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566Y1 - Tv수상기의 틸트장치 - Google Patents

Tv수상기의 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566Y1
KR940002566Y1 KR2019910011025U KR910011025U KR940002566Y1 KR 940002566 Y1 KR940002566 Y1 KR 940002566Y1 KR 2019910011025 U KR2019910011025 U KR 2019910011025U KR 910011025 U KR910011025 U KR 910011025U KR 940002566 Y1 KR940002566 Y1 KR 940002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support member
tilt device
guid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001U (ko
Inventor
이봉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1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566Y1/ko
Publication of KR930004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TV수상기의 틸트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TV수상기의 틸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틸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제 3 도는 이 고안에 따른 TV수상기의 틸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틸트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모터 2,12 : 기어
3,13 : 감속기어 4,14 : 래크
5,15 : 받침부재 15a : 돌출편
6,16 : 축 7,17 : 지지대
8,8a,18,18a : 상,하측 가이드 9,19 : 스프링
10,20 : 고정부재 21,21a : 접촉면
22 : 안내봉 23 : 안내홈
100,200 : 틸트(Tilt)장치
이 고안은 TV수상기나 모니터등의 화면방향을 시청자가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켜 효과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한 수상기의 틸트(Tilt)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장치없이 각도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나 모니터등은 그 화면자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도록 제작되므로 받침다이등을 이용하여 시청자가 시청이 용이하도록 높이를 맞추어 화면을 높이거나 혹은 낮추어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시청자가 앉거나 누워서 시청하는 경우에 그 시선방향과 TV수상기의 화면방향이 서로 다르게 됨에 따라 그 만큼 볼수 있는 화면의 면적이 작아져 시청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TV수상기등을 올려놓은 받침다이내에 각종 구동장치들을 설치하여 리모콘 조작에 따라 받침다이의 상단이 경사지거나 또는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화면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여 효과적으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종래의 이와같은 장치로는, 예를들어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소화 61-113477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모터로 구동되는 복수의 나사축에 좌,우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더의 상단부에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판을 설치함으로써 TV수상기등을 상,하로 경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게 됨은 물론 부품수의 증가로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 1 도 내지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틸트장치(100)는, 고정부재(10)에 설치된 모터(1)의 기어(2)와 이맞물림되는 감속기어(3)가 래크(4)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1)의 구동에 따라 받침부재(5)가 축(6)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받침부재(5)는 중앙의 지지대(7)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방향에 각각 설치된 상,하측 가이드(8)(8a)에 스프링(9)이 끼워 장착되어 받침부재(5)의 작동시에 회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틸트장치(100)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의한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므로 리모콘 조작이 미숙할 경우에는 각도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에는 상기한 틸트장치(100)내에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리미트 스위치등을 설치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로 원가를 상승시킴은 물론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TV수상기나 모니터등의 틸트장치에 있어서, 받침부재의 회동시에 별도의 장치없이도 회동각도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틸트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단히 하는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TV수상기의 틸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받침부재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하측 가이드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받침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한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장착되는 상,하측 가이드에 안내봉 및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회동시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하측 가이드의 접촉면에 의해 회동각도가 규제되도록 한 것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이 고안에 따른 TV수상기의 틸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 3 도에서와 같이 종래의 틸트장치와 마찬가지로 TV수상기의 하단부에는 설치되는 틸트장치(200)내부의 고정부재(20)의 일측에 리모콘(도시생략) 등에 의해 원격조절이 가능한 모터(11)가 장착되어 있고, 이 모터(11)의 축에 장착된 기어(12)와 감속기어(13)를 개재하여 래크(14)가 이맞물림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래크(14)는 TV수상기나 모니터(도시생략)등이 올려지는 받침부재(15)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이 받침부재(15)의 중앙부에 형성된 브라켓에는 축(16)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상에 장착되는 지지대(17)상단과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5)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돌출편(1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편(15a)들에는 각각 상측가이드(18)의 상면이 유동가능하도록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20)상에 고정설치된 상하측가이드(18a)의 외측으로 스프링(19)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상,하측가이드(18)(18a)들의 끝단부에는 소정간격(L)을 두고 접촉면(21),(21a)이 형성되며, 이 접촉면(21),(21a)들에는 안내봉(22) 및 안내홈(2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15)의 회동시에 상측가이드(18)가 안내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가이드(18)(18a)의 접촉면(21),(21a)들이 간격(L)은 상기 받침부재(15)의 회동각도(θ)가 대략 -10°내지 +10°정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 고안은, TV수상기나 모니터등의 화면 방향이 시청자의 시선방향과 일치하지 않게 된 경우에 시청자가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화면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리모콘을 조작하게 되면 이 리모콘 신호를 틸트장치(200)내의 수신부내에 설치된 마이콤(도시생략)에서 인식하여 모터(1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제 3 도에서와 같이 모터(11)의 회전력이 축에 장착된 기어(12)와 이 맞물림된 감속기어(13)를 통하여 래크(14)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래크(14)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TV수상기나 모니터등의 본체가 올려진 받침부재(15)가 제 4 도에서와 같이 축(1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받침부재(1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받침부재(15)하단부에 형성된 일측(제 3 도에서 좌측)의 돌출편(15a)에 상측가이드(18)가 눌리면서 스프링(19)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안내봉(22)이 하측가이드(18a)의 안내홈(23)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하측 가이드(18),(18a)의 접촉면(21),(21a)이 서로 맞닿게 되면 받침부재(15)의 회동이 정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재(15)의 최대 회동각도(θ)는 대략 -10°내지 +10°의 범위이고 접촉면(21),(21a)의 간격(L)에 따라 규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받침부재(15)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작동하게 되며, 리모콘의 조작에 따라 모터(11)를 콘트롤함으로써, 받침부재(15)의 최대 회동각도(θ)내에서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은, TV수상기나 모니터등의 화면 방향을 원격조작에 의해 자유롭게 상,하 틸트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어, 받침부재의 회동각도를 별도의 장치없이도 규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틸트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단히 하는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받침부재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하측 가이드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받침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한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9)이 장착되는 상,하측 가이드(18)(18a)에 안내봉(22) 및 안내홈(23)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15)의 회동시에 소정간격(L)을 두고 형성된 상,하측 가이드(18)(18a)의 접촉면(21)(21a)에 의해 회동각도(θ)가 규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TV수상기의 틸트장치.
KR2019910011025U 1991-07-13 1991-07-13 Tv수상기의 틸트장치 KR940002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025U KR940002566Y1 (ko) 1991-07-13 1991-07-13 Tv수상기의 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025U KR940002566Y1 (ko) 1991-07-13 1991-07-13 Tv수상기의 틸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01U KR930004001U (ko) 1993-02-26
KR940002566Y1 true KR940002566Y1 (ko) 1994-04-20

Family

ID=1931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025U KR940002566Y1 (ko) 1991-07-13 1991-07-13 Tv수상기의 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5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01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237B2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US8130488B2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and television set
US7762513B2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US20060071141A1 (en) Location controller for tv receiver
CN114060654B (zh) 显示装置
KR940002566Y1 (ko) Tv수상기의 틸트장치
KR940003275B1 (ko) Tv수상기의 틸트장치
KR940006408Y1 (ko) Tv수상기의 틸트장치
KR101175814B1 (ko) 텔레비젼 화면각도 조절장치
KR940003276B1 (ko) Tv수상기의 틸트장치
KR0163133B1 (ko) 디스플레이의 각도조절장치
KR940002565Y1 (ko) T.v 수상기의 틸트장치
KR940003278B1 (ko) Tv수상기의 틸트장치
KR0177650B1 (ko) 화면 표시장치 자동 위치 조절기구
KR940002694Y1 (ko) Tv방향조절받침대
KR940006407Y1 (ko) Tv 수상기의 틸트장치
JP2594208B2 (ja) カメラの姿勢制御装置
KR970008373B1 (ko) Tv 수상기의 스위블, 틸트 및 스피커 방향 제어장치
KR0177649B1 (ko) 위치 자동조절기구에서의 조절한계제어장치
KR20020041999A (ko)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이동이 가능한 설치시스템
KR200306960Y1 (ko)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CN219737973U (zh) 超短焦投影仪及超短焦投影系统
KR970000142Y1 (ko) Lcd모니터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0119685Y1 (ko) 텔레비젼 안치 각도 조절대
KR100866640B1 (ko)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