금여부, 이자 별도 출금여부, 다음기간 합산여부로 세분하여 설명한다.
6a.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잔액 전액 출금여부중 가능"항목이는 제한출금자가 제한출금기간 내에서 제한 출금액을 계속해서 출금하여 소비하던중 사정으로 인해서 예금통장에 남아있는 잔액을 전액 출금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잔액 전액을 출금할 수 있는 권리자는 용어의 정의 2에서 언급한 통장원장상의 입금자이다. 출금청구로 잔액 전액을 출금할 수 있는 것이다.
6b. 제한 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잔액 전액 출금여부중 불가능"항목 본 항목을 선택하여 예금통장을 개설할 경우에는 제한출금액을 초과한 잔액은 출금이 불가능하다.
6c. 제한 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이자 별도 출금여부중 가능"항목 예금으로 인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이자의 처리 문제로서 본 예금 통장 거래도중에 이자가 발생할 경우 통장 개설시 액정한 제한 출금액에 관계없이 이자만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에서 이자만을 별도로 출금할 수 있는 항목이다.
6d. 제한 출금의 부대조건에서 "이자별도 출금여부중 불가능"항목 본 항목을 선택하여 예금통장를 개설할 경우에는 제한출금액 외에 별도로 이자에 대한 출금이 불가능하다.
6e. 제한 출금의 부대조건에서 "다음기간 합산 여부중 가능"항목 본 예금통장을 통하여 "제한출금자"가 "제한출금기간"내에서 출금 하던중 "제한출금액"에 미달하여 출금하고 난 후 당해 제한출금기간을 경과하여 다음 제한출금기간이 도래한 경우 당해 제한출금기간중의 제한출금액에 미달한 금액을 다음 제한 출금기간의 제한출금액에 별도로 합산하여 출금이 가능한 항목이다.
6f.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에서 "다음기간 합산 여부중 불가능" 항목 본 항목을 선택하여 예금통장을 개설한 경우에는 당해 제한출금기간 내에서 제한출금액에 미달하여 출금한 경우라도 다음 제한출금기간중에 제한출금액에 별도로 합산하여 출금이 불가능하다.
7. 적금기간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을 통하여 매월 입금하여 적금을 할 경우에 그 기간을 명시하는 항목이다. 이 경우 "적금기간"이 만료되면 예금 통장 잔액에 대해서는 입금자나 제한출금자 공동으로 잔액 전액 출금이 가능하다.
7a. 적금기간 만료일
적금기간에 의해서 만료일은 정해진다.
8. 입금액
예금통장에 입금된 금액으로서 입금자, 제한출금자 및 그 이외의 자로서 불특정 다수인이 입금시킨 금액이다.
9. 출금액
제한출금자, 입금자와 제한출금자 공동으로 출금한 금액
10. 잔액
예금통장의 잔액란에 기재된 금액
11. 이자
예금통장에서 예금으로 인한 이자 발생액
12. 원금총액
적금의 형식을 취했을 경우의 원금총액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의 용어의 설명이며,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본 고안에 따른 예금통장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각 제한출금의 부대조건별로 하나 하나 나누어 설명한 후 이에 총괄적인 조건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의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예금통장(1)은 입금자(2), 제한출금자(3), 제한출금기간(4), 제한출금액(5), 제한출금의 부대 조건(6) 및 적금기간(7)이 원장에 명시된 예금통장이다.
즉, 이 예금통자(1)에 의해서 입금된 금액을 제한출금자(3)는 제한출금기간(4) 내에서 제한출금액(5)을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정한 내용(6a, 6b, 6c, 6d, 6e, 6f)으로 출금하는 것이다.
제 2 도에서는 실제로 통장을 개설한 내용을 도시한 것으로서, 입금자(2) 문기창은 제한출금자(3) 김경남에게 제한출금기간(4)은 월(月), 제한출금액(5)은 100,000원,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잔액 전액 출금여부중 불가능(6b)을 선택하여 예금통장(1)을 개설한 경우이다.
이에 제 3 도에서는 본 예금통장(1)이 개설된 내용으로 출금한 내용을 도시한 것으로 입금자(2) 문기창은 예금통장(1)에 1991. 1. 5 현금 1,200,000원을 입금(8) 시킨바, 제한출금자(3)인 김경남은 제한출금기간(4)으로 정한 월간에 제한출금액(5)으로 정한 100,000원을 1991. 1. 15 현금100,000원(5)부터 1991. 12. 23 현금 100,000원(5)까지 매월 출금이 가능한 것이며,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중 잔액 전액 출금 불가능(6a)을 선택하였으므로 잔액(10)이 "0"이 될 때 까지 중도에서 잔액 전액을 출금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제 4 도에서는 입금자(2) 문기창은 제한출금자(3) 김경남에게 예금통장(1)을 개설함에 제한출금기간(4)은 월간, 제한출금액(5)은 100,000원,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잔액 전액 출금가능(6a)을 선택한 예 통장(1)이다.
이에 제 5 도는 제 4 도에 의한대로 입금자(2) 문기창은 제한출금자(3) 김경남에게 제한출금기간(4)은 월간, 제한출금액(5)은 100,000원으로 예금통장(1)을 개설한 후, 1991. 1. 5에 1,200,000원을 입금(8) 시켰다. 이에 제한 출금자(3)인 김경남은 매월 100,000원씩 출금하던중 잔액 전액을 찾을 필요가 있으므로 잔액 전액 출금가능 가능 공동권리자인 입금자(2) 문기창과 출금자(3) 김경남은 공동의 출금 청구로 1991. 7. 3의 잔액인 500,000원(10)을 1991. 8. 4에 500,000원을 출금(5a)할 수 있는 것이다.
제 6 도에서는 입금자(2) 문기창은 제한 출금자(3) 김경남에 제한출금기간(4) 월간, 제한출금액(5) 100,000원,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중 "이자별도 출금 여부중 가능"(6c)을 선택하여 개설한 예금통장(1)이다.
이에 제 7 도에서는 1991. 1. 5 입금액 1,200,000원(8)을 매월 100,000원씩 출금하던중 1991. 2. 12에 20,000의 이자(11)가 발생하여 입금된바, 제 6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이자 별도 출금 가능"(6c)을 선택하였으므로 1991. 2. 15에 20,000원을 별도로 출금(5b)이 가능한 것이다.
제 8 도에서는 입금자(2) 문기창이 제한출금자(3) 김경남에게 제한출금기간(4) 월간, 제한출금액(5) 100,000에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이자 별도 출금여부중 불가능(6d)을 선택하여 예금통장(1)을 개설한 경우이다.
이에 제 9 도에서는 입금자(2) 문기창은 1991. 1. 5에 1,200,000원을 입금(8)시켜 매월 100,000원씩 출금하던중 1991. 2. 12에 이자 20,000원(11)이 발생하여 입금된바 제 8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이자 별도 출금 불가능"(6d)을 선택하였으므로 이자(11)만을 중도에서 출금이 불가능하며 결국 제한출금액(5)인 100,000원 범위내의 잔액(10)이 된 20,000원이 된 다음인 1992. 1. 10에 20,000의 인출(9)이 가능한 것이다.
제 10도는 입금자(2) 문기창은 제한출금자(3) 김경남에게 제한출금기간(4) 월간, 제한출금액(5) 100,000원,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다음기간 합산여부중 가능"(6e)을 선택하여 개설한 예금통장(1)이다.
이에 제 11 도는 제 10 도에 의한 통장출금의 실시예시도로서 입금자(2) 문기창이 1991. 1. 5에 1,200,000원(8)을 입금시킨바, 제한출금자(3)인 김경남은 매월 100, 000원씩 출금하던중 1991. 3. 15에 70,000(5d)만을 출금하여 당해 제한출금기간(4)에 출금가능한 100,000원에 30,00원을 덜 찾았으나, 당해 제한출금 기간이(4)이 경과하여 다음 제한출금기간(4)이 도래한 경우 제 10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다음기간 합산 여부중 가능"(6e)을 선택하였으므로 1991. 4. 30에 제한출금액(5) 100,000원과 전기 제한출금액(5)에 미달한 금액인 30,000원을 합산한 130,000원의 출금(5c)이 가능하며, 1991. 7. 3에 80,000 출금(5d)과 1991. 8. 4의 120,000원 출금(5c) 또한 동일한 "다음기간 합산가능"(6e)을 선택한 경우의 출금 방법인 것이다.
제 12도는 입금자(2) 문기창은 제한출입금자(3) 김경남에게 제한출금기간(4)월간, 제한출금액(5) 100,000원,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다음기간 합산여부중 불가능"(6f)을 선택하여 예금통장(1)을 개설한 실시예이다.
이에 제 13 도는 제 12 도에 의한 통장 출금의 실시예시도로서 입금자(2)인 문기창이 1991. 1. 5에 1,200,000원(8)을 입금시킨후 제한출금자(3) 김경남은 매월 100,000원씩 출금하던중 1991. 3. 15에 70,000원 인출(5d) 1991. 9. 7에 70,000원을 출금(5d)하며, 제한출금액(5)인 100,000원에 각각 30,000원씩 미달하여 출금하였으나 미달한 30,000원은 예금통장(1) 개설시 "다음기간 합산 불가능"(6f)을 선택하였으므로 다음 제한 출금기간에 미달금액인 30,000원을 합산하여 출금이 불가능하며, 단지 당초 약정한 제한출금액(5)인 월간 100,000원만을 출금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4 도는 제한출금의 부대조건의 선택과는 상관없이 제한출금기간(4) 내에서 제한출금액(5)으로 정한 금액을 나누어서 출금할 수 있는 예금통장(1)의 실시예시도를 보이는 것이다. 즉, 1991. 3. 15에 70,000원(5e)과 동 제한출금 기간(4)인 1991. 3. 20에 30,000원(5e)을 분할하여 출금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1991. 8. 4에 60,000원(5e)과 1991. 8. 15에 40,000원(5e) 또한 동일한 출금방법이다.
제 15 도는 이상에서 전술한 내용을 총괄 실시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입금자(2)인 문기창은 제한출금자(3) 김경남에서 제한출금기간(4)월간, 제한출금액(5) 100,000원,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잔액 전액 출금여부중 불가능(6b), 이자 별도 출금 여부중 불가능(6d), 다음기간 합산 여부중 불가능(6f)을 선택하여 예금통장(1)을 개설한 원장의 실시예시도이다.
이에 16도는 제 15 도에 의한 예금통장(1)의 출금의 예시도로서 입금자(2) 문기창은 1991. 1. 15에 1,200,000을 입금(8) 시킨후, 제한출금자(3)인 김경남이 1991. 1. 15에 100,000원, 1991. 2. 10에 100,000원을 출금 하던중 1991. 2. 12에 20,000원(11)의 이자가 발생하여 입금된바, 통장개설시 이자 별도 출금 여부중 불가능(6d)을 선택하였으므로, 이자만을 중도에서 별도로 출금이 불가능하다. 또한, 1991. 4. 30에 80,000원(5d)을 인출한바, 제한출금기간(4)인 월간에 제한출금액(5) 100,000원의 출금이 가능하나 100,000원에 20,000원이 미달되어 출금하였으나 통장개설시 다음기간 합산여부중 불가능(6f)을 선택하였으므로 다음 제한출금기간에 미달한 20,000원은 합산하여 출금이 불가능하며, 1991. 8. 4의 60,000원(5d)을 출금한 경우 40,000원 미달 금액 또한 다음기간에 합산하여 출금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한출금(4)내에서 제한출금액(5)의 범위내에서 나누어서 출금은 자유로와 1991. 6. 20에 50,000원 출금(5e)과, 1991. 6. 28에 50,000원의 출금(5e)은 나누어서 출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1991. 10. 20에 잔액인 280,000원(10)을 잔액 전액 출금하고 싶어도 당초 예금통장(1) 개설시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잔액 전액 출금 불가능"(6b)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잔액 전액을 출금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당초 개설된 통장의 내용대로 제한출금자(3)인 김경남은 제한출금기간(4)인 월간 제한출금액(5)으로 정한 100,000원만을 출금하며,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정한 잔액 전액 출금은 불가능(6b)이며, 이자 별도 출금도 불가능(6f)한 것이다.
제 15 도에 도시한 내용으로 개설한 예금통장(1)이 가장 전형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1)의 목적에 부합할 것이다.
제 17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1)에 적금의 형태를 결합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원장이다. 즉, 입금자(2) 문기창은 제한출금자(3)인 김경남, 제한출금기간(4)은 월간, 제한출금액(5) 400,000으로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잔액 전액 출금 여부중 불가능(6b), 이자 별도 출금 여부중 불가능(6d), 다음기간 합산여부중 불가능(6f), 적금기간 1년 (7), 만료일은 1992. 1. 5(7a)로 예금통장(1)을 개설하였다.
이에 제 18 도, 제 19 도는 제 17 도에 의한 실제 예금통장(1)에서 입금(8) 및 출금(9)을 실시하는 내용을 도시한 것으로, 본 예금통장(1)에 매월 입금(8)이 된다. (850,000, 800,000, 790,000, 860,000 ........ 1,300,000)동 입금액은 그대로 1년간 입금이 되며, 당초 예금통장(1) 개설시 약정한 제한출금기간(4)인 월간, 제한출금액(5)400,000원 이상은 출금(9)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서 400,000원이 초과한 금액은 자연히 적금으로 되는 것이다.
본 통장은 제한출금기간에 제한출금액은 나누어 출금이 자유롭기 때문에 1991. 3. 15에 200,000(5e)과 1991. 3. 20에 200,000(5e)의 분할 출금이 가능하다. 또한,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다음 기간 합산 불가능(6f)을 선택한바 1991. 10. 20에 300,000원(5d)을 출금하였으나 다음 제한출금기간에 합산하여 출금이 불가능한 것이며,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이자 별도 출금 불가능(6d)을 선택한바, 1992. 1. 3에 발생한 이자(11)인 367,280원은 별도 출금이 불가능하며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잔액 전액 출금불가능(6b)을 선택한바 출금의 중도에서 1992. 1. 3의 잔액(10)은 6,037,280원은 전액 출금이 불가능한 것이다.
이와같은 일련의 절차를 거쳐 월간에 제한출금액(5) 400,000원 이상은 출금이 불가능하여 1991. 12. 23에 5,607,000원(12)의 원금이 축적되며, 1992. 1. 3에 이자 367,280원(11)이 발생하여 입금되는바, 총 잔액(10)은 6,037,280원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금의 만기일인 1992. 1. 5에 총잔액(10)인 6,037,280원은 입금자(2)와 제한출금자(3)의 공동출금 청구에 의해서 6,037,280원의 출금(9)이 가능하여 종국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과 적금의 형태가 복합된 예금통장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7 도, 제 18 도, 제 19 도의 실시 예시는 매월 입금(8)이 되어진 형태로 실시예를 보았으나, 적금기간(7)과 적금만료일(7a)을 기재하여 아무때나 입금(8)하여 제한 출금기간(4) 내에서 제한출금액(5)의 범위 내에서만 출금하면 자연히 제한출금액(5)을 초과한 금액은 저축이 되고, 소비 또한 절제가 가능해져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0 도는 입금자(2)와 제한출금자(3)가 문기창이라는 이름으로 동일하게 개설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즉, 자기자신이 스스로를 절제하기 위해 개설한 예금통장(1)인 것이다. 즉, 입금자(2)은 문기창은 제한출금자(3) 또한 자신의 이름으로 제한출금기간(4) 월간, 제한출금액(5) 100,000원, 제한 출금의 부대조건(6)에서 잔액 전액 출금 여부중 불가능(6b), 이자 별도 출금 여부중 불가능(6d), 다음기간 합산 여부중 불가능(6f)을 선택하여 본 예금통장(1)을 개설하여 매월 100,000원 내에서 출금하여 사용하겠다는 의미인 것이다.
또한, 제 21 도에서와 같이 입금자(2)를 전혀 명기치 아니하고 제한출금자(3)만을 명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잔액 전액 출금 가능"(6a)의 공동권리자인 입금자가 없기 때문에 "잔액 전액 출금 여부중 반드시 불가능(6b)을 선택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예금통장은 제한출금기간과 동기간에 대한 제한출금액을 면기함으로서 무절제한 과소비의 억제, 합리적인 소비생활, 적정 규모의 소비, 저축의 생활화, 떠도는 돈의 은행 유입화 및 목돈화의 은행 보유기간의 장기화로 인하여 금융산업 및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종래의 에금통장은 스스로 자신이 알아서 적당히 소비하거나 타인이 정기적으로 얼마정도 지급하여 소비하였으나 자신이 스스로 억제하기란 대단히 어려우며, 타인이 정기적으로 지급한 것 또한 지급자의 측면에서도 번거로왔다. 이에대한 여러 가지 예를 들면, 부모가 자녀에게 용돈 지급할 때, 남편이 아내의 살림비용 지급시, 아내가 남편의 용돈 지급시, 특히, 낭비 벽이 심한 자녀, 남편, 아내에게, 또한 상숙에 있어서도 낭비가심할것이 예상되어 단시일에 탕진될 것이 우려된 경우등 본 고안에 의한 예금통장을 개설하여 주면 쉽게 절제가 가능해지며 본 예금통장에 많은 금액이 저축 되었다 할지라도 제한출금액으로 정한 금액 이상은 출금이 불가능한 것이다.
특히, 자녀들이나 낭비벽이 있는 성인에게 본 예금통장을 개설해 줌으로서 소비절약 및 저축의 생활화가 쉽게 이루어질 것이라 확신하는 것이며, 자기 자신이 스스로 절제할 수 있고, 또한 자신 이외의 자에 의해서도 절제가 가능하다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예금통장(1)에 입금자(2), 제한출금자(3), 제한출금기간(4), 제한 출금액(5),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 및 적금기간(7)이 명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금통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예금통장(1)에 입금자(2), 제한출금자(3), 제한출금기간(4), 제한 출금액(5),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 및 적금기간(7)이 명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금통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예금통장(1)에 입금자(2), 제한출금자(3), 제한출금기간(4), 제한 출금액(5), 제한출금의 부대조건(6)이 명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금통장.
KR92008179U 1992-05-14 1992-05-14 예금 통장 KR940002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179U KR940002876Y1 (ko) 1992-05-14 1992-05-14 예금 통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179U KR940002876Y1 (ko) 1992-05-14 1992-05-14 예금 통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284U KR930025284U (ko) 1993-12-20
KR940002876Y1 true KR940002876Y1 (ko) 1994-04-27

Family

ID=1933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179U KR940002876Y1 (ko) 1992-05-14 1992-05-14 예금 통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8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284U (ko) 199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ate et al. Federal Tax Policy for Foreign Income and Foreign Taxpayers-History, Analysis and Prospects
KR940002876Y1 (ko) 예금 통장
Mujaddidi Profit Distribution in the Islamic Banks-Daily Product Basis and Allocation of Weightages
Obermiller Banking at the brink: the effects of banking deregulation on low-income neighborhoods
Mahmood et al. An Analytical Study on, Role of Credit Cards in Present Era of Consumerism & Its Merits and Demerits
Syamlan et al. Priority Banking Services in Indonesia in Islamic Perspectives
Zein et al.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act Financing Sharia Card PT. Bank Danamon of the Lawof h i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Fiqh Muamalah
Cheng et al. What is Money? A Lawyer's Perspective on US Payment System Evolution and Dollars in the Digital Age
Yash A study on short-term investment options in India
Jamilah et al. The Practice Of Giving Bonus To Wadi’ah Current Accounts At Bank Sharia In Palangka Raya From A Sharia Economic Perspective
Ahmad Financing of HAJ Trough a Contract of Qardh (Loan) on Shari’a Banking in Indonesia
BR102022009433A2 (pt) Soluções via plataforma digital para a gestão financeira do setor de pecúlio/laboral no sistema prisional
Syahputra et al. GOLD INVESTMENT BY INSTALLMENT IN THE BANK INDONESIAN SHARIA KABANJAHE BRANCH: Analysis of Law No. 21 of 2008 and DSN MUI Fatwa Number 77 of 2010
Koyyimah et al. Analysis of Muslim Consumer Behavior In Using Paylater from an Islamic Perspective
Heilbroner Where is capitalism going?
Martin Reconciling Bagehot with the Fed's response to Sept. 11
Chaudhary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Indian Gold Schemes with Special Reference to GDS and GMS in Indian Context
Know et al. CPA
Auster Allocation of Lump-Sum Purchase Price upon the Transfer of Business Assets after Tax Reform
Annotated 07 Chapters 08-10-1988 Volume 1B
Mohammadi Studying the Status of the Interest Free Loan Regarding Non-Usury Banking Law in Islamic Republic of Iran
Lantz Banking Integration in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Impact on the Eurodollar Market
Martinson LSAT, law school admission test
Chairatana et al. A Study Into the Worthiness of Plastic Card Coverage Fees and Plastic Card Replacement Fees of the Government Savings Bank
Cafritz et al. Reform of French Bankruptcy Law: Adoption of the Business Safeguard 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